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류마티스 관절염환자의 건강상태와 자기효능, 강인성, 가족지지 및 통증과의 관련성

        백광미,심승철,김종임 대한류마티스 건강전문학회 2000 근관절건강학회지 Vol.7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several variables such as health status, self-efficacy, health related hardiness, family support and pain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The subjects were 108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who visited the out patient department of Rheumatism at E university hospital in Teajon.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from November 26, 1999 to January 14, 2000.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ere health status developed by Bae et at(1998), self-efficacy scale developed by KRHPS, health related hardiness modified by Suh(1988), family support scale developed by Kang(1984), Pain with graphic rating scal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Win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variables such as health status, self-efficacy, health related hardiness and family support respectively. 2.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between clinical characteristic and variables such as health status, self-efficacy, health related hardiness and family support respectively. 3.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health status and self-efficacy, self- efficacy and hardiness, hardiness and family support, health status and pain, self-efficacy and pain respectively(P<0.01), and health status and hardiness,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hardiness and pain respectively(P<0.05). 4.Self-efficacy and pain were significant affecting factors of a health status. I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nursing intervention to increase self-efficacy and to reduce pain was very important for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 배추좀나방의 유충 기생봉 프루텔고치벌의 기생특성

        오미록,김상수,박종대,백종철,김도익 順天大學校 1997 論文集 Vol.16 No.1

        배추좀나방의 유충 기생봉인 프루텔고치벌의 기생특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프루텔고치벌은 배추좀나방 유충의 모든 영기에 기생하였으나, 주로 2령과 3령충을 선호하였다. 온도별 프루텔고치벌은 배추좀나방 유충에 대한 기생율은 18, 20, 25, 30℃에서 각각 41.9, 66.0, 86.0, 68.7%였다. 프루텔고치벌은 배추좀나방 유충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생수는 증가하나 그 증가율은 감소하는 Holling의 제2형(포화형) 기능반응을 나타내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arasitic characteristics of Cotesia plutellae Kurdjumov, a larval parasitoid of Plutella xylostella L. Although C. plutellae parasitized all 4 instars of P. xylostella, it parasitized mainly the second and third instars. Parasitisms of C. plutellae at different temperatures were 41.9, 66.0, 86.0, and 68.7% at 18, 20, 25, and 30℃, respectively. The parasitic response curve of C. plutellae to the host density indicated Holling' type Ⅱ(saturation type) functional response: the parasitism of host by C. plutellae increased with the host density but the parasitic rate decreased.

      • 배추좀나방과 프루텔고치벌에 대한 살충제의 독성비교

        오미록,김상수,박종대,김도익,백종철 順天大學校 1997 論文集 Vol.16 No.1

        배추좀나방과 유충기생봉인 프루텔고치벌에 대한 살충제의 독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프루텔고치벌에 기생당한 배추좀나방의 유충은 fenvalerate, pyraclofos, spinosad와 chlorfluazuron의 충체침지 또는 엽침지시에 정상유충보다 현저히 감수성이 높았다. 그러나 Bacillus thuringiensis는 엽침지시에만 기생당한 유충에 독성이 약간 강하였다. Fenvalerate, pyraclofos와 spinosad의 잔류독은 배추좀나방 성충보다 프루텔고치벌 성충에 훨씬 독성이 강하였다. 그러나 chlorfluazuron과 B. thuringiensis의 경우는 두 종의 성충에 모두 별 영향이 없었다. 따라서 B. thuringiensis는 배추좀나방의 종합관리에서 프루텔고치벌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relative toxicity of some insecticides to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and larval parasitoid, Cotesia plutellae was evaluated. Diamondback moth larvae parasitized by C. plutellae were significantly more sensitive to fenvalerate, pyraclofos, spinosad and chlorfluazuron than nonparasitized larvae through direct dip- or leaf dip assay. However, Bacillus thuringiensis was slightly more toxic to parasitized larvae through direct dip bioassay. The residual toxicity of fenvalerate, pyraclofos and spinosad was significantly more toxic to C. plutellae adults than to P. xylostella adults. However, chlorfluazuron and B. thuringiensis have no serious effect to adults of C. plutellae and P. xylostella. These results suggest that B. thuringiensis could be used in integrated management of P. xylostella without direct effect on C. plutellae.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Key to Genera and Species of Aphidiidae(Hymenopera) in Korea

        Paik, Jong-Cheol 한국곤충학회 1975 Korean journal of entomology Vol.5 No.1

        한국산 진디벌에 관해서는 1967년 P. Stary와 E.I. Schlinger에 의하여 처음으로 17종이 기록되었을 뿐이다. 필자는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백운하 교수의 채집품과 1973-1974년 채집한 표본을 정리한 결과 6종의 한국 미기록종을 추가 기재하는 동시에 참고로 속과 종의 검색표를 읽었다.

      • 한국산 민좀벌아과 (벌목 : 좀벌과)

        Jong Cheol PAIK 한국응용곤충학회 1991 INSECTA KOREANA Vol.8 No.-

        한국산 조벌아과를 정리한 결과 총 26종이 분류. 동정되었으며 이중 8종은 한국 미기록종이었다. 또한 Pleurotropis simiolus Takahashi, 1932는 Pediobius foveolatus(Crawford, 1912)의 synonym 으로 처리하였다. Twenty-six species of Entedoninae are reported, of which eight are new to Korea. One new specific synonymy is proposed: Pleurotropis simiolus Takahashi, 1932, syn. nov. of Pediobius foveolatus (Crawford, 1912).

      • Some Carabid-beetles (Coleoptera : Carabidae) from Korea

        Paik, Jong Cheol 順天大學校 農業科學硏究所 1988 農業科學硏究 Vol.2 No.-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딱정벌레과 미기록 4종 - Bradycellus laeticolor Bates(노란목좁쌀먼지벌레: 신칭), Lebidia bioculata Morawitz(쌍점밑빠진먼지벌레:신칭), Parena latecincta <Bates> (줄납작밑빠진먼지벌레:신칭), Stenolophus connotatus Bates(흑가슴좁쌀먼지벌레:신칭)-을 보고한다. 우리말 이름이 없는 다른 종들은 새로이 명명하였다. Four species of carabid-beetles, Bradycellus laeticolor Bates, Lebidia binoculate Morawitz, Parena latecincta (Bates) and Stenolophus connotatus Bates, are new to Korea.

      • 한국산 좀벌아과의 분류(벌과: 좀벌과)

        Jong Cheol Paik 한국응용곤충학회 1990 INSECTA KOREANA Vol.7 No.-

        한국산 좀벌아과의 정리결과 총 39종이 분류.동정되었으며 이중 16종은 한국 미기록종이었다. 또한 Elachertus tabashii Nakayama, 1938은 노랑좀벌 <Stenomesius japonicus <Ashmead, 1904>>의 synonym으로 처리하였다. In this study on Korean Eulophinae, a total of 39 species is reported. Among them, 16 species a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One new specific synonymy is proposed: elachertus tabashii Nakayama, 1938, syn. nov. of Stenomesius japonicus (Ashmead, 1904).

      • On Some Unrecorded Aphidiid Wasps in Korea (Aphidiidae:Hymenoptera)

        Paik, Jong-Cheol 한국곤충학회 1976 Korean journal of entomology Vol.6 No.1

        한국산 진디벌에 관해서는 Stary와 Schlinger(1967)에 의하여 처음으로 17종이 기록되었으며 이어 필자(1975)에 의하여 6종의 미기록종이 발표되었다. 그 후 계속 채집 조사한 결과 새로이 19종의 미기록종이 발견되었으므로 종명이 결정된 13종과 종명은 미정이지만 분명히 미기록인 4종과 신종 1종을 기재하는 바이다. 이로써 한국산 진디벌은 15속 42종이 되었다.

      • 한국산 민좀벌아과의 분류 II(벌목 : 좀벌과)

        Jong-Cheol PAIK 한국응용곤충학회 1992 INSECTA KOREANA Vol.9 No.-

        한국산 민좀벌아과의 정리한 결과 총 22종이 분류 동정되었다. 이중 1신종, 수도꼬마민좀벌(Chrysonotomyia sudoensis n. sp.)을 기재, 보고하며 13종을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Twenty-seven species of Entedoninae are reported, of which a new species, Chrysonotomyia sudoensis n. sp., is described and thirteen species are now to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