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소아 청소년기에 발생한 2형 당뇨병의 임상적 경과

        윤경아,이영아,양세원,신충호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09 Annals of Pediatirc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14 No.1

        Purpose:Worldwide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mellitus in youth is increased for last 3 decades. We review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and their long term complications. Methods:We reviewed the medical data of 69 patients who were diagnosed type 2 diabetes mellitu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before the age of 18 years between January 1991 and December 2007. Results:Forty seven patients (68.1%) developed after 2000. The mean age of onset was 13.1±2.0 years. Forty seven (69.1%) patients had family history of diabetes mellitus and forty six (66.6%) patients had overweight or obesity. Thirteen (22.4%) patients were small for gestational age but their body mass index wasn't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appropriate for gestational age at the onset of disease. There were 7 patients who had microvascular complication and the mean disease duration was 9.1±3.3 years. Hemoglobin A1c was not increased in the complication group compared to the complication-free group. Conclusion:The number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onset type 2 diabetes mellitus was increased. The proportion of small for gestation age was high and the long term complication developed in adolescence or early adult life. Early intervention of the risk factors and regular evaluation of the complications are needed and systematized follow-up of small for gestational age is also necessary. 목적:소아청소년기 2형 당뇨병의 유병율은 1980년대 이후 증가하고 있다. 저자들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치료받은 2형 당뇨병 환자들의 진단 당시의 임상적 양상과 만성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방법:18세가 되기 전에 2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69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과:진단 당시의 평균연령은 13.1±2.0세였고, 69.1%가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었고 66.6%가 진단 당시 과체중이거나 비만이었다. 22.4% (13/58)가 부당경량아였고 이들의 체질량지수는 정상체중으로 태어난 환자군과 차이가 없었다. 7명에서 미세혈관 합병증이 발생하였고 진단부터 합병증 발생까지의 기간은 9.1±3.3년이었으며 당화혈색소 값은 합병증이 없는 군과 차이가 없었다. 결론:본원의 소아청소년 2형 당뇨병 환자의 수는 증가하고 있으며 부당경량아의 분율이 높고 청소년기나 성인기 초기에 미세혈관 합병증이 발생한 환자들이 있었다. 2형 당뇨병 환자들에서 적극적인 위험인자의 제거와 정기적인 합병증검사가 필요하며 부당경량아에 대한 체계적인 관찰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Determination of Serum Di-(2-ethylhexyl) phthalate and Bisphenol A Level in Children with Idiopathic Central Precocious Puberty

        이선우,이우정,채현욱,이은별,김정현,김덕희,김호성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09 Annals of Pediatirc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14 No.2

        Purpose:Environmental endocrine disruptors may affect the endocrine system or sexual development in children. Several recent studies have focused on indoor and dietary pollutants such as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which is used as a plastic softener, and bisphenol A, which is used in food-packaging materials. Despite the accumulation of data and the substantial arguments implicatinf these pollutants in endocrinal disorders, no clear evidence has been established yet. Thus, we assessed the serum levels of DEHP and bisphenol A in patients diagnosed with idiopathic central precocious puberty (CPP) to estimate the possible environmental hazards associated with increasing number of cases of precocious puberty. Methods:The study included 30 patients (29 girls and 1 boy) with idiopathic CPP and 30 normal control children who visited the pediatric endocrinology clinic. CPP was diagnosed on the basis of clinical & hormonal tests, including the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stimulation test. The serum DEHP and bisphenol A level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Results:The mean chronological ages (CA) in the idiopathic CPP and control groups were similar (8.6±0.9 vs. 7.8±1.1 years). However, the overall growth stage in the CPP group was advanced. The CPP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height SDS (1.3±1.0 vs. -0.4±1.1, P˂0.005) and weight SDS (1.3±1.3 vs. -0.2±1.3, P˂0.005) than the control group. Bone age was significantly more advanced in the CPP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BA-CA:14.6±9.4 months vs. 0.8±15.3 months, P˂0.005). While the serum bisphenol A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11.2±10.3 vs.16.2±12.5 ng/mL), the DEHP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PP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159.01±92.78 vs. 103.55±92.98 ng/mL, P˂0.05). Conclusion:This study suggests that DEHP, one of most commonly used plasticizers, may be an etiologic factor for precocious puberty. 목 적:플라스틱 가소제로 흔히 사용되는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및 각종 식품 포장용기의 소재인 bisphenol A는 에스트로겐 유사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소아에서는 성조숙증 발병과의 연관성이 보고된 바 있으나 충분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특발성 진성 성조숙증 환아를 대상으로 내분비교란물질로 알려진 DEHP 및 bisphenol A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여 연관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외래 방문 환자 중 특발성 진성 성조숙증 환아 30명(여아 29명, 남아 1명)과 정상 대조군 30명(여아 29명, 남아 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체 검진 및 골연령을 측정하였으며, 혈중 성호르몬 농도 및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자극검사를 시행하여 성조숙증을 진단하였다. 혈장 DEHP 및 bisphenol A의 농도는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성조숙증군과 정상대조군의 평균 연령은 8.6±0.9세 대 7.8±1.1세였으며, 신장 표준편차점수는 1.3±1.0 대 -0.4 ±1.1(P˂0.005),체중 표준편차점수는 1.3±1.3 대 -0.2± 1.3(P˂0.005),체질량지수는 17.6±1.5 kg/m2 대 16.2±1.8 kg/m2 (P˂0.005),골연령은 9.5±1.1세 대 7.9±1.9세(P˂0.005)로 성조숙증군의 신체발육이 앞서 있었다. Bisphenol A 검출농도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성조숙증군 11.2±10.3 ng/mL 대 정상대조군 16.2±12.5 ng/mL) DEHP의 농도는 성조숙증군에서 의미있게 증가한 결과를 보였다(159.01±92.78 ng/mL 대 103.55±92.98 ng/mL, P˂0.05). 결 론:본 연구에서 특발성 진성 성조숙증 환자에서 증가된 혈중 DEHP의 농도는 성조숙증의 발생 원인 중의 하나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채취 과정에서 검체가 오염되는 경우를 배제할 수 없고, 질환 발병과 무관한 인체 노출 범위가 아직까지 확립되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다. 향후 내분비교란물질과 성조숙증 발생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연구와 내분비교란물질의 동물 및 인체 내 작용 및 기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소아청소년 연령에서 발생한 2형 당뇨병의 항췌도 자가항체 유무에 따른 임상적 특성

        지민철,채현욱,김호성,김덕희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10 Annals of Pediatirc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15 No.2

        Purpose: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disease process between autoantibody-positive and -negativ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DM). Methods:We investigated 162 patients diagnosed as DM between January 2000 and July 2009. 120 were classified as type 1 and 42 as type 2 DM. The clinical and laboratory data were obtained from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Results:The age at diagnosis, average BMI and serum C-peptide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ype 2 DM patients than in type 1 DM patients. Type 2 DM patients had a significantly higher family history of diabetes and less frequent ketonuri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utoantibody-positive and -negative type 2 DM patients in age at diagnosis, BMI, C-peptide levels, HbA1c levels or family history. During the follow-up period, C-peptide levels were lower in the autoantibody-positive group than in the autoantibody-negative group, while. HbA1c levels were higher in the autoantibody-positive group. However, thes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In autoantibody-positive type 2 DM patients, progressive loss of β-cell function leads to reduced insulin secretion and poor glycemic control as the disease progresses, and some may be reclassified as slowly progressive type 1 DM. Ccntinued and careful follow-up is therefore needed. 목 적:최근 들어 전세계적으로 소아청소년기에 2형 당뇨병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일부 환자에서 췌장 베타세포에 대한 자가항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자가면역기전의 존재 여부에 따라 임상적인 특성 및 질병 경과의 차이를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2000년 1월부터 2009년 7월까지 연세의료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하여 당뇨병을 진단받은 16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1형 당뇨병 환자가 120명, 2형 당뇨병 환자가 42명이었다. 진단시 연령, 체질량지수, 가족력, C-peptide 농도, HbA1c, 케톤뇨증 여부, 당뇨병의 가족력, 체중감소, 다음 및 다뇨의 여부, 항 GAD 항체 및 IAA 양성 여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자가항체 양성군과 음성군간에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 2형 당뇨병 환자는 진단시 연령, 평균 체질량지수, 진단시 C-peptide 평균 농도가 1형 당뇨병 환자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는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유의하게 많았으며 케톤뇨증 및 증상이 있는 경우는 1형 당뇨병 환자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 항 GAD 항체는 25.0%에서 양성이었고 인슐린 자가항체는 31.7%에서 양성이었다. 항 GAD 항체 양성군과 음성군간에 진단시 평균 연령, 평균 체질량지수, 진단시 C-peptide 평균 농도 및 HbA1c, 가족력에 있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IAA 양성군과 음성군간에도 진단시 평균 연령, 평균 체질량지수, 진단시 C-peptide 평균 농도 및 HbA1c, 가족력 여부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상체중군, 과체중군, 비만군 간에 자가항체 양성률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C-peptide는 진단 후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자가항체 양성군에서 음성군에 비해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HbA1c는 조사 시점에서 모두 항체 양성군에서 항체 음성군보다 높게 측정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2형 당뇨병 환자의 일부에서 췌장 베타세포에 대한 자가항체가 존재하며 이들 환자에서는 유병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베타세포의 기능 저하로 인해 인슐린 분비가 감소하면서 혈당조절이 어려워지고 일부에서 지진형 1형 당뇨병으로 재분류 될 가능성이 있어 지속적이고 주의 깊은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 KCI등재

        소아의 1형 및 2형 당뇨병 감별에 있어서 임상적 특징 및 자가 항체 검사의 유용성

        박지윤,오종석,유지숙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11 Annals of Pediatirc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16 No.2

        Purpose:Most childhood diabetes mellitus (DM) is usually thought of as type 1 DM (T1DM), but the incidence of type 2 DM (T2DM) in childhood is increasing. Sometimes, it might not be easy to determine which type of DM a patient has and to choose the best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autoantibody test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for the specific diagnosis of DM in childhood. Methods:In this study,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42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DM and followed at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Dankook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2 to October 2010. Results:The patients were grouped as T1DM, T2DM, or T1.5DM (unclassified) according to the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T1DM had an earlier onset age compared to T2DM. Diabetic ketoacidosis (DKA) was the presenting symptom in 57% of T1DM, but there was no DKA in T2DM. Initial serum insulin and C-peptide levels were lower in T1DM than T2DM. Thirty nine percent and 70% of the patients had a family history of DM, respectively. The average body mass index (BMI) in T2DM was higher than that in T1DM. At least one of autoantibodies was positive in 80% of T1DM. But no antoantibody was detected in T2DM. During follow up, higher levels of HbA1c and more frequent microalbuminuria were detected in the female adolescents. Conclusion:We can confirm that the autoantibody test is very valuable in diagnosing specific types of DM. And adolescent period was thought as a very vulnerable period to manage the diabetes requiring more intensive emotional support including family cooperation.(J Korean Soc Pediatr Endocrinol 2011;16:119-127) 목 적:과거에는 대부분의 소아 당뇨병은 1형이었으나, 최근 소아에서의 2형 당뇨병 또한 늘어나는 추세이며 임상 양상도 다양하여 발병 시기의 임상적 특성만으로는 1형 당뇨병과 구분하기가 어려워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기가 어려운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아의 당뇨병의 병형 구분에 있어서 임상적 특징과 자가 항체 검사의 유용성에 대해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2002년 1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단국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당뇨병으로 치료 중인 환아 4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 과:대상 환아를 임상적 특징 및 혈청학적 특징에 따라 제 1형 당뇨병, 제 2형 당뇨병, 제 1.5형 당뇨병으로 분류하였다. 1형 당뇨병은 발병 연령이 더 어렸고, 진단시 케톤산혈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57%로 많았다. 검사실 소견으로는 진단시 혈청 인슐린 수치와 C-peptide가 낮았고 2형은 1형에 비해 가족력이 더 많았으며(70% vs. 39%), 평균 체질량지수가 높고 비만에 해당하는 환아 수의 비가 의미 있게 높았다. 1형 당뇨병의 항체 양성률은 80%로 비교적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 또한 최근 1년 평균 당화 혈색소를 기준으로 당뇨 조절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군의 특성을 확인한 결과 사춘기 여아가 대부분이었으며 미세아부민뇨의 비율이 더 높았다. 결 론:소아 청소년의 당뇨병형 및 치료 방향 결정에 있어서 자가 항체 검사는 진단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아 당뇨관리의 취약군은 추적 관찰 기간이 사춘기 여아들로, 이들은 미세알부민뇨 등 만성 합병증의 위험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 시기의 환아들에 대한 철저한 혈당 조절을 위해 가족의 협조 등 정서적 지지 또한 필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후보

        진성 성조숙증 환자의 생식샘 자극 호르몬 유사체 치료 중에신체 계측치의 변화

        김태연,안정,김혜순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09 Annals of Pediatirc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14 No.2

        Purpose:The aim of our study was to assess the changes in the height, body weight, and body mass index (BMI) of children who were undergoing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 (GnRH agonist) treatment for central precocious puberty. Methods:We performed semester-wise analysis of the anthropometric data (height, body weight, and BMI) obtained from 34 girls treated with GnRH agonist. Results:We observed that body-weight standard deviation scores (SDS) for chronological age and bone age tended to increase during the treatment, but the increase was not significant. Furthermore, the height SDS for chronological age tended to decrease during the treatment, while the SDS for bone age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treatment. The BMI SDS for chronological age decreased during the first 6 months of treatment, but increased subsequently. After the first year of treatment, the BMI SDS of overweight girls tended to increase more than the BMI SDS of girls with normal weight. Conclusion:During GnRH agonist treatment for central precocious puberty, the BMI SDS tended to increase in overweight girls. The physical activity of such patients should be increased to minimize possible alterations in body composition. 목 적:진성 성조숙증의 GnRH agonist 치료가 환아의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연구하였다. 방 법:이화여대 부속 목동병원에서 진성 성조숙증의 치료로 leuprorelin acetate를 투여받고 있는 여아 34명을 대상으로 치료 시작 전과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후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를 측정하여 각 측정치의 변화량과 각 측정치의 표준편차점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 과:역연령에 대한 체중 표준편차점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GnRH agonist 치료 동안 역연령에 대한 신장 표준편차점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하지 않았고 골연령에 대한 신장 표준편차점수는 의미있게 증가하였다(P˂0.05). 역연령에 대한 체질량지수는 치료 6개월까지 감소했으나 치료 6개월 이후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치료 시작 시 과체중이었던 환아는 정상 체중아에 비해 체질량지수 표준편차점수가 치료 시작 1년 후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진성 성조숙증 환자의 GnRH agonist 치료 기간 동안 골연령에 대한 신장의 증가를 보였으나, 특히 과체중아에서 체질량지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므로, GnRH agonist 치료시 식이조절과 운동량을 증가시켜 체중의 증가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2001-2008년 진단된 소아당뇨병의 분포와 특징

        홍은희,조민현,박준석,이환석,고철우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09 Annals of Pediatirc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14 No.2

        Purpose:The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mellitus is increasing worldwide because of the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obesity. We performed this study to determine the type of diabetes an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laboratory data of the children who were newly diagnosed with diabetes mellitus (DM). Method:We reviewed the medical data of 75 children (35 boys and 40 girls) who were diagnosed with DM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01 and June 2008. Results:Sixty patients (80%) were diagnosed with type 1 DM and 15 (20%) with type 2 DM. Approximately 70% of the study subjects developed DM in spring and winter. Further, 38% and 60% of the patients had a family history of type 1 and type 2 DM, respectively.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ith type 1 DM was 10.6±2.6 years. Diabetic ketoacidosis was the first symptom in 15% of these patients. The average body mass index of these patients was 18.2±4.5 kg/㎡. At least one of autoantibodies against pancreas was positive in 69%.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ith type 2 DM was 13.4±1.2 years. Fifty-three percent of these patients was diagnosed without any symptom. Fatty liver and hypertension were diagnosed in 20% of the patients. Fifty-three percent of these patients were obese or overweight. Conclusion:Twenty percent of the children who were newly diagnosed with diabetes at our institute had type 2 DM. Since the incidence of type 2 DM in children appears to be increasing with an increase in the occurrence of childhood obesity,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rovided to obese children. 목 적:최근 비만의 증가와 더불어 소아에서도 2형 당뇨병이 증가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진단된 당뇨병 환아들을 대상으로 당뇨병의 분포와 특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2001년 1월부터 2008년 6월까지 만 7년 6개월 동안 경북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하여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15세 이하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 당시의 검사실 소견 및 임상적 특징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 하였다. 결 과:대상 환아는 75명이었으며 남아 35명, 여아 40이었으며, 평균연령은 11.2±2.7세였다. 1형 당뇨병이 80% (60명), 2형 당뇨병이 20% (15명)이었다. 계절적으로는 봄과 겨울에 약 70%의 환자가 발생하였다. 1형 당뇨병에서는 당뇨병의 가족력이 38%였고, 2형 당뇨병에서는 60%의 가족력이 있었다. 1형 당뇨병은 평균 10.6±2.6세에 발병하였고 C-peptide 0.6± 0.6 ng/mL, 평균혈당 496.2±240.3 mg/dL, 공복시 인슐린 3.3±3.2 μIU/mL, HbA1C는 12.6%였으며 평균 인슐린 요구량은 1.4±0.7 μIU/kg/day이었다. 1형 당뇨병 환아의 15%가 케톤산혈증을 첫 증상으로 내원하였으며, 체질량지수는 18.2± 4.5 kg/㎡였고 과체중 및 비만의 빈도는 11.5%였다. 자가항체 양성률은 anti-GAD Ab 58%, ICA 6.3% 및 IAA 38.6%였으며 이들 중 한 가지라도 양성을 보인 례는 68.5%였다. 2형 당뇨병 평균 13.4±1.2세에 발병하였고, 평균혈당은 314.2±102.0 mg/dL이었으며 HbA1C는 10.5%였다. 2형 당뇨병 환아 중에서 증상 없이 내원한 환아가 46.7%였다. 그리고 지방간이 20%, 고혈압이 20%, 과체중 및 비만이 53%의 환아에서 관찰되었다. 결 론:2001년 1월부터 2008년 6월에 새로 진단된 당뇨병 중 20%가 2형 당뇨병 이었으며 이들은 과체중 및 비만과 관계가 깊었고 진단 당시에 무증상이었던 경우가 많았다. 추후 소아연령에서 2형 당뇨병의 예방과 조기진단에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소아와 청소년에서 Adiponectin과 인슐린 저항성에 관한 연구

        김세영,변성환,전제덕,김현수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07 Annals of Pediatirc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12 No.1

        Purpose : Currently many studies have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adiponectin and its influence on insulin resistance in adults. But physiologic insulin resistance due to changes in sex hormones exists during puberty, which prohibits us from knowing the influence of adiponectin to insulin resistance in this popul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adiponectin on insulin resista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 18 obese children, from the OPD were selected. From All subjects, blood was sampled after overnight fasting, adiponectin, lipid profiles, AST, ALT, fasting glucose and insulin levels were measured to evaluate correlations with adiponectin. The group were divided into subgroups by BMI, sex and HOMA-IR values. All variables were compared for differences and relationships. Results : Obese groups showed decrease in adiponectin and showed increased insulin. HOMA-IR values were increased in the obese group. In all study participants, adiponecti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riglyceride and HDL. But adiponectin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HOMA-IR, insulin and glucose. In the obese group adiponectin showed no correlation with HOMA-IR, insulin and glucose. HOMA-IR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MI, body weight and age. There were no sexual differences in adiponectin, insulin and HOMA-IR values. Insulin resistant group showed decrease in adiponectin but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 Decreased adiponectin levels and increased insulin resistance were observed in obese children but adiponectin showed no correlation with insulin resistance in children and adolescence. Factors other than adiponectin may play a more significant role in insulin resistance in this age group. 목 적 : 성인의 연구에서 adiponectin과 인슐린 저항성과의 관계는 여러 연구에서 보였다. 그러나 소아청소년기에는 사춘기 때 여러 변화로 나타나는 생리적인 인슐린 저항성이 있어 adiponectin이 실제로 어느 정도 기여하는지에 대하여 불분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인슐린 저항성이 adiponectin과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방 법 : 2005년 2월 1일부터 2005년 8월 30일까지 7개월 동안 분당제생병원 소아과 외래로 내원 또는 입원치료 받았던 환자 38명에게서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 adiponectin과 인슐린을 구하였고 그 외 다른 변수들을 구하여 이들을 BMI, 성별, 인슐린 저항성 그룹에 따라 나누어 비교하였다. 결 과 : BMI로 나눈 비만군(BMI 95백분위수 이상)과 대조군(정상 BMI)에서 혈청 adiponectin (대조군 12.7±10.4 vs. 비만군 6.3±3.8, P<0.05)은 비만군에서 현저하게 줄어들어 있었다. 인슐린(대조군 11.1±8.2 vs. 비만군 39.8±53.6, P<0.05)은 비만군에서 현저히 높아져 있었으며 HOMA-IR (대조군 2.4±1.8 vs. 비만군 9.8±14.7, P<0.05)도 이와 비례하여 높아져 있었다. Adiponectin은 혈중 중성지방과 HDL-콜레스테롤과 통계학적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인슐린 저항성과의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인슐린의 경우 나이, 키, 몸무게, BMI, ALT, AST/ ALT 비, 혈당과 연관성을 보였다. 나이에서는 비만군과 대조군을 같이 표시하였는데 나이가 들어가면서 인슐린의 농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P<0.05, r=0.115). 비만군(18명)에서는 adiponectin은 다른 변수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남자는 총 19명, 여자는 총 19명이었으며 혈청 adiponectin (남자 7.3±5.1 vs. 여자 7.9±6.3, P=0.74)과 인슐린 (남자 39.8±53.6 vs. 여자11.1±8.2, P= 0.41), HOMA-IR (남자 6.8±10.3 vs. 여자5.0±11.4, P= 0.60)은 두 성별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HOMA-IR 값이 3이상인 집단은 총16명이었으며 3이하인 집단은 22명이었다. 혈청 adiponectin은 인슐린 저항성 집단에서 감소되어 있었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인슐린 저항성 집단 6.3±5.4 vs. 대조군 8.6±5.9, P=0.23). 결 론 : 소아청소년에서 나타나는 인슐린 저항성은 비만군에서 더 뚜렷한 양상을 보였고 혈청 adiponectin 역시 비만군에서 더 감소되어 있었으나 둘 사이의 통계학적 연관성은 없었는데 이는 소아청소년기에 성호르몬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생리적인 인슐린 저항성 등의 다른 요인들이 adiponectin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성조숙증 아동의 임상 및 내분비 검사의 특징

        김호성,김태형,고희정,김승,이선우,채현욱,김유석,박미정,정소정,유은경,김덕희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07 Annals of Pediatirc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12 No.2

        Purpose : Precocious puberty is defined as the onset of secondary sexual characteristics before 8 year of age in girls and 9 year in bo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ectrum of diagnoses made in a consecutive group of children referred for signs of precocious puberty and evaluate the clinical and endocrinolog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precocious puberty. Methods : The charts of all 948 children referred for evaluation of signs of precocious puberty between January 2003 and June 2007 in several referral centers were reviewed. Clinical features including age of onset, presenting symptoms, yearly growth rate, bone age advancement, weight, height, and body mass index were analysed and endocrine investigations included basal and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GnRH)-stimulated levels of luteinizing hormone (LH) and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as well as sex hormones. Results : Of the 948 children referred for signs of precocious puberty, 915 (96.5%) were female and 33 (3.5%) were male. The final diagnoses made were early puberty (39%), premature thelarche (31%), true precocious puberty (27%) and precocious pseudopuberty (1%). The increases in yearly growth rate and bone age advancement were significant in true precious puberty group (P<0.05). The height and weight standard deviation scor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rue precious puberty and premature thelarche group compared to the average level according to gender and age (P<0.05). Endocrinologic studies showed that the level of basal LH, basal estradiol and GnRH-stimulated peak LH, peak FSH, peak LH/basal LH, peak FSH/basal FSH, peak LH/peak FSH ratio was all significantly higher in true precicous puberty group and early puberty group when compared to premature thelarche group (P<0.05). Neurogenic true precocious puberty among true precocious puberty was more common in boys (3 out of 7, 42.8%) than in girls (27 out of 253, 10.7%). Endocrinologic studie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idiopathic precocious puberty and neurogenic precocious puberty. Conclusion :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e proportion of true precocious puberty among the children referred for early pubertal signs was rather high. Collectively assessing all available data including detailed history, growth records, physical findings, laboratory studies and radiological imaging is important in the evaluation of a child with concerns of early pubertal maturation. Foregoing extensive studies regarding incidence and causes of true precocious puberty should be needed. 목 적 : 성조숙증은 여아에서 8세 미만, 남아에서 9세 미만에 2차 성징이 나타나는 경우로 정의하며, 진성 및 가성 성조숙증으로 구분한다. 성조숙증의 발생빈도는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조숙증 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 들을 대상으로 진단별 분포, 진단명에 따른 임상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3년 1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연세의료원, 상계백병원, 건국의대병원, 분당 차병원에 성조숙증 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를 진성 성조숙증, 가성 성조숙증, 유방 조기발육증, 조기 사춘기로 분류하였고, 진성 성조숙증은 특발성 성조숙증과 중추신경성 성조숙증으로 분류하였다. 진단 당시의 증상, 가족력, 과거력, 성별, 신장, 체중, 역연령, 골연령, 체질량지수 등을 조사하였다. 기저 및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GnRH) 자극 후 성호르몬, 황체화호르몬(LH), 난포자극호르몬(FSH) 농도를 측정하였다. 원인질환을 확인하기위해 진성 성조숙증으로 진단된 경우에는 터키안 자기공명영상 검사, 가성 성조숙증으로 진단된 경우에는 복부 및 골반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임상적 특징 및 내분비 검사 소견은 각 진단명별로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자는 총 948명이었고, 여자는 915명(96.5%), 남자는 33명(3.5%)이었다. 진단별 분포는 조기 사춘기(39 %), 유방 조기발육증(31%), 진성 성조숙증(27%), 가성 성조숙증(1%)의 순서를 보였다. 연성장속도와 골연령의 증가는 진성 성조숙증에서 가장 뚜렷하였다(P<0.05). 진성 성조숙증과 유방 조기발육증군에서 신장 표준편차점수, 체중 표준편차점수가 성별, 나이별 평균보다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 되어 있었으며(P<0.05), 모든 군에서 체질량지수는 60 백분위수 이상이었다. 내분비 검사 상 진성 성조숙증과 조기 사춘기의 LH 및 estradiol 기저치와 GnRH 자극 후 LH 최고치, LH 최고치/LH 기저치의 비는 각각 유방 조기발육증보다 높았다(P<0.05). 진성 성조숙증에서 중추신경성 조숙증이 차지하는 비율은 남자에서 42.8%, 여자에서 10.7%로 남자에서 월등히 높았다. 특발성 성조숙증과 중추신경성 성조숙증간에 성호르몬 및 LH, FSH 기저치와 GnRH 자극 후 최고치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성조숙증 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 중 진성 성조숙증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으므로 보다 자세한 진찰과 검사가 필요하며, 추후 진성 성조숙증의 발생 빈도와 원인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