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교육정책학의 최근 연구동향(2006-2010)

        조흥순,전상훈 안암교육학회 2011 한국교육학연구 Vol.17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recent trend(2006-2010) of Educational Policy Science in Korea and to find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al Policy Science. To accomplish the purposes,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Educational Policy Science and precedent studies were examined, as well as 3 scientific journals and recent doctoral dissertations.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studies of Educational Policy Science were more than 50% of the total. Especially the studies of Educational Policy Science have increased in recent years. The studies of entire school systems and teaching staff and higher education were mainly published. The aim of the most studies was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educational policies and to find the ways of improving current educational systems. But the relative portion of theory based researches was small. The studies of educational policy evaluation and formation made up a significant portion. Some policy suggestion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of Education and Policy Science are needed for developing the studies of Educational Policy Science. Second, more researches of curriculum and students(the key areas of Education) are necessary. Third, the studies of future educational policy directions and theory based researches are needed. 본 연구는 최근 5년간(2006-2010) ‘교육행정학연구’, ‘교육정치학연구’, ‘정책학회보’에 게재 된 논문과 박사학위논문을 대상으로 교육정책학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육정책학의 지식 기반과 연구동향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한 다음 연구주제별, 연구목적 별, 정책과정영역별, 정책수준별, 연구방법별, 연구수행형태별 준거를 설정하여 분석했다. 연구결과, ‘교육행정학연구’와 ‘교육정치학연구’에 게재된 교육정책논문은 전체 게재논문의 과반 수에 해당되는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 수가 점차 늘어나 교육정책연구가 활성화되 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주제에 있어서는, 활동부문별로는 전 학교공통 주제, 교원, 고등교육 부 문의 주제가 많았고, 기능별로는 교육제도와 교직원 관련 주제 논문이 다수 였다. 학술지 논문 은 사회적 쟁점이 된 교육현안 연구가 대다수였고, 박사학위논문은 비교적 다양한 주제를 다루 었으며, 전반적으로 교육과정과 학생에 대한 연구가 적었다. 연구목적별로는, 다수의 논문이 실 태분석을 통한 교육정책개선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정책이론 검증과 개발을 위한 논문이 적었 다. 정책과정영역별로는 정책평가 연구가 가장 많았고, 정책수준별로는 국가수준이 대다수였다. 연구방법별로는 문헌연구, 양적연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정책평가 논문에서 양적연구방법 사용 빈도가 높았다. 연구수행형태별로는 단독연구가 많으나 공동연구가 늘어나고 있고, 비지원 연구 가 대다수였으며, 박사학위논문의 경우 비 교육학 전공자의 논문이 상당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정책연구의 심화 · 발전을 위한 공론의 장 필요, 학생과 교육 과정 분야에 대한 연구 촉진, 미래지향적 · 거시적 관점의 교육정책 연구 활성화, 정책이론의 접목과 개발 연구 촉진, 공동연구의 활성화와 동기부여책, 문헌연구 이외에 연구방법 다양화, 시 · 도 수준의 정책연구 활성화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국가교육과정기준 개발에서 사회적 요구분석 방법 연구

        백경선,홍후조 안암교육학회 2006 한국교육학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ay of analyzing the social needs assessment systematically when we construct or revise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This study examined several problems from analyzing actual needs assessment on the previous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evelopment. Also it suggested the improved ways of social needs assessment on the base of several problems and theory of needs assessmen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establishment of generalized needs assessment procedure; Second, abstraction of social needs from world level, national level, and local level; Third, implication of predicting future as needs assessment contents; Fourth, inclusion of outsider's needs assessment of educational circles; Fifth, variation of needs assessment methods, and periodical and long term needs assessment; Sixth, priority decision-making based on its importance, feasibility and urgency of the problem.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we should check educational propriety of social needs, reflection system of selected nee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needs and social needs. 본 연구는 교육과정을 이루는 3대 원천인 교과, 사회, 학습자 중 사회와 교육과정과의 관계, 더 나아가 사회의 교육과정적 요구를 어떻게 분석하여야 하는가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또한 본 연구는 교육은 미래지향적이고 사회적으로 유용한 것이 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국가교육과정기준 개발에서 사회적 요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기존의 국가교육과정기준 개발에서 요구분석의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추출하였다. 또한 추출된 문제점과 요구분석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국가교육과정기준 개발에서 사회적 요구분석의 개선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일반화된 요구분석 절차 확립, 2) 세계 수준, 국가 수준, 지역 수준에서 사회적 요구 추출, 3) 요구분석 내용의 미래지향성, 4) 사회적 요구의 총체적 조망을 위한 교육계 외부 인사에 대한 요구분석 확대, 5) 요구분석 기법의 다양화와 주기적, 장기적인 요구분석의 필요성, 6) 중요도, 실현 가능성, 긴급성에 의한 요구의 우선순위 결정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추출된 사회적 요구의 교육적 타당성 검토, 사회적 요구의 반영 체제 연구, 학습자의 요구와 사회적 요구와의 관계 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개화기 인성교육의 특징과 안창호의 인격혁명론

        박의수 안암교육학회 2007 한국교육학연구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process of the introduction of the modernized western education system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m in the later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y in Korea, and to research for desirable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in the later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y in Korea can be summarized in 4 concepts; intellectualism approach, pragmatism approach, self strengthening approach, independent subjects approach. As a result, the desirable directions of character education are as follows; 1) The aims of character education must be simplified and clarified focussing on the core value. 2) The curriculum must be acceptable for the learner by means of pragmatic and utilitarian approach. 3) Character education and knowledge education must be unified and harmonized in order that one's life may be accord with his knowledge. 4) Currichlums of character education must be managed with the viewpoint of integration of subjects. 5) Various practical programs for character education must be cultivated like Chang-ho Ahn did. 이 논문은 개화기 근대교육의 도입과정과 인성교육의 특징을 고찰하고 하나의 모델이 될 수 있는 안창호의 인격혁명론을 통하여 21세기 인성교육의 올바른 방향 모색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화기 근대교육의 도입 과정에서 나타난 인성교육의 특징은 주지주의적 접근, 실용주의적 접근, 자강주의적 접근, 독립 교과적 접근 등으로 요약될 수 있으며, 지나친 주지주의와 독립 교과적 접근으로 인하여 지식교육과 인성교육이 분리되고 인식과 실천의 괴리를 가져온 것이 인성교육의 본질적 문제라고 보았다.근대화 과정에서 나타난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고 바람직한 인성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다음의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첫째, 인성교육의 목표를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단순화ㆍ명료화 할 것, 둘째, 실용주의적 공리적 접근을 통하여 현실적 설득력을 갖도록 할 것, 셋째, 인성교육과 지식교육을 통합하여 인식과 실천이 조화되고 통일되도록 할 것, 넷째, 독립교과적 접근을 지양하고 통합교과적 초교과적으로 접근할 것, 끝으로 도산이 제시한 동맹수련 프로그램과 같은 구체적 실천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천하도록 한다.

      • KCI등재

        근대적 교육관의 형성과 “경쟁” 담론

        채성주 안암교육학회 2007 한국교육학연구 Vol.13 No.2

        It is the competition in education that force educational fever in current Korea. But the 'competition' had not dominated the traditional education in Korea. Since the age of formation of Korean modern education, Social Dawinism had flowed from foreign cultures, so traditional Confucian education had been rejected radically. Therefore, the competition in education became more emphasized. In studying the discourse of competition in education, we must examine who the subject of competition is. Since the early flowering time, the competition between individuals who had wills and desires was stressed in education. The competition was located in social context pursuing the mimicry of the Mordern Western and Japanese civilization. As people recognized the crisis of colonization, the content of educational competition focused on learning of Western and Japanese civilization, and that regulated the attitude of participation in education. However, as the trial for the establishment of a modern state had failed through the consequence of colonization, the abstract idea of nation occurred and the collective body came to regulate the competition between individual subjects. In groping for self identity, colonial intellectuals had looked upon himself as intermediates and representatives between individuals and the collective subject. The change of the discourse of competition in the formation of Korean modern education reflect the new socio-historical exploration of the discourse of competition that is emphasized in current Korean education. 교육에서의 경쟁은 현재 한국 교육열의 주요 동력 중 하나이다. 그러나 경쟁 담론이 전통적 교육을 지배해 온 것은 아니었다. 한국 근대교육이 형성되었던 개화기 이후, 외부에서 유입된 사회진화론을 근간으로 전통적인 유학 교육에 대한 전면적인 거부가 등장하고, 교육에 있어서의 경쟁이 무엇보다 중요한 가치로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교육에 있어서의 경쟁 담론을 고찰하는 데 있어서 고려해야할 문제 중 하나는 과연 경쟁의 주체가 누구인가 하는 점이다. 개화기 초기 이후, 욕망과 의지를 소유한 개인 주체들 사이의 경쟁이 교육에서 강조되었고, 그 역사사회적 맥락은 서구 및 일본의 근대적 문명의 모방이었다. 식민지화의 위기가 인식되면서 교육에서의 경쟁의 내용은 서구 및 일본의 근대적 문명을 습득하는 것이었을 뿐 아니라, 교육에 참여하는 태도까지 규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식민지화로 인해 근대적 국가의 설립이 좌절된 후, 개인 주체 사이의 경쟁을 규제하는 집단으로 추상적인 민족 개념이 등장하게 된다. 여기에서 식민지 지식인은 자기정체성 규정 과정에서 개인과 집단 주체 사이를 매개하고 대표하는 위치를 자임하게 된다. 이러한 근대교육 형성기의 경쟁 담론 변화는 오늘날 교육에서 강조되는 경쟁 담론에 대한 새로운 사회역사적 고찰을 반영하고 있다.

      • KCI등재

        교육과정 지역화 및 자율화의 개념 및 전제 조건 탐색

        이승미 안암교육학회 2023 한국교육학연구 Vol.29 No.1

        교육과정 지역화 및 자율화는 중앙집권적 교육과정의 체제에서 벗어나기 시작한 제6차 교육과정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학습자의 자율성과 주도성의 발현 지원을 위해 지역과 학교 수준에서 발휘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권한으로 자리매김하여 왔다. 그러나 교육과정 지역화 및 자율화의 개념이 행위 주체와 연결지어 해석, 실천되는 과정에서 그 본래 지향점이 왜곡, 변형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의 교육과정 정책과 관련 연구에의 활용 및 현장 지원 방향 탐색을 위하여 교육과정 지역화 및 자율화의 개념과 전제 조건을 명료화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이론적, 실제적 측면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교육과정 지역화 및 자율화의 개념 및 전제 조건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교육과정 지역화 및 자율화의 개념 및 전제 조건의 실현을 뒷받침하기 위해, 첫째, 학교 수준 교육과정의 역할 및 범위가 확장되어야 하며, 둘째, 지역 및 학교별 교육적 요구와 실태를 반영한 교육과정 지역화 및 자율화의 전제 조건의 구체화 및 지원을 위한 후속 연구가 실시되어야 한다는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학교 다문화교육 실제 분석: 국제결혼가정을 중심으로

        이정민 안암교육학회 2011 한국교육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국제결혼가정이 증가하고 있는 지역의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다문화 교육이 어떠한 양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사례들을 통합하여 비교 분석하는 질적 다중사례연구를 활용하여 학교 다문화교육의 실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농촌의 두 초등학교와 서울의 한 초등학교의 교사 7명과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수집되었다.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이 학교별 다문화교육의 목적을 소수자에게 균등한 교육의 기회를 보장해 주고 그들이 한국문화와 생활에 적응하도록 돕는 것에 두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점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농촌과 서울이라는 지역적 특성에 따라서, 국제결혼가정 자녀에 대한 교사 인식에 따라서, 국제결혼 유형에 따라서 상이한 다문화교육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areas with recently increasing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he school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through conducting a qualitative multiple case study in an attempt to compare and contrast several diverse cases jointly. I collected the research data with using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teacher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rural areas and on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I discovered that most teachers similarly viewed the ai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ensuring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for minority groups and as helping the minority groups' cultural adaptation to Korean life. I also found the school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ere implem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egional context, the teachers' perceptions of students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and the type of international marriage.

      • KCI등재

        신문기사에 나타난 자녀교육 인식 변천 : 1920년대~1990년대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한용진,최정희 안암교육학회 2011 한국교육학연구 Vol.17 No.3

        이 논문은 자녀교육에 관한 신문기사의 시기별 강조되는 내용을 통해 20세기 한국사회에서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여 왔는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근대화과정을 거치면서 우리나라는 모든 영역이 급격하게 변화되었는데, 신문에서 보도된 자녀교육에 관한 기사의 논조 역시 사회적 분위기와 국가의 교육정책에 따라 변화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정리된 결론은 다음 4가지이다. 첫째 자녀교육에 대한 부모의 역할은 더욱 가중되며, 세대간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의 간극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전통시대의 엄부자모(嚴父慈母)의 모 습은 사라지고, 자녀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책임이 강조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자녀교육에 함 께 참여하는 아버지 역할의 복권을 촉구하고 있다. 셋째, 지식정보화 사회 속에서 다양한 정 보의 홍수는 오히려 ‘자녀교육 극성’의 한 원인으로 작용하기에, 올바른 자녀교육관 확립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넷째, 자녀교육의 문제는 개인적이고 사적인 영역에서 점차 공적이고 국가적인 영역으로 확대되어 왔으며, 이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 살고 있는 교포 자녀들에 대한 교육적 지원이 확대되는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perception and attitude in children's education have changed over the 20th century in South Korea by searching the newspaper articles. The modernization in 20th century brought radical changes in every aspect of Korean society including education. As an educational attitude and policies from the government changed, so did the tones reflected in the newspaper articles. To sum up, there were four (4) principal changes found from this study as follows; Firstly, parental involvement and role as an educator became more important in Korean society and huge generation gap arose in attitudes towards children's education and custody. Secondly, the traditional gender-based roles of mothers' with image of love and fathers' with strength disappeared and mothers' responsibility of children's education were more emphasized during 20th century. Meanwhile, today's society is calling for an immediate return of fathers' involvement and commitment to children's education in the household. Thirdly, as the overflow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20th society caused an excessive interest in children's education, there were rising demands for establishing proper views and ideas on children's education. Lastly, the responsibilities of children's education which had been laid on household was expanded to public and government, which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an education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was extended to the children of overseas Korean as well as those residing in Korea.

      • KCI등재

        재미한인 민족교육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김경근 안암교육학회 2007 한국교육학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재미한인 사회에 적합한 민족교육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05년 2월부터 2006년 8월 사이에 미국 내 3개 도시에 거주하는 한글학교 교장, 학부모, 학생들과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재외한인 민족교육 전문가들과 간담회도 가졌다. 재미한인 민족교육이 봉착하고 있는 핵심적인 문제점으로는 민족교육에 대한 동기부여 또는 자발성 결여, 열악한 교육여건, 적절한 교육자료 및 유능한 교사의 부족 등으로 판명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민족교육을 진흥시키기 위해서는 한국 방문 프로그램의 활성화, 다양한 민족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자료의 개발, 한국 내 취업기회의 확대를 통한 민족교육에 대한 동기부여 강화, 민족교육기관간 네트워크 강화, 그리고 민족교육 지원 행정의 체계화 등이 요망되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a development plan of ethnic education suitable for Koreans living in the United States. To map out the development plan,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administrators of Korean language schools, parents, and students of three U.S. cities, and held a meeting with specialists about overseas Koreans from March to August, 2006. The problems of ethnic education raised by the Korean American community are lack of both motivation and spontaneity of ethnic education, poor educational conditions, and shortage of competent teachers and available teaching materials. Thus, in order to resolve such difficulties with ethnic education, the ethnic education model for Koreans living in the United States should be centered around cooperation between the Korean Americans and the Korean government about motivation of Korean Americans, vitalization of Korea visit program, development of ethnic education programs and various teaching materials, enlargement of employment opportunity in Korea, networking between ethnic education institutes, and systemization of ethnic education works.

      • KCI등재

        SWOT분석에 기초한 새만금 경제자유지역의 동북아 교육중심도시 추진 전략

        신현석,안선회,주휘정 안암교육학회 2010 한국교육학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SWOT분석에 기초하여 새만금을 동북아의 교육중심도시로 육성할 수 있는 가능 성과 추진전략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우선 교육중심도시의 개념과 동북아 교육중심도시로서의 실현가능성, 새만금개발계획 및 현황을 검토하고, 이를 기 초로 SWOT분석을 실시하여 ‘새만금 동북아 교육중심도시’ 조성을 위한 주요 추진전략을 도 출하였다. SWOT분석은 문헌연구와 지역교육전문가, 전북발전연구원의 연구진, 전라북도 새 만금사업 담당자들과의 면담․토론 내용에 근거하여 연구진이 종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SWOT분석의 결과 새만금 동북아 교육중심도시 추진전략으로, 첫째, 새만금 지역 특화산업 과 유기적으로 연계된 고등교육 특성화전략, 둘째 새만금 지역특화산업과 유기적으로 연계된 국내외 우수 대학․연구기관의 적극적 유치와 산학연협력, 연구․개발의 국제화 추진, 셋째, 첨단 IT기술을 접목시킨 u-학습 지원, 넷째 외국인 정주여건, 외부학생의 학습여건 조성, 다 섯째, 교육발전을 위한 지자체 역량강화와 새만금 개발 유관기관 연계협력체제 구축, 여섯째, 교육수요자․학습자 요구․지지 중심 교육정책 추진이라는 여섯 가지 추진전략이 도출되었 다. 본 연구는 이러한 추진전략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새만금 개발 주체와 정부를 위 한 정책적 과제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진학금(陳鶴琴)의 유아교육사상 : 활교육(活敎育)사상을 중심으로

        이경자 안암교육학회 2005 한국교육학연구 Vol.11 No.2

        진학금(陳鶴琴, 1892-1982)은 중국의 저명한 교육자이자 유아교육 전문가로 중국의 교육 문제를 지적하고 중국상황에 맞는 유아교육을 실행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는 이를 위해 1940년대 초, 활교육 이론을 처음으로 제시하고 스스로 유치원을 세워 그의 이론을 실험하였다. 그의 이러한 노력으로 진학금의 활교육사상은 중국의 현대유아교육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유아교육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이론과 실제가 관련되도록 했으며, 전통교육의 폐단을 개혁하고, 당시 중국의 유아교육이 서구화되어가는 경향에서 벗어나게 했다. 진학금의 활교육사상은 그의 유아교육사상의 핵심이다. 본 연구는 활교육론의 기본체계인 활교육의 목적론, 과정론, 방법론을 통해 활교육사상의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진학금의 활교육사상에 대한 고찰은 아직도 지식위주의 주입식 교육이 팽배해 있는 우리의 교육현실을 재고해 보는 계기가 되리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