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 고정원과 SWA en masse sliding retraction 시 전치부 치축 조절 요인에 관한 유한요소해석

        정혜심,성상진,문윤식,조영수,임승민 대한치과교정학회 200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6 No.5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 고정원을 이용한 교정 치료가 보편화되며, SWA와 이를 이용한 en masse sliding retraction은 임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치료법이 되었다. 그러나 고정원을 성공적으로 보존하려는 노력에 비해, 발치 공간 폐쇄 시 전치부 치축 조절에 관여하는 요인에 대한 보고는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1소구치를 제거한 상악 치아와 치주 인대 그리고 치조골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 기준모델을 제작하였고, 제1대구치와 제2소구치 사이 주호선 10 mm 상방에 식립된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를 고정원으로 사용할 경우, 측절치-견치 사이의 견인 훅의 높이를 변화시키며 후상방 견인력을 가하거나, 주호선에 보상 만곡을 부여하는 것이 전치부 치축 조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시뮬레이션 하였다. 또한 전치부 치축이 설측 경사된 모델을 같은 실험 조건으로 시뮬레이션 하여 발치 공간 폐쇄 시 설측 경사된 전치부 치축을 유지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요인을 검토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2 mm 높이의 견인 훅에 대하여 후상방으로 견인력을 가할 경우 발생하는 함입력으로 인하여 전치부 설측 경사가 더 감소되지는 않았다. 견인 훅의 높이가 5 mm인 경우 후상방 견인력을 가하면, 측절치의 치관 순측 및 치근 설측 이동이 일어나고, 견치의 비조절성 후방 경사 이동이 심화되었다. 4 mm의 보상 만곡은 측절치의 치관 순측 및 치근 설측 이동을 일으키고, 견치의 비조절성 후방 경사 이동을 감소시켰다. 또한 전치부가 설측 경사된 모델을 기준모델과 같은 실험 조건으로 시뮬레이션 한 경우 치근면의 응력 분포와 25000배 확대된 그래프 상에서의 치아 이동 양상은 매우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미니 임플랜트-SWA sliding 생역학을 구사 시 견인 훅의 위치와 와이어 상의 보상 만곡의 유무에 의해 전치부의 치축 조절이 달라지며 실제 임상에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With development of the skeletal anchorage system, orthodontic mini-implant (OMI) assisted en masse sliding retraction has become part of general orthodontic treatment. But compared to the emphasis on successful anchorage preparation, the control of anterior teeth axis has not been emphasized enough. Methods: A 3-D finite element Base model of maxillary dental arch and a Lingual tipping model with lingually inclined anterior teeth were constructed. To evaluate factors influencing the axis of anterior teeth when OMI was used as anchorage, models were simulated with 2 mm or 5 mm retraction hooks and/or by the addition of 4 mm of compensating curve (CC) on the main archwire. The stress distribution on the roots and a 25000 times enlarged axis graph were evaluated. Results: Intrusive component of retraction force directed postero-superiorly from the 2 mm height hook did not reduce the lingual tipping of anterior teeth. When hook height was increased to 5 mm, lateral incisor showed crown-labial and root-lingual torque and uncontrolled tipping of the canine was increased. 4 mm of CC added to the main archwire also induced crown-labial and root-lingual torque of the lateral incisor but uncontrolled tipping of the canine was decreased. Lingual tipping model showed very similar results compared with the Base model.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height of the hook and compensating curve on the main archwire can influence the axis of anterior teeth. These data can be used as guidelines for clinical application.

      • SCOPUSKCI등재
      • S. mutans의 固定化에 依한 Insoluble glucan의 製造方法 및 齒面 細菌膜 分解酵素인 α-1, 3 glucanase 生産菌珠 Streptomyces SW-522에 關한 硏究

        尹廷洹,趙孝相,金成柱 수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92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7 No.-

        In other to investigate α-1, 3 glucanase from microorganisms for hydrolysis of dental caries, S. muatns was immobilized by cubes of 28% polycrylamide and coated with same polyacrylamide. The insoluble glucan obtained 1.13g per one liter in TH medium with 5% sucrose by PA immobilization of S. muatns, which was very pure by IR and TLC analysis. α-1, 3 glucanase produced by of the Strptomyces SW-522, was developed by treatment with 5% EMS. The new Sw-522 M1 strain obtained, which improved activity of α-1, 3 glucanase.

      • KCI등재후보

        21세기를 향한 국가기술자격제도의 발전방안 연구 : New Directions Towards the 21st Century

        조정윤,박종성,김현수 한국산업교육학회 1999 산업교육연구 Vol.6 No.-

        21세기를 대비한 국가기술자격제도의 발전 방안을 국가 경쟁력 확보 측면에서 모색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국제 경제 환경 변화에 따른 주요국의 자책제도 대응 방향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국가기술자격제도에 반영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와 함께 국가기술자격제도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자격제도에 관한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서 39개 기관을 방문하여 넓은 의미의 국가기술자격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수행하였고, 기 국가기술자격 취득자 4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21세기를 향한 국가기술자격제도의 발전 방향을 기술·기능 분야의 합리화 방안, 서비스 분야의 합리화 방안, 자격 취득자의 사회적 우대 방안, 자격 정보체제구축 방안, 기초직업능력과의 연계 방안, 민간자격으로 관리·운영의 전환 방안, 국제적 통용성 확보 방안, 통합 국가자격체제 구축 방안으로 나누어서 제시하였다. There are strong links between a nation's economic prosperity, it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the competency of its population. As international competition intensifies and the rate of economic and technological change accelerates, advanced countries increasingly strive to improve their competitiveness by reforming their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s. With the advent of the information age and the knowledge- based society, human resource development has become a key factor in determining a nation's competitiveness. And technological qualificatior systems have a direct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order to guarantee Korea's continued development as a competitive member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is demanded that a Korean Technology Qualification System(KTQS) be established to set Ae nation's future course for the 21st century. Extensive and concrete development plans for KTQS in 21st centr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essential tc prepare policie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and suitability of KTQS and its operations as they apply to the domains of technology and craft. Second, in terms of the service fields, policy measures should be taken to improve and guarantee the diversity of qualification items. Third, appropriate policy measures should be taken in order to raise the general social status of NTQ holders. Fourth, policies should be introduced which will allow for the enhancement of generic competency under the qualification system. Fifth, appropriate policies should be prepared to facilitate a partial transition from a state-run qualification system to a private system. Sixth,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agreements on profession qualifications, it is important to guarantee that Korean qualifications have a common, international currency. Finally, it is imperative that policies be prepared which can establish the necessary foundations for the unification of national qualifications under a single NQ.

      • KCI등재후보

        재래종 콩 유전자원의 주요 형태적 특성과 변이

        윤문섭,백형진,이정란,김행훈,조양희,안종웅,김창영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3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5 No.4

        본 실험은 한국, 중국 및 일본 재래종 콩 유전자 자원의 주요형질 변이를 조사하고 이들 자원간의 지리적 유연관계를 비교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장은 한국(66㎝)이나 일본자원(54.9㎝)보다 중국자원(71㎝)에서 더 컸으며, 또한 변이도 중국자원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개화일수 및 생육일수는 한국자원(65.5일, 151.4일)이 가장 길었으며 중국(57일, 120일)과 일본자원(59.9일, 122.4일)은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한국과 중국자원은 지역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으나 일본자원에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3. 백립중은 한국(18.8g), 일본(17.2g) 및 중국(14.7g) 순으로 무거웠다. 특히 한국자원은 9~11g과 23~25g에서 정점을 나타냈고, 변이폭도 가장 컸다. 반면 일본과 중국자원은 13~17g사이에서 정점을 나타냈다. 4. 협수는 중국(46.9개)이나 일본자원(36.5개)보다 한국자원(75.5개)에서 가장 많았으며, 변이폭도 한국자원에서 가장 컸다. 내도복성은 일본자원에서 가장 강하였다. 5. 정준판별분석결과 can 1을 경계로 하여 오른쪽 상하에 한국재래종이 주로 분포하였고 왼쪽에는 중국과 일본 재래종이 주로 분포하여 각 나라별로 고유한 영역을 가지고 분리되었다. 전체적 경향이 중국과 일본자원이 한국자원보다 가까운 경향을 나타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characters of 944 Korean soybean landraces, 716 Chinese, and 170 Japanese soybean landraces introduced from USDA soybean germplasm collection. Cannonical discriminant and cluster analyses were conducted by their origins. The population from China was taller in plant height than those from Korea and Japan, also its variation was largest in Chinese population. The population from Korea was langer than those from China and Japan in terms of days to flowering and maturity. Also, Korean and Chinese accessions appeared the difference of those traits according to latitude. One hundred seeds weight was in the order of Korean(18.8g), Japanese(17.2g) and Chinese populations(14.7g), especially Korean population was distinguished into two groups; the group including accessions between 10 and 15g, and the other group including accessions between 20 and 25g. However, others showed the peak in range of 13~17g. The number of pod per plant was more in Korean accession(75.5) with the largest variation than Chinese(46.9) and Japanese accession(36.5). The distribution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accessions reflected the origin of accessions analyzed by can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geographical origins showed the population of China and Japan are losely related.

      • 활성 슬러지와 UF막을 연계한 공법에 있어서 FLUX에 미치는 운전인자의 영향

        윤조희,서정범 嶺南大學校 環境問題硏究所 1995 環境硏究 Vol.15 No.1

        활성슬러지와 UF막을연계조합한 공정을 이용하여 운전조작인자를 변화시켜 처리수의 플럭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유기물의 용적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처리수의 BOD농도는 다소 상승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항상 10mg/L이하이었고, SS농도는 전 공정에서 1mg/L 이하로 안정된 수질을 나타내었다. 또한 막면유속은 처리수의 수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유기물 용적부하 0.4kgBOD/m^3.d에서 막면유속이 0.6m/sec까지는 슬러지 부착현상 등에 의하여 플럭스가 0.05m^3/m^2.d정도로 안정되게 유지되었다. 3) 막면 유속을 1,/sec에서 유기물 용적부하를 0.8kgBOD/m^3.d이하인 경우에는 0.15m^3/m^2.d이상의 높은 플럭스를 나타내었으나 그 이상으로 높게 되면 슬러지부착 및 막의 막힘현상이 발생하여 플럭스가 감소하였다. 4) 반응조내의 미소생물상은 막면유속에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원생동물의 수는 막면유속증가와 함께 지수적으로 감소하였다.

      • 개 대뇌겉질에서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α-Receptor의 출생 후 발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윤영,안병수,김인정,양경철,박선홍,김기훈,박도영,김장만,문정석,장인엽,조하영 조선대학교 부설 의학연구소 2002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7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e localization of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α receptor (PDGF-α R) was commonly restricted to oligodendrocyte progenitors during late embryonic and postnatal development. However, several studies recently demonstrated that mature neurons could also synthesize PDGF-α, Materials and Methods : In the present study, to analyze the distributional pattern of PDGF-αR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of the canine cerebral cortex, we used immunohistochemistry on sections of canine brain tissue. Results : We found that neurons of various regions of cerebral cortex exhibited the immunoreactivity to PDGF-αR as early as postnatal day 0, and slightly decreased after postnatal day 14. Whereas neuronal PDGF-αR were maintained at all ages, the oligodendroglia-like expression of PDGF-αR could not be confirmed. Conclusion : The localization of PDGF-αR in immature and mature neurons supports the several roles of PDGF during development, protection and survival of neurons.

      • KCI등재후보

        직업교육의 이론적 위상에 대한 재고찰 : 개념과 방법론을 중심으로

        조정윤 한국산업교육학회 2001 산업교육연구 Vol.8 No.-

        지식기반사회는 지식이 생산력의 원천이 되는 사회로서 직업교육에 크게 두 가지의 함의를 제공한다. 하나는 여기서의 '지식'은 기존의 지식과는 다른 실천적·암묵적 지식인데, 이것은 작업 환경에서 지식이 만들어지고 공유되는 과정에 주목할 필요를 제기한다. 또 하나는 직업교육의 관점과 방법론에 대한 근본적인 혁신이 없이는 지식기반사회가 실현되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러나 직업교육은 질 낮은 교육이며 단순기능의 반복이라는 인식이 이러한 혁신을 가로막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직업교육에 대한 기존의 관점을 비판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동시에, 직업교육의 방법론을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not only does vocational education take on a new meaning, but its methodology will also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methodology in education overall. Discrepancies still exist, however, in that most vocational education scholars and society in general view vocational education as a form of "low-tier" education, constituting repetitive training of simple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new vision for future vocational education and seek, accordingly, an appropriate methodology for vocational education in recognition of its importance. First, the author gives an analysis of the origins and characteristics of existing views on vocational education and points out the epistemological and practical limitations of these approaches. Then, an attempt was made to explore a new perspective that can effectively replace the previous outlook on vocational education. Through the formation of a new vision for future vocational education, the impetus was created for the search into new methodologies in vocational education, with which old stereotypes in prior vocational education could be overcome. Thus, this study approaches this problem from a discussion of recent epistemological debates focusing on the tacit character of knowledge.

      • 다중 탐색기반 고속 블록정합 움직임 추정 알고리듬

        조영창,최병진,윤정오 경운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0 産業技術硏究論文誌 Vol.3 No.1(B)

        Block based fast motion estimation algorithms ar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error in the mean absolute error space monotonically decreases to the global minimum. Therefore, in case of many local minima in a search range we are likely to find local minima instead of the global minimum. This situation is evident in the motion boundary.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ultiple search method. In the proposed method motions are estimated from the many candidate search regions. To reduce the additional search points we reduce the search points using the distance from the initial search point to the recently found vector points. In the simulation the proposed method shows more excellent results than that of other gradient based method especially in the search of motion boundary in PSNR.

      • KCI등재

        교합면 열구 법랑질의 미세구조 및 산부식 형태

        조태식,이상호,윤정훈,김수관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2

        치면열구전색제의 접착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교합면 열구 법랑질의 미세구조 및 산부식 형태, 그리고 산부식 형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prismless enamel의 존재 여부 및 법랑질의 화학적 조성을 규명하고자 소구치를 대상으로 협설면과 근원심으로 각각 절단하여 열구내의 법랑질 표면과 산부식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EDX를 사용하여 법랑질의 화학적 조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열구내 법랑질은 대부분이 prismless enamel이 존재하였다. 2. 미성숙 영구치와 성숙된 영구치 간의 열구내 법랑질 표면 구조 및 산부식 형태는 차이가 없었다. 3. 열구 법랑질은 부위 에 관계없이 60초 산부식 이 15초, 30초, 45초에 비해 산부식 효과가 가장 켰으며 15초, 30초, 45초의 산부식 시간에서는 적절한 유지력을 얻을 수 있는 산부식 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4. 열구 법랑질의 표면을 기계적으로 제거한 경우는 30초의 산부식 시간에서도 60초 산부식 시간에 못지않은 전형적 인 산부식 상이 관찰되었다. 5. 산부식 형태는 주로 rod 주위가 소실된 제 2형의 산부식 상이 관찰되었다. 6. 열구 내 법랑질의 부위별 화학적 조성의 차이는 없었으나 미성숙 영구치와 성숙된 영구치 사이의 칼슘/인 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교합면 열구내 법랑질은 대부분 산에 저항성이 큰 prismless enamel로 덮여 있어 기존에 제안된 15-30초의 산부식 시간으로는 적절한 유지력을 얻을 수 있는 산부식 상을 형성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제안된 산부식 시간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며 이와 함께 적절한 산부식 상을 얻기 위한 방안으로 산부식 전bur를 사용하여 열구내 법랑질 표면을 제거해 주는 보조적인 술식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리 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mechanical and acid treatment on enamel surfaces for the retention of pit and fissure sealants and evaluate the presence of a prismless layer. The etch pattern produced on enamel from immature and mature premolar teeth extracted with varying period of acid etching using 37% phosphoric acid was examin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The composition of each groups was evaluated using an energy dispersive x-ray(EDX) spectroscopy. The result of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Prismless layer was commonly observed on the fissure enamel in young and mature premolar. 2.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icro-structure and etching pattern on fissure enamel between the young and the mature premolar. 3. The most effective etching pattern for retention of pit and fissure sealant was observed in 60 seconds of etching time and no apparent difference of etching pattern was found among 15, 30, and 45 seconds of etching time which showed non-retentive etching patterns. 4. The etching pattern obtained by grinding enamel surface with bur followed by 60 seconds of etching was similar to that of 60 seconds of etching without any pretreatment of fissure surface. 5. Type 2 etching pattern was commonly found on fissure enamel in both young and mature premolar. 6. The calcium content and P/Ca ratio in fissure enamel between the young and the mature premola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K0.05). But content of calcium, phosphate and P/Ca ratio on various regions of fissure enamel in both young and mature premolar did not showed any difference. Based on these results, prismless layer may negatively influence the retention of pit and fissure sealants. 'Therefore, the mechanical removal of the prismless layer by grinding prior to etching or by prolonged etching time of enamel within the fissure system should result in an improved bonding of a pit and fissure seal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