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과의사의 장애인 보철 진료 실태와 인식

        심수현,김석규,최봄,Shim, Su-Hyun,Kim, Seok-Gyu,Choi, Bohm 대한치과보철학회 2009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7 No.3

        연구목적: 우리 사회가 선진화 됨에 따라 장애인과 장애인의 사회복지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장애인의 의료환경에 대한 연구도 차츰 늘어가고 있다. 하지만 그 동안 증가하는 장애인 치과 진료의 수요 및 관심에 비해 장애인 보철 진료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는 치과의사가 바라본 현행 대한민국의 장애인 보철 진료 실태와 인식에 관해 조사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전국의 장애인 진료를 하는 치과 병의원 및 복지기관, 보건소의 치과의사 87명을 대상으로 총 11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발송하여 68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회수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및 결론: 1. 조사 대상 치과의사 중 45.6%가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장애인에게도 심미보철 진료가 필요하다는 데에 긍정적으로 답변하여 시대의 흐름에 따라 과거 기능회복 위주였던 장애인 치과치료에서 점차 심미적인 고려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2. 보철 진료의 이상적인 진료비 지불방식에 대한 조사결과 정부로부터의 재정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79.4%를 차지하였고, 그 중 66.7%의 응답자가 그 규모를 일반보철 수가의 최소 50%이상을 정부가 지원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응답했다. 현재 우리나라 장애인 보철 진료 실태에 관해 97.1%의 응답자들이 열악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으로는 장애인의 협조도 부족 문제를 제외하면 재정적인 부분이 가장 컸다. 따라서 향후 정부의 장애인 보철 진료에 대한 현실적인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대한치과보철학회지에서 볼 수 있는 통계적 오류의 고찰 : 2006-2010

        강동완,서윤암,오남식,임회정 대한치과보철학회 201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0 No.4

        Purpose: Use of inappropriate statistical methods may lead to incorrect conclusions and a waste of valuable resource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frequency and the types of several common statistical errors in the published articles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JKAP) for a 5-year period. Materials and methods: Of 336 articles in the JKAP published from 2006 to 2010, 255 articles using statistics were reviewed and classified by statistical method and year. The frequency and types of the statistical methods were examined, and the statistical errors were evaluated by the appropriateness of the experimental design, assumption check, independent outcomes, proper sample size and suitable use of statistical method. Statistical guidelines were completed based on the appropriateness. Results: Of the 255 articles using statistics, 193 articles (75.9%) used inferential statistics and 153 articles used SPSS statistical software (60.0%). Of the articles using inferential statistics, the three most frequently used statistical methods were ANOVA (41.5%), t-test (20.0%), and the nonparametric method (16.9%). The average rate of statistical errors was 61.2 percent, similar to the rate reported by several studies completed for the medical journal. Conclusion: After the whole analysis of the difference among the groups, post-hoc tests for the pairwise comparisons are required. The optimal sample size calculation is an essential part of this study protocol.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statistical errors, statistical guideline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each statistical test procedure and will contribute to the academic improvement in the JKAP. 연구 목적:대한치과보철학회지의 최근 5년간 게재된 논문 중에서 통계 방법이 사용된 논문의 빈도를 조사하고 통계 방법의 종류 및 오류의 유형과 빈도를 살펴 보고 오류별 적절한 통계 방법을 제시하고 통계분석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대한치과보철학회지의 학술적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2006년부터 2010년까지 게재된 논문 336편 중 통계방법이 사용된 255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연도별로 통계 방법 사용 여부, 주로 사용된 통계방법과 소프트웨어의 유형과 빈도를 조사하였다. 통계방법 별로 고안된 가이드라인에 따라 오류를 조사하였는데 주로 실험설계의 적절성, 분석법에 대한 가정검토, 표본의 독립성 및 변수의 적합성, 적절한 표본 수와 적절한 통계방법이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평가를 하였고 이를 토대로 고안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결과:본 연구에서 조사된 논문 중 추론통계를 사용한 논문이 193편(75.9%)으로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사용된 소프트웨어는 SPSS가 153편(59.77%)으로 가장 많았다. 추론통계를 사용한 논문들을 대상으로 통계방법을 분류한 결과 ANOVA (41.5%), t-test (20.0%), 비모수 방법(16.9%)순으로 많았고 최근에 가까울수록 다양한 분석법을 시도하였으나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대부분의 논문들은 표본수의 산출근거를 제시하지 않았고, 분석법에 대한 가정(독립성, 정규성, 등분산성 등) 검토를 하지 않은 공통적인 오류를 범했다. 전체적으로는 61.2%의 통계적 오류를 범하였다. 결론: 대부분의 오류는 전체적인 분석 후 세부적인 분석으로 들어가야 하는데 두 요인에 대한 상호작용을 무시하고 단변수 분석을 여러 번 한 경우와 연구 계획 단계에서 적절한 표본 수를 산출하지 않아 나타난 경우 등이었다. 이러한 통계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분석 방법 별 검정 절차에 대한 통계분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보철물 수복 형태에 따른 T-Scan Novus와 Dental prescale II를 이용한 교합력 평가 활용 증례

        최수현,최유성,이종혁,하승룡 대한치과보철학회 202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1 No.2

        보철 치료 시 교합관계의 진단과 분석은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치료 시행 전 면밀한 교합분석 및 평가가 선행되어 안정적인 악간 관계를 회복시켜 주어야 하며, 치료 과정 및 정기 검진 시에도 이에 대한 평가는 필수적이다. 최근, 치과용 기기와 디지털 처리 방식의 발달로 환자의 교합관계를 기록할 수 있는 새로운 정량적 분석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그 중 T-Scan Novus (Tekscan Inc., S. Boston, MA, USA)는 압력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상하악 치아의 초기접촉점과 교합접촉점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내며 치아의 교합접촉 시간, 교합력의 전후방, 좌우균형을 비교할 수 있다. Dental prescale II (GC Co., Tokyo, Japan)는 압력감지필름을 이용하여 교합접촉점을 스캔하여 접촉점의 밀도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최대한 자연스러운 교합상태 치열의 교합력 분포와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환자의 치아 상실 부위와 범위에 따라 4-unit 고정성 국소의치, 가철성 국소의치, 총의치, 완전구강회복술을 시행하였다. 적절한 교합 분석을 위해, 초진, 각 치료 단계, 치료 직후 및 정기검진 시의 환자의 교합을 T-Scan Novus와 Dental prescale II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보철수복 치료과정에서 교합 분석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할 수 있었고, 기능 및 심미적으로 환자와 술자 모두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23;61:160-78) Diagnosis and analysis of occlusal relationships are important factors in prosthetic treatment. A thorough occlusion analysis and evaluation should be performed before treatment to restore a stable interocclusal relationship. Analysis and evaluation are essential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and at regular follow-ups.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dental equipment and digital processing methods, new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that can record the patient’s occlusal relationship have been introduced. Among them, the T-Scan Novus (Tekscan Inc., S. Boston, MA, USA) displays the strength of the initial contact point and the occlusal contact point of the teeth using a pressure sensor. With this, occlusal contact time of the teeth, anteroposterior and left-right balance of occlusal force can be compared. The Dental prescale II (GC Co., Tokyo, Japan) scans the occlusal contact point using a pressure-sensing film and analyzes the density of the contact point. It can measure the distribution and strength of the occlusal force of the teeth in the most natural occlusion state. Based on this, appropriate prosthetic treatment (four-unit fixed partial denture, removable partial denture, complete denture, and complete oral restoration case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rea and extent of the patient’s tooth loss. The patient’s occlusion at the first visit, treatment stage, right after treatment, and regular follow-up were compared and evaluated using a quantitative method for appropriate occlusion analysis using T-Scan Novus and Dental prescale II. This report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occlusion analysis during prosthetic restoration. The results satisfied both the clinician and patients in terms of function and aesthetics.

      • KCI등재

        Computer-guided implant surgery를 활용한 상악 무치악 환자의 전악 임플란트고정성 보철물 수복 증례

        이민태,김성용,임선영,이용상,이근우,김성아 대한치과보철학회 202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1 No.1

        완전 무치악에서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수복물로 구강회복 치료를 진행할 경우, 해당 악궁의 해부학적 상황과 대합치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최종 보철물의 형태와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과 이에 따라 다수의 임플란트를 계획된 방향과 각도로 식립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본 증례는 기존 의치의 불편감으로 내원한 상악 무치악 환자를 computer-guided surgery를 통해 상부 보철물에 기반하여 이상적으로 계획된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이를 통해 상악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하여 구강 회복을 진행한 치료로 환자와 술자 모두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23;61:63-72)

      • KCI등재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을 가진 환자에서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을 이용한 구강회복 증례

        강민정,선민지,문홍석,김종은 대한치과보철학회 202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1 No.2

        When the patient with class III malocclusion needs extensive oral rehabilitation due to multiple missing teeth, accurate diagnosis, and careful analysis, such as the patient’s occlusal relationship, facial changes, and evalua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re essential. Orthognathic surgery is often performed for aesthetic improvement, depending on the patient’s chief complaint. If it is not possible due to certain circumstances, partial aesthetic improvement can be achieved through minimal elevation of the vertical dimension. As this patient may have unexpected issues, such as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oral habits like bruxism, and masticatory muscle tension, it was determined whether the patient could adjust to a reversible temporary removable partial denture. After this, the maxillary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es and the mandibular fixed prostheses were used to achieve stable posterior support and to partially improve the maxillary anterior esthetics. The patient was satisfied with the results both aesthetically and functionally. The prognosis is expected to be good if regular check-ups are conducted. 골격성 3급 부정교합은 중심위 간섭이 없다면 매우 안정적인 교합 양식이다. 또한 특징적으로 전방 유도가 없고 전치부 반대교합이 동반될 경우 적절한 교합접촉이 없을 수도 있다. 이러한 환자에서 다양한 원인으로 다수 치아를 상실하여 광범위한 구강 회복을 필요로 하는 경우, 환자의 교합관계, 안모의 변화, 측두하악관절의 평가 등 정확한 진단과 면밀한 분석이 필수적이다. 환자의 주소에 따라 심미적 개선을 위해서는 악교정 수술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나 사정 상 불가능한 경우, 최소한의 수직고경 거상을 통해 부분적으로 심미적 개선이 달성될 수 있다. 측두하악관절 장애, 비기능적 악습관 발생, 저작근의 긴장 등 예기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에 본 환자에서는 가역적인 임시 가철성 의치를 통해 적응 가능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이후 고정성 임시 보철물을 통해 악관절 및 저작근의 적응 여부를 면밀히 관찰하였다. 이후 단계적 치료과정을 통해 상악 전악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과 하악 고정성 보철물을 통해 안정적인 구치부 지지를 얻고 상악 전치부 심미의 부분적 개선을 이루었기에 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23;61:125-34)

      • KCI등재

        내부연결 임플란트의 보철 수복 후 성공률에 미치는 위험요소에 관한 10년간의 후향적 연구

        이서인,김민정 대한치과보철학회 202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1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 보철물의 종류 및 특성과 생존율 분석을 통해 성공률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데에 있다. 대상 및 방법: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산본치과병원에서 2011~2020년에 식립한 임플란트 중 한 명의 보철전문의에 의해 수복된 사례에 대하여 그 특성과 실패에 대한 상관관계 등을 조사하였다. 실패의 원인은 골유착 실패, 임플란트주위염, 고정체 파절, 지대주 파절, 나사 파절, 나사 풀림, 보철물 파절, 보철물 유지력 상실 등으로 분류했다. 보철방식, 캔틸레버 여부, 식립 위치 등과 임플란트 실패와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결과 분석은 SPSS ver 25.0 (IBM,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Chi-square test, Kaplan-Meier 생존분석 등을 통하여 도출했다. 결과: 총 2587개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었으며, 그 중 1141개의 임플란트가 단일관(Single Crown)으로, 1446개의 임플란트가 고정성 국소의치(Fixed Partial Denture)로 수복되었고 누적생존율은 88.1%이었다. SC의 성공률은 86.2% (984개), FPD의 성공률은 89.6% (1295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그 중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요인은 지대주 파절, 나사 파절, 나사 풀림 등이었다 (P < .05). 결론: 10년간의 추적조사 결과 생물학적인 요인보다는 생역학적인 요인으로 인한 실패가 더 많이 발생했고 임플란트의 성공률은 보철방식 별로 상이했으며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상이했다. 추후 임플란트의 성공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23;61:113-2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increase the success rate by analyzing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implant prosthesis and the survival rate. Materials and methods. Among implants placed between 2011 and 2020 at Sanbon Dental Hospital,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a case restored by a prosthetic surgeon was investigated for the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 of failure. The causes of failure were classified as failure of osseointegration, peri-implantitis, fixture fracture, abutment fracture, screw fracture, screw loosening, prosthesis fracture, and loss of prosthesis retention. Prosthetic method, cantilever presence, placement location, etc. were analyzed for their correlation with implant failure. Results analysis was derived through Chi-square test and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using SPSS ver 25.0 (IBM, Chicago, IL, USA). Results. A total of 2587 implants were placed, of which 1141 implants were restored with Single Crown and 1446 implants with Fixed Partial Denture, and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was 88.1%. The success rate of SC was 86.2% (984) and the success rate of FPD was 89.6% (1295),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which factors that ha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butment fracture, screw fracture, and screw loosening (P < .05).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10-year follow-up, more failures occurred due to biomechanical factors than biological factors. Further studies on the success of implants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 KCI등재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의 직경과 길이, 식립 위치에 따른 생존율 및 합병증의 발생률에 대한 후향적 연구

        홍수영,이선기,이진한,이재인 대한치과보철학회 202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1 No.2

        Purpose.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urvival and complication rates of posterior single implant according to the implant diameters, lengths and position.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ho had been restored single implant prosthesis in the posterior area by the three prosthodontists in the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Daejeon dental hospital of Wonkwang university, in the period from February 2014 to May 2018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 total of 505 patients with 697 implants were observed. The survival and complications of implants were investigated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radiographs. Fixture diameters, lengths, position, patient’s sex and age were assessed as possible factor affecting the survival and complications of implants. Results. 3-year cumulative survival rates of posterior single implants were 98.5% and 5-year cumulative survival rates were 94.4%. 5-year cumulative survival rates were higher in implants with diameter > 4.0 mm (97.0%) than implants with diameter ≤ 4.0 mm (89.5%), and in females (98.8%) than males (92.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5). The mechanical complication rate was 20.1% and the biological complication rate was 4.7%. Complications occured in order of abutment screw loosening (7.5%), decementation (6.3%), proximal contact loss (3.7%) and so on. Abutment screw loosening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lower molar region (10.5%), in males (9.5%) than females (5.1%), and in patients aged < 65 years (9.4%) than patients aged ≥ 65 years (5.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5). Conclusion. The 5-year cumulative survival rates were higher in implants with diameter > 4.0 mm than implants with diameter ≤ 4.0 mm and in females than males. Abutment screw loosening which was the most commonly occurring complication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lower molar region, in males than females, and in patients aged < 65 years than patients aged ≥ 65 year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목적: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에서 임플란트의 직경과 길이, 식립 위치에 따른 생존율 및 각각의 합병증의 발생률을 후향적으로 조사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14년 2월부터 2018년 5월까지 원광대학교 대전치과병원 보철과에서 3명의 보철전문의에게 구치부 단일 치관으로 임플란트 보철 수복을 완료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 505명의 환자에서 697개의 임플란트를 추적 관찰하였다. 대상 환자의 전자 진료기록부와 방사선 사진을 통해 임플란트의 생존 여부 및 합병증을 기록하였으며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고정체의 직경과 길이, 식립 위치 그리고 환자의 성별, 연령이 평가되었다. 결과: 생존율은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의 3년 누적 생존율은 98.5%, 5년 누적 생존율은 94.4% 이었다. 5년 누적 생존율은 직경 4.0 mm 이하(89.5%)일 때보다 4.0 mm 초과(97.0%)일 때 더 높았고, 남성(92.4%)보다 여성(98.8%)에서 더 높았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5).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의 기계적 합병증은 20.1%, 생물학적 합병증은 4.7% 발생하였다. 합병증은 지대주 나사 풀림(7.5%), 보철물 탈락(6.3%), 인접면 접촉 상실(3.7%)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다. 지대주 나사 풀림은 하악 대구치 부위(10.5%)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여성(5.1%)보다 남성(9.5%)에서, 65세 이상(5.1%)보다 65세 미만의 환자(9.4%)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5). 결론: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의 5년 누적 생존율은 고정체의 직경이 4.0 mm 이하일 때보다 4.0 mm 초과일 때,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높았다. 가장 많이 발생한 합병증인 지대주 나사 풀림은 하악 대구치 부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여성보다 남성에서, 65세 이상보다 65세 미만의 환자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23;61:101-12)

      • KCI등재

        부분 혀 절제술을 받은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구개증대보철물을 이용한 수복 증례

        이현경,김나홍,장희원,임선영,이근우,김성용 대한치과보철학회 202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1 No.1

        혀는 대표적인 구강암 호발 부위 중 하나로, 현재 설암 치료의 표준은 외과적 절제술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설암으로 인해 혀 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경우 혀의 가동성이 저하되어 연하와 발음 같은 정상적인 구강기능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환자들의 보철 수복 시에는 손상된 혀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한 추가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구개증대보철물은 구개 연마면의 위치를 낮추어 혀-구개 접촉을 도움으로써 혀의 움직임이 제한된 환자의 구강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설암으로 인한 혀의 좌측 부분 절제술 및 피판 재건술 이후 혀의 가동성이 감소된 상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를 대상으로 구개증대보철물로써의 상악 총의치와 전통적인 하악 총의치를 제작하였으며, 최종 보철물을 통해 저작과 연하 및 발음 기능이 개선되어 환자와 술자 모두 만족하는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23;61:82-9)

      • KCI등재

        임시 보철물을 이용한 연조직 형태의 정확한 전달과 최종 보철물로의 전환

        김동현,홍성진,노관태,배아란,김형섭,권긍록,백장현 대한치과보철학회 202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2 No.4

        높은 심미성이 요구되는 상악 전치부의 고정성 보철 치료에서 성공적인 치료 결과를 위해서는 보철물은 물론이고 대칭적이고 자연스러운 치은을 형성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심미적인 치은을 얻기 위해서는 임시 보철물의 치은연하 윤곽(subgingival contour)을 조절하거나, 가공치(pontic) 하방의 기저면 형태를 조절하는 등의 과정이 필요한데, 임시 보철물을 최종 보철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임시 보철물을 제거하고, 치은 압배 후 인상 채득을 하게 되면 임시 보철물이 장착된 상태의 치은 형태를 모형상에 그대로 재현하지 못한다. 이러한 경우, 모형상에서 임의로 치은을 삭제하여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게 되어 심미적인 치료 결과의 예지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본 증례보고에서는 임시 보철물에서 형성한 치은연하 윤곽과 가공치 하방 기저면 형태를 최종 모형 및 최종 보철물로 이행하는 방법에 대해 두 가지 증례를 통해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치과병원 내원환자의 만족도 조사분석

        김민영,이근우,문홍석,정문규,Kim, Min-Young,Lee, Keun-Woo,Moon, Hong-Suk,Chung, Moon-Kyu 대한치과보철학회 200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6 No.1

        오늘날의 시장 경제는 소비자 중심으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다. 이는 점점 가속화 되어가는 소비자의 생활수준과 교육수준의 향상, 다양한 대중매체를 통한 구매자의 상품에 대한 접근의 용이성에 기인한다. 다양한 선택의 대안 속에서 자신의 가치를 만족시킬 수 있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소비자 중심의 시장 경제체제는 소비자의 소득수준의 증가와 전 국민 의료보험의 실시로 인한 의료 수요확대를 통해 의료분야에서도 그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의료계는 의료기관의 수 및 의료 인력의 증가로 인해 경쟁이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고, 이러한 경쟁 강화를 통해 소비자의 시장 선택의 폭은 넓어지게 되었다. 이런 시점에 소비자의 입장에서 본 의료서비스에 있어서의 고객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비스의 문제점, 개선점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필요 불가결하다고 하겠다. 이 연구는 2006년 1월 23일부터 4월 15일 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연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 784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응답자의 사회인구학적인 특성은 성별이나 결혼여부는 적절하게 표본이 추출 된 것으로 보이나 직업에서는 학생 및 대학(원)생, 내원이 유와 현재 받고 있는 치료에 있어서는 교정치료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2. 치과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전체의 74%가 높은 만족을 나타내었다. 3. 독립변수들 중 구체적 서비스 항목에 대해서는 '서비스시스템', '친절도', '설명', '대기시간설명', '예약시스템', '응급상황에의 대처', '치과진료경험의 풍부', '치과적 지식의 유무', '병원의 규모', '소독', '내부시설', '주차' 에 대한 만족도는 높게, '치료비', '치료 준비시간', '대기시간', '치료시간', '예약기간' 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4. 독립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들 사이에는 높은 선형관계가 없었다. 5. 독립변수들과 종속변수 사이의 상호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한 프로빗 회귀분석 결과 총 34개의 독립변수 중에서 불편감 해소, 서비스 시스템, 친절도, 설명, 한 번 내원 시 치료시간, 예약시스템, 지식의 유무, 내부시설에 대한 만족도의 8개 독립변수가 유의수준 1%하에서 서로 높은 상호관련성을 보였다. 고객의 만족은 전적으로 고객의 주관적인 평가에 의존한다. 환자들의 욕구가 다양화되고 고급화되면서 의료서비스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의료서비스의 고객인 환자를 만족시키는 필수 요건이 된다. 많은 의료기관이 환자를 중심으로 하여 고객만족을 위한 병원, 고객감동을 위한 병원이 되기 위하여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이는 치과의료 분야에 있어서도 적용되고 있는 현실이다. 내원환자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한 새로운 병원 경영 전략의 수립과 그로 인한 의료 서비스의 질 향상으로 고객이 만족하는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력이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