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초·중등학교와 대학의 국어교육의 동질성과 차별성

        김종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3 국어교육연구 Vol.32 No.-

        To assure continuity of native language education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and college, we need to consider following particulars. 1. Purpose of language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and college needs to be recognized again. Both aim at educating men of culture, but the latter is different from the former in that it uses Korean academically. 2. Native language education should aim to develope language ability required to well-educated class. Concerning developing language ability for academic research, college education should undertake the role. 3. Assignment division is necessary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and college. Level of language ability to be attained in each should be agreed to avoid duplication in instruction and achieve excellence in education quality. 4. Overburdened contents in national curriculum for should be controlled. College education needs to apparently concentrate on specific fields such as essay writing and discussion speech. 5. To ensure continuity of native language education, relevant policies should be examined critically and modified properly. 지난 60여년 간 한국의 초․중등학교의 국어교육과 대학의 국어교육의 연계와 그 구체적 실천에 대한 본격적 논의가 없었던 결과 각 단계의 교육이 그 본래의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지 못한 채 파행적으로 운영되어 왔다. 초․중등 국어교육과 대학의 국어교육이 동질성과 차별성을 갖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들이 실천되어야 한다. 1. 초․중등 국어교육과 대학 국어교육의 목적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하다. 두 교육 모두 교양인의 형성을 지향하되, 대학의 경우 한국어를 학문의 언어로 사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2. 초․중등 국어교육과 대학 국어교육은 반복과 심화의 과정을 통해 교양인의 국어능력을 기르며, 학문 활동과 관련한 국어 능력을 대학에서 확장․심화한다. 3. 초․중등 국어교육과 대학 국어교육은 역할 분담을 해야 하며, 중등학교에서 달성해야 할 국어능력과 대학 교육이 추구해야 할 국어 능력에 대해 상호 합의하여 중복 교육을 피하고 질적 수월성을 달성해야 한다. 4. 초․중등 국어교육은 실현할 수 없는 과도한 교육 내용을 교육 과정에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를 적정하게 조절해야 한다. 대학의 국어교육은 국어교육의 영역들 중에서 명시적으로 선택과 집중 교육을 하되, 다른 영역들은 잠재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배려해야 한다. 예컨대 논술 중심의 작문 교육과 토론 중심의 화법 교육을 명시적으로 하되 듣기 교육, 읽기 교육 등은 대학 교육 전반에서 행해지도록 해야 한다. 5. 초․중등 국어교육과 대학 국어교육의 연계성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국어교육에 대한 정책들을 비판적으로 점검하고 재수립해야 한다.

      • KCI등재

        융합시대 국어교육학의 정체성

        김종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2 국어교육연구 Vol.49 No.-

        근대의 제도로서 국어교육이 시작된 것은 1895년부터이지만 하나의 분과학문으로서의 국어교육학의 정체성이 본격적으로 논의된 것은 1980년대 후반의 일이다. 그 논의는 주로 독자적인 연구 영역을 국어교육학의 본령(本領)으로 간주하여 연구 영역의 구성과 그 구성의 관점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으나 암묵적인 절충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어교육이 인간의 향상과 사회의 유지와 발전의 본질적 요소의 하나임을 입증하는 데에서 정체성을 구축하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국어교육학의 연구 대상이 다른 분과학문들의 연구대상이기도 한 점에서 국어교육학은 기본적으로 학제적 성격을 갖는다. 그러나 국어교육이 인간의 생물학적 진화로 획득한 언어 자질을 계발하고 인간의 사회·문화적 진화로 형성한 여러 층위의 소통체계에 적응하고 나아가 창의적으로 대응하는 능력을 기르므로 국어교육학은 인문학·사회과학과 같은 성격의 학문에 속한다. 아울러 기능적·사회적·문화적 국어활동에서 정보들을 회통(會通)하고 창조해내는 능력을 기른다는 점에서 국어교육은 초·중등교육과 대학교육의 기초교육으로서의 성격을 가지며, 이를 바탕으로 국어교육학은 학문 세계에서의 기초학문의 성격을 갖는다. 이런 인식을 기반으로 향후 융합의 관점에서 학문 체제가 개편되고, 아울러 대학의 연구·교육 조직이 재편된다고 할 때 국어교육학은 다른 분과학문이나 융합학문과 생산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독자적으로 존재할 수 있어야 한다. Alth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KLE) began in 1895, it did not begin to be recognized as a discipline until the late 1980s. In the discipline formation process, the main issue in KLE has been whether the constituent research areas should be constructed exclusively or comprehensively. However, this issue is out of focus. The assumed research areas are common area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meaning that KLE as an academic discipline (KLEA) is interdisciplinary. Furthermore, KLEA must acknowledge that KLE is integral to the elevation of the Korean people and to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No disciplines thus far have clung exclusively to certain research fields. Indeed, interdisciplinary studies represent a general trend, and academic reorganization in keeping with that trend has been recommended. These academic situations pose serious challenges to KLEA, specifically demanding an identity change, as the current structure is incongruent with the current times. Such a change entails reflection on the role of language and education in human life.

      • 초등 국어교과서 매체단원의 국어자료 분석 : 6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해리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0 초등국어과교육 Vol.27 No.-

        이 연구에서는 국어교과서 매체단원에 제시된 국어자료를 매체의 종류와 언어 사용 목적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서 초등학교 매체교육의 이해제고와 필요성을 논하고자 하였다.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7차 교육과정에서 현재 2015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교육과정과 6학년 교과서를 범위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 하였다. 6학년 국어교과서의 매체단원을 선정하여 국어자료를 두 가지의 기준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국어 자료 본래의 매체나 혹은 자료를 제공하는 매체의 종류를 기준으로 하여 국어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상자료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으며 향후에도 학습자의 흥미유발이나 이해력 제고를 위해 영상자료의 활용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새로운 정보검색매체로‘스마트 폰’이 등장하였다. 셋째, 조사한 내용이나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발표하기 위한 매체를 탐색하고 발표하는 활동에서는 글과 그림, 사진 뿐 아니라 영상, 프레젠테이션 등의 점차 다양한 시각자료들이 제공되었다. 또 언어 사용 목적의 기준으로 국어자료를 분석하였다. 7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07개정 교육과정까지 모든 매체 단원의 국어 자료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글이나 담화, 영상, 그림, 사진이 전부였다. 2015개정 교육과정에 이르러서 다양한 언어 사용 목적(정보 전달, 설득, 친교·정서표현)이 나타남은 물론 학생들에게 보다 친숙한 주제의 국어자료가 제공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교과서 속 매체 교육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 향후 국어교과서에 매체 관련 국어자료를 어떻게 반영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초 조사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본다.

      • KCI등재

        21세기 한국에서의 국어교육

        이남호 ( Nam Ho Le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1 한국어문교육 Vol.10 No.-

        오늘날 한국에서 국어교육이 처한 환경은 급격하게 변하고 있는 갓처럼 보인다. 사회 환경도 급변하고 있지만, 국어교육과정이나 국어교과서도 비교육적이리만치 자주 바뀌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특히 국어교육의 이념에 대한 반성적 검토가 요구된다. 국어교육이 무엇인지, 또 국어교육을 왜 해야 하는 것인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본고는 지금까지의 국어교육이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국어교육을 왜 해 왔는지를 먼저 살펴보았다. 20세기 전반기까지의 국어교육은 근대 민족국가의 형성과 관련하여 중요 하게 인식되었다. 즉 국어가 국민들을 계몽시키는 가장 기본적인 수단, 서구의 근대문물을 받아들이는 기본적인 도구로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였고, 국어교육은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애국심을 기르기 위한 만족운동의 주요한 일부로 안식되었다. 1945년 광복 이후 지금까지 교육과정은 9차례에 걸쳐 개정되었다. 국어교육이 민족의 삶과 번영에서 기시적인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고 본다는 점에서 3차까지의 교육과정은 20세기 전반의 국어교육 의 이념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4차교육과정부터는 국아과의 특성이 보다 구체화되고 영 역 구분이 강화되며, 국어교육의 민족 (문화)적 가치가 원경으로 밀려나는 특성을 보이게 된다. 특히 5차교육과정은 국아과를 기능중심 의 교과로 변화시키고 국어 교육에 서 영 역 의 세분화와 공고화를 강화시키는 분수령이 되었다. 이는 국어교육이 더 이상 정신형성의 교과가 되지 못하고 단순히 언아사용기능을 훈련시키는 교과가 되어 간다는 갓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왜냐하면 언어기능교육에 치중한 국어교육 은 국어 문화 창조 등의 국어교육의 보다 근원적인 의의를 외면하기 때문이다. 국어교육이 시작된 지 100여 년이 지냔 오늘날, 국어교육은 전혀 다른 환경 속에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 주목할 수 있다. 첫째,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교육열이 높고 문맹률이 낮은 나라에 속한다. 이러한 환경은 중학교와 고둥학교에서의 국어교육이 학생 들에게 무엇을 가르치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제기한다. 둘째, 오늘날 우리는 전자문화가 지배하는 세상에 살고 있으며, 국어생활도 전자문화의 영향력 속에서 이루어 진다. 전자문화가 지배적인 환경에서 국어교육이 전자매체와 전자문화를 어떤 식으로 수용하고 또 어떤 면에서 대항할 것인가에 대해서 생각해 보아야 한다. 셋째, 오늘날 세계는 빠른 속도로 지구촌이 되어가고, 영어는 세계공용어로서의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영어가 실질적으로 세계공용어가 되고 보편어의 지위를 갖게 되는 상황을 국어교육이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생각해야 한다. 본고는 국어교육이 ``인문적 교양과 지적 사고력을 지닌 인간을 형성하는 종합적 의의를 지닌 과목``으로서 정립되어야 한다고 보며 이를 위해 다음의 몇 가지를 제안하였다. 먼저 인문적 교양과 지적 사고력을 지닌 인간을 형성하는 종합적 의의를 지닌 과목으로써 국어교육의 목표와 성격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국어가 인문적 교양과 지적 사고력을 지닌 인간을 형상하는 종합적 의의를 지닌 과목이 되려면, 국어교육의 영역 구분은 편의적인 것이 되고 실제 교육은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대 마지막으로 전자문화의 번성 속에서 전자시대일수록 국어교육이 강한 문자문화적 성격을 강조하며 전자문화의 대척점에서 정체성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다시 말해 전자시대에 국어교육이 홀로 문자문화적 성격을 강조하여 전자문화의 약점을 보강한다면 국어교육의 의의가 더 커질 수 있는 것이다. Why We Teach Korean Language? Different perspectives and approaches to mother tongue education are needed in a different period. Now in 2l century, Korean society should ask ourselves a question, "What is Korean language eduction and how we teach Korean language?" to seek for more effective ways of teaching our mother tongu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past in the 19th century, Korea tried to defend itself against invasions from other countries and develop into a modem state, at that time. Korean language was educated as a tool to enlighten Korean citizen and to accept new cultures and knowledge from other developed countries. Korean language was considered the essence of Korean culture and patriotism. After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s colonial rule in 1945, Korean government has endeavored to educate Koran language in more systemic ways. Establishing a national curriculum was the most important and fast way to change and reform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first national curriculum was established in 1955 and it has been revised 7 times to meet diverse needs that change with time. From the first to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the obj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mainly to teach basic literacy skills, to improve students` thinking ability, and to heighten the pride of Korean culture. In the fourth national curriculum created in 1981, Korean language curriculum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language skills, grammar, and literature, Korean language instruction Curr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the fifth national curriculum,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focused more on improving students literacy skills rather than learning grammar and declarative knowledge related to literature criticism. Emphasizing language skills is sometimes criticized by some Korean language educators in that it does not foster students` thinking ability and make mother tongue instruction similar to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New environ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there are three new environm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v should consider, First, we should think low illiteracy rate of Korean students and their parents` high zeal for children`s education The second trends is dramatic development of technology, we should reconceptualize the notion of mother tongue education in the different environment of digital age. Finally, we should accommodate globalization into our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fostering bilingual curriculum and developing effective instruction for teaching English.

      • 일제강점기 교과서에 나타난 중국 형상 고찰 ―『조선어독본』과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을 중심으로

        천매화 ( Qian Meihua ),정이붕 ( Zheng Yipeng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13 No.1

        본고는 식민지 동화교육이라는 특수성을 띤 교육하에 총독부의 목적과 취지에 맞는, 기본과정인 현재의 초등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보통학교와 공 학교에서 학습한 당시 국어교과서 즉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편찬한 초등학생용 일본어 교과서인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1911)과 『조선어독본』(1923)을 기초자료로 일제강점기 일본이 중국에 대한 형상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과 『조선어독본』은 조선인을 상대로 가르치는 국어교과서 임에도 불구하고 중국에 대한 내용이 많이 언급된다. 특히 일본이 중국 자원이나 영토, 문호 개방에 대한 욕망은 아주 적나라하게 표현되어 있다. 또한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과 『조선어독본』은 편찬연도로 볼 때, 10년이란 차이를 두고 있다. 따라서 이 시기를 고려해보면, 일본은 뒤로 갈수록 대일본제국 사상, 대동아권의 수립야망이 더욱 노골적으로 표현되어 뒤늦게 편찬된 『조선어독본』에 중국에 대한 질타표현이 더욱 심화되었으리라 생각될 것이다. 하지만 두 교과서의 수록 양상을 살펴보면 이와 정반대이다. 따라서 본고는 이 두 자료를 바탕으로,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과 『조선어독본』에 표현된 일본이 중국 이미지에 대한 양상을 살펴보고 두 교과서는 어떠한 변화 추세를 겪고 있으며 그러한 변화를 가져온 원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필자가 조선인을 대상으로 가르치는 국어독본임에도 불구하고 여기에 주목하는 이유는 두 독본에 일본이 중국에 대한 욕망과 야망이 주·측면으로 표현되어 일본이 초기 단계에서부터 중국에 희망을 품고 침략을 꿈꾸는 것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는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조선인 초등학생을 상대로 편찬한 일본어 교과서인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과 『조선어독본』을 기초자료로, 그간 이루어지지 않은 중국에 관한 논의를 펼쳐 일본이 중국에 대한 이미지 변화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changes of Chinese images in 『訂正普通 學校學徒用國語讀本』(1911) and Basic Reader of Joseon Language (1923), which were compil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for the sake of assimilation through education, and were taught at regular schools and public schools. As everyone knows, even though Basic Reader of Joseon Language and 『訂正普通學校學徒用國語讀本』 were language textbooks for Koreans, there were a lot of contents which talked about China. In particular, the desires of Japanese for the resources and territory of China, and the Open Door Policy are completely described. In terms of the time of compilation, it took ten years from the Basic Reader of Joseon Language until 『訂正普通學校學 徒用國語讀本』. If we take the time into consideration, we may think, as time went on, the ideas of Japanese about Great Japanese Imperial and the ambitions of establishing Greater East Asia Sphere may be more directly expressed, so there may be more expressions which denounced China in later compiled version of Basic Reader of Joseon Language. However, if we examine the contents of the two textbooks, it is quite the opposite. In this case,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follow aspects, to examine the Chinese Images of Japanese in 『訂正普通學校學 徒用國語讀本』and Basic Reader of Joseon Language, and to find out the changing trend which the two textbooks experienced and the reasons why these changes occurred. Although the two textbooks were for the Koreans, the reason why I pay attention to them is because two textbooks expressed the desire and ambition of Japanese for China and I would like to help understanding the dreams Japanese of invading China from the early stage. On the basis of the above arguments,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nges of Chinese images in 『訂正普通學校學徒用國 語讀本』and Basic Reader of Joseon Language, which were compil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 KCI등재

        국어기본법에 따른 국어교육 내용과 방법의 대안적 탐색

        이관규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0 한국어문교육 Vol.30 No.-

        In 2005, South Korea’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CST) published the Framework Act on the National Language (FNL). This thesis aims to reveal how FNL has exerted its influence o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For this, curriculum, standards, texts, lesson time number, etc. in these schools, have been examined, and this paper seek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 What is the purpose of FNL? And what’s the relationship between FNL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 What constitutes the cont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FNL? ⓒ What difference has there been before and after FN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What changes does FNL require in metho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has been revealed that FNL exists with a gap between it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schools. FNL basically deals with Hangeul and Eomungubeom. In addition, it also contains content like Korean usage, Korean language ability, etc., so these must be taught and learned in schools as well. 2005년에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국어기본법을 발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국어기본법이 각급 학교의 국어교육 내용과 방법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국어기본법 조항들, 교육과정, 성취기준, 교과서, 수업시수 등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수행하고자 했다. ㉠ 국어기본법의 목적과 국어교육과의 관계는 무엇인가? ㉡ 국어기본법에서 국어교육 내용은 무엇인가? ㉢ 국어기본법 시행 이전과 이후의 국어교육은 차이가 있는가? ㉣ 국어기본법은 국어교육 방법에 어떤 변화를 요구하는가? 국어기본법은 학교 국어교육과는 괴리된 상태에서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글, 어문규범과 같은 기본적인 내용은 물론이고 실제 언어생활에 필요한 국어사용, 국어능력 등 많은 국어교육 관련 내용을 국어기본법이 담고 있으므로, 향후 국어과 교육과정, 교과서, 수업 등에서 그 내용이 교수 학습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후보

        국어사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현황과 발전 방향 연구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최소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9 국어교육연구 Vol.43 No.-

        본고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국어사 교육 내용의 변화를 역대 교육과정과 비교하되 특히 성취기준에 나타난 주요 용어 변경의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 교과서의 구현 양상을 함께 검토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국어>와 <언어와 매체>는 이전까지의 역대 교육과정과 달리 국어사가 ‘현재’의 국어에까지 미치는 ‘변화’에 주목하며 ‘역사성’을 함께 논하였다. 국어사 교육을 통하여 현재의 언어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것을 요구하며, 국어사 교육의 현재적 의의를 강조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국어> 교육과정에서 중세국어와 현대국어로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언어 변화에 단절이 생긴다는 점은 문제적이다. 교과서의 경우, <국어> 교과서에서 현대국어와의 비교 의식을 강조하는 서술 및 활동 구성이 전반적으로 부각되었다. <언어와 매체> 교과서에서는 이전 성취기준에서보다 강조된 ‘자료’의 활용과 관련하여 변화된 면모를 찾기 어려웠다. 국어사 교육에 대한 교육과정적 요구에 부응하고 교과서에 나타난 한계점을 보완하며 국어사 교육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해석적 관점의 ‘탐구’가 추구되어야 한다. 교육과정 설계 시부터 탐구를 염두에 두어 성취기준이 구성되어야 한다. 교과서에서는 언어 변화를 추적하여 가는 학습자의 사고 과정을 반영하는 단계적 구성의 학습활동은 물론, 교과서의 서술 텍스트와 자료 텍스트에서도 탐구에 적절한 내용 요소 선택 및 구성을 모색해야 한다. In contrast to previous Korean language history curricula, the 2015 Revised National Ccurriculum’s “Korean Language” and “Language and the Media” section, addresses the Korean language’s history. It notes changes which, over time, have led to the language’s current iteration. However, limiting the scope of the curriculum to Middle and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is problematic. That is, this narrow focus overlooks significant language changes. In terms of textbook review, the descriptions and activitie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highlighted the comparative description of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In “Language and the Media” textbooks, it was difficult to find changes regarding the data use emphasized in achievement criteria. It is important to pursue avenues leading toward inquiry from an interpretative perspective. Doing so will help to 1) meet Korean-language history’s current educational needs; 2) supplement textbooks’ limitations; and 3) develop future Korean-language history education. From the beginning of the curriculum design, achievement criteria will need to be established with the goal of fostering student inquiries. Textbooks should seek to select and organize appropriate content elements for student exploration via descriptive texts and material texts.

      • 일제강점기 교과서에 나타난 중국 형상 고찰

        천매화,정이붕 한국어교육연구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13 No.1

        본고는 식민지 동화교육이라는 특수성을 띤 교육하에 총독부의 목적과 취지에 맞는, 기본과정인 현재의 초등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보통학교와 공 학교에서 학습한 당시 국어교과서 즉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편찬한 초등학생용 일본어 교과서인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1911)과 '조선어독본'(1923)을 기초자료로 일제강점기 일본이 중국에 대한 형상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과 '조선어독본'은 조선인을 상대로 가르치는 국어교과서임에도 불구하고 중국에 대한 내용이 많이 언급된다. 특히 일본이 중국 자원이나 영토, 문호 개방에 대한 욕망은 아주 적나라하게 표현되어 있다. 또한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과 '조선어독본'은 편찬연도로 볼 때, 10년이란 차이를 두고 있다. 따라서 이 시기를 고려해보면, 일본은 뒤로 갈수록 대일본제국 사상, 대동아권의 수립야망이 더욱 노골적으로 표현되어 뒤늦게 편찬된 '조선어독본'에 중국에 대한 질타표현이 더욱 심화되었으리라 생각될 것이다. 하지만 두 교과서의 수록 양상을 살펴보면 이와 정반대이다. 따라서 본고는 이 두 자료를 바탕으로,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과 󰡔조선어독본󰡕에 표현된 일본이 중국 이미지에 대한 양상을 살펴보고 두 교과서는 어떠한 변화 추세를 겪고 있으며 그러한 변화를 가져온 원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필자가 조선인을 대상으로 가르치는 국어독본임에도 불구하고 여기에 주목하는 이유는 두 독본에 일본이 중국에 대한 욕망과 야망이 주·측면으로 표현되어 일본이 초기 단계에서부터 중국에 희망을 품고 침략을 꿈꾸는 것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는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조선인 초등학생을 상대로 편찬한 일본어 교과서인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과 󰡔조선어독본󰡕을 기초자료로, 그간 이루어지지 않은 중국에 관한 논의를 펼쳐 일본이 중국에 대한 이미지 변화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국어 문화에 대한 교육 내용으로서의 어휘사 교육 연구

        최소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1 국어교육연구 Vol.28 No.-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perspective on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is not enough now, although the aim of Korean education always includes the statement about Korean culture. It's possible to supplement some contents for cultural education, keeping the area and system of Korean education. Observations in historical changes of vocabularies are taken part in cultural education contents. Vocabularies shows us very good examples of culture, especially lexical history contains amount of excellent samples about certain culture. Lexical history education can lead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literacy. Therefore lexical history education can be an important part of culture education. This study is described some lexical history education about very basic materials of life in Modern Korean: ‘Yang-bok’(suit), ‘Ja-jeon-geo’(bicycle), ‘Shik-sa’(meal). Modern Korean lexical histories reflect dynamic movements of history and culture such as today. It's useful that students may be aware of their own language habits and ways of thinking, and eventually they can have an effect on the culture. 본고는 국어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 교육 내용의 설계를 위해서 국어 문화에 관한 내용이 더욱 강화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국어 문화의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방향으로는, 먼저 국어 문화를 범주화한 후 기존의 국어교육 내용을 재편하는 길과 기존 국어교육의 틀은 유지하되 국어 문화적 내용을 보강하는 길을 생각할 수 있다. 전자에 대해서는 아직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하며 후자로도 문화적 내용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아 후자의 관점을 택하였다. 이어서 국어 문화의 교육 내용을 풍부하게 하는 어휘사 교육에 주목하였다. 어휘사는 삶의 모습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역사적 실체이므로, 어휘사 교육은 국어의 발전과 문화적 문식성 함양에 기여한다. 교육 내용이 되는 어휘사는 교육 목표에 따라 다양한 범주화가 가능한데, 본고에서는 국어사의 시대 구분에 따라 범주화하고, 역사와 문화의 격변기였던 근대국어의 어휘사를 예로 들어 교육의 실제를 보였다. ‘양복’의 예에서는 성차별적 문화를, ‘자전거’의 예에서는 외래 문물 수용에 대한 문화를, ‘식사’의 예에서는 예절 문화를 중심적으로 살펴보았다. 학습자는 일상생활 속 어휘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자신의 언어생활 습관이나 가치관이 언어 변화, 나아가 문화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

      • 어휘력 신장을 위한 국어사전 단원 재구성

        양유진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0 초등국어과교육 Vol.27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 3, 4학년에서 국어사전과 관련된 단원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그 실태를 파악하여 국어사전 관련 단원을 재구성하는 활동을 학생들의 어휘력 향상을 중점으로 구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2015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결과 인터넷 사전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 학년 군 간 또는 학교 급 간 위계화를 통해 국어사전 활용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예시 단어들의 필요성과 어휘력과 관련된 학습 활동, 사전의 종류에 따른 특성과 상황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는 활동 등의 추가 그리고 타 교과와 국어사전의 연계 경험의 필요성 등의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국어사전을 활용한 현장의 실제적인 학습활동을 정리하였다. 국어사전 일러두기 학습, 국어사전 활용 학습장, 나만의 국어 사전 만들기, 국어사전 활용대회 운영, 국어사전 활용 감성 프로그램, 국어사전을 활용한 독서 낱말 카드 만들기, 국어사전 활용을 위한 학급 누리집 활동 등 연구자가 실제로 적용해 보았거나 구안한 활동 중심으로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소개하고 이를 국어 수업시간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3, 4학년 교과서 활동과 위에서 분석한 학습자의 요구와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3학년 1~10차시 내용과, 초등학교 4학년 1~9차시 내용에 재구성하였다. 재구성한 내용을 실제적으로 추후 교실에서 적용하여 연구를 보충할 계획이다. 연구과정을 통해 초등학교 국어사전 관련이 어휘력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다양한 능력 신장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신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국어사전활용 단원의 교수학습에 구체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