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아치과 역할극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와 성취도

        김민진,송지수,신터전,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현홍근,Kim, Min Jin,Song, Ji-Soo,Shin, Teo Jeon,Kim, Young-Jae,Kim, Jung-Wook,Jang, Ki-Taeg,Lee, Sang-Hoon,Hyun, Hong-Keun 대한소아치과학회 201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5 No.3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arning with role-playing on student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regarding behavior management teaching in pediatric dentistry. 93 students were divided into 19 groups and randomly assigned to role-play as a doctor, patient, parent, assistant, or narrator. Their performances were evaluated by the instructor and the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All participants took the written test and were asked to compare lecture and role-playing with regard to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Mann-Whitney U test, Independent T-test, and Kruskal-Wallis test. 68 students (73.1%) who believed that the role-playing was more helpful than lecture showed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than students who believed lecture was more helpful.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tutor evaluation score and the written test scores. Participants in the patient management scenario showed higher level of descriptive question scores of the written test and tutor evaluation score than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parent management scenario.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role groups. Role-playing may help students to become more interested and participatory in learning behavior management. The level of satisfaction may differ by the design and content of the scenario. 이 연구는 소아치과 행동조절 영역에서 역할극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만족도와 성취도를 분석하여 역할극 수업의 효용성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93명의 학생은 19조로 나누어져 의사, 환자, 해설자, 보호자, 진료 보조자군으로 역할이 무작위적으로 배분되었다. 역할극 후, 역할극 수행점수가 부여되었으며, 학생들은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모든 학생들은 지필고사에 응시하였으며, 강의와 역할극 중 효과적이었던 수업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결과는 Mann-Whitney U test, Independent T-test, Kruskal-Wallis test로 분석되었다. 역할극이 행동조절 영역의 지식습득에 효과적이었다고 평가한 68명(73.1%)의 학생들은 강의 선택군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역할극 수행점수와 지필고사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환자 관련 시나리오에 참여한 학생들은 보호자 관련 시나리오 학생보다 지필고사 서술형영역과 역할극 수행점수에서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 역할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역할극에 대한 만족도는 구성 및 참여한 시나리오의 성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원심식 압축기 구동용 모터 베이스 프레임의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구조안전성 평가

        김민진,이재훈,한정삼,Kim, Min-Jin,Lee, Jae-Hoon,Han, Jeong-Sam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6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9 No.1

        본 논문에서는 원심식 대형 압축기 구동용 모터 베이스 프레임의 구조해석 및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구조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먼저 모터 베이스 프레임에 적용되는 네 가지 하중조건에 따른 구조해석을 진행하고 최대 비틀림 에너지 이론 및 Mohr-Coulomb 이론을 통하여 구조안전성을 평가하였다. 구조해석 결과에서 취약한 구조안전성을 나타낸 연결부 등의 불연속적인 부분에서 발생하는 국부응력에 대하여 ASME VIII Div. 2에 따른 구조안전성 평가를 적용함으로써 좀 더 합리적으로 구조안전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었다. 또한, 모터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및 미타설에 따른 구조해석 및 ASME 구조안전성 평가를 통하여 모터 베이스 프레임의 구조안전성을 정량적으로 비교하여 콘크리트 타설로 인한 구조 안전성의 향상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perform structural analysis for a base frame which is used to support a motor for large centrifugal compressor drives and a safety assessment according to the concrete placement. First, the structural analysis about four loading conditions for the motor base frame was conducted and the structural safety was evaluated through both the maximum distortion energy theory and Mohr-Coulomb theory. It was possible to perform a more reasonable safety evaluation against local stresses occurring at the discontinuous portion of the fragile structural members by applying the safety assessment through ASME VIII Div. 2. In addition, the motor base frames with and without the internal concrete placement were quantitatively compared by the structural analysis and safety evaluation using ASME code and it was found to improve the structural integrity due to the concrete placement.

      • KCI등재후보

        열공망막박리에서 유리체절제술 시 동반된 360도 안내레이저와 공막두르기술의 장기 임상 성적

        김민진(Min Jin Kim),이성진(Sung Jin Lee),최경식(Kyung Seek Choi) 대한검안학회 2021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Vol.20 No.4

        목적: 열공망막박리에서 일차 수술로 유리체절제술 시행 시 동반된 360° 안내레이저와 공막두르기술의 장기 임상 성적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5년부터 2019년까지 비합병성 열공망막박리로 수술을 시행한 70명 70안을 유리체절제술과 술 중 예방적인 360°로 안내레이저를 시행한 360° laserpexy (LP)군(34안)과 유리체절제술과 공막두르기술을 시행한 scleral encircling (SE)군(36안)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일차 수술 성공률, 최종 수술 후 성공률, 기능적 성공률, 수술 후 최대교정시력, 합병증 발생률, 수술 전후의 안축장 길이, 각막곡률, 굴절 이상의 장기 변화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일차 수술 성공률은 그룹 1은 97.05%, 그룹 2는 94.44%로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592). 기능적 성공률(최종 방문 시 최대교정시력 20/40 이상)은 LP군은 82.35%, SE군은 77.78%였다(p=0.635). 망막박리의 재발은 LP군에서 1안, SE군에서는 2안에서 발생했는데 모두 이차 유리체절제술 시행 후에는 해부학적인 망막유착을 보였다. 수술 후 합병증에는 안압상승, 망막앞막, 낭포황반부종, 홍채후유착 등이 있었고 적절한 치료 후 호전되었다. 결론: 열공망막박리 환자의 일차 유리체절제술 시 동반된 360° 안내레이저와 공막두르기술 모두 해부학적, 기능적으로 유사한 장기 임상 성적을 보이며 공막두르기술에 의한 안축장의 길이 변화와 이에 따른 굴절력 변화 외에는 두 수술 방법 모두 열공망막박리의 유용한 치료 방법이라 하겠다. Purpose: To compare long-term clinical outcomes of pars plana vitrectomy (PPV) combined with intraoperative 360° laserpexy and pars plana vitrectomy combined with scleral encircling for the treatment of primary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RRD). Methods: This retrospective, comparative case study included 70 patients who had at least 1 year of follow-up after vitrectomy for primary uncomplicated RRD from 2015 to 2019.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I included 34 patients who underwent PPV + 360° laserpexy (LP), while group II included 36 patients who underwent PPV + scleral encircling (SE). Main outcome measures were the anatomical success rate, the functional success rate, final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and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 also examined the long-term changes in axial length, corneal curvature, and refractive error before and after surgery. Results: LP and SE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spect to the primary anatomical success rate (97.05% and 94.44%, respectively; p = 0.592) or the functional success rate (BCVA ≥ 20/40 at final follow-up; 82.35% and 77.78%, respectively; p = 0.635). Detachment reoccurred in three cases (one in the LP group and two in the SE group) because of proliferative vitreoretinopathy; both cases in the SE group had successful anatomical re-attachment after repeating the PPV procedure. Complications included post-operative epiretinal membrane and cystic macular edema, as well as increased intraocular pressure. Conclusions: Primary vitrectomy combined with 360° laserpexy has effectiveness similar to vitrectomy combined with scleral encircling in patients with RRD in long-term clinical outcomes.

      • KCI등재

        유치원과 초등학교 국어과 연계교육에 대한 사례연구

        김민진(Kim Min-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1

        본 사례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실과 초등학교 1학년 교실의 국어과 교수ㆍ학습 활동의 실제를 비교 분석해서 국어과 연계 교육의 실태에 관한 보다 정확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실제 교수ㆍ학습 활동에 대한 분석보다는 교육과정 분석에 치중해 온 선행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본 연구는 유치원과 1학년의 수업을 관찰, 담화분석, 그리고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여 물리적 환경, 하루 일과, 실제 교수ㆍ학습 활동의 세 측면에서 비교ㆍ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과 1학년 교실은 물리적 환경과 하루 일과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제수업 활동에 있어서도 언어교수법, 학습 활동의 특징, 교사의 질문 형태, 그리고 학습 규칙의 종류와 엄격함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 이런 결과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연계교육의 정확한 실태파악을 위해서는 양 교육기관의 교실에서 실제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 활동을 체계적으로 비교ㆍ분석해야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힌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provide concrete data for the status of the link of Korean language arts instruction between the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classroom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how classroom instruction was constructed in a Kindergarten and a first grade classrooms. Previous studies have tended to focus largely on the analysis of national curricular, and relying heavily on survey research method, they rarely examined what was actually going on in the classrooms. This study attempted to fill the gap in the literature by observing classroom instruction in the two classrooms and carried out discourse analysis of interactions among the classroom member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physical environments and daily schedules of the two classrooms. The results also reveal that the two classrooms constructed different classroom learning in terms of language learning approaches, question and answer sequences, and classroom rules. This paper concludes with a suggestion that more efforts need to be made to observe actual classroom instructions to better understand the continuity of teaching and learning across the two programs.

      • KCI등재

        한국 유아의 친족어 습득에 관한 연구

        김민진 ( Min Jin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5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factors involved in the successful acquisition of 18 Korean kinship terms by young children in Korea. The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four-hundred young children aged 3 to 6 (100 children from each of the four age groups). The study method involved showing the children family trees and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members and then asking the children to describe their relationships using kinship term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number of kinship terms used by the children increases with age, and that the degree of acquisition advances significantly at the ages of 5 and 6.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even at the age of 6 the participants had not acquired three kinship terms of address for cousins. The degree of acquisition was not related to the gender of the children whereas the degree of the children` understanding and use of semantic complexity was predictive of the acquisition of kinship term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친족어 습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으로 서울 지역 유아교육기관에 재원하고 있는 만 3세 100명, 만 4세 100명, 만 5세 100명과 서울지역 초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만 6세 100명의 유아를 선정하였다. 총 400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들이 4촌이내에서 친족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을 칭하는 친가 친족어 10개 (할아버지, 할머니, 큰아버지, 큰어머니, 작은아버지/삼촌, 작은어머니, 고모, 고모부, 사촌, 고종사촌)와 외가 친족어 8개(외할아버지, 외할머니, 외삼촌, 외숙모, 외사촌, 이모, 이모부, 이종사촌)의 습득정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친족어 습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만 5세와 6세의 친족어 습득률이 3, 4세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세에서 50%이상의 습득률을 나타낸 친족어는 할머니, 할아버지 2개에 그쳤으나 6세의 경우 50% 이상의 습득률을 보인 친족어는 할머니, 할아버지, 외할머니, 외할아버지, 이모, 고모, 작은아버지/삼촌, 고모부, 이모부 등 9개로 증가하였다. 둘째, 한국 유아의 친족어 습득은 전반적으로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유아의 친족어 습득은 친족어 개념의 복잡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친족어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다문화 정보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다문화 교육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민진(Kim, Min-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다문화 교육을 위한 다문화 정보 그림책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어린이집 만 5세 세 개 학급 유아 59명이다. 실험집단에게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일본, 중국, 베트남, 필리핀, 태국의 문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그림책 읽기 활동을 주 2회 총 16회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 유아에게는 다문화 사진 자료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활동을 주 2회 총 16회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 정보 그림책 읽기를 적용한 실험집단의 사후 문화개방성 점수, 사후 문화수용성 점수 그리고 사후 문화존중성 점수가 다문화 사진을 활용한 유아 다문화 교육활동을 적용한 비교집단의 사후 문화개방성 점수, 사후 문화수용성 점수 그리고 사후 문화존중성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다문화 정보 그림책을 이용한 다문화 교육이 사진 자료를 이용한 다문화 교육 보다 다문화 인식 증진에 더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information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awareness. It develops eight multi-cultural picture books about six countries which represent the majority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Chinese, Japanese, Thai, Vietnamese, and Filipino.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59 five-year-olds from one preschool in Kyungsang Province.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 experimental, a comparison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multi-cultural information picture books. The comparison group received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pictures. Finally,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treatment. A series of ANCOVA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reatment on young children. The results revealed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the groups regarding their multi-cultural awareness. More specifically, the experimental group earned higher scores than the other two groups in all three areas. The results indicate that multi-cultural picture books are effective educational material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한국관련 정보그림책에 묘사된 한국문화의 진정성에 관한 연구: 미국 내 출판된 정보그림책을 중심으로

        김민진 ( Kim Min J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서 출판된 한국문화 관련 정보그림책의 문화적 진정성을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위해 10권의 정보그림책에서 제공하는 글과 그림을 통해 제공된 정보가 사실에 근거하여 정확한지, 최신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어 있는지, 그리고 한국문화에 대한 고정관념, 편견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한국인의 생활방식(음식, 옷, 명절), 한국의 지리·자연(지도), 한국 역사 관련 정보에서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한국의 역사와 경제 관련 정보의 경우 최근 한국의 역사와 경제발전에 대한 정보가 충분히 제공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전통적 여성상과 한국전쟁과 분단 상황에 대한 강조는 한국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또는 편견을 심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문화 관련 정보그림책의 글과 그림에서 발견되는 오류 개선을 통해 문화적 진정성 증진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ltural authenticity of information picture books for children written in English. The analyses of Korean culture in text and illustrations were based on 10 information picture books published in USA.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information presented in the books were accurate, based on the latest data, and includes stereotypes and bias towards Korean cultu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errors in the description of Korean lifestyle (food, clothing, holidays), geography, nature (map), and Korean history. In addition, they do not provide up-to-date information about Korean history and economy. Finally, the emphasis of the traditional female image and the Korean War and the division situation may cause young children have a negative image and bias towards Korea.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uthenticity of Korean culture by publishing more accurate information picture books while correcting the errors found in the information picture books about Korea.

      • UAV를 이용한 해상풍력발전 O&M에서 목표 BER을 위한 날씨 및 거리 영향 고찰

        김민진(Min-Jin Kim),이태주(Tae-Ju Lee),황나영(Na-Young Hwang),박주연(Ju-Yeon Park),정성윤(Sung-Yoon Jung) 대한전자공학회 2023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6

        Recently,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which is an eco-friendly energy source that can replace fossil fuels, has been receiving attention. However, as wind turbines move far away from the shore, accessibility decreases, making it difficult to monitor and manage safety.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supplement this issue by applying VLC technology to UAVs. The paper measures the BER for SNR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the UAV and presents a range of distanced to achieve the target B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