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03년 국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진료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이진수,김은실,정문현,백제중,정선화,안주희,최영화,이선희,고철우,김성범,김민자,박승철,기현균,송재훈,최상호,김양수,이상오,조용균,박영훈,정숙인,김연숙,이흥범,손창희,장성희,정희진,김우주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목적 : 2002년 말 중국에서 SARS가 발생한 이후 국내에서도 2003년 10월까지 총 3명의 추정환자, 17명의 의심환자가 보고되었다. 향후 추가적인 SARS의 유행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그간의 SARS 환자 진료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준비사항, 진료 현황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더 나은 대비가 될 수 있도록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SARS로 의심되는 환자를 진료 경험이 있는 병원의료진을 대상으로 2003년 10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SARS 환자 진료 시의 실질적인 조치, 진료 현황, 병실, 응급실 및 외래에서의 격리 시설과 준비사항, 보건당국의 관리와 지원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였다. 결과 : 대상이 되는 22개 병원 중 17개(17/22, 77.2%) 병원이 설문에 응하였다. SARS 환자를 위한 격리실은 응급실, 외래, 일반병실 및 중환자실에서 각각 9개(9/17, 52.9%), 5개(5/17, 29.4%), 15개(15/16, 93.7%), 4개(4/16, 25%) 병원에서 음압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일인실 혹은 다인실이 사용되었고, 1개(1/16, 6.3%) 병원에서만 일반병실에서 음압격리실이 운영되었다. 입원환자의 진찰 시 개인보호구의 착용은 거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이루어졌다. 보건당국에서 SARS지정병원의 시설 등을 사전에 확인한 곳은 1곳(1/12, 8.3%)이였고, 14개 병원(14/15, 93.3%)에서는 보건당국에 의뢰한 검사결과를 통하 받지 못하였다. 결론 : 의료기관에서 SARS 환자용 격리실뿐만 아니라 기존의 격리실 설비 등이 미흡하였으며, 특히 중환자실 및 외래의 준비가 더욱 부족하였다. 보건당국의 의료기관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이 부족하였고, 병원과의 원활한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SARS 만이 아닌 격리를 필요로 하는 질환의 적절한 진료를 위해 향후 병원 시설의 정비와 정부차원에서의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Background : There was an worldwide outbreak of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originated from China in late 2002. During that period three cases of suspected SARS and 17 cases of probable SARS were reported in Korea. With the concerns about the reemergence of SARS-coV transmission, it is important to be prepared for any possibility. So,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is the past measures in managing SARS and propose the amendatory plans to improve the preparedness. Materials & Methods :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clinicians with any experience in managing the probable or suspected SARS cases in Oct. 2003. 17 out of 22 hospita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contents in the questionnaire were practical activities, personal equipments, response plans, isolation facilitie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and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sults : The dedicated isolation room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were prepared in 9 (9/17, 52.9%), 5 (5/17, 29.4%), 15 (15/16, 93.7%), and 4 (4/16, 25.0%) hospitals, respectively. Except for one hospital that newly made negative pressure room for SARS, single or multi-bed rooms without airborne infection control were used in all the other hospitals. The personal precaution principles were kept quite well in general wards. Before the designation of SARS hospital by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prior evalution to see if the hospital was suitable for managing SARS was conducted in only 1 (1/12, 8.3%) hospital. The results of laboratory diagnosis were reported back in 1 (1/15, 6.6%) hospital. Conclusions : The isolation facilities which can control airborne infection were almost deficient not only for SARS but also for other respiratory transmissible diseases. For the infection control of transmissible diseases including SARS, more investment is needed on medical facilities and comprehensive support from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quired.

      • KCI등재후보

        폐렴구균 감염증에서 항생제 내성의 임상적 의미 : Asian Network for Surveillance of Resistant Pathogens(ANSORP) Study

        정숙인,기현균,손준성,고관수,김나영,장현하,오원섭,백경란,이남용,김신우,이혁,--,송재훈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5

        목적 : 전 세계적으로 폐렴구균의 페니실린을 포함한 β-lactam과 마크로라이드 및 퀴놀론 계열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급격히 증가하여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으나, 시험관내 내성이 실제 임상적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폐렴구균의 항생제 내성률이 높은 아시아 지역에서 항생제 내성이 폐렴구균 감염증의 임상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 ANSORP에서 주관한 전향적 임상 연구로서 1999년 11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아시아 지역 11개국의 14개 기관에서 진단된 침습성 폐럼구균 감염증 환자를 대상으로 내성 균주 감염의 위험요인, 임상양상, 예후 등의 임상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총 646명 환자의 평균연령은 30.1세(6일-89세)였고, 이전 3개월 내에 항생제 사용력이 있는 환자는 159명(32.4%)이었다. 질환별로는 폐렴이 377예(58.4%)로 가장 많았고, 중이염 67예, 뇌수막염 66예(10.2%), 일차성 균혈증 65예(10.1%)였다. 총 646균주 중 347균주(53.7%)가 페니실린 비감수성(중등도 내성 23.1%, 고도 내성 23.1%)이었고, 페니실린에 대한 MIC_(90)은 0.03㎍/mL에서 4㎍/mL까지의 분포를 보였다. 페니실린 비감수성 균주에 의한 감염증과 차이가 없었다. 페니실린 내성 폐렴구균 폐렴에 의한 사망률은 페니실린 감수성 폐렴구균 폐렴에 의한 사망률과 차이가 없었다(p=0.846). Erythromycin에 대한 고도 내성을 보이는 균주의 비율이 매우 높았으나, 실제 임상상이나 치사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92). 페니실린 비감수성 폐렴구균에 의한 뇌수막염의 치사률도 감수성 균주에 의한 사망률과 차이가 없었다(p=0.059).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페니실린 및 베타 락탐 제제에 대한 시험관 내성은 폐렴구균 폐렴이나 뇌수막염의 임상상이나 치사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내성의 정도와 연관될 것으로 생각되므로, 향후 고도 내성 균주가 증가할 때 추가 검증을 요한다. 아울러 macrolide 및 퀴놀론계 항생제 내성의 임상적 의미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Despite the widespread emergence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mong pneumococcal strains worldwide, clinical implications of in vitro resistance still remain an open question. To evaluate the clinical impact of pneumococcal resistance in Asian countries where the prevalence of pneumococcal resistance was reported to be highest in the world, ANSORP has performed a prospective, multinational surveillance study with cases with invasive pneumococcal diseases in Asian countries. Methods : In vitro susceptibility of pneumococcal isolates was determined by broth microdilution tests with 16 antimicrobial agents. All enrolled cases of pneumococcal infections were analyzed with regard to demographic data, clinical features, risk factors and mortality. Results : A total of 646 patients with pneumococcal infections were enrolled from 14 centers in 12 countries between the period from November 1999 to August 2001. Pneumonia (58.4%) was the most common clinical disease followed by bacteremia (33.4%), otitis media (10.4%), and meningitis (10.2%). Among 646 isolates, 347 (53.7%) were penicillin non-susceptible (intermediate 23.1%, resistant 30.7%). MIG_(90)s for penicillin ranged from 0.03 (India) to 4.0 ㎍/mL (Korea, Taiwan, Vietnam, and Hong Kong). Overall mortality from pneumococcal diseases by penicillin non-susceptible strains was not different from that by susceptible strains. Pneumococcal pneumonia caused by penicillin- or erythromycin-resistant strains showed similar mortality, severity of illness, or complications to that by susceptible strains. Mortality from pneumococcal meningitis caused by penicillin non-susceptible strains was also similar to that by susceptible strains. Conclusion : Data suggest that current situation of in vitro resistance to penicillin or macrolides may not affect the mortality from pneumococal pneumonia or meningitis caused by antibiotic-resistant strains.

      • KCI등재후보

        국내 5개 3차 병원의 β-lactam계 항생제 사용 실태 및 Klebsiella pneumoniae의 항생제 내성과의 상관 관계

        정숙인,박경화,권기태,고관수,오원섭,정두련,백경란,염준섭,장현하,김신우,손준성,송재훈 대한감염학회 2007 감염과 화학요법 Vol.39 No.4

        Background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rescribing pattern of β-lactam antibiot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antimicrobial use in 5 tertiary care hospitals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 Data on annual patient-days and annual consumption (defined daily dose (DDD) per 100 patient-days) of β-lactam antibiotics from 2003 to 2005 in 5 tertiary hospital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in K. pneumoniae, broth microdilution test and double disk synergy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LSI performance standards. Spearman's correlation coeffient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biotic consumption and resistance. Results : The prescription of β-lactam antibiotics in 5 tertiary hospitals markedly varied. In two hospitals, increase in consumption of β-lactam antibiotics was more than 30% during recent 3 years. The higher consumption of β-lactam antibiotic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higher rate of antibiotic-resistant K. pneumoniae in 5 tertiary care hospitals. Conclusion : Continuous surveillance of antibiotic use is needed to encourage appropriate prescribing of antibiotics and to reduce antibiotic resistance. 목적 :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인한 내성균의 발현 및 급속한 확산이 전세계적으로 문제시 되고 있다. 특히 병원은 항생제 내성의 중심점에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간 국내 5개 3차 병원의 β-lactam계 항생제의 사용량을 조사하고, 각 병원별 항생제 사용량과 K. pneumoniae의 항생제 내성률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국내 5개 3차 병원에서 2003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병원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연도별 재원연인원수와 각 β-lactam계 항생제의 총사용량을 수집하여 DDD (defined daily dose) per 100 patient-days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2005년 6월부터 8월까지 각 병원의 임상검체에서 동정된 K. pneumoniae를 수집하여 액체배지미량희석법으로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였고 ESBL(extended-spectrum β-lactamase) 생성 여부는 double disk synergy test를 시행하였다. 항생제 사용량과 내성의 상관관계는 Spearman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5개 병원 중 3개 병원에서는 연도별 β-lactam계 항생제 사용량이 비슷하게 유지되었으나, 2개 병원에서는 2003년에 비해 2005년에 항생제 사용량이 30% 이상 증가하였다. β-lactam계 항생제 중 제제별 비율은 각 병원마다 차이가 있었으나, 3세대 cephaosporin의 사용이 가장 많았고 2세대 ceaphlosporin, β-lactam/β-lactamase inhibitor, 1세대 cephalosporin 순이었다. 경구용 β-1actam계 항생제의 사용량(r=0.900, P<0.037)과 2세대 cephalosporin의 사용량(r=0.900, P<0.037)은 각각 K. pneumoniae의 ESBL 생성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Ceftazidime의 사용량은 K. pneumoniae의 ceftazidime 내성률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900, P<0.037). 반면 imipenem의 사용량은 piperacillin/tazobactam 내성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900, P<0.037). 결론 : 최근 3개년간 항생제 사용량은 병원별로 차이가 있으나 일부 병원에서는 증가하였다. β-lactam계 항생제의 사용량은 K. pneumoniae의 항생제 내성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항생제 사용을 줄임으로써 항생제 내성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병원별로 항생제 사용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할 것이다.

      • 토끼 수막염 모델을 이용한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대한 Meropenem의 치료 효과

        김신우,진정화,강수정,정숙인,김연숙,기현균,김춘관,이혁,김성민,백경란,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1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9 No.1

        목적 :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의한 수막염은 기존과 단일 항생제로는 근치가 어려워 ceftriaxone과 vancomycin 혹은 rifampin의 병용요법이 권유되고 있다.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약제 중 meropenem은 시험관내 폐렴구균에 대한 항균력이 좋고 경련 등의 중추신경계 부작용이 거의 없어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의한 수막염의 치료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나 이에 대한 자료가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연자 등은 meropenem과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이 다제내성 폐렴구균 수막염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를 토끼 수막염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 인체에서 수막염을 일으킨 다제내성 폐렴구균 균주(penicillin MIC 2, ceftriaxone MIC 4, meropenem MIC 0.5㎍/㎖)를 토끼 척수강 내에 직접 주입하여 수막염을 유발한 후 ceftriaxone, vancomycin, rifampin, meropenem의 단일 항균요법, ceftriaxone+vancomycin, ceftriaxone+rifampin,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 간에 치료 효과의 차이를 비교 하였다. 각 치료군은 6 마리의 토끼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의 항생제는 5 시간 간격으로 2번 정주하였으며, ceftriaxone은 1회 투여하였다. 균주 주입 후 각 치료군이 토끼에서 치료 후 0, 5, 10, 24 시간에 척수액을 채취하여 균주의 수를 측정하여 24시간째의 살균 여부를 최종 치료 효과로 판정하였다. 결과 : meropenem 단독 요법은 10시간째에 모든 균주를 살균하였으나 24시간 째에 다시 균의 성장이 관찰되었으며,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은 단독 약제보다 우수한 살균효과를 보였으나 상승작용은 없었다. 결론 :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은 기존의 ceftriaxone+vancomycin보다 24시간째에 더 큰 균의 감소 경향을 보여(P=0.054) 임상에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실제 수막염 환자에서의 임상효과를 증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Because antimicrobial monotherapy for pneumococcal meningitis caused by penicillin-resistant strains is not satisfactory, ceftriaxone+vancomycin [C+V] or ceftriaxone+rifampin [C+R] regimens are recommended. Meropenern [M] is one of the monotherapy options for penicillin-resistant pneumococcal meningitis due to good in-vitro activity against pneumococci and rare adverse reactions in CNS. But there have been few reports in the efficacy of meropenern against pneumococcal meningitis. We evaluated therapeutic efficacy of the meropenern and meropenem+vancomycin in a rabbit model of meningitis caused by penicillin-resistant S. pneumoniae (PRSP). Methods : Meningitis was induced by intracistemal inoculation of a pneumococcal strain isolated from a patient with meningitis (MIC; penicillin 2, ceftriaxone 4, meropenem 0.5 g/㎖). Bacterial concentrations in the CSF were measured at 0, 5, 10, and 24 h after therapy was started. Therapeutic efficacy was evaluated by the final bacterial concentration in the CSF at 24 h. Results : C+V cleared the CSF at 10 h, but regrowth of bacteria was noted at 24 h. Meropenem monotherapy resulted in sterilization at 10 h but regrowth at 24 h. M+V was superior to M or V monotherapy but did not show synergism. Therapeutic efficacy of M+V was at least equal or superior to that of C+V (P = 0.054). Conclusion : Meropenem+vancomycin regimen could be one of the useful options in the treatment of PRSP meningitis. Clinical trials to evaluate the M or M +V are warranted in the future.

      • 폐렴구균의 용혈능 변화와 pneumolysin 유전자의 변이 양상

        오원섭,장현하,정숙인,김연숙,이혁,김신우,김성민,백경란,이남용,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2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20 No.3

        목적 : 폐렴구균은 인체에서 폐렴, 수막염 및 패혈증 등을 일으키는 중요한 병원균으로 현재 전 세계적으로 항균제 내성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하지만 폐렴구균의 항균제 내성에 따라 병독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기능적 및 구조적 분석을 통하여 폐렴구균의 주요 병독성 인자인 pneumolysin의 병인론적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 페니실링 감수성 균주 20주와 내성 균주 20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Pneumolysin의 세포 독성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각각의 균주들의 용혈능을 측정하였고, pneumolysin 유전자를 중합효소 연쇄반응으로 증폭한 후 증폭 산물의 유전자 구조를 분석하였다. 결과 : 페니실린 감수성 균주와 내성 균주간의 용혈능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일부 용혈능이 매우 낮은 균주에서 Lys152→Thr, Thr-172→Ile, Lys-224→Arg와 같은 변이가 관찰되었다. 결론: pneumolysin의 세포 독성의 변화는 항균제 내성 정도와는 무관하였으나, 일부 용혈능이 저하된 균주에서 발견된 pneumolysin 유전자의 변이가 pneumolysin의 세포 독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 Pnumolysin (Pl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virulence factors of Streptococcus pneumoniae.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and structural variation of Ply, hemolytic activity (HA) and gene sequences of pneumolvsin were determined. Methods : A total of 40 invasive pneumococcal isolated (20 penicillin-susceptible & 20-resistant strains) were analyzed. HA of each isolate was measured in crude extracts (1×10^8 CFU/mL) hourly from the time of inoculation to 9h. Crude extracts (50㎕) and DTT buffer (100㎕) were serially diluted in 96-well plate and mixed with 1% sheep blood (50㎕). HA was represented as the reciprocal of the greatest dilution, which resulted in the complete lysis. Two sets of oligonucleotide primers were used to amplify a 1,474-bp fragment containing the coding region and a 578-bp fragment of upstream region of ply gene, respectively. Amplified products were directly sequenced. Results : HA showed a wide variation from 0 to 87,480 regardiess of penicillin MICs, serotypes or specimen sources. Two bacteremic strains showed completely no hemolytic activity.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 between penicillin-susceptible (Mean± SE : 15,468± 4,693) and penicillin-resistant strains (21,384± 4,087) were found (p > 0.05).Sequencing of the coding region showed unique alterations in amino acids in strains with markedly reduced hemolytic activity (≤ 40): Thr-172-Ile and Lys-224-Arg. However, upstream region of ply gene was highly conserved. Conclusions : Ply activity was not related with antibiotic resistance. Absence of HA in some strains was associated with unique alterations in amino acid sequences in ply gene. Relationnship between genomic alteration and functional changes in pneumolysin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 뇌혈관질환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에서 지속적 혈당측정의 유용성 평가

        정성훈,강인구,박철영,류미숙,우정택,김성운,김진우,김영설 대한당뇨병학회 2002 임상당뇨병 Vol.3 No.2

        연구배경: 뇌혈관질환을 동반한 고령의 당뇨병환자는 이들의 신경학적 결손으로 경고 증상없이 심한 저혈당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하루 4번 정도의 자가 혈당 측정으로는 이를 감지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검사에 따른 고통으로 적극적인 혈당 조절에 제한이 따르게 된다. 이에 저자들은 Mini Med사의 지속적 혈당측정기(CGMS,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를 이용하여 뇌혈관질환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에서 24시간 혈당의 변동양상을 알아보고 각기 다른 인슐린 치료방침에 따른 혈당조절의 효율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 1월부터 6월까지 경희대학교 부속병원에 입원해 있는 10명의 뇌혈관질환을 동반한 제 2형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들은 모두 튜브식이를 받고 있엇고 최소 1개월 이상 인슐린 치료를 시행 받았다. 지속적 혈당측정기를 착용하고 3일간의 연속적인 혈당을 측정하였고, 치료 첫 날은 NPH, 둘째 날은 속효성 인슐린과 NPH, 마지막 날은 혼합형 인슐린제제로 치료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이들 각기 다른 인슐린 제재의 하루 총량에 차이는 없었다. 혈당치가 3.3mmol/L 미만이거나 7.8mmol/L를 초과하는 경우 그 차이값의 총합을 시간으로 나누어 이 값(△Glu)이 적을수록 치료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또한 당 수치가 3.3mmol/L 미만인 경우를 저혈당 event, 16.7mmol/L 초과한 경우를 고혈당 event로 임의로 정의하였고, 이를 통해 지속적 혈당측정의 유용성을 간접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결과: 평균 △Glu값은 첫째 날이 0.93 ± 0.43mmol/Lㆍmin?¹, 둘째날이 0.71 ± 0.29mmol/Lㆍmin?¹ 마지막 날이 0.58 ± 0.29mmol/Lㆍmin?¹로서 서로 다른 3가지 치료방침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15). 10명의 환자들 중 자가 혈당측정기로는 1명에서 저혈당 event, 2명에서 고혈당 event를 인지하였으나 지속적 혈당측정기로는 각각 9명에서 event를 확인하였다. 결론: 지속적 혈당측정기를 이용한 각각의 인슐린 치료방침에 따른 혈당조절 효율성의 차이는 없었으나, 자가혈당 측정기로는 알 수 없었던 일 중 혈당 변동사항을 정확하게 알 수 있어, 뇌혈관질환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에서 보다 적극적인 인슐린 치료 및 관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Diabetic stroke patients are susceptible to hypoglycemia. However,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detecting hypoglycemic events, even though glucoses levels are checked 3 to 4 times per day using the fingerstick method.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glycemic excursions and pattern in diabetic stroke patients using the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CGMS, MiniMed) and its clinical utility. The other objective was to compare the treatment dfficacy between insulin regimens. Methods: From jan 2001 to jun 2001, 10 adult type 2 diabetic stroke patients wore CGMS for consecutive 3 days, which continuously checked the glucose level. NPH insulin, multiple daily injection of regular insulin ± NPH and the mixed type(Novolet 30/70, Novo Nordisk) were used 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days of the study, respectively. If the mean delta glucose(△Glu = A+B/time, A=∑(hlucose-7.8), glucose > 7.8 mmol/l, B=∑(3.3-glucose) if, glucose < 3.3 mmol/l) was calculated in order to recognize the degree of individual glycemic changes and to compare the efficacy of each treatment diverse insulin regimen. We arbitrarily defined a glucose level less than 3.3mmol/l, as a hypoglycemic event, and more than 16.7mmol/l as a hyperglycemic event. Results: Variable patterns of glycemic changes were observed among patients with the same dosage, but a different insulin regimen. The mean △Glu was 0.93±0.43 on the first day, 0.71±0.29 on the second day and 0.58±0.29 on the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reatment efficacy between the 3 different insulin modalities(p=0.115). Of the 10 patients, a hypoglycemic event was detected in 1 with the fingerstick method, in contrast to 9 with CGMS, with hyperglycemic events being detedted in 2 and 9, respectively. Conclusion: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maybe useful in providing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optimal glycemic control in the diabetic stroke patients.

      • 수종의 식물섬유의 급이가 고콜레스테롤 혈증 흰쥐의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 1.간장의 지질성분 및 지방산 조성 Lipid Compon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liver

        이호신,서인숙,김우준 麗水水産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5 産業基術硏究所 論文集 Vol.4 No.-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the effects of feeding dietary fiber on the improvement of the lipids and the fatty acid metabolism in liver in dietary hypercholesterolemic rats. Experimental groups with 5% level of cellulose(A group as control group), chinese cabbage root(B group), tora stalk(C group) and sweet potato stalk(D group) were adminstered to the male rats of the Sprague-Dawley for 4 weeks. The results obtaind are as follows.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phospholipid in live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all experimental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particularly, the lowest in the B group. Concentrations of free cholesterol and cholesteryl ester in liver were lower in the B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otal lipid, phospholipid, triglyceride and cholesteryl ester in liver, oleic acid in the MUFA was major fatty acid. From the above result, the feeding of chinese root was effective on the improvment of the lipid composition in liver.

      • KCI등재

        Developing Core Elements and Checklist Items for Implementing Antimicrobial Stewardship Programs in Korean General Hospitals: A Modified Delphi Survey

        Cheong Hae Suk,Park Kyung-Hwa,Kim Bongyoung,Eun Byung Wook,Kim Hyung-Sook,Kim Yong Chan,Lee Hyukmin,Jeong Su Jin,Moon Chisook,Kim Shin-Woo,Yoon Young Kyung,Hwang In Sun,Park Choon-Seon,Lee Mi Suk,Kim 대한감염학회 2023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55 No.1

        Background: Antimicrobial stewardship programs (ASPs) aim to optimize antimicrobial use by minimizing the spread of antimicrobial resistance. The core elements for implementing ASPs in healthcare facilities have been develop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research group and government agencies of various countries. However, to date, there is no documented core elements for implementation of ASP in Korea. This survey aimed to establish a national consensus on a set of core elements and their related checklist items for the implementation of ASPs in Korean general hospitals. Materials and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2022 to August 2022 by the Korean Society for Antimicrobial Therapy with support from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by searching Medline and relevant websites to retrieve a list of core elements and checklist items. These core elements and checklist items were evaluated by a multidisciplinary panel of experts using a structured modified Delphi consensus procedure, using two-step survey included online in-depth questionnaires and in-person meeting. Results: The literature review identified 6 core elements (Leadership commitment, Operating system, Action, Tracking, Reporting, and Education) and 37 related checklist items. Fifteen experts participated in the consensus procedures. Ultimately, all 6 core elements were retained, and 28 checklist items were proposed, all with ≥80% agreement; in addition 9 items were merged into 2 items, 2 items were deleted, and 15 items were rephrased. Conclusion: This Delphi survey provides useful indicators for the implementation of ASP in Korea and suggests national policy improvement about the barriers (e.g., shortage of staffing and financial support) existing in Korea for optimal implementation of ASPs.

      • 췌장염을 일으킨 췌조직내 Protein Methylases 활성도 변화

        이향우,김인숙 成均館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1986 論文集 Vol.37 No.2

        It has been known for sometime that in the acute pancreatitis the activity of serum amylase is increased in comparision to that of the normal. The increased activity of serum amylase is one of the indications of pancreatitis. The biochemical mechanism of the causes of the disease is not clear yet at the present time. Also, the mechanism of pancreatic secretion is not known. However, there are many reports that suggest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in methylation and pancreatic secretion. Strittmatter, et al. reported that in parotid gland ,β-adrenergic agent stimulated the activity of carboxymethylase as well as the secretion of amylase. Povilaitis et, al. reported that CCK-PZ and carbachol exhibited the stimulation of protein carhoxylase activity.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in methylation and pancreatic secretion, the activities of protein methylase I, Ⅱ, and Ⅲ were determined in the tissues of pancreatitis animals treated with saline, alcohol, and bile juice. The results were as the followings. 1. The serum amylase activ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cute experimental pancreatic rats. 2. In the case of protein methylases, the activities of protein methylase I and Ⅱ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tissues of rats induced acute pancreatitis by bile juice and sodium taurocholate. But the activity of protein methylase Ⅲ was not affected by the ag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