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골프장에서 지렁이의 발생과 식물체 추출물이 지렁이에 미치는 영향

        이동운,홍용,정영학,최성환,추호렬,윤재수,Lee, Dong-Woon,Hong, Yong,Jung, Young-Hack,Choi, Sung-Hwan,Choo, Ho-Yul,Yun, Jae-Su 한국잔디학회 2010 한국잔디학회지 Vol.24 No.1

        골프장에서 지렁이의 발생생태와 식물체 유래 물질이 지렁이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경기도 가평베네스트골프장과 안성베네스트골프장, 부산의 동래베네스트골프장에서 알아보았다. 지렁이의 밀도를 월별로 조사한 결과, 안성베네스트골프장에서만 차이를 보여 2006년 7월에 가장 밀도가 높았다. 1971년에 개장한 동래베네스트골프장에서는 페어웨이와 러프 지역 간에 지렁이의 밀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1999년 이후에 개장한 가평베네스트골프장과 안성베네스트골프장에서는 페어웨이에 비하여 러프의 지렁이 밀도가 높았다. 동일 골프장에서는 코스의 조성 년도가 오래된 곳일수록 지렁이의 밀도가 높았다. 식물 정유인 mustard oil(Brassica spp.)과 wintergreen oil(Gaultheria procumbens) 및 한약재 추출물(사군자: Quisqualis indica, 원화: Daphne genkwa, 흑축: Pharbitis nil, 건강: Zingiber officinale, 창이자: Xanthium strumarium), 차나무(Camellia sinensis) saponin을 이용하여 지렁이에 대한 독성을 조사한 결과, mustard oil과 wintergreen oil 및 tea saponin의 독성이 높았다. Pot 실험결과 12.4% 유효성분량 tea saponin 분말 500배 살포 시에 대조약제인 ethoprophos와 동일한 100%의 치사율을 보였다. Occurrence of earthworms for turfgrass growing seasons and effect of earthworms by some plant extracts and plant oils in golf courses were investigated at the three locations golf courses in Korea 2005 to 2006.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onthly occurrence of earthworm except Anseong Benest Golf Club, namely, Anseong Benest Golf Club was highly occurred in July in 2006. Density of earthworm was not different between fairway and rough in Dongrae Benest Golf Club (opened in 1971) while density was higher in rough than fairway in Anseong Benest Golf Club (opened in 1999) and Gapyeong Benest Golf Club (opened in 2000). In case of Gapyeong Benest Golf Club, earthworm density was higher in old courses than recently opened courses. Effect of plant extracts such as mustard oil, wintergreen oil, Quisqualis indica, Daphne genkwa, Pharbitis nil, Zingiber officinale, Xanthium strumarium, and Camellia sinensis on earthworm, mustard oil, wintergreen oil and tea saponin were highly toxic to earthworm, Eisenia andrei. In the pot experiment, 100% of Eisenia andrei was dead at the treatment of 500-fold of aquatic solution of tea saponin (12.4% a.i.).

      • KCI등재

        골프장에서 잔디의 예고와 통기작업이 곤충병원성선충의 굼벵이 방제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동운,최우근,이상명,추호렬,권태웅,Lee Dong-Woon,Choi Woo-Geun,Lee Sang-Myeong,Choo Ho-Yul,Kweon Tae-Woo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0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5 No.1

        본 연구는 골프장 잔디 해충의 종합적 관리를 위하여 잔디의 관리 과정 중에 곤충병원성 선충을 투입함으로서 굼벵이 방제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작업 공정을 축소시킴으로서 노동력과 경비를 절감시키며, 환경친화적 방제를 통해 골프장 잔디의 관리자나 이용자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잔디의 예고는 곤충병원성선충의 병원성에 영향을 미쳤는데 꿀벌부채 명나방 유충을 이용한 pot 실험과 등얼룩풍뎅이와 주황긴다리풍뎅이를 이용한 야외실험 모두에서 잔디의 예고가 짧을수록 선충의 방제 효과가 높았다. 통기작업은 곤충병원성 선충의 종에 따라 굼벵이에 대한 병원성에 차이를 보였다. 굼벵이에 대한 병원성이 낮은 곤충병원성 선충은 통기작업과 병행하여 처리하면 병원성이 높아졌으나 병원성이 높은 선충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통기작업의 수행시기도 곤충병원성 선충의 병원성에 영향을 미쳤는데 곤충병원성 선충의 처리 전에 잔디에 대한 통기작업을 하는 것이 굼벵이의 방제효과를 높였다. 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 계통 처리 시 등얼룩풍뎅이 유충 밀도 감소율은 선충 처리 전 통기와 선충 처리 후 통기 처리에서 각각 80.4%와 66%를 보여 무통기 처리의 35.4%에 비하여 높았다.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s were introduced into cultural management of turfgrasses to enhance white grub control in golf courses for saving labour and expenses and contribution to giving safe playing and working places for golfers and superintendents by environmentally friendly control strategy. The turfgrass height influenced efficacy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Efficacy was higher at short turfgrass both in pot using Galleria mellonella larvae and in golf courses using 2nd instar of Exomala orientalis and Ectinohoplia rufipes as baits. Aeration increased the efficacy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which were lower virulent. Pre-aer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post-aeration. Exomala orientalis larval population was reduced 80.4 and 66.0% in the pre-aeration and post-aeration with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Pocheon strain compared to 35.4% in the no aeration treatment.

      • 골프장에서 등얼룩풍뎅이(Blitopertha orientalis)의 계절 및 지리적 발생

        이동운,김재호,신종창,염주립,전재찬,신홍균,추호렬,Lee, Dong-Woon,Kim, Jae-Ho,Shin, Jong-Chang,Yeom, Ju-Rip,Jeon, Jae-Chan,Shin, Hong-Kun,Choo, Ho-Yul 한국잔디학회 2008 한국잔디학회지 Vol.22 No.1

        Seasonal and regional occurrence of oriental beetle, Blitopertha (=Exomala) orientalis was investigated using pheromone traps and soil sampling at three golf clubs in Busan, Gunpo, and Gimpo from 2004 to 2007. Adults of Blitopertha orientalis were found from early June to late August, but peak tim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year. Peak day of adult occurrence of B. orientalis was 25 June,2006 and 22 June 2007 in Busan, but 30 June,2006 and 29 June,2007 in Gunpo. Mean numbers of B. orientalis adults attracted to pheromone trap varied with locations. Larval development was faster in Busan than in Gunpo. The 2nd instars of B. orientalis was found on 27 August, 2004 in Gunpo whereas 3rd instars were found in Busan in the same period. In Busan, overwintered 3rd instars pupated from early May to mid-June and emerged from early June. Eggs laid at this time were hatched from late June Most 3rd instars were found at middle August and started to overwinter. The peak time of mating was 20:00 to 22:00 hour of the day. 골프장 잔디의 주요 해충의 하나인 등얼룩풍뎅이의 발생상창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과 군포, 김포 지역의 골프장에서 토양 내에서의 발육경과와 페로몬트랩을 이용한 성충의 발생경과를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조사하였다. 등얼룩풍뎅이 성충의 발생은 6월 초순에서 8월 하순까지였는데, 성충의 발생 peak는 조사지역과 년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부산지역에서는 2006년 6월 25일에 발생 peak를 보였고, 2007년에는 6월 22일에 발생 peak를 보였는데 군포지역에서는 각각 6월 30일과 29일에 peak를 보였다. 페로몬트랩에 유인된 등 얼룩풍뎅이의 개체수는 조사 골프장별로 차이를 보였다. 등얼룩풍뎅이 유충의 발육경과도 부산지역이 군포지역에 비하여 빨랐는데 군포에서는 2004년 8월 27일 조사에서 2령충만 발견된데 비하여 부산지역에서는 같은 해 8월 26일에 조사한 것에서 2령충과 3령충이 함께 발견되었다. 부산지역에서 등얼룩풍뎅이의 발생경과는 월동한 3령 유충이 5월 초순에서 6월 중순까지 용화하였고, 6월 초순부터 우화하였다. 그리고 6월 하순부터 부화하였다. 8월 중순부터는 3령충이 되어 월동에 들어갔다. 등얼룩풍뎅이 성충의 교미 peak 시간은 20:00부터 22:00였다.

      • KCI등재

        스포츠센터 소비자의 시설이용에 대한 연구

        이동운(Lee Dong-Woon) 한국체육과학회 2001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ith the view of offering material for activating sports center through research about use of facilities and necessary facilities to object of sports center consumer.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by the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from 421 members in sports cent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has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statues, ages, an academie career, income to sports center consumer. Second,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of main utility facilities indicate in the orders of swimming pool, bowling center, sauna, health. Third, The results of the most necessary facilities indicate in the orders of swimming pool, bowling center, sauna. health.

      • KCI등재

        몇 가지 한약재 추출물이 곤충병원성선충과 누에 및 먼지벌레에 미치는 영향

        이동운,최현철,김태수,박종균,박정찬,유황빈,이상명,추호렬,Lee, Dong-Woon,Choi, Hyeon-Cheol,Kim, Tae-Su,Park, Jong-Kyun,Park, Jung-Chan,Yu, Hwang-Bin,Lee, Sang-Myoung,Choo, Ho-Yul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8 No.3

        살선충 활성을 지닌 4종의 약용식물 원화(팥꽃나무: Daphne genkwa), 정향(Eugenia caryophyllata), 사군자(Quisqualis indica) 및 건강(생강: Zingiber officinale)과 살비활성을 가진 흑축(나팔꽃: Pharbitis nil), 창이자(도꼬마리: Xanthium strumarium), 청주항(된장풀: Desmodium caudatum) 추출물을 이용하여 천적 미생물인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계통(ScP)과 Heterorhabditis sp. 경산계통(HG)], 유용곤충인 누에(Bombyx mori) 및 환경지표종인 먼지벌레(Synuchus sp.)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내 X-plate에서 한약재 추출물 5,000 ppm 처리에서는 원화의 경우 두 선충 모두 처리 3일 후 100% 치사되었고, HG는 정향과 사군자 처리에서 100% 치사되었다. 1,000 ppm농도에서는 두 선충 모두 처리 2일 후까지 10% 이하의 낮은 치사율을 보였으며 원화 처리에서 HG선충이 62.8%의 치사율을 보였다. Sand column 검정에서 1,000 ppm 농도의 한약재 추출물 처리는 ScP 선충의 생존과 병원성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HG선충은 정향 추출물 처리에서 가장 낮은 병원성을 보여 0.5마리의 꿀벌부채명나방 유충만을 치사시켰다. 원화, 정향, 사군자, 흑축, 창이자, 건강이 누에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원화 추출물을 처리한 뽕잎을 급상한 처리구에서는 급상 3일 후에 20%의 치사율을 보였고, 10일째에는 모든 누에가 치사되어 고치와 번데기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누에의 체중도 원화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원화 처리를 제외한 모든 추출물 처리에서는 누에 번데기의 무게와 고치무게가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었다. 원화, 정향, 사군자, 흑축, 건강은 먼지벌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Effect of four nematicidal herbal extracts (Daphne genkwa, Eugenia caryophyllata, Quisqualis indica and Zingiber officinale) and 3 acricidal herbal extracts (Pharbitis nil, Xanthium strumarium, and Desmodium caudatum) on entomopathobenic nematodes [Steinernema carpocapsae Pocheon strain (ScP) and Heterorhabditis sp. Gyeongsan strain (HG)], silkworm (Bombyx mori), and ground beetles (Synuchus sp.) were investigated in the laboratory and field. D. genkwa was highly toxic to SCP and HG (100% mortality) at the concentration of 5,000 ppm in X-plate. All the infective juveniles of HG were dead after 3 days by E. caryophyllata and Q. indica. The mortality of ScP and HG was below 10% by D. genkwa, D. caudatum, E. caryophyllata, Q. indica and Z. officinale at the concentration of 1,000 ppm two days after treatment while mortality of HG was 62.8% by D. genkwa at the concentration of 1,000 ppm in X-plate. However, 1,000 ppm had not effect on nematode survival and pathogenicity of ScP in sand column. On the contrary, E. caryophyllata had effect on pathogenicity of HG. Mean number of dead Galleria mellonella larva of HG was 0.5 in E. caryophyllata treatment. Q. indica did not effect silkworm reared on mulberry leaves at the treatment of 1,000 ppm in 10 days after treatment. However, there were 20.0 and 100% mortalities in the treatment of D. genkwa 3 and 10 days after treatment, respectively. The weight of silkworm was low in D. genkwa and did not pupate. The weight of pupa and cocoon were not different in E. caryophyllata, P. nil, Q. indica, X. strumarium and Z. officinale. D. genkwa, E. caryophyllata, P. nil, Q. indica and Z. officinale had no effect on ground beetles, Synuchus sp. in forest soil.

      • KCI등재

        녹색콩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의 화학적 방제와 골프장의 금잔디(Zoysia matrella) 및 새로운 기주의 피해

        이동운(Dong-Woon Lee),추호렬(Ho-Yul Choo),신흥균(Hong-Gyun Shin),최병귀(Byung-Gui Choi),이근식(Kun-Sik Lee)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03 Weed & Turfgrass Science Vol.17 No.1

        녹색콩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는 우리나라 골프장의 중요 해충 중의 하나이다. 녹색콩풍뎅이 성충은 활엽수나 초본류의 잎을 먹고 유충은 잔디의 뿌리를 가해한다. 녹색콩풍뎅이 성충의 화학적 방제를 위하여 골프장 잔디 해충방제용으로 고시된 earbarl+phosalone WP,chlorifob+) diflubenzuron WP, chlorpyrifos-methyl EC,deltamethrin EC, ethofenprox WP. etofenprox + diaBinon WP. etofenprox +tebufe<br/> nozide EC, fenitrothion EC, imidacloprid SC, pyraclofos WP, tralomethrin EC의 녹색콩풍덩이 성충에 대한 효과를 실내와 온실, 야외에서 조사한 결과, 실내와 온실실험에서 carbary+phosalone WP, chlorpyrifos+diflubenzuron WP, etofenprox + diaBinon WP, fenitrothion EC가 기준량에서 녹색콩풍뎅이 성충에 대하여96% 이상의 치사율을 보였고 field 실험에서는 carbaryl 40+phosalone 20% WP와 fenitrothion 50% EC 처리에서 녹색콩풍뎅이 성충의 보정사충율이 각각 95.2%와 80.9%였다. 전착제 첨가는 carbaryl+phosalon 20% EC를 제외하고는 약효의 증대와 상승을 나타내었다. 경남 진해 용원골프장의 조경수인 칸냐(Canno generolis)와 경기도 군포의 안양 베네스트골프장에의 조경수인 살구나무(Prunus ameriaca var. ansu)와 자두나무(P. salicina)에서 녹색콩풍뎅이에 의한 피해가 확인되어 녹색콩풍뎅이의 기주식물은 총 19과26속 29종이 된다. 2002년 10월과 2003년 3월에 안앙베네스트골프장 페어웨이와 러프의 금잔디(Zoysia matrella)에서는 녹색콩풍뎅이의 유충에의하여 피해를 받는 것이 확인되었다. 녹색콩풍뎅이 유충의 피해를 받은 금잔디는 황화되거나 시들음 증상이 있었고, 이듬해 봄에는 잔디의 회복이 지연되었다. <br/> Popillia quqdriguttata is a serious insect pest in Korean golf courses. The adult feeds on leaves of latifoliate trees and herbaceous plants while the larva feeds on roots of turf grass. Thus, control of P. quadriguttata adults was tried with registered insecticides in golf courses in Korea. The insecticides used in the experiments were carbaryl + phosalone WP, chlorpyrifos + diflubenzuron WP, chlorpyrifos-methyl EC, deltamethrin EC, ethofenprox WP, etofenprox + diazinon WP, etofenprox+tebufenozide EC, fenitrothion EC, imidacloprid SC, pyraclofos WP, and tralomethrin EC. Mortalities of P. quadriguttata were over 95% in carbaryl + phosalone WP, chlorpyrifos+diflubenzuron WP, etofenprox+ diazinon WP, and fenitrothion EC at petri dish and in greenhouse. In the field test, corrected mortality of P. quadriguttata was 95.2% and 80.9% in carbaryl 40% + phosalone 20% WP and fenitrothion 50% EC, respectively. Spreading agent enhanced toxic effect of used insecticides to P. quadriguttata adults except carbaryl + phosalon 20% EC.<br/> P. quadriguttata adult was firstly observed to feed on leaves of Canna generalis at the Yongwon golf club in Jinhae, Gyeongnam and Prunus ameriaca var. ansu and P. salicina at the Anyang Benest golf club in Gunpo, Gyeonggi. Therefore, host plants of P. quadriguttata became 29 species of 26 genera in 19 families. Zoysia matrella at the fairway and roughs of Anyang Benest golf club was damaged by P. quadriguttata larvae in Octomber, 2002 and not recovered in April, 2003. Damaged turfgrass became yellowish and wilted and that retarded recovering in the following spring.

      • 전치부 임플란트 영역 치은 함몰 회복을 위한 결체조직 이식술에서 상악결절 수여부의 선택

        이동운,정광영,방주혁,이근우,Lee, Dong-Woon,Jung, Gwang-Young,Bang, Joo-Hyuk,Lee, Keun-Woo 대한심미치과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Esthetic Dentistr Vol.30 No.2

        전치부 영역에서 임플란트는 경, 연조직 조화가 필요하며 다양한 단계를 필요로 한다. 이 중 순측의 함몰은 연조직 이식을 통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치은퇴축을 위한 피개가 아닌 함몰을 위한 연조직 이식은 공여부의 선택에 있어서 구개측에 비해 상악결절부위에서의 채득으로 연조직의 볼륨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으며 출혈이나 술후 통증을 줄이고, 공여부의 치유를 빠르게 하는 장점이 있어 좋은 치료 선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mplant placement in the anterior region is performed in several stages, and harmonization of both hard and soft tissues is essential. In addition, adequate esthetic and functional evaluations are necessary in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from the provisional to the final prosthesis to attain patient satisfaction. Although gingiva can be molded in the anterior region, depression in the occlusal view can yield good results through the augmentation procedure. However, the harvesting of connective tissue from the palate is not suitable for various reasons, such as postoperative discomfort and intraoperative bleeding. Compared to the palatal area, the harvesting of connective tissue from the maxillary tuberosity can easily result in relatively thick tissue and quick healing of the donor site, thus proving to be a good modality for graft procedures.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examine the relevant evidence from previous studies and evaluate the process of soft tissue augmentation through a case pres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