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꽈배기 모자반 물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물리적 특성에 대한 감마선 조사의 영향
김아람(Ah-Ram Kim),송유진(Eu-Jin Song),김미정(Mi-Jung Kim),이소영(So-Young Lee),김꽃봉우리(Koth-Bong-Woo-Ri Kim),김진희(Jin-Hee Kim),김서진(Seo-Jin Kim),홍용기(Yong-Ki Hong),박진규(Jin-Gyu Park),김재훈(Jae-Hun Kim),이주운(Ju-Woo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3
본 연구에서는 꽈배기모자반 물 추출물에 식품산업에서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감마선 조사기술을 이용하여 항산화능의 변화를 알아보고, 꽈배기모자반 물 추출물의 높은 점성과 짙은 색상으로 인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꽈배기모자반 물 추출물의 감마선 조사에 따른 항산화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총 페놀화합물 함량을 측정하고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3~20 kGy의 감마선을 조사한 꽈배기모자반 물 추출물은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총 페놀화합물 함량이 증가하였고, DPPH radical 소거능도 증가하여 감마선 조사에 의해 항산화능이 증진되었다. 그리고 꽈배기모자반 물 추출물에 감마선 조사 시 물리적 특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색상과 점도를 측정한 결과,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색이 옅어지고 점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꽈배기모자반 물 추출물에 감마선을 조사한 후 식품에 적용 시 가공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는 꽈배기모자반 물 추출물의 물리적 특성을 개선시키고 항산화능 또한 증진시키므로 식품산업에 적용 시 기존의 천연 항산화제의 단점을 개선시킬 수 있는 기술로서 사용이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propertie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irradiated Sargassum siliquastrum water extract were evaluated. Samples were irradiated with Co<SUP>60</SUP> γ-ray at doses ranging from 3 to 20 kGy. They were then analyzed to investigate antioxidant properties, including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addition, physical properties such as viscosity and color were evaluate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p<0.05) by irradiation. In terms of physical properties, viscosity and color were reduced in the irradiated extracts as compared to non-irradiated samples. In conclusion, gamma irradiation improved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Sargassum siliquastrum water extract, improving its original weak point as a natural antioxidant when applied in the food industry.
치성상피종양으로부터 상악에 발생한 치성유령세포암종의 치험례
김진학(Jin-Hak Kim),김문기(Moon-Key Kim),차인호(In-Ho Cha),김진(Jin Kim),김현실(Hyun-Sil Kim),최희수(Hee-Soo Choi),김형준(Hyung-Jun Kim)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4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30 No.3
The neoplastic variant of calcifying odontogenic cyst has various designation, and its malignant counterpart has been reported as aggressive epithelial ghost cell tumor or odontogenic ghost cell carcinoma. Odontogenic ghost cell carcinoma(OGCC) is a rare carcinoma first documented in 1985. It is composed of varying sized islands of anucleated cells with homogenous, pale eosinophilic cytoplasm, so called ghost cells, were admixed with nucleated cells. We report a case of maxillary OGCC developed from odontogenic epithelial tumor in a 25-year-old man with literature review.
김한(Hahn Kim),김양식(Yangsik Kim),김장래(Jangrae Kim),김정화(Junghwa Kim),김태형(Tae-Hyeong Kim),김화영(Whayoung Kim),백수현(Soo-Hyun Paik),장옥진(Og-Jin Jang),정현숙(Hyunsuk Jeong),이승엽(Seung-Yup Lee) 한국중독정신의학회 2024 중독정신의학 Vol.28 No.1
Objectives: To determine Korean national priority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planning for drug abuse and substance use disorder treatment. Methods: A Delphi survey methodology was employed, involving 19 experts in the field of addiction. Their potential priorities were assessed based on the size of the problem, urgency, effectiveness, budget size, and feasibility of research execution. Results: After three rounds, the expert consensus was reached for 13 research plans of universal therapeutic agenda and 7 plans for specific drugs. These included developing guidelin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on substance use, a community-based long-term management program, and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and clinical guidelines for stimulant, cannabis, and opioid use disorders. However, consensus was not reached for research on therapeutic options such as digital therapeutics.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priority areas for systematic and effective development of treatment programs and research agenda against illicit use of drugs. By integrating insights from multidisciplinary experts, a comprehensive research and development blueprint is proposed to address drug use, which is on the rise and threatening public health and social security in the Republic of Korea.
김기진(Ki Jin Kim) 한국발육발달학회 2000 한국발육발달학회지 Vol.8 No.2
본 연구는 신체구성 평가를 위하여 수중체중 측정방법에 의한 신체밀도 및 체지방률의 분석결과를 준거변인으로 신장 및 체중과 생체전기저항측정법에 의한 저항 및 저항지수 등을 독립변인으로 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한국성인의 남, 여에 적합한 신체밀도 및 체지방률의 추정공식 제시를 위하여 행해졌다. 수중체중측정법에 의한 신체밀도에 대해서 생체전기저항에 의한 저항 및 저항지수(신장2/저항), 신장 및 체중 등을 포함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 여자가 각각 0.726 및 0.791의 유의한(P$lt;0.001) 중상관계수를 나타냈다. 또한 수중체중측정 법에 의한 체지방률에 대한 회귀분석에서는 남자 및 여자가 각각 0.725 및 0.841의 유의한(P$lt;0.001) 상관계수를 나타냈다. 남자 전체를 대상으로 한 신체밀도 추정을 위한 회귀식은 다음과 같다. 신체밀도=0.986+0.002313×(신장)-0.0009401×(체중)-0.0002407×(저항)-0.002321×(신장2/저항) 또한, 여자전체로 한 대상으로 한 신체밀도 추정을 위한 회귀식은 다음과 같다. 신체밀도=1.053+0.001794×(신장)-0.001099×(체중)-0.0001858×(저항)-0.002733×(신장2/저항) 남자전체를 대상으로 한 체지방률 추정을 위한 회귀식은 다음과 같다. 체지방률=46.779-0.952×(신장)+0.384×(체중)+0.0997×(저항)+0.963×(신장2/저항) 또한, 여자전체를 대상으로 한 체지방률 추정을 위한 회귀식은 다음과 같다. 체지방률=23.034-0.605×(신장)+0.303×(체중)+0.07054×(저항)+0.785×(신장2/저항)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optimal prediction equation for estimating body fat and density from bioelectrical impedance in adult male and female subjects. Predictor variables included height, body weight, resistance, and height2/resistance. Prediction equation were developed using regression analysis in the validation sample(N=192) and cross-validated in other samples(N=90). Regression equation including height, body weight, resistance, and height2/resistance in adult male and female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 (P$lt;0.001)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s (R=0.726 and 0.791) with body density from underwater-weighting method, respectively. Additionally regression equation including to height, body weight, resistance, and height2/resistance in adult male and female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 (P$lt;0.001)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s (r=0.725 and 0.841) with body fat from underwater-weighting method and Brozek et al.`s equation, respectively. For the prediction of body density in adult male and female subjects, there were recommended the equation Db(male) = 0.986 + 0.002313×(height) - 0.0009401×(weight) - 0.0002407×(resistance) - 0.002321×(height2/resistance) and Db(female) = 1.053 + 0.001794×(height) - 0.001099×(weight) - 0.0001858×(resistance) - 0.002733×(height2/resistance). For the prediction of body fat in adult male and female subjects, there were recommended the equation %fat(male) = 46.779 - 0.952×(height) + 0.384×(weight) + 0.0997×(resistance) + 0.963×(height2/resistance) and BF(female) = 23.034-0.605×(height) + 0.303×(weight) + 0.07054×(resistance) + 0.785×(height2/resistance).
김세권(Se-Kwon Kim),전유진(You-Jin Jeon),김용태(Yong-Tae Kim),이병조(Byoung-Jo Lee),강옥주(Ok-Ju K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4 No.4
매년 공급과잉 현상을 초래하고 있는 밤의 수요를 증가시키고 또한 저장과정 중 야기되는 벌레먹은 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밤을 이용한 묵을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밤을 품질이 양호한 밤과 벌레먹은 밤을 구분하여 각각 전분(수율 : FCS 49.3%, WCS 32.4%) 및 조전분(수율 : FCCS 53.2%, WCCS 37.7%)을 추출하였다. 이화학적 특성 중, 아밀로오스 함량은 FCS, 물결합 능력은 FCCS가 각각 46.5%와 103.0%로 가장 높았다. 한편, 팽화력은 4종류의 밤전분 및 조전분에서는 60~80℃, 그리고 대조구인 ACS에서는 65~70℃의 온도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용해도에서는 팽화력과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IUTM에 의한 텍스쳐 특성 중, 견고성은 FCS, FCCS 및 WCS가 50~58I.U.의 비슷한 값을 얻었으며, 탄력성은 4종류의 밤전분 및 조전분 시료가 14~16I.U.를 보였다. 따라서 기계적 텍스쳐 특성에서 밤에 의한 겔성이 대조시료인 도토리에 의한 겔성 보다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하여 밤전분의 이화학적 특성과 기계적인 텍스쳐 특성으로 볼 때, 양호한 밤의 전분은 물론이고 벌레먹은 밤도 묵제조를 위한 전분시료로 사용 가능하며, 또한 사람의 손에 의한 내외피의 박피없이 단순히 기계로 마쇄하여 얻어진 조전분 시료로도 묵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밤의 대량 소비와 벌레먹은 밤의 효율적인 이용에 기여하여 될 것으로 판단된다. To efficiently utilize not only fresh chestnut (FC) but also wormy chestnut (WC), four types of chestnut starches which were fresh chestnut starch (FCS), fresh chestnut crude starch (FCCS), wormy crude starch (WCS) and wormy chestnut crude starch (WCCS) were extracted. Amylose content of FCS (46.5%) and water binding capacity of FCCS (103.0%)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three, respectively. Swelling powers of all sample starches increased rapidly from 60℃ to 80℃. Solubilities showed the same pattern as the swelling powers. In the textural properties investigated with IUTM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hardnesses and elasticities of chestnut starches were 50~58I.U. and 14~16I.U.,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extural evaluations showed that it was possible to prepare chestnut mook with FCS, FCCS and WCS.
라케모사승마( Cimicifuga racemosa)와 눈빛승마( Cimicifuga dahurica) 뿌리 추출물의 다양한 생리활성 평가
김여진(Yeo Jin Kim),김태은(Tae Eun Kim),류희욱(Hee Wook Ryu) 한국생명과학회 2025 생명과학회지 Vol.35 No.5
본 연구는 천연 소재인 라케모사승마(Cimicifuga racemosa)와 눈빛승마(Cimicifuga dahurica) 뿌리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평가하여 피부 관련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균 효과, 세포 독성, NO 생성 억제 활성, elastase 활성 억제 효과, MMP-1 저해 활성을 분석하였다.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라케모사승마의 half maximal effective concentration (EC<sub>50</sub>) 값은 각각 0.87 mg/ml와 0.39 mg/ml, 눈빛승마는 1.09 mg/ml와 0.39 mg/ml로 나타나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라케모사승마 82±2.6 mg/g, 눈빛승마 80±24 mg/g으로 유사하였다.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 효과는 1,000 μg/ml 농도에서 눈빛승마가 45.6±2.0%로 라케모사승마(31.2±6.3%)보다 우수하였으며, gentamicin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RAW 264.7 세포에서의 독성 평가 결과, 두 추출물 모두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TNF-α 발현 억제 효과는 라케모사승마가 미미하였으나, 눈빛승마의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sub>50</sub>) 값은 7.3 μg/ml로 우수하였다. NO 생성 억제 활성은 두 추출물의 IC<sub>50</sub> 값이 54‒57 μg/ml로 유사한 수준이었다. Elastase 활성 억제 효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1,000 μg/ml에서 라케모사승마와 눈빛승마가 각각 약 21%와 30%의 억제율을 보였다.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DF)를 대상으로 한 MMP-1 발현 억제 효과는 100 μg/ml 농도에서 라케모사승마 66.3%, 눈빛승마 38.5%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라케모사승마와 눈빛승마 뿌리 추출물이 항산화, 항균, 항염, 주름 개선 등 다양한 생리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피부 건강 유지 및 보호를 위한 천연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imicifuga racemosa and Cimicifuga dahurica root extracts for potential skin care applications. To evaluate their bioactive potential, we analyzed antioxidant activity,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tibacterial effects, cytotoxicity, nitric oxide (NO) inhibition, elastase inhibition, and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inhibition. The EC<sup>50</sup> values for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ABTS)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DPPH) radical scavenging were 0.87 mg/ml and 0.39 mg/ml for C. racemosa, and 1.09 mg/ml and 0.39 mg/ml for C. dahurica, respectively, confirming strong antioxidant activity. Polyphenol content was similar: C. racemosa (82±2.6 mg/g), and C. dahurica (80±24 mg/g). The antibacterial effect against Staphy- lococcus aureus at 1,000 μg/ml was higher in C. dahurica (45.6±2.0%) than in C. racemosa (31.2±6.3%), comparable to gentamicin. Cytotoxicity tests showed no toxicity. C. racemosa minimally inhibited TNF-α expression, while C. dahurica had an IC<sub>50</sub> value of 7.3 μg/ml. NO inhibition was similar (IC<sub>50</sub>: 54–57 μg/ml). Elastase inhibition increased with concentration, reaching 21% (C. racemosa) and 30% (C. dahurica) at 1,000 μg/ml. MMP-1 inhibition in human dermal fibroblasts (HDF) at 100 μg/ml was 66.3% (C. racemosa) and 38.5% (C. dahuric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 racemosa and C. dahurica extracts have antioxidant, antibacterial, anti-inflammatory, and anti-wrinkle effects, highlighting their potential as natural ingredients for skin health.
김정준(Jungjoon Kim),김진섭(Jin-Sub Kim),류춘하(Chunha Ryu),김정홍(Jeong-Hong Kim),박길흠(Kil-Houm Park) 한국통신학회 2013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8 No.8(통신이론)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유비쿼터스 건강 관리시스템 구현을 위한 실시간 심전도 신호 전송방안을 제시한다. 심전도 신호 전송은 그 데이터량의 과다함으로 인해 실시간 전송에 제한이 필요하다. 평균 10% 정도의 특이파형을 갖는 부정맥 심전도 신호에서 R파의 왜곡에 따른 특이 파형 검출 알고리즘에 기반한 실시간 심전도 모니터링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많은 시간 동안 심전도 신호를 관찰 및 분석해야 하는 의료진에게 비용과 시간 측면에서 상당히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전위와 첨도의 문턱 값을 점진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특이 파형 관찰을임의로 모니터링 함으로써 전송 데이터량 축소 효과와 함께 특이 파형 신호 판독의 유의 수준을 임의로 제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효과를 갖는다. 부정맥 심전도에서 특이 파형을 검출하는 제안 알고리즘을 모바일 연동 환경의 클라이언트에서 구현하고 실시간 심전도 신호 모니터링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건강관리시스템에 적용 가능 하도록 하였다. 이는 이동성을 보장하면서 지속적인 실시간 모니터링을 가능토록 한다.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of transmitting ECG signals in real-time mobile environment to be possible to implement the ubiquitous healthcare system. Because of the excessive amount of data transmission of ECG signals, it is necessary to propose a limitation to the real-time transmission. We propose a real-time electrocardiographic monitoring system based on the proposal of unusual waveform detection algorithm which detects the R-wave distortions from the arrhythmia ECG signals having unusual waveform of about 10% on average. It is very effective in terms of time and cost for medical staffs to monitor and analyze ECG signals for a long period of time. Monitoring unusual waveform by gradually adjusting the threshold values of potential and kurtosis makes the amount of data transmitted decrease and significance level of waveform to be enhanced. The unusual waveform detection algorithm is implemented with ubiquitous environment inter-working device client. It is applicable to ubiquitous healthcare system capable of real-time monitoring the ECG signal. While ensuring the mobility, it allows for real-time continuous monitoring of ECG sign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