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우울과 삶의 질의 관계

        김원옥 ( Won Ock Kim ),강현숙 ( Hyun Sook Kang ),왕명자 ( Jmyung Ja Wang ),김정화 ( Jeong Hwa Kim ),최진이 ( Jin Yi Choi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2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우울,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로서 일상생활동작,’ 우울, 삶의 질 정효〉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안구의 주요한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고찰하였다. 뇌졸중 환자들의 일상활동 수행능력을 측정하는 도 구로 FIM, Modificd Barthel Index (MBI) 등이 많이 쓰 이고 있는데 FIM은 분야에 상관없이 표준화를 통한 높은 실용성,실행성, 이해도로· 인하여 널리 사. 하고 있는 도구로 이를 이용하여 측정한 본 연구에서는 872점으로 국내에서 만성 뇌졸중 환자와 퇴원 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측정한 85. 9점 (Hw떼g, 2004) 과 85. 3점 (Kim, 2004) , 85. 8점 (Hong et al., 1998) 에 비하 여 약간 높아졌으나 비슷하였고, 일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77. 1점보다는 높은 결과이었다 (Hama et al., 2007) . 특히 하부역역인 운동영역은 다 른 연구에 비해 높았으나 인지영역은 다른 연구에 비 해 낮은 편이었다 (Hwang, 2004二 Hama et al. , 2007, Hong 嫩 al. , 200긱 Kim, 2004) . 미국의 지역사회시설 에 있는 뇌졸중이 처음 발병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재 활 후 5년간 환자를 추적한 연구에서 3년 후까지는 FIM점수가 상승하였으나 그 이후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고 본 연구에서는 친단 후 경과 기간이 35.5개월 (87.2점)로 퇴원 후 3년 된 시점의 결과no도4점) 와 비교하였을 때 낮은 편이었다〈 Leonard, Mnler, Griffiths, Mcclatchie, & wherry, 1998) . 이러한 결과는 지역사 회와 집에서 간호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들에게 지속적인 재활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입원을 한 직후부티 환 자에게 적절한 재활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시작하고 퇴원 후에는 연계되어 재활을 받을 수 있는 시설과 연결하여 환자가 지속적으로 재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병원과 지역사회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시행하는 개활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우울은 뇌졸중을 진단 받은 환자들의 급성기와 회 복기에 많이 동반되는 증상으로 본 연구에서도 CES- D를 이용하여 우울을 측정한 결과 23. 8점으로 Bak (2003) 의 연구와 비슷한 정도로 높게 측정되어 이 전의 연구결과와 같이 뇌졸중 환자의 가장 흔한 후유 증이 우울임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Cho et al. 2003, `` Chon & Rhee, 1992, `` Kim, 2005, `` Kim, Seo, & Kang, 2000; singh et al. , 2000) . 그러므로 입원 시부터 신체적인 증상 뿐 아니라 우울도 같이 사정하고 우울이 진행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관찰과 정서적인 간호가 뇌졸중 환자를 위한 재활프로그램에 포함이 되어야 한다. 삶의 질은 3 ``03점으로 뇌졸중 환자 l이명을 대상으로 한 chung (2000) 의 연구에서 의 3. 41점보다는 낮았으나 Kim과 Kim (2003) 의 연구의 3. 17점과는 비슷하였고 전체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이런 결과는 최근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률이 감소 되고 만성적인 뇌졸중 환자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재가뇌졸중 환자들에 대한 재활과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뇌졸중과 삶의 질은 단기간에 향상되는 것이 아니므로 개활 프로그램이 단기적인 것보다는 체계적으로 계획되고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져 삶의 질을 관찰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일상생활 동작을 잘 할수록 우울점수가 낮게 나타났고 삶의 질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우 울 정도가 심할수록 삶의 질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 환자들에 대한 선행연구결과들을 살 펴보면 뇌졸중은 일상생활동작 수행과 같은 신체적인 문제, 우울, 대인관계 감소 등의 사회적 문제가 발생 되고 장기적인 치료와 간호를 요구하는 질병으로서 최종적으로. 삶의 질이 저하되는 것을 보고하고 있다 (Chung, 2000; Hama et al. , 2007, `` Ingrid, Kwakkel, Bruin, & Lindeman, 2007; Khan, 2004; Kim & Kim, 2003; singh et al. , 2007) .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일상생활동작, 우울, 삶의 질이 단계적으로 순환되는 관계로 서 모두 뇌졸중환자를 위한 재활프로그램 내용에 포함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런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뇌졸중은 환자 의 뇌손상을 일으켜 장기적인 우울과 신체적인 기능 장애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으므로 뇌졸중 환자의 재활프로그램은 입원을 하자마자 계획하여 치료와 동 시에 시작하고 특히 우울은 뇌졸중의 만성적인 건강 문제로 재활과정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신체적인 중 재와 더불어 정서적인 중재를 포함한 포괄적인 내용 의 프로그램이 바람직하고 장기적으로 삶의 질을 평 가함이 바랑직할 것이다. 또한 뇌졸중은 장기적인 재 활이 요구되는 질환이므로 단기간의 재활 프로그램을 병원에서만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퇴원 후 병원과 지 역 사회에서 연계하여 치료적인 연속성을 가지고 유지 할 수 있는 재활 프로그램의 개발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 라고 본다.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stroke patients``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QOL).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251 stroke patients at 5 hospitals and 2 public health centers in Seoul and Kyonggi-Do.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from Grange, Hamilton, and Sherwin(1986), the Korean CES-D scale from Randloff(1977), and quality of life scale from Bang, Hwal-Lan(1991). Result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t-test, and ANOVA with SPSS/WIN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The subjects consisted of 110 females and 141 males. The mean score of activity of daily living was 87.2(range 18-126). Age, family history, comorbidity, paralysis site, and duration after diagnosi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ctivity of daily living. The mean score of depression was 23.8(range 11-44). Age, gender, education, and job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The mean score of quality of life scale was 3.0(range 1-5). Gender, religion, education, job, economic status, and duration after diagnosi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Relationships among activity daily living,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scale: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score.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QOL score. The depression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QOL score.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run rehabilitation programs to improve stroke patients`` ADL, depression. Also, it research for of identifying stroke patients``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rehabilitation program.

      • SCOPUSKCI등재

        성인간호학회지 논문(1989-2000)의 내용과 경향 분석

        서문자,김소선,송미순,이명선,오의금,신경림,김옥수,이숙자,이영자,오효숙,정재심,김철규 성인간호학회 2001 성인간호학회지 Vol.13 No.4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has been published since 1989 and more than 330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up 2000. We reviewed all the articles published in this journal to analyze the contents and trend of published articles and to find out the way of improvement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of studies in this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Ninety percent of articles were quantitative studies.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in 16.1% and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adapted in 73.6% of articles. Qualitative research were 10.3% of total articles reviewed. 2) Only 5.1% of articles described theoretical framework and 73.6% of experimentally designed articles included research hypotheses. 3) Among experimental studies, only one was true experimental studie design. Eighty nine point three persent had descriptive survey method among non-experimental studies. Amog the thirty four qualitative studies, phenomenologic(73.5%), grounded theory(14.7%), and ethnographic (11.8%) design were used. 4) Most of research subject were patients and few healthy people, healthcare worker, and patient family. 5) Psychosocial data collection method which used questionnaire were 53.7% and interview. physical measurement, observation were used in 22.8%. 8.2% 5.4% of articles respectively. 6) Total number of keywords were 692, and average number of key words per article was 2.2. Health-related keyword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according to four metaparadigm of nursing (human, health, nursing, and environment). Environment related keyword was rarely appeared. The number and quality of nursing research 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have been improved continuously. It is difficult to find out special trend or characteristics which is unique in this journal because of relatively short history of adult nursing studies. This review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adult nursing studies only in the view of quantitative aspect, but it is needed to analyse qualitatively to find philosophical or theoretical trend in nursing.

      • KCI등재후보

        항암화학요법 관련 오심과 구토 완화를 위한 비약물요법에 관한 연구동향

        소향숙,최자윤,조인숙,김영재,김지영,김애숙,김옥미,김춘심,김현오,설영애,안정옥,이애리,이영자 성인간호학회 2003 성인간호학회지 Vol.15 No.3

        Purpos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current trends on complementary therapy in relieving chemotherapy-induced nausea and vomiting and to suggest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Method: Subjects were selected on CINAHL, MEDLINE, Korean Academy Data Base from 1980 to 2001 which used nausea, vomiting, chemotherapy and complementary therapy as key words in experimental studies. Eight korean articles and twenty-one international artic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research methods, and types of complementary therapy.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Result: Since 2000, researchers have more actively used complementary therapy. In subject characteristics, mean age was 35.5 years old, 45% of the researchers were performed with high level of incidence of chemotherapy induced vomiting, 14% of them set limit of consecutive cycle during research, and 65% of them did not comment the selecting criteria of sample. About 60% of them were designed post-test only control group: 35% used INV by Rhodes, 31% used Likert scale, and 24% used VAS for dependent variable. Muscle relaxation therapy was mostly applied for relief of nausea and vomiting. Conclusion: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control extrinsic variables affecting nausea and vomiting in research design and to accumulate evidence with studies applying various complementary therapies.

      • KCI등재후보

        2003년 국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진료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이진수,김은실,정문현,백제중,정선화,안주희,최영화,이선희,고철우,김성범,김민자,박승철,기현균,송재훈,최상호,김양수,이상오,조용균,박영훈,정숙인,김연숙,이흥범,손창희,장성희,정희진,김우주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목적 : 2002년 말 중국에서 SARS가 발생한 이후 국내에서도 2003년 10월까지 총 3명의 추정환자, 17명의 의심환자가 보고되었다. 향후 추가적인 SARS의 유행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그간의 SARS 환자 진료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준비사항, 진료 현황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더 나은 대비가 될 수 있도록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SARS로 의심되는 환자를 진료 경험이 있는 병원의료진을 대상으로 2003년 10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SARS 환자 진료 시의 실질적인 조치, 진료 현황, 병실, 응급실 및 외래에서의 격리 시설과 준비사항, 보건당국의 관리와 지원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였다. 결과 : 대상이 되는 22개 병원 중 17개(17/22, 77.2%) 병원이 설문에 응하였다. SARS 환자를 위한 격리실은 응급실, 외래, 일반병실 및 중환자실에서 각각 9개(9/17, 52.9%), 5개(5/17, 29.4%), 15개(15/16, 93.7%), 4개(4/16, 25%) 병원에서 음압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일인실 혹은 다인실이 사용되었고, 1개(1/16, 6.3%) 병원에서만 일반병실에서 음압격리실이 운영되었다. 입원환자의 진찰 시 개인보호구의 착용은 거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이루어졌다. 보건당국에서 SARS지정병원의 시설 등을 사전에 확인한 곳은 1곳(1/12, 8.3%)이였고, 14개 병원(14/15, 93.3%)에서는 보건당국에 의뢰한 검사결과를 통하 받지 못하였다. 결론 : 의료기관에서 SARS 환자용 격리실뿐만 아니라 기존의 격리실 설비 등이 미흡하였으며, 특히 중환자실 및 외래의 준비가 더욱 부족하였다. 보건당국의 의료기관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이 부족하였고, 병원과의 원활한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SARS 만이 아닌 격리를 필요로 하는 질환의 적절한 진료를 위해 향후 병원 시설의 정비와 정부차원에서의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Background : There was an worldwide outbreak of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originated from China in late 2002. During that period three cases of suspected SARS and 17 cases of probable SARS were reported in Korea. With the concerns about the reemergence of SARS-coV transmission, it is important to be prepared for any possibility. So,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is the past measures in managing SARS and propose the amendatory plans to improve the preparedness. Materials & Methods :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clinicians with any experience in managing the probable or suspected SARS cases in Oct. 2003. 17 out of 22 hospita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contents in the questionnaire were practical activities, personal equipments, response plans, isolation facilitie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and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sults : The dedicated isolation room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were prepared in 9 (9/17, 52.9%), 5 (5/17, 29.4%), 15 (15/16, 93.7%), and 4 (4/16, 25.0%) hospitals, respectively. Except for one hospital that newly made negative pressure room for SARS, single or multi-bed rooms without airborne infection control were used in all the other hospitals. The personal precaution principles were kept quite well in general wards. Before the designation of SARS hospital by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prior evalution to see if the hospital was suitable for managing SARS was conducted in only 1 (1/12, 8.3%) hospital. The results of laboratory diagnosis were reported back in 1 (1/15, 6.6%) hospital. Conclusions : The isolation facilities which can control airborne infection were almost deficient not only for SARS but also for other respiratory transmissible diseases. For the infection control of transmissible diseases including SARS, more investment is needed on medical facilities and comprehensive support from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quired.

      • Effects of Conomitant Micro-organisms in a Culture Medium of Entamoeba histolyica on the Establishment of Abscesses in Hamster Livers

        김경래,박 현,정윤자,김숙향,소진탁 INSTITUTE OF TROPIC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1991 YONSEI REPORTS ON TROPICAL MEDICINE Vol.22 No.1

        통상적인 이질아메바 배지내에는 분변에서 유래된 각종 세균 특히 장내세균등이 배지에 첨가한 항균제에 의하여 차츰 감소되기는 하나 대부분의 경우 몇 가지 종류는 그대로 남아 있어 특수한 무균처치(axenization)를 하지 않을 경우 거의 영구적인 공존 미생물(concomitant micro-organism)로서 이질아메바 배지에서 없어지지 않는다. 본 연구는 현재 실험실에서 계대 보관중인 10개 이질아메바를 대상으로 그 배지 modified Boeck-Drbohlab's diphasic medium으로부터 6가지 공존 세균을 분리하였다. 즉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Acinetobacter sp., Aeromonas hydrophilus, unidentified gram negative Diplococcus, glucose-gas negative but not Salmonella등 6개 종류를 검출하였는데 그중 E. coli 및 D. pneumoniae와 또 TTY-SB monophasic 배지내의 이질아메바 공존 원충인 Crithidia sp.를 재료로 하여 그들이 이질아메바의 간농양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검토한 바 그 얻어진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Escherichia coli는 간조직내에서 약 1개월 또는 그 이상 생존 가능하다 단독으로는 병변을 야기할 수 없었고 이질아메바와 공존시 아메바성 간농양 형성을 조장하였다. 2) K. pneumoniae는 단독으로는 간조직에 농양을 형성하지 않았으나 아메바성 간농양 형성은 조장하였다. 3) Crithidia sp.는 간조직에서 병변을 야기하지 않았고 6시간 이내에 소실되나 이질아메바와 섞여 간조직에 주입할 경우 아메바성 농양 형성을 조장하였다. 4) 무균적으로 배양된 이질아메바는 간조직에 주입하여도 농양형성을 볼 수 없었으나 배지에 Escherichia coli를 혼합한뒤 6시간 경과된 아메바성 간농양 형성이 가능하였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이질아메바 배지내 공존 세균과 무균배지내 이질아메바는 각각 단독으로는 간농양을 형성할 수 없으나 특수미생물과 이질아메바가 일정한 시간 공존하면 세균이 이질아메바의 병원성을 조장하여 아메바성 간농양이 더 촉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보험 심사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및 소진 경험과의 관계연구

        김자옥,김인숙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2007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32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stress, job satisfaction and bum out experience among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139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who work at 3 tertiary hospital, 19 general hospitals and 10 hospitals in Gwangju, Province of chonnam and Chonbuk from August 1 to August 31, 2004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stress and their burnout experienc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607, P=.000). As a result of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work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r=-.518, P=.000). As a result of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expehnece,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r=-.630, P=.000). Conclusion: Therefore, It is need to working environment development, simplification of administrative formality efficient personnel management, systematic job education for insurance medical nurse's work stress reducing, job satisfaction improving , burnout experience decreasing and occupation effiency.

      • 프로스포츠 관중의 경기 관련 정보획득 및 구매형태에 관한 연구

        김숙자 이화여자대학교 동작과학연구소 2004 이화체육논집 Vol.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p analyze on the spectators` behavior about information searching and purchasing behavior of professional sports. The subiect who were randomly sampled were the spectators of the professional soccer and baseball. The frequncy analysis were applied to analysis of direct consumer behavior with spss for win 10.0 program accoding to the purpose of data analysis. The result a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on recognition of game schedule and fan services(or event) by the direct consumers in professional sports. There were signigicant differences in ticket purchasing method by the spectators in professional sp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