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피적 K-강선 정복-고정술과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

        천상진 ( Sang Jin Cheon ),구자경 ( Ja Gyung Ku ),이동호 ( Dong Ho Lee ),김휘택 ( Hui Taek Kim ),서정탁 ( Jeung Tak Suh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2

        목적: 불안정성 복잡 관절내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에서 경피적 K-강선 정복-고정술과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외고정술을 이용하여 치료 후 추시 관찰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2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AO 분류상 C1형 9예, C2형 7예, C3형 6예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35개월이었고, 최종 추시 시 방사선 사진의 분석과 함께 임상적 평가는 Green과 O`Brien의 평가법을 이용하였고, 관절염 발생의 유무는 Knirk와 Jupiter의 기준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임상적 평가상 우수 5예, 양호 12예로 17예 (77%)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최종 추시 시 요골 길이, 요골 경사 및 수장측 경사는 각각 평균 1.4 mm, 1.0°, 1.4°의 소실을 보였으며 관절염의 발생은 grade I이 7예, grade II가 1예, grade III가 1예였다. 결론: 불안정성 관절내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 시 경피적 K-강선 정복-고정술과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외고정술은 해부학적 정복과 유지에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분쇄가 심한 C3형의 경우 상기 수술 방법만으로는 관절면 정복의 획득과 유지가 힘들고 관절염의 발생률이 높아 기능적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였으므로 관혈적 정복술, 골이식술 등 추가적 치료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Purpose: To analyse the results of treatment of unstable intra-articular distal radius fractures using the percutaneous K-wire reduction-fixation and external fixator.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follow-up study of 22 cases was carried out. With use of the system of AO classification 9 cases were in C1 and 7 in C2, and 6 in C3. The average duration of follow-up for all fractures was 35 months. We evaluated the radiologic results, the functional results according to clinical evaluation scoring system by Green and O`Brien and osteoarthritis grade according to arthritic grading system by Knirk and Jupiter. Results: Excellent and good results were rated in 17 cases (77%) of all cases. At last follow-up the mean loss of radial length, radial inclination and volar tilt were 1.4 mm, 1.0°, and 1.4° respectively. Also 7 patients had grade I, 1 patient grade II, and 1 patient grade III arthritis. Conclusion: We think that percutaneous K-wire reduction-fixation and external fixation is useful treatment method for the unstable intra-articular distal radius fracture. But severely comminuted AO type C3 fractures would need additional treatments such as open reduction and bone graft to acquire and maintain the articular reduction for better results.

      • KCI등재

        이안제를 지나는 좌·우측 회절 파랑의 위상차가 항내 파고에 미치는 영향

        김탁겸(Tak Kyeom Kim),권경환(Kyong Hwan Kwon),유하상(Ha Sang Ryu),김경수(Gyung Soo Kim)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6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8 No.6

        이안제 좌·우측으로 각각 분기되어 진행하는 파랑은 회절에 의해 이안제 배후 안쪽으로 휘어져 위상간 간섭을 일으키며 중첩되면서 전파된다. 지형적인 여건으로 진행방향이 같아지게 되고 항 입구부로 향한다면 파랑의 에너지 중첩에 의한 영향이 항내로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 입구부에 이안제가 설치되는 경우, 이안제 길이에 따라 발생하는 좌·우측 회절 파랑의 위상차가 항내 파고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실험을 통해 검토하였다. 이로부터 항내에서의 파고는 이안제의 길이에 따른 좌·우측 회절파랑의 위상차에 의한 중첩의 영향으로 증폭 혹은 상쇄되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The traveling waves of the left and right of the detached breakwater are bent behind the detached breakwater by diffraction, causing phase interference, superimposed and propagated. If the direction of the waves becomes same and they head to the entrance of a port due to the geographical conditions, superimposed wave energy could influence inside of a por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phase difference of the left and right diffraction waves genera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detached breakwater on the wave heights in a port through numerical experiments when the detached breakwater at a port entrance is installed. From this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wave heights in a port is increased or decreased by the influence of superimposed caused by the phase difference of the left and right diffraction waves due to the length of the detached breakwater.

      • KCI등재
      • 이중여자 유도형 풍력발전기의 전력제어를 위한 스위칭 이득기반의 선형궤환제어기법

        김원상(Won-Sang Kim),심경훈(Gyung-Hun Sim),주성탁(Sung-Tak Jou),김서형(Seo-Hyoung Kim),이교범(Kyo-Beum Lee) 전력전자학회 2008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본 논문은 이중여자 유도형(DFIG) 풍력발전 시스템에서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직접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가변구조제어의 일종인 스위칭 이득기반의 선형궤환(LFSG)제어기법을 제시한다. 개조된 직접전력제어기법 (DPC)과 공간벡터변조방식(SVM)은 제안하는 제어기법을 실현하기 위해 이용된다. 개조된 직접전력제어원리를 이용해서 설계된 LFSG제어기법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속기준제어기법(FOC)에 비해서 간단한 제어구조로 강인성과 빠른 응답특성을 보인다. 시뮬레이션결과는 제안하는 제어전략의 타당성과 강인성을 확인해준다.

      • KCI등재

        대동작 기능분류 시스템 수준 I과 II 뇌성마비 환자에게 맞춤형 인솔 착용이 보행에 미치는 영향

        김희탁(Kim, Hee-Tak),김성경(Kim, Sung-Gyung) 한국보건기초의학회 2021 한국보건기초의학회지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n the temporal-spatial parameters and timed up and go tests with or without customized insoles for spastic cerebral palsy with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 leves (I and II). GAITRite system was measured to temporal-spatial gait pareameters and gait speed were measured with time up and go test (TUG). Participants were 19 subjects diagnosed cerebral palsy and the statistical method was paired t-test.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walking tests after wearing before wearing the insole, and significant changes velocity, TUG, step length, stride length, single support Rt, double support, stance Lt (p< 0.05), but step time, cycle time, single support Lt, stance Rt did no differ significantly (p> 0.05). As a result, if a significant change occurs in the walking speed, temporal-spatial parameters and the difficulty of walking due to various foot deformations, it has a positive effect on walking by wearing a patient-specific insole.

      • KCI등재SCOPU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The Effect of Plantar Foot Pressure Negotitating Obstacles in the Elderly

        ( Kyo-chul Seo ),( Hyeun-ae Kim ),( Hee-tak Kim ),( Sung-gyung Kim ),( Jin-sang Kim ) 대한물리치료학회 2011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23 No.6

        Purpose: This research investigated falls due to obstacles that occur among elderly people by assessing changes in the values of plantar foot force, peak force, and plantar foot pressure in elderly subjects while they were stepping over obstacles of different heights. Methods: The subjects were 20 elderly people aged 70-80 years; Pressure was measured on flat ground(0 cm), and after installing obstacles of 8 cm and 12 cm using the F-scan system, which is a resistance-type pressure sensor.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to compare pressure on each part of the foot according to various heights after collecting data using the Tekscan program. The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test was used for the post-hoc analysis, A p-value <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s: The force value for the toe area (parts 1, and 2) and contact pressur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12 cm obstacle (p<0.05). The peak force value and the peak contact pressure for part 1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12 cm obstacle (p<0.05). Conclusion: Larger changes appeared in the functions and structure of the foot while subjects walked over obstacles of different heights compared to flatland walking. This result suggests that people have safety strategies to prevent falls, and that there is a need for a more realistic approach through practice to overcome obstacles of various heights to prevent falls.

      • 침윤성 근육내 지방종

        서정탁,김정일,천상진,이춘기,구자경,김영균,Suh, Jeung-Tak,Kim, Jeung-Il,Cheon, Sang-Jin,Lee, Choon-Key,Ku, Ja-Gyung,Kim, Young-Gou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5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1 No.1

        목적: 침윤성 근육내 지방종의 임상적, 생물학적, 방사선학적 및 병리 조직학적 특징들을 분석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 방침을 확립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0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서 침윤성 근육내 지방종으로 수술받은 후 5년까지 추시 가능한 환자 1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나이는 12세에서 63세까지로 평균 45.8세였다. 남자 4예, 여자 8예였으며, 종양의 위치는 상지 5예, 하지 3예, 배부 3예, 대둔부에 발생한 1예가 있었다. 모든 예에서 술전 단순 방사선 사진과 자기공명 영상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수술시 획득한 조직에 대해 병리 조직학적 검사를 하였고 종양의 재발을 추시 관찰 하였다. 결과: 술전 방사선 검사상 골격근에 침윤을 보인 경우는 7예였다. 1예를 제외하고 11예에서 종양 조직과 침윤된 주변 골격근의 제거가 완전히 이루어졌고 수술시 얻어진 조직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검사상 피막이 있는 3예와 피막이 없는 9예가 있었으며 지방 세포와 골격근 세포가 혼합된 7예가 있었다. 완전 제거가 불가능하였던 1예를 제외하고는 추시 관찰상 재발은 없었다. 결론: 침윤성 근육내 지방종은 침윤성으로 인하여 분화가 잘된 지방 육종으로 오진될 수 있으므로 병리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정확한 병리 조직학적 진단이 필요하며 술전 연부조직 단순 방사선 사진과 자기 공명 영상 검사는 종양의 정확한 진단과 위치 파악에 도움이 된다. 치료 방법으로 침윤성 근육내 지방종과 침윤된 근육을 충분히 절제하였을 때 재발없이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을 수 있었다. Purpose: To suggest an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of infiltrating intramuscular lipoma by analysis of the clinical, biological, radiological and pathological features. Materials & Methods: 20 patients who treated at our hospital for infiltrating intramuscular lipoma from 1998. to 2001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Mean age was 45.8 years old. Four were male and eight female. All cases were checked preoperative radiographs, MRI and diagnosed by biopsy. The methods of surgical treatment included excision of tumor and peripheral tissue. We assessed the recurrence by follow up. Results: Tumors located in upper limbs 5 cases, lower limbs 3 cases, abdomen 3 cases, gluteal region 1 case. In preoperative radiographs, infiltrating intramuscular type were 7 cases. In 11 cases, tumors were completely excied with peripheral tissue. 1 cases was incompletely excised because it was very huge mass and infiltrated lung. Encapsulated tumors were 3cases and uncapsulated tumors 9 cases. There were no recurrence excepts 1 case that was infiltrated lung. Conclusion: Infiltrating intramuscular lipoma was wrongly diagnosed as well differentiated liposarcoma. To increase the rate of correct diagnosis, preoperative radiographs, MRI and pathologic diagnosis were performed. Careful wide excision is necessary to prevent the recur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