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트남전 이후 미 육군의 군사혁신(RMA)이 한국 육군의 군사혁신에 주는 함의

        정연봉 육군군사연구소 2019 군사연구 Vol.- No.147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RMA) was originated from Revolution in Business Affairs(RBA). From this, "a Sense of Urgency", "Potential Core Competency",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re deducted as the success factors of RMA by utilizing business firms' innovation and management theory. This article presents the implications to ROA Army RMA by studying U. S. Army RMA after the Vietnam War with using the success factors of RMA. During the Gulf War, U. S. Army conducted "Smart War" that integrated state-of-the-art sensors, C3I(Command, Control, Communication and Intelligence), and precision guided munitions. Through the "Smart War" U. S. Army demonstrated a new paradigm of warfare. The tremendous victory was possible because of RMA conducted after the Vietnam War. U. S. Army transformed itself with utilizing the loss in Vietnam War as a stepping stone to raise a Sense of Urgency, the U. S. comparatively advantageous technology as Potential Core Competency,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o stimulate intellect and self motivation. In order for ROK Army to be successful in its newly attempted RMA, ROK Army should systematically manage the above 3 success factors of RMA. To raise a Sense of Urgency, ROK Army may utilize the threat from all out war with North Korea that harnesses nuclear weaponry, the threats from neighboring countries' large scale military power, and the threat from 100,000 reduction in Army by 2022. To utilize the comparatively advantageous technologies as Potential Core Competency, ROK Army also needs to develop the new concept of 'how to fight' using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into military applications, to introduce civil-military complex and fusion type military war-fighting systems, and to secure sufficient budget including government and civilian R & D budgets. Fo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 military leadership with innovative mind and clear vision needs to play leading role in pursuing RMA while creating open organizational culture as well as a leading group to last RMA. Deducting success factors of RMA from management theory is a creative and new unprecedented approach, yet utilizing U. S. Army RMA after the Vietnam War as a single case study for generalizing success factors of RMA requires further research for improvements. 본 논문에서는 군사혁신이 민간의 경영혁신에서 태동한 점에 착안하여 민간기업이 혁신·변화관리에 폭넓게 활용하고 있는 경영학이론을 바탕으로 ‘위기의식(감)’, ‘잠재적 핵심역량’, ‘변혁적 리더십’을 군사혁신 성공의 결정요인으로 도출하고,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미 육군의 베트남전 이후부터 걸프전까지의 군사혁신 사례를 비판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우리 육군이 지향해야할 군사혁신의 방향을 제시했다. 걸프전에서 미 육군은 첨단센서체계, 전장관리체계, 그리고 정밀유도무기를 결합한 스마트전쟁을 통해 정보·지식중심의 새로운 전쟁패러다임을 선보였다. 걸프전에서 미 육군의 혁혁한 성공은 베트남 패전을 위기의식(감)으로, 미국이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는 과학기술을 잠재적 핵심역량으로, 지적 자극과 자발적 동기를 유발하는 변혁적 리더십을 활용하여 군사혁신을 추진했기 때문이다. 육군이 새롭게 시도하고 있는 군사혁신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3가지 결정요인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군사혁신에 필요한 ‘위기의식(감)’ 제고를 위해 북한군의 전면전 위협을 활용할 수 있으나,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적 카드로 평화체제를 제안하고 있는 시점에서, 북한의 위협을 강조하는 것은 주의가 요망된다. 따라서 규모면에서 우리와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주변국의 군사적 위협과 2022년까지 10만 명 이상을 감축해야하는 대규모 병력감축을 위기의식(감)으로 활용해야 한다. ‘잠재적 핵심역량’ 측면에서는 4차 산업혁명기술의 군사 분야 접목을 통해 ‘관측(Observe)-판단(Orient)-결심(Decision)-행동(Action)’을 적보다 빠르게 함으로써 전투력 발휘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4차 산업혁명기술을 적용한 싸우는 방법을 정립하고, 민·군 복합·융합형 군사시스템을 도입해야 하며, 적정규모의 예산 확보와 더불어 국가 및 민간의 잠재적 재원도 적극 활용하여 군사혁신을 추진해야 한다. ‘변혁적 리더십’ 차원에서는 변혁적 리더십을 가진 군 지도부를 중심으로 군사혁신을 추진하되 명확한 비전의 제시, 개방적인 조직문화의 조성, 혁신 선도그룹의 관리 등을 통해 군사혁신이 지속될 수 있는 토양을 만들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 경영학이론을 바탕으로 군사혁신 성공의 결정요인을 도출한 것은 새롭고 창의적인 접근방법이나, 미 육군의 베트남전 이후 군사혁신 단일사례를 근거로 군사혁신 성공의 결정요인을 일반화한 점은 추가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 KCI등재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의 효시(嚆矢)에 대한 연구

        박일송,김민식 육군군사연구소 2018 군사연구 Vol.- No.146

        This paper is the beginning of efforts to find out the history of Republic of Korea Army(ROKA) and Korea Military Academy(KMA) at the turning point where the time and space of modern Korean history recognition is expanding. In addition, it is part of efforts to properly describe the legitimacy and efforts to describe the history of the ROKA and KMA in the course of the overall history. The historical narrative of the KMA can be given meaning by distinguishing the period and the institution as follows. The Military Academy in the period of Great Han Empire was the beginning of an independent modern officer training institute. Sinheung Military School and other military schools in 1910s were the source of the mental legitimacy of the KMA. Military Academy of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the source of legal and substantive legitimacy of the KMA. Military Language School and Korean National Guard Academies in U.S. Military Government Period of Korea can be described as the predecessor of the KMA.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the Military Academy of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is a somewhat poorly researched historical description of KMA. This academy has historical significance in light of the constitutional spirit that the Republic of Korea succeeds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more research will be made in the future. Based on this paper, I hope that further discussion and research will be conducted on the future and legitimacy of the ROKA and KMA. 본 논문은 대한민국 근현대사 인식의 시·공간이 확대되고 있는 전환점에서 대한민국 육군과 육군사관학교의 효시를 찾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다. 더불어 보다 전체적인 역사의 흐름 속에서 육군과 육군사관학교의 역사를 서술하려는 노력과 그 정통성을 제대로 정리하기 위한 노력의 시작이다. 논문을 통해 주장하고자 하는 육군사관학교의 역사적 서술은 다음과 같이 시기와 기관을 구분하여 의미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는 자주적인 근대적 장교양성기관의 시작으로 의미가 있다. 그리고 1910년대의 신흥무관학교 등 군사교육기관들은 독립군 양성소로서 육군사관학교의 정신적 정통성의 연원으로 볼 수 있다. 이때 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육군무관학교는 육군사관학교의 법제적 및 실체적 정통성의 연원으로 주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미군정기의 군사영어학교와 국방경비대사관학교 및 조선경비대사관학교는 육군사관학교의 전신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그간 육군사관학교에 대한 역사 서술에서 연구가 다소 부진하였던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육군무관학교를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 학교는 대한민국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헌법정신에 비추어 보더라도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도 더 많은 연구가 개진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을 바탕으로 향후 육군과 육군사관학교의 효시와 정통성에 대한 보다 발전적인 논의와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독일 군사사상과 제도가 일본 육군의 근대화에 미친 영향

        장형익 육군군사연구소 2014 군사연구 Vol.- No.137

        Since the Meiji Restoration, the Japanese Army introduced Germany military system and theory through Japanese modernization. Since Japan pursued a measure to enrich and strengthen a country under the Japanese Emperor system at that time, Germany was a fascinated role model because Germany had been growing up a great power country of European nations. Especially, the General Staff system was evaluated a key-point system for the victory of War, so it was introduced to Japan by the German-study officers. Moreover, Japan had adopted the Germany military theory centering around the military strategic tactics. The Germany military system and theory that had introduced the modern Japan had organized by Helmuth von Moltk. His idea had taken concrete shape based on the theory of the On War written by Carl von Clausewitz. However, Moltk and the Germany military headquarter pursed the wrong side of the superiority of the politics to military affairs that had insisted on the On War, so this mistaken recognization indicated a wrong way to German and German-copying Japan. In German, the military consideration and value was emphasized based on the independence of the prerogative of supreme command, the militarism was formed. In Japan, military authorities take the reins of government by using the strengthened political influence and the prerogative of supreme command, and they drove forward peremptorily the national and military policies. 명치유신 이후 일본 육군은 근대화 과정에서 독일의 군사제도와 군사사상을 도입하였다. 당시 일본은 천황제 하에서 부국강병 정책을 추구하고 있었기 때문에 절대왕권 하에서 유럽 강대국으로 성장하고 있었던 독일은 매력적인 모델이었다. 특히, 참모본부 제도는 보오ㆍ보불전쟁을 승리로 이끌게 한 핵심적인 제도로 평가되어 독일 유학파를 중심으로 일본에 도입되게 되었다. 또한 독일 통일과정에서 발전된 작전술을 중심으로 군사이론을 받아들이게 된다. 그러나 일본은 빠른 근대화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군사사상에 대한 연구 없이 전술교육을 우선시 하였다. 근대 일본이 도입한 독일의 군사제도와 군사사상은 몰트케에 의하여 체계화 된 것으로서, 몰트케는 클라우제비츠의『전쟁론』의 군사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자신의 사상을 구체화하였다. 그러나 몰트케와 당시 독일 군부는『전쟁론』에서 강조된 ‘군사에 대한 정치우위 사상’을 무시하고 그 반대를 추구하였으며, 이러한 잘못된 인식과 왜곡은 그 후 독일과 모방국가인 일본에게 잘못된 방향을 제시하게 된다. 결국, 근대 일본에서는 통수권의 독립을 바탕으로 군사적 사고와 가치가 강조되었고, 군부의 강한 정치적 영향력을 이용하여 군부 주도로 국가 및 군사정책이 독단적으로 추진되게 되었다.

      • KCI등재후보

        군사학 졸업인증제에 대한 효과 분석

        박효선 육군군사연구소 2013 군사연구 Vol.- No.136

        The Army's officer training courses and various operations, such as the Academy, ROTC, and private military studies.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the Army cooperation Military studies of graduated certification effectis to propose a developmentpla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research, analyze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the Army of the eight universities cooperate for the general college graduation certification, and assessment of the Army Headquar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was considered significantly different graduation accreditation System of certification criteria and interest. Second, the system influences the students' learning ability and fitness, but there is a difference with other curriculum. Third, the elements were falling effect in relation to the competencies required of a junior officer. Proposed development plan are as follows. Graduation accreditation system requirements need to be reconfigured to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litary studies, but can be used in the military and society. In addition to certification in the field of reading, volunteering, health and medicine, such as foreign affairs and security characteristics. Improve learning graduate certification program for financial support and the credibility of certification is required. 본 연구는 우수 장교양성을 목적으로 시행 중인 육군 협약 군사학과의 졸업인증제 효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군사학과 교육운영체계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민간대학 졸업인증제에 대한 선행연구와 육군협약 군사학과 8개 대학의 자료 및 육군본부의 군사학과 평가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별 졸업인증제 기준이 상이하고 관심도의 편차가 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군사학과 졸업인증제는 학생들의 학습능력과 체력단련 등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다른 양성교육 과정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셋째, 초급장교에게 요구되는 역량과의 관계에서 효과성이 떨어지는 졸업인증제 요소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한 군사학과 졸업인증제의 발전방안으로는 민간대 군사학과 특성에 맞는 자격요건 구성과 등급의 재조정과 군과 사회에서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졸업인증 요건으로 재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외국어와 정보소양 인증 등에 제한된 자격이 아니라, 독서나 봉사활동인증이나 보건의학, 외교안보 등 대학만이 가지고 있는 특성분야의 인증을 선택하여 시행하는 것이다. 더불어 졸업인증에 필요한 프로그램 이수를 위한 재정적 지원과 군사학과 졸업인증의 공신력 제고 등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먼저 군에서 요구되는 인적자원개발에 필요한 핵심요소로 졸업인증 요건을 보완해야하며, 나아가 학생들의 요구와 적성을 제대로 평가하고 대학교육의 특성을 반영해 나가야 할 것을 제시한다.

      • KCI등재

        냉전기 서독 연방군의 육군구조개혁과 그 함의

        김태산 육군군사연구소 2019 군사연구 Vol.- No.148

        During the Cold War, the Bundeswehr has carried out many Army Structure Reforms(Heeresstrukturreformen) to cope with international situations and NATO's military strategies. Since its foundation, the Bundeswehr pursued the first Army Structure Reform to create many military units. With twelve assigned divisions, the Bundeswehr was abl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fense of NATO. The second Army Structure Reform in 1959 led to the Combined Arms, which integrated different combat arms such as Armor, mechanized Infantry, Artillery, Engineer, etc. After NATO adopted the Flexible Response strategy, the third Army Structure Reform was initiated to perform a Mobile Defense with modernized weapons. In 1978, the Secretary of Defense Hans Apel approved the fourth Army Structure Reform on the reorganization of the Field and Territorial Army. As the result, the number of military units, which were armed with advanced weapons, increased. After the German Reunification, the fifth Army Structure Reform was an attempt to improve the crisis response ability. These Army Structure Reforms were results of Bundeswehr's military role change and products of the times. 냉전 기간 서독 연방군은 긴박한 국제적 정세와 북대서양 조약기구(이하 나토)의 전략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 육군구조개혁을 수차례 단행하였다. 연방군은 1955년 11월 12일에 창설된 이후 나토의 일원으로서 빠른 부대 창설을 위해 제1차 육군구조개혁을 추진하였다. 이후 1957년 나토에서 ‘대량보복’ 전략이 결정되자 재래식 전력은 더욱 중요시 되었고, 서독 연방군의 12개 사단 창설 계획안은 추동력을 얻을 수 있었다. 1959년에 시행된 제2차 육군구조개혁은 ‘제병협동 전투’, 이른바 기갑, 기계화 보병, 포병, 공병 등의 제병과가 협조된 작전을 수행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후 1967년에 나토가 ‘유연반응’ 전략을 도입하자 육군구조에 대한 논의가 다시 제기되었고, 서독 연방군은 1968년에 현대화된 군대로 기동방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육군 편제를 개편하는 제3차 육군구조개혁을 결정하였다. 이후 1978년에 국방부장관 아펠은 국방구조개편위원회의 건의를 받아들여 야전육군과 지역육군의 재편성에 관한 제4차 육군구조개혁을 승인하였는데, 이는 연방군 내 현대적 전투장비로 무장한 단위부대들의 증가를 가져왔다. 독일 재통일 이후 연방군의 감축에 관한 요구들이 거세지자 제5차 육군구조개혁이 입안되었다. 또한 제5차 육군구조개혁은 해외파병 임무가 강조됨에 따라 위기반응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개혁이었다. 이후에도 독일 연방군은 나토 및 유엔군의 일원으로서 그 군사적 역할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부대개편을 추진하였다. 냉전기 및 재통일 이후 연방군의 육군구조개혁은 시대 변화에 따른 능동적인 대처의 산물이었으며, 연방군의 역할 변화에서 기인한 결과이기도 했다.

      • KCI등재

        한국전쟁기 육군특별지원병의 군사적 역량

        정안기 육군군사연구소 2018 군사연구 Vol.- No.146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lucidate that Army Special Volunteers from Korea who had served as loyal advance guards of imperial Japan during the colonial period stayed loyal and patriotic to their own country Korea as the bulwark of national defense after its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in 1945. Many of those with a military background as Army Special Volunteer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were trained in 1946 at Military English Language School, the Korea National Guard Academy or the Korea Military Academy and were reborn as army officers to work on the frontlines of Korea's national defense. They attended primary school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served in the Japanese military through the Army Volunteer Training Center under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is eventually led them to internalize Japanese emotions and sentiments and learn the values of obedience and loyalty to their nation's orders and self-sacrifice for their people. Further, they gained a lot of military expertise and practical experience during their participation in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Asia-Pacific War in 1930s-1940s and contributed to thwarting Stalin's and Kim Il-sung's war plans while serving as frontline commanders during the Korean War of 1950-1953. They tended to reveal the mentality of the Japanese military in their views of the nation, life and death, and military service and remained on a roll as top-notch officers of the Korean army, including Army Chief of Staff,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and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Typical examples include Lieut. Gen. Choi Gyeong-nok, Lieut. Gen. Ham Byeong-seon and Major Gen. Lim Butaek, and Lieut. Gen. Song Yochan who held the positions of Army Chief of Staff,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and even Prime Minister between 1950s-1960s. The present study is an attempt to elucidate the historical context where in the capability of Korea's armed forces during the founding period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Korean War could never be dissociated from the military legacie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이 연구는 육군특별지원병 출신 군사 경력자들이 식민지기 일본 천황에 충성을 맹세하는 ‘제국의 첨병’이었지만, 1945년 해방 이후에는 새로운 조국 대한민국에 진충보국하는 ‘조국의 간성’이었음을 군사적 역량과 관련해서 실증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국방부의 전사와 본인의 회고 그리고 관계자 증언을 대조·확인하는 크로스 체깅(cross checking)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육군특별지원병 출신 군사 경력자들은 1946년 군사영어학교 등 다양한 군사학교를 거쳐 대한민국 육군 초급장교로 변신하였다. 이들은 식민지기 중일전쟁과 아시아태평양전쟁에 참전해서 전문적인 군사지식과 풍부한 실전경험을 쌓았다. 또한, 국가의 명령에 대한 복종, 충성, 희생의 사회적 가치를 내면화하였다. 이들은 6·25전쟁기 최일선 부대장으로 스탈린을 비롯한 국제 공산주의 세력의 남침 기도를 초전에 저지·분쇄하는 발군의 군사적 역량을 발휘하였다. 이들은 1950~60년대 대한민국 육군 60만 대군을 통괄하는 육군참모총장, 합참의장, 국방장관으로 활약하였다. 대표적인 인물은 육군참모총장, 국방장관, 내각수반의 지위에 올랐던 송요찬 중장을 시작으로 최경록 중장, 함병선 중장, 임부택 소장 등이었다. 그럼에도 그 동안 이들은 학계와 사회로부터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하였다. 그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 군사전략의 변천과 발전방향

        김희수 육군군사연구소 2022 군사연구 Vol.- No.153

        2차 세계대전 이후 독립한 국가 가운데 한국은 민주주의 체제와 시장경제 체제가잘 발전된 대표적인 국가가 되었다. 그러나 정치적인 민주화와 경제적인 성장에비해 군사적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특히 한국군 군사전략은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의문을 가지는 사람들이 많아 이 연구를 시작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1945년 광복 이후부터 2021년까지 76년간 한국 군사전략의변천 과정을 살펴보고 군사전략을 변화시킨 주된 영향요인과 시대별 군사전략을분석하여 향후 군사전략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한국 군사전략은 현존 위협인 북한의 군사적 위협에 의해 변화되었고, 동맹인미국의 전략적 영향력과 국내정치를 비롯한 한국 내부의 영향을 받아 왔다. 향후군사전략 발전에도 이런 영향은 지속될 것으로 여겨진다. 한국이 동북아시아의 반도국가로서 생존과 번영을 추구하는 국가안보전략을 국방차원에서 뒷받침하기 위해 전략환경평가를 신중히 하고, 전략적 선택방향을 정립하여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선진국 위상에 맞는 국가안보전략과국방전략에 부합된 균형 잡힌 군사전략을 발전시키고 유지해야 할 것이다. 군사전략이 군사력 운영과 군사력 건설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공허한 전략이 되지 않도록군사전략기획의 전문성을 확장시켜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이 연구는 한국의 군사전략 발전을 위해 국가기획과 합동기획 차원에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제2차 세계대전 독 ․ 소 전쟁초기 소련의 실패원인 평가 - 전쟁이전 소련의 대비태세 중심으로 -

        이희순 육군군사연구소 2013 군사연구 Vol.- No.135

        Itisclearly acknowledged thattheSovietUnion gained victory overGermany duringtheSecondWorldWarbetweentheSovietUnionandGermany,however,it isalsotruethathistorydosenottellusanobjectiveview oftheSovietUnion's failureintheearlystagesofthewarbutratherthisconceptualapproachdoesonly toaddresslimitedconditionsbasedonpastEast-Westideologyintheperspective ofCapitalism vs.Communism. In other words,while war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on a third person perspectivebythereflectionofbalancingbothsidesreasoning,duetotheColdWar andlimitationstoapproachingSovietUniondata,wehaveheavilydependedonthe westerndatatoanalyzewar. SincethebreakdownofSovietUnion,datarelevanttoSecondWorldWarbegan tobereleased,andactiveresearchhavebeenconductedsincethen. TheGermany-SovietUnionwarduringtheSecondWorldWarindirectlyteaches usthatelementssuchaspolitics,military,economy,social,etc.issuesneedtobe orchestrated in a military history standpoint to resolve the problem around preparation forfuturewar.Hence,welearn from SovietUnion'sfailurethatthe statewasnotabletorespondtowarwith minimum military readinessneglected,andenvelopedbyeconomy,social,militaryproblems. Yet,itistruethatmilitaryproblemsmaybeusedasapoliticaltool.However,if themilitaryisincapable,itwouldnotbeabletobeusedasapoliticaltool. 독-소전쟁 이전,소련은 공산주의 혁명과정에서 체득한 내전경험뿐만 아니라 유능한 군사이론가와 당시,현대전 수행에 적합한 이론으로 평가되는 “종심작전이론”,“초기전쟁이론”등 이론적으로도 높은 군사적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음은 물론,전쟁수행에 필요한 국가적 역량 역시 독일에 비해 결코 뒤지지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전쟁초기 독일에 의하여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된다. 이와 같이 소련이 막대한 피해를 초래하게 된 원인은 근본적으로 최소한의전쟁대비 마저 무시한 스탈린의 정치적 입지 내지는 정권유지에 다른 다분한정치적 견해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즉,전쟁을 대비하는 국가의 모든 업무가 정치,더 나아가 스탈린 개인의 정치적 견해에 귀속되고,전쟁에 있어서 주 수단이 되어지는 군사분야마저도 정치에 무한적으로 종속되어지는 상황 하에서 소련의 군사적 대비는 군사분야의문외한,즉 비전문가 집단들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사실은 아무리 훌륭한 군사이론의 토대와 상대국에 비해 거의 뒤지지 않는 국가 역량을 지니고 있었다 할지라도 전쟁을 대비한 주된 국가활동들이 정치에 종속될 경우 이는 곧,막대한 피해의 결과로 돌아올 수 있다는것을 입증해 준다. 군사문제가 정치의 수단으로 사용될 수밖에 없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지만군사가 정치에 무한으로 종속되어 최소한의 국방능력이나 그 가치마저 보유하지 못한다면,정치의 수단으로서 군사는 아무런 가치가 없는 것이다.

      • KCI등재

        독일 육군 장교 양성 체계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김태산 육군군사연구소 2023 군사연구 Vol.- No.155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y of the German Army Officer Training System and draws its implications. It analyzes regulations, data released by the Bundeswehr and reports of the Wehrbeauftragte des Deutschen Bundestages and provides constructive ideas for the military seeking to develop the military personnel system. The German professional officer corps emerged by promoting military reforms after the Battle of Jena-Auerstedt in 1806. At that time, officers improved their command skills through preparatory military schools and military schools. After World War I, the Treaty of Versailles limited the size of the German military, including the officer corps. But the establishment of the Wehrmacht le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officers. The German military had invested in new technologies during this period, so the role of officers was multifaceted. Since 1955, the Bundeswehr has expanded its troops as a front-line force of the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so that the number of officers has been increased. The Bundeswehr's Army has considered the officer statue as a warrior or a tactician and redefined it as 'Staatsbürger in Uniform' under the Innere Führung. Therefore the Bundeswehr has introduced military courses and university courses in the officer education. After German Reunification, the Bundeswehr's Army has inherited the previous officer education system and the Army Officer School of the Bundeswehr in Dresden has become the cradle of the officer training. Currently, the Bundeswehr's Army education system trains officers with military expertise and civic literacy. 본고는 1차 사료인 국방감독관 보고서를 비롯하여 연방군에서 공개한 인터넷 자료, 각종 법규 및 문헌 등을 토대로 독일 육군 장교 양성 체계의 변천과정을 실증적으로 고찰하며, 이를 통해 군 인사제도 발전을 모색하는 관계자들에게 건설적인착안점을 제시한다. 독일에서 전문적인 장교단은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 이후 군재조직위원회에서 군사개혁을 도모함으로써 등장하였다. 이 당시 장교들은 예비군사학교와 군사학교에서 교양 및 지휘 능력 등을 함양하였으며 각 병과 학교에서 보수교육을 받았다. 제1차 세계대전의 패전으로 군 규모가 제한됨에 따라 장교 양성은 더딜 수밖에 없었으나 독일 국방군의 창설 및 제2차 세계대전으로 신속한 장교 양성이 강조되었다. 이 시기의 독일군은 기술적인 군대로 전환되는 과도기였기에 장교들은 권위적일 뿐아니라 기능주의적인 모습도 보였다. 한편, 연방군이 창설되기 이전부터 서독에서는 장교상에 관한 논의가 전개되었다. 민주주의 국가의 군대인 연방군은 내적지휘와 제복 입은 시민이라는 전형을 고안하였으며 이를 장교상에 반영하려고 했다. 이런 가운데 초기의 장교 양성 교육은 하노버, 함부르크, 뮌헨의 장교학교에서 진행되었고, 보수 교육은 육군지휘대학에서 이루어졌다. 이후 1970년대 연방군 개혁으로 연방군 대학이 창설되었으며, 이곳에서육군 장교들은 군사 전문지식을 습득하고 인문학적 소양을 함양할 수 있었다. 재통일 이후 독일 연방군은 서독 연방군 장교교육 시스템을 계승하였다. 장교후보생들은 드레스덴으로 이전한 육군 장교학교에서 군 전문성뿐 아니라 내적지휘하에서제복을 입은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갖추었고 연방군 대학에서는 필요한 전문학위 교육을 이수하였다. 요컨대, 장교학교, 연방군 대학, 지휘대학으로 이어지는 오늘날 연방군 장교 교육체계는 군사 전문성 및 시민적 소양을 겸비한 정예장교를 양성하는 대표적인 제도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 KCI등재

        6·25전쟁 전 북한군 전쟁계획 분석

        이정곤 육군군사연구소 2018 군사연구 Vol.- No.145

        Russia disclosed the archives materials about Korean War, and the reports of the generals were translated, which gave us many historical facts. Few paper, however, have analyzed North Korean Military's war plan from its national security strategy(grand strategy) to its military art. Therefore, the paper analyzed it at the level of national security strategy and military art. First, as for national security strategy, North Korea built up military power that was two to three times stronger than South Korea by receiving military aid under the agreement with the Soviet Union, its guardian. They then cooperated with China in advance to prepare for the U.S. troops' intervention. Most of their predictions were correct and well-prepared. Secondly, as for military strategy, North Korean military applied the concept of 'Annihilation war' to the main forces of South Korean Army, and the concept of 'Maneuver warfare' to the surviving South Korean Army and U.S. troops. The main direction of the first phase of the operation was different with the existing study, and the chain of command also used 'Operational Team' to prepare for the level of Operational Art. Thirdly, as for Operational Art and Tactics, the main strike direction and two supporting strike directions were applied, but the 'Detouring Unit' for blocking South Korean Military's withdrawal, is seen as the tank brigade(-) and 603 motorcycle regiment. At the level of Tactics, North Korea achieved an advantage of 3:1, 2.1 over South Korea and made a plan that conforms with the intention of General Staff. Echelons below regiment moved to the assembly area to reinforce individual combat skills, new weapon's firing, mental education and then went to the line of departure for the attack. Regardless of the time the division command issued the operational order, the troops had already moved to the assembly area to prepare for combat at the level of individuals and small units. 북한군의 6·25전쟁 계획은 러시아가 1차 사료를 공개하고, 참전 장군들의 보고서가 번역되어 역사적 측면에서 많은 사실들을 알게 해준다. 하지만 전쟁의 군사적 측면에서 국가안보전략(대전략)으로부터 군사예술로 이어지는 수직적 측면에서 북한군 전쟁계획을 분석한 자료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개전 전 북한군이 수립한 전쟁계획을 국가안보전략과 군사예술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방법과 역사적 접근방법을 적용하였다. 국가안보전략 측면에서 북한은 후견인인 소련과 협정을 맺어 외세의 도움을 받고, 남한보다 2∼3배 우위의 군사력을 건설하였다. 그리고 미군의 참전을 대비하기 위해 중국과 사전 협조를 하였다. 그들의 예측은 대부분 적중하였고, 대비도 충분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군사전략 측면에서 북한군은 ‘섬멸전, 기동전’ 개념을 적용하여 한국군 전방사단을 포위전으로 섬멸시키고, 잔여 한국군과 미군 증원을 대비하기 위해 기동전을 적용시켜 남해안의 항구들을 점령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한 제1단계 작전의 주타격방향은 공간사가 분석하는 내용과는 다른 결과가 나왔고, 군사지휘체계도 ‘작전조’라는 개념을 적용시켜 작전예술 측면에서 대비하려 한 모습이 발견되었다. 작전예술과 전술 측면에서 포위전을 위해 주타격방향과 2개의 보조타격방향을 적용시키되, 퇴로 및 증원차단을 하는 ‘우회대’는 전차여단(-)과 603모터사이클 연대로 보인다. 전술 측면에서는 사(여)단 별로 한국군보다 3:1. 2:1의 우세를 달성하고 총참모부 의도에 맞춰 작전계획을 수립하였다. 연대 이하 제대들은 공격개시 전까지 집결구역으로 이동하여 개인전기, 새로운 무기 시사, 정신교육 등을 강화하고 이후 공격출발선 또는 공격출발진지를 점령한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국가안보전략이 제기하는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민족보위성 이하 군 부대가 제대별, 타격방향별로 상·하 연계성을 가지고 어떻게 군사작전 계획을 수립하였는가를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