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yroprotein-based electronic textiles with high thermal durability

        Jeon, Jun Woo,Oh, Joo Young,Cho, Se Youn,Lee, Sungho,Jang, Hyun-Seok,Jung, Won Taek,Kim, Jeong-Gyun,Kim, Hyeonbeom,Kim, Hyuk Jin,Kim, SeongYeon,Han, Songlee,Kim, JunHo,Chang, Young Jun,Suh, Dongseok,J Elsevier 2018 Materials today Vol.21 No.9

        <P><B>Abstract</B></P> <P>Electronic textiles (e-textiles) need to have high heat durability for various applications. However, current e-textiles are usually damaged by high-temperature processes. We report silk-based e-textiles fabricated by simple pyrolysis with axial stretching that demonstrate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rmal durability.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proposed e-textiles was on the order of 10<SUP>3</SUP>S/cm and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were maintained even after heating and bending. Furthermore, we prepared e-textiles with various electronic properties, such as semiconducting, superconducting, and light-emitting properties, by depositing ZnO, MoSe<SUB>2</SUB>, and NbN onto the commercial silk-based e-textiles using sputtering and evaporation. We introduced a simple method for fabricating silk-based e-textiles with various electronic properties, which are compatible with the current textile industry.</P> <P><B>Graphical abstract</B></P> <P>[DISPLAY OMISSION]</P>

      • KCI등재

        미디어 리터러시 뉴스 빅데이터 분석: 토픽 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한송이(Songlee Han),김태종(Taejo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 뉴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회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 의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앞으로의 정책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19년 1월 1일부터 2020년 9월 30일까지 1,336건의 기사를 수집하여, 4개 시기별로 토픽 모델링 분석을 수행했다. 분석결과 시기별로 5개의 토픽이 도출되었으며, 이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국가 차원에서 생애 주기에 맞춰 체계적으로 접근해야 하며, 이를 통해 경제적·문화적 부가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둘째, 미디어 리터러시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교육격차 및 학습결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역사회와 학교 차원에서 체계적인 지원 및 교육 지도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지속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건전한 미디어 활용 문화가 조성될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노력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연구를 과학적으로 추진하고, 현장에서 습득되는 경험 및 가치 등을 적극적으로 공유하며, 연구결과를 장기적으로 축적함으로써, 건강한 지식공유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This study conducted a big data analysis on news to identify the agenda of media literacy, which has been socially discussed, and on which relevant policy directions will be proposed. To this end 1,336 articles from January 1, 2019 to September 30, 2020 were collected and a topic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four periods. Five topics for each period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and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implement a nation-level systematic approach to media literacy education according to life cycle stages to generate economic and cultural value. Second, local communities and schools should provide systematic support and education guidance activities to ensure a sustainable ecosystem for media literacy and prevent an educational gap and loss in learning. Third, efforts should be made in various aspects to minimize the side effects resulting from constantly providing media literacy education; furthermore a culture of desirable media application should be established. Finally, a research environment for scientific research on media literacy, active exchange of experience and value obtained in the field, and long-term accumulation of research results should be encouraged to develop a robust knowledge exchange culture.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통한 우수 원격수업 특성 및 요소 연구

        한송이(Songlee Han),노양진(Yangjin Noh),김태종(Taejo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이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으로 변화된 교육환경에 따른 우수 원격수업의 특성 및 요소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원격수업의 질 관리 요소 및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수도권 소재 A대학 재학생 324명(1,178건)과 교수자 459명(459건)을 대상으로 구글 설문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토픽모델링의 LDA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교수자와 학습자가 인식하는 우수 원격강의의 요소는 각 4개의 토픽으로 추출되었다. 학습자의 설문에서 추출된 토픽은 ‘문제 상황 발생에 대응한 신속한 대처’, ‘원격교육 관련 교수설계에 따른 강의 질 차이’, ‘체계적인 원격수업 준비와 원활한 소통’, ‘원격수업에 적합한 커리큘럼 재구성’이었다. 교수자 설문에서 추출된 토픽은 ‘원격교육에 필요한 환경 및 장비 지원’, ‘원격수업을 위한 정확한 지침’, ‘원격수업의 명확한 성적 지침 기준 제공,’ ‘원격교육에서의 원만한 소통’이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원활한 원격수업이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원격수업 참여에 필요한 기본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갖춰야 하며 원격수업 환경에 부합하는 교수⋅학습의 재설계(예: 원격수업에 맞는 체계적인 강의 재설계, 상호작용, 수업평가 기준안 등)가 필요하다는 실천적 함의와 향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of exemplary remote learning, provide factors that control the quality of effective remote learning, and present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d by the COVID-19 situation. Methods For this study, a total of 324 students(1,178 case) and 459 instructors(459 case) in University A located in Seoul were surveyed using Google Survey,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opic modelling’s LDA method. Results Survey results show that instructors and students each perceived four topics of remote learning elements. Topics extracted from the students’ surveys are “prompt response to problems that occur”,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ectures according to the instructors’ design of remote lectures”, “systematic preparation of remote learning and good communication”, and “recreating a curriculum that is suitable for remote learning”. Topics extracted from the instructors’ survey are “supporting the environment and equipment needed for remote learning”, “specific guidelines for remote learning”, “provision of clear grading guideline for remote learning”, and “good communication in remote learning.”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smooth remote learning, such as the need for both students and instructors to have basic media literacy necessary for remote learning and the need to redesign teaching and learning to fit the remote learning environment(e.g., systematic redesign of lectures, interaction, class evaluation criteria, etc., appropriate for remote learning), and propose future research topics.

      • KCI등재

        코로나 19(COVID-19) 상황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연구

        한송이(Songlee Han),김승옥(Seung Ok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이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으로 변화된 교육환경에 따른 교생실습의 운영 실태 및 현황을 파악하고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함양을 위한 교육 방향을 탐색하여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A대학에 재학 중인 2021-1학기에 교생실습을 경험한 11명의 예비교사들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1년 6월~7월에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SPSS 25를 활용한 문항별 빈도 분석과 예비교사의 필요역량을 도출하기 위한 IPA 분석을 하였다. 또한, 온라인 설문조사 대상자 중 참여 의사를 밝힌 5명의 개별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원격수업 교육환경에 대한 구체적인 운영 실태를 확인하고 양적 및 질적 조사를 통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코로나 상황에서 수업형태는 실시간 쌍방향 수업의 형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격수업 교육 플랫폼으로 ZOOM의 활용 빈도가 높았고 이는 실시간 수업환경과 관련된 기술 관련 능력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원격수업 수행에 있어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 학습 동기유발, 수업자료 제작, 실시간 학생소통능력 등의 어려움을 나타냈다. 이러한 요인은 코로나 시대로 변화된 교사 역량의 필요성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급 변화된 교육 환경에 따른 향후 예비교사를 위한 실습 체제의 발전을 위한 교육 방향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atus of pre-service teacher practice according to the changed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COVID-19 and to provide implications by exploring educational directions to foster the capabilities of pre-service teachers. Methods To this end, 11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eaching in 2021, in the first semester at A University in Seoul, were selected as subject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to July 2021 to analyze the necessary capabilities of pre-service teachers using SPSS 25 and IPA analysis. Additional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individuals to check the detailed operation status of the synchronous distance instruction environment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urveys. Results According to the study, synchronous distance instruction was used the most and the Zoom platform was highly utilized, which confirmed the need for technology-related skills in the synchronous distance instruction environment. Furthermore, difficulties were found in inducing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n synchronous distance instruction, motivating them to learn, producing class materials, and communicating with students in real time. These factors could be highlighted by the competencies needed in pre-service teachers, which have changed in the post-COVID-19 era.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were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of a practical system for pre-service teachers according to the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 KCI등재

        메타버스 뉴스 빅데이터 분석: 토픽 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한송이(Songlee Han),김태종(Taejong Kim)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1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at the main agenda of social formation is and how it changes through the media by utilizing big data from the news of Metaverse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reporting.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comprehensive theorem of concepts along with new concepts and definitions for Metaverse, which have not been clearly defined, are needed. Second, as the scope of use and innovation of Metaverse continue and expand, valuable productivity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to users equally. Third, two-way cycles of Metaverse and the real world and of Metaverse and another Metaverse platform should be possible. Fourth, guidelines or ecosystems for the overall Metaverse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ecosystem of a healthy Metaverse. Fifth, opportunities should be available for opinions from various industries and field experts to be gathered, and communities between such parties will open up opportunities for a place of sharing. Final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lan for the dysfunction of Metaverse.

      • KCI등재

        대학 영어강의 현황 및 지원 방향 탐색 연구

        한송이(Han Songlee),김승옥(Kim Seung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4

        본 연구는 영어강의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운영 및 제도적 지원 등의 방안이 무엇인지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수도권 18개 대학의 영어강의 운영에 대한 제도 및 지원 사례를 조사하고, A 대학의 영어강의 경험이 있는 교수 37명을 대상으로 영어강의에 대한 현황과 인식, 그리고 개선사항에 대한 설문조사 및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을 하였고, 심층 면담으로 수집된 자료는 전사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효과적인 영어강의를 위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자의 영어 실력이 중요하고 필요하며, 형식적인 영어강의 개설보다는 전공 및 교과의 특성을 반영한 영어강의의 운영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현재 시행되고 있는 영어강의 의무화 및 제도적 혜택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영어강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거시적인 차원에서 학교 자체의 행정적 지원과 중시적 차원에서의 학과 차원의 지원, 미시적 차원에서의 수업적 지원 및 교수학습센터의 지원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suggest implications on measures including operational or institutional support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Medium Instruction(EMI). In order to do so, the study investigated cases of institutional and cases on English Lecture management in 18 universities spread across metropolitan area and proceeded with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session which asks for participants’ understanding on current status of English lectures and potential improvements on 37 professors in A University who has experience in teaching English courses. The data collected through survey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whil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as transcribed and then put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proficiency in English is important for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for effective English lectures and raised proposals stating the importance of English lectures reflecting the contents of specific major and curriculum rather than offering typical English lectures and suggesting making English lectures mandatory course as well as providing institutional benefits for these cours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to vitalize English including administrative aid from the university as micro-level, aid on department-level as meso-level, and instructional aid as well as aid from Center of Teaching and Learning as micro-level.

      • A study on integrating online and offline modes of learning for flipped learning

        ( Cheolil Lim ),( Hyeongjong Han ),( Songlee Han ),( Jookyung Rhee ),( Hyeonsu Kim ),( Seungil Seo ) 한국교육공학회 2014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4 No.2

        This study explores strategies to enable close integration between online and offline modes of learning in order to successfully operate flipped learning in the context of university education. Yet, one of the salient weaknesses so far detected in recent studies is a dearth of coordination between on-and off-line activities. This study develops strategies based on formative design-based research developed by integrating formative research methodology (FRM) and design-based research (DBR).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learner responses to the proposed strategies that were applied to an educational technology course at ``S`` university in Seoul. The major strategies derived include lecture syllabus conducive to flipped learning, instructional design with cases, offline activities based on learner inquiries in response to online lecture videos, utilization of applications which affords active responses and reflections as comprehensive summation of learning. This study, incorporating the above results, exhaustively analyzes learner responses and, based on this analysis, proposes optimal strategies to integrate online and offline modes of learning.

      • SCISCIESCOPUS
      • KCI등재

        초ㆍ중등교육에서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유형화 및 전략 개발 연구

        임철일 ( Lim Cheolil ),한송이 ( Han Songlee ),계보경 ( Kye Bokyung ),이다연 ( Lee Dayeon ),박주현 ( Park Juhyeon ),엄태연 ( Eom Taeyeon ),최재훈 ( Choi Jaehoon ),전민선 ( Jeon Minseon ),김은지 ( Kim Eunji ),권미영 ( Kwon Miyou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초ㆍ중등학교에서 메타버스를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유형을 도출하고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시에 고려해야 할 요소를 확인한 후 이에 대한 교육적 활용 전략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선행연구 및 사례 분석,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여 유형과 전략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델파이 조사, 사용성평가,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섯 가지 메타버스 기반 교수학습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는 일반적인 교수학습 유형 중 메타버스 학습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강의형’, ‘체험형’, ‘토론ㆍ토의형’, ‘문제해결형’, ‘창작형’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전략의 경우 수업 준비, 운영, 후 단계에 따라 16개의 세부요소와 70개의 상세 전략으로 구성하였다.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을 위해서는 물리적 수업 환경과 메타버스 내 수업 환경, 물리적인 교실 안전, 디바이스 착용 시 안전, 메타버스 내 가상의 안전, 윤리적인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초ㆍ중등학교 맥락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하기 위한 고려사항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여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을 설계할 때 참고할 만한 실제적인 지침과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research aims to develop types of metaverse class in K12 education based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dentify factors to consider when using the metaverse for educational purposes, and develop strategies for its educational use. This was achie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as well as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eachers experienced in educational utilization. The study also involved Delphi surveys, usability tests, and expert reviews to validate the developed types and strategies. Five types of metaverse-based teaching and learning were identified, focusing on those tha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a metaverse learning environment: Lecture, Experiential, Discussion/Debate, Problem-Solving, and Creative. In the case of strategy, it consisted of 16 detailed elements and 70 detailed strategies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operation, and post-stage of class. For the educational use of the metaverse,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physical classroom environment, physical classroom safety, device wearing safety, virtual safety in the metaverse, and ethical issu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rehensively presented considerations for using the metaverse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provided practical guidelines and information that can be referenced when designing education using the metave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