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호지킨 림프종의 임상적 고찰

        김태원,조은택,조기섭,정재용,허재봉,장영,박유환,정춘해 조선대학교 1995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0 No.1

        A retrospective clinical and histologic study of 30 non-Hodgkin's lymphomas diagnosed at the Department of Hemato-oncology of the Chosun University from January 1989 to December 1993 is presented. Among total 30 cases whose sexes were mentioned, male were 18 and female were 12 and the ratio is 1.5:1. The peak incidence of non-Hodgkin's lymphoma was found in the third decade. The case distributions by Working formulation were summarized in table 3. The most common histopathologic type of non-Hodgkin's lymphoma was the diffuse large cell type of intermediate grade. The presenting symptoms at the time of first visit to the hospital were summarized in table 4. The most common symptoms were palpable mass. Lymph node enlargements were found in 87 %, and most frequently on cervical area(35%). The incidence of primary nodal lymphoma is more frequent than extranodal lymphoma, 1.2:1. The most common primary site of extranodal lymphoma is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the laboratory findings, the data of hemoglobin and hematocrit were summarized in table 8, 9, Values of hemoglobin and hematocrit of female patients greater than those of male patients. The results of the immunophenotypings of nodal and extranodal lymphoma indicates that the B-cell lymphoma are predominant(B:T=1.4:1). The clinical stage was Ⅱ in 9 cases(30%) Ⅲ in 9 cases(30%), Ⅳ in 8 cases(26.7%), Ⅰin 4 cases(13.3%), 28 cases were treated with CHOP regimen. Among them, 17 cases(60.8%) achieved a complete remission. 5 cases had a partial response. The most frequent toxicities were toxic hepatitis.

      • 米堤貯水池의 水質特性에 관한 硏究

        김환기,오태선,유선재,김종구 全北大學校 附設 都市및環境硏究所 1996 都市 및 環境硏究 Vol.11 No.1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and the cause of the eutrophication in Mijae Reservoir, chemical analyses were made on surface, bottom waters collected from 7 stations in July, September in 1995 respectively. 1. The Water quality of Mijae reservoir were Ⅳ grade over lake water quality criteria. 2. The trophic state of Mijae reservoir is placed eutrophic or Hypereutrophic state. 3. In order to protect of eutrohication, It is necessary that get ride of sediments, Nutrients and algaes.

      • 세척수 오존 처리에 의한 신선 채소류의 미생물 제어

        김동주,윤유영,하상도,박기환 中央大學校 食糧資源硏究所 2003 食糧資源硏究所 論文集 Vol.15 No.1

        오존은 염소보다 1.5배나 강한 산화제이고 염소나 다른 소독제에 비해 여러 종류의 미생물에 대해 살균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신선채소류로부터 인체에 유해한 병원균 등 미생물 오염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여 최소가공 신선 과채류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상추, 깻잎, 당근, 고구마의 오존의 미생물 제어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세척 시간에 따 른 일반세균, Bacillus cereus,대장균 및 대 장균군, 포자형성균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상추는 총호기성균이 6.32 log CFU/g, coliform은 3.36 log CFU/g 그리고 포자 형성균은 2.92 log CFU/g 검출되었다. 깻잎은 총호기성균이 5.36 log CFU/g, coliform은 3.88 log CFU/g 그리고 포자 형성균은 2.62 log CFU/g 검출되었다. 당근은 총호기성균이 7.34 log CFU/g, coliform은 3.49 log CFU/g 그리고 포자 형성균은 3.57 log CFU/g 검출되었다. 고구마는 총호기성균이 7.82 log CFU/g, coliform은 3.15 log CFU/g 그리고 포자형 성균은 3.30 log CFU/g 검출되었다. E. coli와 B. cereus는 모든 시료에서 불검출 되었다(검출한계: <10 cells/g). 미생물수는 세척시간에 따라 3분까지는 감소하였고, 그 이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오존 처리에 의한 총호기성균의 살균효과는 상추의 경우 약 3 log, 깻잎은 약 2 log, 당근은 약 3 log 그리고 고구마는 약 2 log 감소하였다. coliforms은 모든 시료에서 약 2 log 감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자형성균은 1분 이상의 세척 처리 후에는 불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는 오존이 신선채소류의 미생물, 특히 포자형성균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제시함으로서, 신선채소류 처리에 있어 오존이 기존 살균 소독제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Ozone is an oxidizing agent, which is 1.5 times stronger than chlorine and is effective over a much wider spectrum of microorganisms than chlorine and other disinfecta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 effective condition to improve the safety of fresh vegetables, which could reduce and eliminate human pathogens from fresh products.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in fresh vegetables such as lettuce, sesame leaf, carrot and sweet potato were evaluated and the variation of microorganisms was observed during washing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ozone on the control of microorganisms in fresh vegetables with time. Target microorganisms were APC, B. cereus, coliforms, E. coli and spore-forming microorganisms. The results of the total cell count of general microbes were in the range of 5.36 (sesame leaf) - 7.82 (sweet potato), coliforms 3.15 (sweet potato) - 3.88 (sesame leaf) and spore-forming group was 2.62 (sesame leaf) - 3.57 (carrot) log CFU/g while E. coli and B. cereus were not detected at the detection limit (<10<윗첨자>1</윗첨자>) in raw materials.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were reduced with treatment time to 3 mins in the magnitude of 2-3 log reduction and little changed to 5 mins. About 3 log reduction of general microbes was achieved in lettuce, 2 log in sesame leaf, 3 log in carrot and 2 log in sweet potato. Coliforms were reduced about 2 log in tested samples. Ozone was found to be very effective to eliminate the spore-forming group from fresh vegetables, which was not detected after 1 min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zone is effective to reduce microorganisms from fresh vegetables, especially very effective on the spore-forming microorganisms and thus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sanitizers for fresh produce.

      • Mg-Zn-Ca합금의 부식저항 개선에 관한 연구

        김유영,허남수,안국찬,김인환 진주산업대학교 1999 산업과학기술연구소보 Vol.- No.6

        In order to corrosion resistance of Mg-Zn alloy the 3rd element, Ca(0 to 1.5wt.%)element was added. Alloy ingot was made under vacuum atmosphere of 4×10^-4 Torr in the quartz tube coated by BN. The addition of Ca elements to Mg-Zn alloys were obtained grain size refining and age hardening. Corros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potentiostatic corrosion test in 5wt.%NaCl solution.(ΔE=100mV) The corrosion current density of Mg and Mg-6wt.% Zn alloy was reduced by addition of 0.5wt.% Ca.

      • 유·초등학교 교과용도서 장애관련 내용 분석 : Focusing on the Views of Disability

        권택환,김수연,박은영,이유훈 국립특수교육원 2003 연구보고서 Vol.- No.2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성공적 실행은 특수교육뿐 만 아니라 교육 전반의 당면과제이자 목표이다. 장애학생이 일반학교에서 일반아동들과 물리적, 사회적, 그리고 교육과정적으로 통합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이 모든 학생에게 반응적이어야 하며, 궁극적으로 일반교육의 재구조화가 촉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일반교사와 아동들의 장애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의 개선은 필수 전제조건으로 지적되고 있다.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인식 개선은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겠으나, 학생들이 매일의 학교 수업에서 접하는 교과서에 장애관련 내용이 어떠한 수준과 내용으로 수록되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간과되어서는 안 될 중요한 문제이다. 시대적으로 교과서의 역할과 기능은 변화되어 왔으나 학교 현장에서 교과서는 변함없이 교사와 학생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강조하는 현 교육정책 속에서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는 특히 일반학생들의 장애인식 개선을 위하여 학년별, 교과별로 다양한 장애관련 내용을 담으려는 노력이 역력하므로 적합한 내용이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이나, 아직까지 교과서에 수록된 장애관련 내용을 분석한 연구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와 초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장애관련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방법은 문헌 연구와 내용 분석으로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 12권 과 초등학교 10개 교과(생활의 길잡이, 사회과 탐구, 실험 관찰 포함)의 교과서, 16개 시ㆍ도 우리들은 1학년 16권, 통합교과(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에서 장애와 관련된 내용(장애관련 용어, 삽화, 인물, 시설, 소계 등)을 학년별, 교과별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내 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공통주제어를 추출하였다. 먼저 2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내용을 읽으면서 관련 주제어를 기록하였다. 각자 주제어를 기록한 뒤 연구자 협의를 통해 공통으로 기록한 주제어를 추출하고, 다르게 기록한 주제어는 합의를 거쳐 최종 분석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주제어는 다음 6가지이다 (1) 보조도구 및 편의시설, (2) 장애 체험 활동, (3) 장애인 묘사, (4) 직접적 정보 제공 및 접촉, (5) 개인의 차이 수용 및 인권 존중, (6) 장애 관련 인물.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와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관련 용어와 삽화, 그리고 6가지 주제로 분석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관련 용어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었으며, 그 중에는 몇 가지 수정되어야 할 용어도 있었다(예, 장애 인형, 장애 그림, 정상인, 지체부자유자). 이에 반해 초등학교 1학년 교과서에는 직접적인 장애를 지칭하는 용어는 제시되어 있지 않고, 2학년부터 장애인이라는 용어가 명시되어 있다. 체육교과의 '장애물'과 실험관찰의 '앉은뱅이 저울'과 같이 교과교육 전문가와 함께 장애 인식 개선을 위해 용어 수정을 협의해야 할 필요성도 지적되었다. 둘째, 장애관련 삽화는 지체부자유와 시각장애인이 가장 많이 묘사되어 있었으며, 이들을 도와주는 방식은 주로 휠체어 밀기, 가방 들어 주기였다. 장애아동이 또래들과 수업 및 다양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상호작용하는 모습의 삽화가 증가되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교과서에 수록된 장애인들은 주로 장애로 인해 불편한 '처지'에 놓인 것으로 묘사되었으며, 일반인들은 이들의 어려움을 이해하여 도움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 올바른 것으로 제시되어 있다. 장애인의 불편함을 이해하기 위하여 제시된 주요한 방법은 장애체험 활동이었다. 그리고 보조도구 및 편의시설의 확충을 사회복지 측면에서, 그러고 공정성의 확보 측면에서 장애인에게 제공되어야 할 중요한 지원의 하나인 것으로 명시되어 있었다. 장애를 직접적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개인의 외모, 국적, 능력, 성별에 따른 차이를 수용하고 존중해야 함을 담고 있는 내용도 제시되어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현재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와 제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는 장애관련 내용이 적지 않게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합교육이 확산되어 가는 현 시점에서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올바르지 않은 용어와 삽화, 그리고 지문의 내용은 교과서 개정 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실제 초등학교 교실 안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에서 장애이해 교육이 보다 효과적이며, 적합한 내용과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세한 지도 방법이 '교사용 지도서' 에 안내되어야 할 것이다.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is an urgent task not only for special education but also education in general. As is often suggested, teachers' and students' positive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crucial for this task. Particularly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the way the textbooks depict disabilities.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yet to be done about this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xtbook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ies. We employ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analysis as our research method. 12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kindergarten, 10 different subject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the 16 first-grade textbooks of 16 cities and states (they have the same title, 'We are first-graders," but their contents differ), and the contents of subject-integrated texts concerning disabiliti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grades and subjects. We devise six frameworks of analysis and analysis indicators are as follows: (1) assistive technology and convinience facilities (2) the simulation of disabilities (3) the description of disabilities (4) providing direct information on disabilities and direct contact with disabilities (5) the accepta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 respect for human rights (6)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summary of our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ies appear most frequently in instructional materials of kindergarten, and there are some words that need to be changed (e.g. a normal person and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It is also pointed out that word change would be considered in consultation with specific textbook specialists to foster positive perceptions about disabilities (e.g. "hindrance" in the textbook of physical education and "a crippled scale" in the textbook of experiment and observation). Second, person with visual impairment and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y appear predominantly in the illustrations depicting disabilities, and the major activities to aid these children are wheelchair-pulling and backpack-carrying. To increase illustrations that portray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actively in classroom activities as well as various non-classroom activities interacting with their peer children is required. Third, in the textbooks people with disability are mainly depicted as being put in an uncomfortable "situation," and as those who need help from others. In addition, they suggest the simulative experience of disability as the major way to understand the uncomfortable situation of disability. They also propose that the expansion of assistive technology and convinience facilities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main support for disabilities. We can find in these textbooks that although they do not refer to disability directly, there are many contents that encourage the accepta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the difference of countenance, nationality, ability, and gender). In conclusion, we find out that current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kindergarten and the elementary textbooks of 7th national curriculum contain a considerable amount of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y. We regard this as very encouraging. When the textbook is revised, our study will help to choose more proper words, illustrations, and contents. We suggest that more detailed guidelines for understanding disability which help teachers to teach appropriate contents in a more effective and perceptive way in the classrooms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should be provided.

      • 벗나무속 수종간의 핵 리보솜 DNA의 ITS Ⅰ 염기서열 비교

        오유성,김기옥,정용환,오문유,한상현,고미희 제주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1998 제주생명과학연구 Vol.1 No.-

        Comparison of four species (Prunus yedoensis, P. sargentii, P. pendula for. ascendens, P. serrulata var. quelpaertensis) and one cultivar of P. yedoensis were carried out by comparing their nucleotide sequences from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ITS) I of nuclear ribosomal DNA (rDNA). The length of the ITS I region was ranged from 229 to 236 base pairs (bp). The G+C contents of ITS I ranged from 58.5 to 60.2%. The value of nucleotide divergence across for four Prunus species and one cultivar ranged from 0.4 to 6%. The pairwise distance between P. pendula for. ascendens and P. yedoensis was 0.004 showing the lowest value among any other pairs. On the other hand, the pairwise distance betwen P. yedoensis and cultivated P. yedoensis was 0.026. The nucleotide analysis based on ITS I sequence was considerably similar to previous studies on the basis of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 심리음향모델 기반의 디지털 오디오 워터마킹 삽입

        송유수,김종환,신경욱 금오공과대학교 2005 論文集 Vol.26 No.-

        This paper describes a study on the digital watennarking algorithm which is used to confirm the copyright protection of digital audio data. The digital audio watennarking algorithm based on psychoacoustic model is used for the inaudibility of the watermark data. The psychoacoustic model is a pattern that simulates the human sound perceptional system. The psychoacoustic model which is a key algorithm in MP3 audio compression is analyzed by MATIAB simulation, and is applied to digital audio watermark system. 본 논문에서는 오디오 워터마킹기법을 연구하고 워터마킹에 사용할 심리음향모델을 분석하였다. 최근 디지털 저작권을 확인하는데 디지럴 워터마킹이 사용되고 있으며, 영상, 문서뿐만 아니라 디지털 오디오 분야에서도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디지털 오디오 분야에서의 워터마크 삽입은 워터마크의 강인성뿐만 아니라 워터마킹된 오디오의 음질에 상당한 영향을 주게 된다. 여러가지 오디오 워터마킹 기법 중에 강인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대역확산 기반의 워터마킹을 사용하였다. 워터마크의 강인성은 MP3(MPEG Audio Layer-III)에 사용히는 심리음향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음질에 영향을 주지 않고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역확산 기반 오디오 워터마킹을 위한 심리음향모델을 분석하고 MATIAB으로 모델링하여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이를 대역확산 기반 오디오 워터마크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 유·초등학생 장애이해 교육

        이유훈,권택환,김희규,유장순,최세민 국립특수교육원 2003 연구보고서 Vol.- No.1

        특수교육이 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의 특성과 요구에 부응하는 통합교육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이 없어야 한다.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부정적인 태도는 결국 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ㆍ초등학생 장애이해 교육」자료를 개발ㆍ보급하여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해소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전문가 협의회, 관련 문헌 탐색, 기존 장애이해 교육 자료 분석, 현장교사 설문 및 심층면담 등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얻은 연구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의 학교현장에서는 장애이해 교육 시간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런 현상은 교육경력이 낮은 교사일수록 또는 학교경영자와 일반교사의 이해가 부족할수록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립특수교육원이나 시ㆍ도교육청에서 장애 이해 교육에 따른 시간확보 방안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장애이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교경영자 및 일반교사의 인식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경영자와 일반교사가 특수교육과 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연수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장애이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의 양이 부족할 뿐 아니라, 기존에 개발된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많다는 점이다. 따라서 장애이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가 개발되어야 하고, 기존에 개발된 자료는 쉽게 활용될 수 있도록 종류별로 정리되어야 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장애이해 교육이 학기초나 '장애인의 날'과 같은 특정기간에 편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은 년 중 계획을 세워 일정기간 단위로 실시하여야 한다. 넷째, 장애이해 교육에 활용되는 모델이나 이해교육 방법이 주로 감각장애(시각장애ㆍ청각장애) 또는 지체부자유학생을 중심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교육현장에서는 발달장애학생도 많기 때문에 발달장애학생을 모델로 하는 장애이해 교육 프로그램이나 교수-학습방법도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다섯째, 장애이해 교육방법이 다양하지 못하다는 점이다. 장애이해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장애인의 다양한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수활동 방법 또한 이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위에서 제시한 장애이해 교육 실태를 토대로 본 연구보고서에서는 현장교사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1부, 2부로 나누어「유ㆍ초등학생 장애이해 교육자료」를 안내하였다. 제 1부 「장애이해 교육의 개관」에서는 장애이해 교육자료 개발의 필요성, 목적, 연구방법 및 절차, 장애이해 관련 제이론, 장애이해 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 개선방안 등을 기술하여 학교현장의 교사들이 장애이해 교육에 대해 보다 폭 법은 이해를 도모하도록 하였다. 제 2부 「장애이해 프로그램 및 교육자료」에서는 장애유형별 즉,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정서장애, 자폐성장애, 학습장애, 지체부자유 등으로 나누어 제시하여 교사들이 장애 이해 지도를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고, 아울러 기존에 개발된 장애이해 교육자료를 도서, 방송프로그램, 영화, 인터넷 웹사이트 등으로 분류 제시하여 학교현장에서 학생의 수준과 활동 내용에 따라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유ㆍ초등학생 장애이해 교육자료」의 한 예에 불과하다. 학교 현장의 지도 교사는 프로그램의 수준을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하여 지도할 수 있으며, 생활 주변의 다양한 소재로 프로그램의 내용을 수정 또는 대체할 수 있다. 나아가 창의적으로 새로운 상황을 전개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도 필요하겠다. 2004년에는 「중ㆍ고등학생 장애이해 교육자료」가 개발되어 학교현장에 보급될 계획이다. In order for special education to develop into an inclusive education system that meets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all children, including those who are disabled, there must be no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s against children who are physically or mentally challenged. As the biases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disabilities could eventually exert negative influences on their integration into society, these tasks must be effectively taken care of above all else. This study, with the aim of dissolv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materials for the "Education for Non-disabled Preschoolers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Understand Disabilities", has had consultations with experts, researched related books and other documents, analyzed the existing educational materials for understandi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conducted surveys on and interviews with tea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act remains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time to educate on how to understand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 the nation's schools. Such a phenomenon occurs more seriously among teachers with less educational experiences as well as school manag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without adequate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resolve this problem, either the 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or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al agencies need to provide ideas to secure time to educate the understanding of those who are challenged. In order to solve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mong school manag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various programs must be created and implemented to train the school administrators and regular teachers to exp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Second, not only is the amount of materials available for the education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sufficient, but moreover there are no systematic measures to make the most of those materials that are already developed. Therefore, diverse resources must be developed to use for educating the understanding disabilities, and already developed materials must be classified into categories for easy use along with concrete methods for utilizing such resources. Third, education for understanding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concentrated on specific periods, such as the early semester or the "Day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disabilities should be conducted in periods under an annual program. Fourth, the models or methods used to educate for understanding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centered mainly on the individuals with sensory injured (with visual or hearing impairments) or the persons with physically disabled. At educational sites, there are many children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and so educational program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to educate the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uld be modeled after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ly challenged. Fifth, the methods to educ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not diverse. For the efficient education of the understanding disabilities,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be successful in this matter, more diverse methods of teaching activities also need to be us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On the basis of the reality of developing an understanding and proper awareness of those who are disabled as presented above, this study report guides the "Education for non-disabled preschoolers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understand disabilities" in Part 1 and Part 2 for easy use by teachers on active duty. In Part 1, titled as "A General Survey of Educa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 have described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educa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s study methods and procedures, various theories on educa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of educa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improvement measures to deepen the understanding about educating the understanding disabilities by teachers on active duty. In Part 2, titled the "Programs to Educate the Understanding Disabilities and Educational Materials," I have classified types of disabilities into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mental retardation, emotional disorder, autism, learning disability and the physical impairment for easy approach to educate the understanding disabilities by teachers. At the same time, I re-categorized the already developed materials to educate the understanding disabilities into books, broadcasting programs, movies, Internet web-sites and others for diverse use at schools according to the children' levels and activities. This program is just one example of the "Education for Non-disabled Preschoolers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Understand Disabilities". I have arranged it in such a way as to allow teachers to teach the children by upgrading or downgrading the program's level as well as modifying or replacing the contents of this program by using various materials that can be obtained in everyday lives. In 2004, I am planning to develop and distribute the "Education for non-disabled Middle-and High-school Students to Understand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