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변호사 시험의 최근 동향 및 시사점 - 출제 및 평가를 중심으로 -

        이소라 한국법교육학회 2019 법교육연구 Vol.14 No.2

        Recently, there have been increasing discussions on improving the bar examination system in South Korea since 10 years have been pass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Law School system, and the passing rate of bar examination is consistently decreasing. Most of the discussions merely focus on the passing rate or the number of successful applicants for the exam. In the United States, the passing rate of bar examinations has also continued to decline in recent years. But the focus of discussions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of South Korea. Of course, there is also a debate about the passing rate. However, others also exist: whether the bar examination is selecting the candidates with sufficient legal knowledge in a reasonable and reliable way; what factors affect the result of applicants; and what is needed for the failed applicants and law schools. In South Korea, it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discussions in the U.S. and make efforts to improve the current bar examination system from various perspectives. Particularly,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bar examination needs to be considered aiming at ensuring that citizens should be protected from incomplete legal services. Furthermore, it is desirable to more elaborately manage the bar examination system by utilizing psychometric research output.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 변호사시험 제도 개선을 위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법학전문대학원이 출범한 지 10여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현행 변호사시험의 제도에 대한 재평가가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논의의 방향은 대부분 변호사시험의 합격률 또는 합격자 수 산정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법학전문대학원 관계자 또는 학생들은 합격률 상향을 주장하는 반면, 법조계 종사자들은 대부분 합격자 수가 현행대로 유지되어야 한다고 반박하고 있다. 미국에서도 우리나라와 유사하게 최근 몇 년간 변호사 시험의 합격률이 계속 하락하였지만, 논의의 초점은 우리나라와 다소 상이하다. 물론 합격률에 대한 논쟁도 있지만, 그 외에도 변호사 시험 자체가 충분한 법률적 지식을 갖춘 응시생을 타당하고 신뢰성 있게 선별하고 있는지, 변호사시험 합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 수준 미달 로스쿨 또는 학생들에 대한 조치는 무엇이 필요한 지 등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점들을 참고하여 보다 다양한 시각에서 현행 변호사시험 제도의 개선을 위한 노력이 나타날 필요가 있다. 특히 전문자격시험으로써의 변호사 시험의 근본적인 목적이 보다 비중 있게 고려될 필요가 있다. 변호사 시험은 예비 변호사의 법률적 지식 또는 능력을 충분히 검증함으로서, 시민들이 불완전한 법률서비스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변호사시험 합격자 결정과 관련된 논의에서도 이러한 변호사시험의 목적이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 나아가 경험적으로 축적된 사회과학 연구 성과를 활용하여 변호사시험의 출제·평가 과정을 보다 정교하게 운영함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성인 초기의 발달장애인을 위한 플립드러닝 기반 앱 활용 노동인권 교육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이소라,이영선 한국특수교육학회 2023 특수교육학연구 Vol.57 No.4

        본 연구는 고용환경에서 발달장애 노동자들이 노동인권 침해 관련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고 자신의 권리를 옹호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춤으로써 안정적인 직업 생활을 유지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립드러닝 기반 앱 활용 노동인권 교육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 성인 초기 발달장애인의 노동인권 관련 역량과 경험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전공과에 재학 중인 성인 초기의 발달장애인 10명을 대상으로 플립드러닝 기반 앱 활용 노동인권 교육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발달장애인의 노동인권 관련 역량인 노동인권지식, 사회적 문제해결, 자기옹호의 사전-사후 점수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그룹 및 개별 면담 결과,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전반에 대해 높은 수준의 만족감을 나타내었으며 앱 콘텐츠 사용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코로나19 상황을 반영하여 플립드러닝 기반 앱 활용 노동인권 교육프로그램의 중재를 성인 초기의 발달장애인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와 경험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학생평가의 실태와 맞춤형 자율평가 활용에 관한 교사의 인식

        이소라,홍은홍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3 한국초등교육 Vol.34 No.4

        본 연구는 초등교육 현장에서 학생평가를 시행함에 있어서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문제점에 대해알아보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국가수준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이하 맞춤형 자율평가) 가 활용될 수 있는 방안과 앞으로 개선되어야 할 점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맞춤형 자율평가예비시행 학교로 선정된 서울시 소속의 한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예비시행에 참여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을 통해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주요 의견을 주제별로 제시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로 교사들이 인식한 학생평가의 주요 문제점은 학부모 민원으로 인한 객관적판단이 어려운 현실과 과정중심평가를 적용하기 어려운 교육환경이었다. 둘째로 맞춤형 자율평가의활용 방법으로는 학생이나 학부모와의 상담 시 객관적인 성취수준 및 보다 전문적인 결과 해석을 제시하는 것과 해당 학급의 학생들이 국가수준에서 어떤 성취수준을 보이는지 파악하기 위한 것을 언급하였다. 향후 맞춤형 자율평가가 안정화, 고도화 된다면, 과정중심평가를 보완할 수 있는 객관적인 준거에 기반하여 성취수준을 판단하는 자료로 활용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평가결과와 연계하여 보충 교수ㆍ학습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는 도구가 되기를 바란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앞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안정적이고 사용하기 편리한 시스템과 쉬운 접근성, 다양한 수준의문항을 보유한 문제은행 확보, 성취수준별 다양한 교수ㆍ학습자료 제공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problems perceived by teachers in student evaluation in elementary education. It identifies areas of improvement and suggests ways in which the national customized self-assessment of academic achievemen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ustomized self-assessment) can be used to address the problems highlighted by teachers. We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involving teachers who worked at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which was selected as a pilot school for the students’ customized self-assessment. Results reveale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various problems with student evaluation, including difficulties experienced by students in making objective judgments due to parental complaints and challenges in applying process-orientedassessments. Second, the teachers used the customized self-assessments as a resource to present the objective achievement levels during consultations with students and parents and to better understand how students in their class performed at the national level. If the customized self-assessment is stabilized and improved in the future, it can be used as an objective resource for counseling and for presenting achievement levels based on objective standards. Results also suggested that this self-assessment could be used to develop future teaching and study materials. Further, future improvements should include a stable and user-friendly system of self-assessment, easy accessibility, an item bank with various difficulty levels, and a variety of teaching and study materials related to each achievement level.

      • KCI등재

        재활용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의 영향분석

        이소라 한국환경정책학회 2018 環境政策 Vol.26 No.2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policies that aim to support the recycling industr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and presents supportive plans for policies that boost the recycling industry. To achieve this, specialists were interviewed and a survey of 271 recycling companies was conducted to gather their opinions. The importance and path-coefficient (priority) result from the SEM ranked the four revitalization measures as follows: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deregulation” (4.67), “financial and tax support” (4.61), “securing demand and price stability” (4.55),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support” (4.32). In the case of path-coefficient (priority),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support” (0.72) and “securing demand and price stability” (0.71) were found to have more influence than other measur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TPB analysis, “attitude” is one of the most decisiv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coefficient of influence that leads to “intention.” 본 연구는 재활용산업 지원 방안이 재활용산업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델(SEM) 및 계획행동이론(TPB)을 활용하였다. 지원 방안 마련을 위해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고 재활용산업체 271개소에 설문을 시행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을 활용해 재활용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의 중요도 및 영향계수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지원 방안의 중요도는 제도・규제 완화(4.67), 금융・조세지원(4.61), 수요처 확보 및 출고가격 안정성(4.55), 기술적 개발 및 지원(4.32) 순으로 나타났다. 영향계수 중에서는 기술 개발 및 지원(0.72)과 수요처 확보 및 출고가격 안정성(0.71)이 다른 지원 방안에 비해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계획행동이론을 분석한 결과, 4가지 지원 방안에 대한 인식도 중에서 태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차지하였다. 계획행동을 분석한 결과, 의도로 이어지는 영향계수가가장 높은 요인은 태도로 나타났다.

      • KCI등재
      • 열적 특성이 우수한 탄소면상발열체 제조 및 특성 연구

        이소라,김원석,이교우,김산나,전관구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1

        본 연구에서는 얇고 전기전도성이 우수하며 광투과율이 좋은 탄소섬유 발열시트의 제조 및 특성을 조사한다. 탄소섬유 발열시트는 단 탄소섬유를 사용하여 습식법 제조한 부직포 형태이다. 탄소섬유 발열 시트의 높은 전기전도성 확보를 위해 분산과 바인더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유기물을 사용하고 분산성에 대한 전기전도도와 발열특성을 조사한다. 제조된 탄소섬유 발열시트는 잔류 유기물, 표면형상, 강도 등을 TGA, SEM, UTM을 이용하여 확인하고, 균일 크기의 발열시트들의 저항과 인가전압에 대한 발열특성을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또한, 투입한 탄소섬유량의 조절을 통한 발열시트의 빛 투과도를 조절하며, 이의 응용으로 개발한 반투과성 발열 유리를 소개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