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에서 관절경적 내측 반월상 연골 절제술의 효과

        김도연,최윤진,이승주,고민석,최종혁,Kim, Do-Yeon,Choi, Yun-Jin,Lee, Seung-Joo,Ko, Min-Seok,Choi, Chong-Hyuk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9 No.2

        목적: 퇴행성 관절염에서 발견되는 반월상 연골 병변에 대한 치료의 필요성에 대하여는 논란이 많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서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에 대한 치료로 관절경적 내측 반월상 연골 절제술을 시행하였을 경우의 치료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 적절한 적응증과 위험 요소를 찾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06년에서 2008년 사이에 287명이 본원에서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에 대하여 관절경적 수술을 시행 받았다. 이 중 Kellgren-Lawrence grade II, III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이 확인되고, 나이가 50세 이상이며, 외래 추시가 1년 이상인 환자 1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비디오, 방사선 사진, 의무기록, 설문지와 인터뷰를 통해 후향적으로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시각 상사 척도(VAS) 점수와 Lysholm 점수를 통해 통증과 기능의 호전을 평가하였다. 결과: Lysholm 점수는 수술 전의 평균 69점에서 수술 후에 평균 85점으로 증가하였고, VAS 점수는 수술 전의 평균 7점에서 수술 후에 평균 3.1로 통증이 호전되었다. Kellgren-Lawrence grade II 환자군에서 III 환자군보다, Outerbridge grade I 환자군에서 III와 IV 환자군보다 의미있게 통증이 호전되었다. 외상력이 있는 환자군에서 없는 환자군보다 의미있게 통증이 호전되었고 기능의 회복이 관찰되었다. 다중 회귀 분석에서 확인된 Lysholm 점수의 호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외상력과 Outerbridge grade였다. 결론: 1년 단기 추시에서 Kellgren-Lawrence grade II, III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서 내측 반월상 연골 병변에 대하여 시행한 관절경적 내측 반월상 연골 절제술은 환자의 통증 호전과 기능의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Kellgren-Lawrence grade가 낮은 경우와 외상력이 있는 환자, 관절 연골 손상이 심하지 않은 환자에서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Purpose: In patients with meniscal tear with degenerative arthritis, controversy remains as to whether arthroscopic menisectomy is worthwhile or no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rthroscopic medial meniscectomy in degenerative arthritis of the knee with meniscal tear. We also intended to identify pertinent indications and risk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287 patients underwent arthroscopic medial meniscectomy from 2006 to 2008; 103 patients who had Kellgren-Lawrence grade II, III arthritis of the knee, were over 50 years old, and had minimum 1 year follow-up, were analyzed in this study. Clinical assessment was performed retrospectively using the arthroscopic surgery database, medical records, questionnires and interviews. Assessment included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s and Lysholm scores. Results: The mean Lysholm score increased from 69 to 85 after surgery. The mean VAS score improved from 7 to 3.1 after surgery. Kellgren-Lawrence grade II group and group with trauma histor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pain and function compared with grade III and group without trauma history. Outerbridge grade I showed significantly more improvement of pain than grade III and IV.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rauma history and Outerbridge grade affect the improvement of Lysholm score. Conclusion: In one year follow-up, arthroscopic medial menisectomy can improve pain and function of patients in Kellgren-Lawrence grade II, III degenerative arthritis of the knee. We could expect good results especially in group with low Kellgren-Lawrence grade, trauma history, and mild articular cartilage lesion.

      • KCI등재

        적응 퍼지제어를 이용한 컨테이너 크레인의 고성능 제어

        김도연(Do-Yun Kim),정병진(Byung-Jin Jung),정동화(Dong-Hwa Jung)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9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3 No.2

        본 논문은 컨테이너 크레인의 속도 및 위치의 고성능 제어를 위하여 적응 퍼지제어를 제안하였다. 컨테이너 크레인의 전동기는 에너지 및 환경문제에 대한 강인성을 갖는 가변속 드라이브인 SynRM으로 설정하였다. 종래의 PI 제어기는 파라미터 변동 및 외부환경에 의하여 트롤리의 정확한 위치, 속도와 sway 각을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적응 퍼지제어를 설계하여 크레인에 적용된 SynRM 드라이브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종래의 PI 제어와 적응 퍼지제어의 위치 및 속도 응답특성을 분석하고 비교함으로써, 논문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This paper proposed an adaptive fuzzy controller for controlling speed and positions of a container crane. The motor used in container crane is installed as SynRM with variable-speed drive having the robustness on the problems of energy and environment. The conventional PI controller is not able to accurately track the position, speed and sway angle of trolley due to the factors of environment and the parameter variety. In the paper, we analyzed the performance of SynRM derive applied to the container crane by using an adaptive fuzzy control of SynRM in order to solve those problems. This pape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position and speed response and compared the performance of PI controller with an adapative Fuzzy controller, proving the validity.

      • KCI우수등재

        공개공지 조성지침 시대별 특징 및 개선방안 연구

        김도연(Kim, Do-yeon),최윤경(Choi, Yun-kyung) 대한건축학회 2018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4 No.3

        POPS(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is one of the major component that vitalize the city by private sectors providing open-spaces to the public. It holds great significances and possibilities within CBD(Central Business District) which lack open-space and green-space. Despite of its importance, a large number of problems such as deficient accessibility for the public and being unpractical from constructing only with formality occur in existing POPS. POPS should be for both owners and public because it is a public space located within a private estate. To vitalize POPS, functions like “diversity”, “accessibility and connectivity”, and “usability” are essential. Providing diverse types of spaces makes dynamic city, and the spaces must have easy access by public and variety of functions. Managements by diverse types of POPS are necessary to improve availability and to provides suitable spaces. To make diverse types of POPS, advanced classifications of type and clear criteria are required. From aspect of accessibility and connectivity, firstly detailed instructions for the arrangement are necessary for reinforcement. Specific research on means of connection such as how many faces of POPS should adjoin streets and in which direction it should be facing should be applied. Purposes of POPS must be specified depending on the type of POPS. By connecting adjacent buildings with POPS, one of the main principal of vitalizing POPS, inflow of people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improvements of design guidelines in “diversity”, “accessibility and connectivity”, and “usability” can be suggested to vitalize POPS. With these concerns in mind, this paper analyzes problems of current Seoul POPS guidelines with three aspects.

      • 말기 암환자의 임종 전 48시간 동안의 임상증상

        심윤수,김도연,남은미,이순남,Sim, Yun-Su,Kim, Do-Yeun,Nam, Eun-Mi,Lee, Soon-Nam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7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0 No.4

        목적: 말기 암환자의 여명을 예측하는 것은 환자와 가족들에게 '평안한 임종'을 맞기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의료진에게는 적극적 증상완화와 전인간적 돌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말기 암환자에서 임종 전 48시간 동안의 임상증상을 파악하고 임종을 예측하는 임상증상을 확인하여 환자 가족 및 의료진에게 이 시기에 나타나는 변화들을 이해하여 준비된 평안한 임종을 맞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법: 2003년 7월부터 2006년 3월까지 한 대학병원에 입원하여 사망한 말기 암환자 89명을 대상으로 하여 임종 전 48시간 동안의 임상증상을 조사하였고 입원 시, 임종 48시간-24시간전, 임종 24시간전$\sim$임종시까지 시간대별 증상의 빈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 환자의 중앙 연령은 62세(범위, $16{\sim}97$세)였다. 임종 48시간전 임상증상의 빈도는 의식혼탁(57%)이 가장 흔하였으며 이외 통증(30%), 발열(22%), 호흡곤란(19%)의 순이었다. 원발암에 따른 임종 48시간전 임상증상도 유사한 빈도를 보였으나 담도계암환자에서 발열의 빈도가 다른 암종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12). 임종이 임박할수록 입원 시에 호소하던 전신 쇠약감과 식욕부진은 감소한 반면 의식혼탁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결론: 말기 암환자에서 의식혼탁은 임종이 임박했음을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임상 지표로 생각된다. Purpose: Individual cancer patients often experience many symptoms that impair their quality of life at the end of life. Identifying symptoms at the terminal stage of cancer patients and possible imminent death prediction by using that assessment can assist physicians and patients in preparing the 'peaceful death'. This study examines symptom experience during the last 48 hours of life of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determines whether symptom experience change with proximal to death.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89 patients who died with terminal cancer at a hospital between July 1, 2003 and March 31, 2006 were reviewed. Symptom prevalence at the last 48 hours was analyzed along with the change of symptom experience at the admission, $48{\sim}24$ hours, and $24{\sim}0$ hours before death. Results: Median age of all patients was 62 years old (range $16{\sim}97$). During the last 48 hours, symptom prevalence was described as follows; unclear consciousness (57%), pain (30%), fever (22%), and dyspnea (19%). According to the primary site, unclear consciousness was notified the most frequent symptom, but fever was relatively high prevalence in patients of biliary origin cancer rather than other site cancer (P=0.012). As death was Impending, the prevalence of poor appetite and general weakness were decreased, while that of unclear consciousness was increased, which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Conclusion: The presence of unclear consciousness could be regarded as the symptom indicator as imminent death of terminal canter patients.

      • KCI등재

        진행성 암환자에서 완화적 항암치료 중단 시점의 결정에 대한 증례보고와 문헌고찰

        정윤진,김도연,Jeong, Yun Jin,Kim, Do Yeu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6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9 No.1

        완치가 불가능한 진행성 암환자에게 시행되는 완화적 항암치료의 목표는 생명연장과 삶의 질 향상이다. 그러나 완화적 항암치료는 상당한 독성을 가질 수도 있기 때문에 의사는 항암제 투여의 중단시점에 대해, 특히 생의 마지막 몇 달 내 기간에는, 항상 지속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완화적 항암치료를 중단하는 분명한 권고안은 없지만 진행성 암환자 돌봄의 질 향상을 위해 해결해야 할 쟁점이다. 저자는 완화적 항암치료를 투여 받았던 진행성 대장암, 비소세포 폐암 환자 두 증례를 기술하였다. 두 증례 모두 완화적 항암치료의 중단에 대한 공동 결정 하에 현재까지 최대한의 증상 치료를 시행하고 있다. 두 증례와 최근까지의 문헌고찰을 통해 국내 호스피스 완화의료가 확립 되어가는 시점에서, 항암치료의 중단 시점과 결정에 대해 부각시키는 바이다. Advanced incurable cancer patients receive palliative chemotherapy to prolong their life and improve quality of life. However, physicians should assess the timing to discontinue the treatment, especially near the final months of life, as palliative chemotherapy may accompany considerable toxicity. Even though there are no clear guidelines regarding the withdrawal timing for anticancer treatment in palliative setting, it is important clarify the issue for quality of care for advanced cancer patients. Here, we present two patients who received palliative chemotherapy for advanced colon cancer and non-small cell lung cancer, respectively. In both cases, it was jointly determined to stop palliative chemotherapy, and best efforts are made to relieve troublesome symptoms. The cases and up-to-date literature review will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 timing of discontinuation of cancer treatments when changes are being made to the health care system and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is taking root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