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96년도 상반기에 경상남도 중부지방에서 유행한 무균성 뇌막염에 대한 고찰

        권오수,이경림,김원엽,정원조,마상혁,이규만,Kwon, Oh Su,Lee, Kyoung Lim,Kim, Won Youb,Jung, Won Jo,Ma, Sang Hyouk,Lee, Kyu Man 대한소아감염학회 1997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4 No.1

        목 적 : 무균성 뇌막염은 소아에서 많이 발병하는 질환으로 여름과 가을에 많이 호발하며 원인은 주로 장바이러스(enterovirus)로 알려져 있다. 감염된 환아들은 단기간에 증상이 좋 아지며 대부분 합병증 없이 회복된다. 이에 저자들은 1996년 5왈말부터 8월까지 마산지역을 중심으로 무균성 뇌막염이 유행하였던 바 뇌막염 환자 및 뇌막염 증상은 보이지 않으나 고열과 발진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에서 원인 바이러스를 규명하고 임상 증상과의 관계를 추구 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6년 5월부터 8월까지 마산파티마 병원에 무균성 뇌막염으로 진단된 환아 및 고열이 나면서 몸에 특징적인 발진이 생겨 바이러스 감염이라고 생각되었던 환아 155명중 57명에서 검체를 채취하여 (뇌척수액22례, 대변57례) 바이러스 배양과 장바이러스 (enterovirus) RNA의 검출을 시행하였다. 뇌척수액은 요추천자를 하여 무균 튜브에 채취하였고 대변은 면봉법으로 채취하여 무균 튜브에 넣어서 검사 전까지 $-30^{\circ}C$ 냉동고에 보관하여 검사실까지 운반시는 밀봉된 용기에 드라이아이스를 넣어 이송하였다. 채취된 뇌척수액과 대변에서 바이러스 분리를 시행하고 면역형광법을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동정하였다. 바이러스 배양에 사용한 세포주들은 human embryonal rhabdomyosarcoma(RD), African green monkey kidney(BS-C-1), human lung diploid(MRC-5), human cervix epidermoid carcinoma(HeLa)세포주였고 뇌척수액에서의 장바이러스 RNA는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결 과 : 1)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하여 입원하였던 환아는 155명이었으며 남녀의 비는 1.94:1로 남아가 많았고 연령분포는 생후 15일부터 15세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분포를 보였으나 주로 5세미만에서 발생하였으며(74.8%) 시기상으로는 1996년 5월부터 1996년 8월까지 환자가 발생 하였다. 2) 임상 증상은 전례에서 고열이 동반되었으며 그 외에 두통, 구토, 복통, 설사, 발진이 주된 임상 증상이었으며 발진은 4세 미만에서, 특히 18개월 이하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p<0.001). 3) 뇌척수액을 이용한 RT-PCR 결과는 22례 중 10례에서 양성의 결과가 나왔고 그중 3례에서 echovirus type 9이 분리되었다. 4) 대변검체가 의뢰된 환자 54례중 41례에서 바이러스가 분리되었으며 분리된 바이러스는 모두 echovirus type 9 이었다. 결 론 : 1996년도 상반기에 경상남도 중부 지방에서 유행한 무균성 뇌막염의 원인 바이러스와 같은 시기에 유행한 고열과 발진의 원인 바이러스는 동일한 바이러스로서 모두 echovirus type 9 이었다. Purpose : Aseptic meningitis mainly caused by enterovirus is common in pediatric population especially during summer & fall. Most of pediatric patients restore their health without any complications with proper management. Between May to August of 1996, Masan and surrounding areas of the Kyoungsangnamdo were epidemic areas for the aseptic meningit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ausative virus and describe correlation between disease and clinical symptoms in aseptic meningitis patients and those with fever and characteristic rashes without apparent meningitis symptoms. Methods : Between May to August, 1996, 57 patients with high fever and characteristic feature of rashes were reviewed. From 22 cerebrospinal fluid & 57 stool obtained specimens, viral culture and detection of enterovirus RNA were conducted. Collected specimens were kept in $-30^{\circ}C$ environment until sending of specimens to labortory. The virus identified through indirect immunofluorescence. RT-PCR method was used to identify enterovirus RNA in cerebralspinal fluid. Results : 1) One hundred fifty five pediatric patients with viral infection required hospitalization. Disease occurred higher rate in male than female with ratio of 1.94:1. Examined patients' age ranged from 15days old to 15years old. But most of patients(74.8%) were under age of 5years old. The time of occurrence was between May to August of 1996. 2) All patients had high fever and physical symptoms in those patients include headache, vomiting, abdominal pain, diarrhea, and rashes. The rashes observed mainly in patients under age of 4 years and were predominantly commom patients under age of 18 months olds)<0.001). 3) Between sampled patients and non-sampled patients, clinical course was similar. Echovirus type 9 was cultivated in 41 out of 57 cases of collected stool specimens. RT-PCR that used on CSF showed positive results in 10 out of 22 cases. Three cases of positive cultivated of positive results in RT-PCR were echovirus type 9. Conclusions : Echovirus type 9 was thought to be the causative agent of aseptic meningitis that was prevalent throughout mid areas of Kyoungsangnamdo from May to August, 1996. Additionally causative agent that responsible for high fever with rashes without meningitis symptoms also thought to be the same echovirus type 9.

      • 1997년 경상남도 중부지방에서 유행한 무균성 뇌막염의 임상적 고찰

        박선영,권오수,김원엽,정원조,마상혁,김상기,남성진,조성래,구본천,이규만,Park, Sun Young,Kwon, Oh Su,Kim, Won Youb,Jung, Won Jo,Ma, Sang Hyouk,Kim, Sang Ki,Nam, Sung Jin,Jo, Sung Rae,Gu, Bon Chun,Lee, Kyu Man 대한소아감염학회 1998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5 No.1

        목 적 : 장바이러스는 무균성 뇌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1993년과 1996년에 국내에서 유행하였던 무균성 뇌막염은 주로 echovirus type 9에 의한 것이었다. 무균성 뇌막염의 유행시 원인 바이러스를 밝혀내는 일은 진단뿐 아니라 역학적인 의미에서도 필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1997년도에 마산 지역을 포함하는 경상남도 중부지역에서 유행하였던 무균성 뇌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원인 바이러스를 규명하고 임상증상과의 관계를 추구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7년 3월부터 10월까지 마산 파티마병원에 무균성 뇌막염으로 진단된 환자 239명(소아 213명, 성인 26명)에서 채취한 검체(뇌척수액 128례, 대변 239례)를 대상으로 바이러스 배양과 enterovirus RNA 검출을 시행하였다. 배양된 바이러스는 면역형광법을 이용하여 동정하였고 장바이러스 RNA는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결 과 : 1) 환자의 발생시기는 3월부터 10월까지였으며 6월에 가장 많은 환자의 분포를 보였다. 2) 대상 환자 239명(소아과 213명, 내과 26명)의 연령별 분포를 보면 소아환자의 평균연령은 4.9세로 신생아에서부터 15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분포하였고 16세이상 내과 병동에 입원하였던 환자는 평균 연령이 24.2세로 16세에서 35세까지의 연령 분포를 보였다. 3) 환자에서 바이러스 분리는 뇌척수액 128례중 53례(41.4%), 대변에서는 239례중 163례(68.2%)에서 분리가 되었다. 4) 분리된 바이러스의 결과를 보면 뇌척수액에서는 echovirus type30이 16례(30.2%), echovirus type 6이 6례(11.3%), echovirus type 4가 1례, 아형이 결정되지 않은 echovirus가 4례, coxsackievirus type B5가 1례, 아형이 결정되지 않은 enterovirus가 24례 이었다. 한편 대변에서는 echovirus type30이 72례(44.2%), echovirus type 6이 21례(12.9%), echovirus type 4가 1례, 아형이 결정되지 않은 echovirus가 17례(10.4%), coxsackievirus type B5가 1례, A24가 2례, 아형이 결정되지 않은 coxsackievirus type B가 3례, 아형이 결정되지 않은 enterovirus가 46례였다. 결 론 : 1997년 3월부터 10월까지 경상남도 중부지방에서 무균성 뇌막염의 유행이 있었으며 원인 바이러스는 echovirus type 30이 주된 원인 바이러스이었고 그 외에 echovirus type 4, 6, coxsackievirus B5, coxsackievirus A24에 의한 무균성 뇌막염의 산발적인 발생이 있었다. Purpose : Enteroviruses are the most common cause of aseptic meningitis. The epidemics of aseptic meningitis in 1993 and 1996 were mostly caused by echovirus type 9. Identification of the causative virus of aseptic meningitis in epidemics, is very important not only for diagnosis but also for epidemiologic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usative virus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septic meningitis, prevailed in Masan and surrounding areas in Kyoungsangnamdo in 1997, and its clinical manifestations. Methods : One hundred twenty eight cerebrospinal fluid(CSF) and 239 stool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239 patients(213 children and 26 adult patients) with aseptic meningitis were admitted to Masan Fatima Hospitals from March to October 1997. Viral isolation and serotype identification was performed by cell culture and immunofluorescent test. Enteroviruses not typed by immunofluorescent test was confirm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Results : 1) The peak incidence was noted in June. 2) The age of 239 patients(pediatrics-213 cases, internal medicine-26 cases) that were diagnosed ranged from neonate to 35 years, the age of the patients of pediatrics ranged from neonate to 15years(mean 4.9 years), the age of the patients of internal medicine (above 16 years) ranged from 16 years to 35 years(mean 24.2 years). 3) Fifty-three(41.4%) of 128 CSF specimens were positive for enteroviruses, and 163(68.2%) of 239 stool specimens were positive for enteroviruses respectively. 4) Serotypes of 53 enteroviruses isolated from CSF were 16(30.2%) of echovirus type 30, 6(11.3%) of echovirus type 6, 1 of echovirus type 4, 4 of untyped echovirus, 1 of coxsackievirus type B5, and 24 isolates of untyped enteroviruses. Of 163 enterovirus isolated from stool were 72(44.2%) of echovirus type 30, 21(12.9%) of echovirus type 6, 1 of echovirus type 4, 17(10.4%) of undetermined subtyped echovirus, 1 of coxsackievirus type B5, 2 of A24, 3 of undetermined subtyped coxsackievirus type B, and 46 isolates of untyped enterovirus. Conclusion : There were epidemics of aseptic meningitis in the central areas of Kyoungsangnamdo from March to October 1997. The main causative organism was thought to be the echovirus type 30, and echovirus type 4, 6, coxsackievirus B5 and A24 were also thought to contribute to the epidem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