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집단따돌림 및 비행 실태에 따른 관련변인 차이분석: 학교급별·성별 간 차이를 중심으로

        서봉언 ( Seo Bongeon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6 교육학논총 Vol.37 No.1

        이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자료를 활용하여 집단따돌림 및 비행이 일어나는 상황에 있는 청소년들과 그렇지 않은 상황 내 청소년들의 가정, 개인, 학교, 학교폭력 피해경험, 매체사용 평균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집단따돌림 실태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부모관계, 자존감, 교우관계에서 집단따돌림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학업스트레스, 피해경험, 매체사용시간은 집단따돌림이 있다고 응답한 집단의 평균이 높았다. 하지만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경우 큰 효과크기를 보이며 집단따돌림이 있는 집단에서 피해경험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교부적응은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추가적으로 집단따돌림 지각에 따른 관련 변인의 평균에 대하여 학교급을 조절변수로 하여 그 차이를 분석한 결과, 부모관계, 자존감, 학업스트레스, 매체사용시간의 변수에서 초, 중, 고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등학생에서 가장 큰 평균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한편 성별을 조절변수로 투입하여 살펴본 결과, 자존감에서만 남녀 학생 간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비행 여부에 따른 관련 변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집단따돌림과 유사하지만 일부 차이가 나타났다. 즉 부모관계와 자존감은 비행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이 높은 평균을,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매체사용시간은 비행이 조금이라도 있다고 응답한 집단이 높은 평균을 보고하였으며, 학교변수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평균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학교급을 조절변수로 투입한 결과, 부모관계, 자존감, 학업스트레스, 피해경험, 매체사용시간이 초, 중, 고 학교급별 차이가 있었다. 집단따돌림과 달리 비행에 있어 본 연구에서 상정한 변수에 대하여 성별의 조절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아울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료를 정렬하여 각 변인의 평균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다른 관련 변인들은 시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교우관계의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미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집단따돌림과 비행 모두에서 교우관계는 문제 상황이 없다고 응답한 청소년들의 교우관계가 더욱 돈독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 문제행동과 관련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한국교육개발원의 실태데이터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청소년들의 실태를 포함하지 못하였다는 데 제한점이 있다. 추후 다양한 자료들을 수집하여 국내 청소년들의 문제 행동과 관련 변인 간의 면밀한 관계분석을 기대해본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delinquency and bullying, focusing on grades and gender. In this analysis, 「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and Qualities of School Education in Korea」 from KEDI was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actual awareness of bullying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self-esteem, peer relationship, academic stress, victim experience, and media use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ullying awareness group and unawareness group. Interestingly, victim experience in school violence was shown as the prominent factor. There is also gender difference of self-esteem between two groups. Second, according to awareness of delinquency, similar difference results were shown.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and self-esteem were better in delinquency unawareness group than awareness group. However, delinquency awareness group had a higher proportion of victim experience and media use than another. Taken togethe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school problem awareness students group and unawareness group.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provides clear evidences to plan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or reducing school problems and difficulty in generalization within the limits of this study.

      • KCI등재후보

        키워드 분석을 통해서 본 한국의 디아스포라 연구 동향

        서봉언(Seo, Bongeon),이채문(Lee, Chaimun)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4 디아스포라 연구 Vol.8 No.1

        최근 사회과학 분야의 디아스포라 관련 연구물들이 축적되고 있는 바, 국내 연구물들의 관계와 연구동향은 어떠한지에 대해서 키워드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키워드 분석을 통한 연구동향 분석은 관련 연구들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그리고 주제어 중 부족한 연구는 어떠한 것인지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전략이 될 수 있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자료를 한정하였고 수집된 연구물은 총 64편이며, 등장빈도 4회 이상의 중심 키워드는 디아스포라, 정체성, 세계화, 초국가주의, 재외한인, 네트워크, 한상, 다문화, 재일한인, 조선족, 결혼이주여성, 화교, 귀환으로 확인되었다.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내는 것은 역시 ‘디아스포라’였고 다음으로 정체성, 세계화, 초국가주의 등의 순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빈도로 파악컨대 국내의 디아스포라 연구물은 거시적 관점에서 논의되는 주제어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중심 키워드 간의 동시출현 빈도를 행렬화하여 데이터를 만들고 다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주제어들이 4개의 영역으로 군집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디아스포라와 정체성은 각각 하나의 집단을 형성하고, 세계화, 초국가주의와 네트워크가 하나의 집단, 재외한인, 화교, 재일한인, 한상, 다문화, 조선족, 귀환, 결혼이주여성 등이 하나의 집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집단은 디아스포라 영역, 정체성 영역, 글로벌 영역, 민족 및 기타 영역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국내의 사회과학 분야 디아스포라 연구물의 키워드 분석을 통한 계량적으로 연구동향을 살펴본 데에 의의가 있으며, 디아스포라 연구가 현재까지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인 만큼 이후 충분한 사례가 추가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d core keywords of research published in Korea over the past 10 years. Using keyword analysi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and research trends object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rom collected 64 articles, we extracted 13 core keywords which were shown over four times across articles. Among those keywords are such words as diaspora, identity, globalization, transnationalism, Koreans abroad, network, Korean business, multiculture, Japanese Korean, Chinese Korean, marriage-based immigrants, overseas Chinese, and repatriation. This result shows that Korean research on diaspora have handled related issues from a macroscopic viewpoint Second, other analyses were also conducted to find the relationship among core keywords, using cluster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analysis known as multi-variate analysis technique. Thus, four groups of keywords were identified as following: diaspora domain, identity domain, global domain and ethnic and others domain.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needs more samples of Korean articles about diaspora.

      • KCI등재

        원격수업에서 교사의 역할 : 학업열의, 디지털 기기, 피드백의 상호작용

        서봉언(Seo Bongeon) 한국교육사회학회 2020 교육사회학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학생의 학업열의가 원격수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학생의 학업열의가 원격수업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기기와 교사의 피드백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3-way 상호작용을 탐색하였다. 대구미래교육연구원에서 2020년 4월~5월에 수집한 「원격수업 현황 조사(학생용)」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열의와 스마트폰의 관계는 초, 중, 고 모두 일관되게 부정적인 상관을 지니고 있다. 둘째, 초등학교의 경우 디지털 기기별 사용 효과 차이는 두드러지지 않았지만, 중, 고로 올라갈수록 디지털 기기별 효과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는 디지털 기기별 효과 차이가 크지 않지만 PC 활용과 피드백의 상호작용이 관찰되었고, 중학교는 학업열의가 높은 학생일수록 태블릿 PC와 PC 활용하면 수업에 대한 몰입이 감소하였으며, 고등학교는 교사피드백의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즉 초등학교는 디지털 기기 활용 교육, 중학교는 수업 콘텐츠 다양화 전략, 고등학교는 피드백이 중요한 수업전략으로 도출되었다. 특히, 초·중에 비해 고등학생의 학업열의가 원격수업 몰입으로 이어지는 데 교사 피드백이 매우 중요하였다. 특히 태블릿 PC 활용 시 교사 피드백의 제공은 큰 폭으로 수업 몰입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원격수업에서 교사의 피드백 제공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교사의 피드백은 사용기기에 따른 학습 차이를 없애고 학습효과를 높일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학생의 학업열의가 원격수업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디지털 기기와 교사 피드백의 상호작용을 파악해 향후 효율적인 원격수업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student s academic engagement affects involvement and satisfaction in distance learning. In addition, the 3-way interaction of academic engagement, digital devices and teacher feedback was explo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engagement and smartphones is consistently negative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econd,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s, the difference in the use effect of each device was not noticeable, but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each device appeared. Third, it was important for elementary schools to provide education on device utilization, for middle schools to diversify the learning contents by device, and for high schools to give feedback to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the priority was to develop the ability to access and utilize various devices. This is because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in effect of each device, and if there is teacher feedback when using PC, it has a positive effect. When middle school students with high academic engagement took distance learning using TPC and PC, their involvement and satisfaction in learning decreased. High school had the greatest effect of teacher feedback. Teacher feedback was very important for high school students engagement to lead to distance learning effects. In particular, the provision of teacher feedback when using TPC greatly increases the effectiveness of distance learning. In summary, providing feedback from teachers in distance learning was a very important factor. The teacher s feedback is likely to eliminate learning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device used and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action between digital devices and teacher feedback on the influence of students academic engagement on distance learning and provided basic data for efficient distance learning operation in the future.

      • KCI우수등재

        원격수업에서의 교사 피드백: 고등학생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서봉언(Seo, Bongeon)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6

        본 연구는 COVID-19 상황 속 원격수업에서 받은 ‘교사의 피드백’에 관한 학생의 경험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피드백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학생의 경험을 피드백에 대한 반응, 피드백의 수용 혹은 거부, 피드백 활용의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피드백에 대한 반응은 ‘신뢰’, ‘편안함’이, 피드백의 수용 혹은 거부에는 ‘피드백 방식’, ‘피드백 수용’, ‘피드백 거부’, ‘피드백의 필요성’이, 피드백의 활용에 ‘피드백의 기능’ 등으로 총 8가지의 핵심 주제가 도출되었다. 먼저 원격수업에서 받은 교사 피드백에 대한 반응은 ‘신뢰’와 ‘편안함’으로 수렴되었으며, 유례없는 원격수업 상황이었지만, 학교의 빠른 대응으로 학교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졌음을 보고하였다. 원격수업에서 교사 피드백은 대면수업과 달리 학생들에게 눈치를 보지 않아도 되는 점에서 편안함을 제공하였다. 둘째 피드백의 수용 혹은 거부 과정을 살펴보면, 원격수업에서 교사의 역할로 ‘피드백 제공’이 매우 중요하였다. 교사 피드백의 유형과 효과는 교과마다 차이가 있었고, 온라인의 즉시성 및 익명성은 장점으로 작용하여 피드백 수용을 높이고 있었다. 또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 존중은 피드백 수용과 거부를 결정짓는 주요한 요소가 되었다. 피드백은 교과마다 적절한 방법에 차이가 있지만, 정교화 피드백은 교정 및 결과피드백보다 유용하다고 인지하였으며, 또래 우수사례 제시를 통한 통찰력 제공 피드백이 유용하였다. 셋째, 피드백의 활용 과정을 살펴보면, 피드포워드 전략은 원격수업의 질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수업에서 활용한 형성평가는 출석의 기능으로만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원격수업에서 학습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통찰력 제공 피드백, 수정본 제출 등과 같은 피드포워드 전략과 함께 교사 피드백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적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udents’ experience and provide information for effective feedback in the COVID-19 situ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students’ experience, eight key topics were derived in three steps of feedback process; response of feedback including ‘trust’ and ‘comfort’, acceptance and rejection of feedback including ‘feedback method’, ‘feedback acceptance’, ‘feedback rejection’, and ‘need for feedback’, and use of feedback including ‘feedback function’. First, the response to teacher feedback received in distance learning converged into trust and comfort , and it was reported that although it was an unprecedented distance learning situation, the school s rapid response increased trust in the school. Teacher feedback in distance learning provided comfort in that students did not have to consider others. Second, in the process of accepting or rejecting feedback, providing feedback was very important as a teacher s role in distance learning. The types and effects of teacher feedback differed from subject to subject, and online immediacy and anonymity acted as advantages, increasing acceptance of feedback. In addition, mutual respect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has become a major factor in determining acceptance and rejection of feedback. Elaborated feedback and providing insight through peer best practices were useful. Third, in the process of using feedback, it was found that the feedforward strateg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distance learning. The formative assessment used in distance learning was recognized only as an indicator of attendance. Feedforward strategies such as providing insights and submitting revised version, as well as institutional support to promote teacher feedback were proposed.

      • KCI등재후보

        대구시 고등학생과 학부모의 다문화 수용 실태 및 구조적 관계-「대구교육실태연구 2016」를 활용하여-

        서봉언 ( Seo Bongeon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2017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Vol.10 No.-

        본 연구는 대구시 고등학생과 학부모의 다문화 수용 실태를 분석하고, 고등학생의 다문화 수용과 관련한 변인들 간의 구조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등학생이 그들의 부모들보다 다문화 수용성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고교 유형별 이주민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수용성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일반고와 특목고에 비해 특성화고 학생들의 인식이 더 부정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각 고교 유형 내에서 지역별 다문화 수용성을 살펴본 결과, 이주민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다문화 수용성도 지역별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구시 고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과 부모의 다문화 수용성, 이주민에 대한 긍정 인식 간의 구조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든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을 관찰하였다. 즉 대구시 고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부모의 다문화 수용성과 고등학생 자신이 이주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대구시 고등학생과 학부모의 다문화 수용성 실태를 분석하고 이들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대구시 자료를 활용한 분석이라는 점에서 대구시에 한정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으며, 보다 다양한 분석을 통해 부모와 자녀 간 다문화 수용성 형성과정을 추후연구로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multicultural acceptance of high school students and parents in Daegu. Additionally, this study is conducted to check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ar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positive cognition to immigrants and high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is higher than their parents’ acceptance. In addition, there are some differences among districts in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positive cognition of students and parents. Especiall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par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have positive effect to develop their children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positive cognition to immigrants. This study suggest that various analyzing attempts be need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factors related to multicultural acceptance.

      • KCI등재

        교육소외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관련 변인 메타분석

        서봉언(Seo Bong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4

        본 연구는 교실 내 수업 상황에서 일어나는 미시적 관점의 교육소외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소외는 무엇이고, 그와 관련된 요인은 무엇인지 지난 20년간의 국내 연구물을 체계적으로 문헌고찰하고 메타분석하였다. 첫째, 교육소외는 교수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학업으로부터 소외 또는 이탈하여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부재한 것을 말한다. 둘째, 교육소외와 관련한 변수는 가정 배경에는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 가정의 구조적 결손, 낮은 사회적 자본 등 3 가지, 개인 변인으로 성별, 낮은 자존감, 주의산만, 무기력, 비행 등 5 가지, 학교 및 사회구조적 변인으로 분류장치로서 학교 기능, 높은 수업 난도, 낮은 학교만족 및 소속감, 낮은 학교 내 사회적 자본 4 가지를 도출하였다. 연구자 배경으로 인해 교육소외 학생을 판별하고 선정하는 과정의 편향이 존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나 여전히 저소득층 학생, 구조적 결손 가정, 가족의 지지로 대변되는 사회적 자본은 교육소외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한편 교육소외와 개인 변인을 살펴보면, 성별은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낮은 자존감, 주의산만, 무기력, 비행 등은 교육소외 학생과 정적인 관계가 확인되었다. 교육소외와 관련하여 분류장치로서 기능하는 학교제도에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학교 만족과 교육소외는 기존의 관념에서 벗어나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래로부터의 지지는 교육소외와 가장 높은 부적 효과크기를 지녔다. This study systematically examined and meta-analyzed studies over the past 20 years, focusing on the micro-concept of education alienation especially in the classroom, and what the factors are related to it. First, education alienation refers to the absence of significant interaction due to alienation or estrangement from studie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Second, the variables related to education alienation derived 3 types of the home background, 5 types of individual variables, and 4 types of school and social structural factors. Home background variables were low socioeconomic status, structural defects in the family, and low family social capital. 5 types of individual variables were gender, low self-esteem, distraction, powerlessness, and delinquency. Last, 4 types of school and social structural factors were school functions, class difficulty, low school satisfaction and belonging, and low social capital in the school. Family social capital represented by the parents’ support, families with structural deficits and low income were closely related to education alienation. Looking at individual variables, gender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and students who felt alienated from class were related to low self-esteem, distraction, powerlessness, and delinquency. The school that functions as classification mechanism has caused education alienation.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atisfaction and education alienation. Teacher support and friend support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 with education alienation. In particular, support from peers was the highest effect size.

      • KCI등재

        대구시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 맥락 변인의 효과

        서봉언 ( Bongeon Seo ),박상은 ( Sangeun Park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7 중등교육연구 Vol.65 No.3

        본 연구는 학교교육의 성과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맥락변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교육실태연구2016 자료를 활용하여 대구광역시 관내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교육 맥락 요인을 위계선형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국, 영, 수 학업성취 학교수준 분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20%를 상회하였으며 특히, 영어교과의 학교분산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수준 변수에서 학업성취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부모학력, 부모의 교육관, 공부시간, 내재적 동기, 수업이해도, 학생회경험 여부, 동아리 경험 여부로 나타났다. 반면 운동시간과 학습활동 만족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교수준 변수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관찰된 변수는 부모학력평균과 부모소득평균으로 나타나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학교에서 높은 학업성취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학교 간 교육격차를 짐작해 볼 수 있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최근 수집된 대구교육실태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대구광역시 고등학생의 교육 성취와 교육 맥락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교육적 성취는 장기간의 교육과정에 의한 결과물이기에 보다 면밀한 학업성취 분석을 위해 종단자료 구축과 이를 활용한 추후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South Korea’s zeal for education and learning is perhaps the highest in the world. Commonly referred to as educational “fever” the situation continues to intensify as parents want to improve and ensure their children’ academic achievement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various factors that influence academic achievement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focuses on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ity of Daegu, using data from the Daegu Education Research and Information Institute. This study uses HLM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1-level variances of student achievements in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were above 20%. The significantly positive factors in this level were the education level of parents, the educational attitude of parents, study time, internal motivation, class (i.e. lecture) comprehension, student association involvement, and school club activity. Negative variables to academic achievements included exercise time and satisfaction in learning activities. Second, in school-level analysis, the education and income mean among parent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s. This finding suggests that students in schools catering to families with high socioeconomic status show better educational achievements. Taken together,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are needed to establish educational equality and collect longitudinal data for long-term educational consequences.

      • RISS 인기논문

        에듀테크, 그리고 ‘학교라 불리는 곳’

        서봉언(Seo Bongeon)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21 No.3

        본 연구는 교사가 경험한 에듀테크를 활용한 교육의 도입 및 학교의 변화 과정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에듀테크가 교내외 요인들에 의해 학교에서 확산하는 과정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에듀테크 활용 교육의 중심현상은 ‘에듀테크의 확산’과 ‘효과의 불확실성’이었다. 에듀테크 활용 교육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지만, 여전히 실증적인 효과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에듀테크 활용 교육 효과의 불확실성도 배태되어 있었다. 효과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에듀테크는 학교 전반에 빠른 속도로 확산하였고, 이는 환경 요인, 외 부 요인, 교내 요인들의 영향이 컸다. 이러한 에듀테크의 확산에는 기반 조성이라는 충분조건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또한, 교사 간 협력적인 분위기는 심리적 여유와 안정을 토대로 형성되었고, 시교육청의 적극적인 지원과 도움은 시교육청과 학교 간 신뢰를 형성하게 하여 에듀테크 활용 교육을 위한 교사 간 협력을 촉진하였다. 또한 교사의 수업설계 능력 함양이 중요해지고 있었다. 초기 핵심요원을 따라가며 에듀테크 활용 교육을 접하고 친숙해지면서 점차 교사 개인마다 다채로운 수업설계 능력을 요구받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에듀테크 활용 교육은 ‘기본 기기의 격차 해소’와 ‘다양한 수업’ 등과 같은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하였고, 더불어 보급된 기기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이라는 과 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에듀테크에 관한 학술적 논의가 시작되는 시기에 현장의 경험을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school change using EduTech experienced by teachers. As a result, EduTech is spreading in schools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e central phenomena of education using EduTech in schools were spread of EduTech and the uncertain effect . Although education using EduTech is actively conducted, there is still a lack of information on empirical effects, and uncertainties in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using EduTech are implied. Despite the uncertainty in the effect, EduTech spread rapidly throughout the school, which was largely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external factors, and in-school factors. This spread of EduTech was possible because there was a sufficient condition of fully equipped facilities. In addition, the cooperative atmosphere between teachers was formed based on psychological relaxation and stability. Active support and help from the city office of education formed trust between the city office of education and schools, and it promoted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for education using EduTech. Ultimately, the cultivation of teachers instructional design skills was becoming important. As teachers became familiar with education using EduTech while following ‘the core teachers’, each teacher was gradually required to have a variety of instructional design skills. Finally, education using EduTech has provided new possibilities such as binding the gap with basic devices and various classes and has the task of efficient management of allocated devic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field experience at the beginning of academic discussions on EduTech.

      • KCI등재

        체험활동, 사회과 성적 및 공동체 의식이 다문화 수용에 미치는 영향 :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서봉언 ( Bongeon Seo ),김원영 ( Wonyoung Kim ),김경식 ( Kyungsik K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6 중등교육연구 Vol.64 No.3

        최근 우리사회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현상이 아니다. 이로 인해 세계화 시대를 살아가게 될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뜨겁다.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의 체험활동과 사회과 성적 및 공동체 의식이 다문화 수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남녀 간 차이가 있는지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먼저 청소년의 국제교류 활동, 봉사 활동, 환경보존 활동 등과 같은 체험 활동이 만족할만한 사회과 성적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만족할만한 사회과 성적을 얻은 학생일수록 공동체 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공동체 의식 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다문화에 대한 수용정도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체험활동이 공동체 의식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기의 체험활동이 다문화 수용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형식적인 교육과정 외에 다양한 체험활동이 청소년의 올바른 성장에 긍정적일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체험활동과 사회과 성적은 다문화 수용에 직접적인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공동체의식을 매개로 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해 체험활동과 공동체 의식과 관련이 깊은 사회과 과목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공동체 의식→다문화 수용’으로 나아가는 경로에서 남녀 차이가 발견되었고,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들에게서 공동체 의식이 다문화 수용 증진에 더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Using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nd youth at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xperiential activity, social studies achievement, and a sense of community on multicultural accepta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Youth experiential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studies achievement and sense of community. Students who were satisfied with achievements in social studies had more possibilities to develop a sense of community. Especially, it was proven that a sense of community had a positive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That is, a sense of community would be mediating factor to improv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foreigner by Korean youth. These findings have shown tha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signed to encourag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a sense of community, which ultimately help students attain multicultural acceptance.

      • KCI등재

        중국 조선족과 한족의 인구 사회학적 비교 연구

        서봉언(Seo, Bongeon),이채문(Lee, Chaimun),이현철(Lee, Hyun-Chul)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7 디아스포라 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사회학적 측면에서 중국 조선족과 한족을 비교하는 것이며, 한족과 조선족의 교육, 직업, 거주지 및 이주생활을 실증적으로 비교하고자 미네소타 인구센터에서 수집한 IPUMS-International(Integrated Public Use Microdata Series, International) 1990 중국자료를 활용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족과 조선족 간의 교육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초등학교를 졸업한 대상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1990년 당시 중국 내 주류 민족이건 소수 민족이건 학력수준이 높지 않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 둘쨰, 두 민족 집단 간 교육수준에서 조선족이 한족에 비해 고학력자가 많다. 특히 한족의 경우 고학력자의 비율이 점차 줄어드는 양상인 반면, 조선족은 상대적으로 전체 대비 고학력의 비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셋째, 한족과 조선족 간의 직업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한족에 비해 조선족의 소위 고학력 및 고소득 직종인 전문직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한족과 조선족 간의 거주지 및 이주생활과 관련하여 한족의 경우 중국 전 지역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데 반해, 조선족의 경우 동북3성에 주로 집중되어 있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분석 시점이 활발한 인구 이동이 시작되는 시기로, 경제 활동을 위한 조선족의 중국 내 이주가 미진한 시기라는 데 기인한 결과이다. 다섯째, 현 거주지와 이전 거주지의 교차분석에서는 주류 민족인 한족은 대도시 간 이동이 활발하였으나, 조선족의 경우 동북3성에 집중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주 집단만을 대상으로 두 민족 간 성비를 분석한 결과, 한족은 남성이 여성에 비해 이주율이 높으며, 조선족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높은 반대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선족 여성의 경우 경제 활동이 활발하고, 결혼 등의 이유로 이주할 가능성이 높다는 데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재외한인, 특히 조선족에 대한 국내의 사회적 학문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이를 실증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시도로서 한족과 조선족 간의 비교를 통해 1990년 당시 조선족의 교육 및 직업, 거주지와 이주생활을 경험적으로 살펴본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1990년 자료를 분석하였으므로 최근 조선족의 양상은 본 연구결과와 다소 차이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어, 추후 연구에서 이들의 생활상을 보다 다각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goal of the study is to compare Chinese and Ethnic Koreans in China in terms of educational and occupational achievements, migration patterns, and sex ratio based upon regions. This quantitativ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most previous studies on ethnic Koreans in China have mainly been carried out on a qualitative-data basis. This study used China data of 1990 IPUMS from the University of Minnesota for two ethnic groups in China. First of all, almost half of both ethnic groups were elementary school graduates although ethnic Koreans were more educated than their Chinese counterparts. Second, data used in this study show that ethnic Chinese are spread pretty evenly over all Chinese territories, but ethnic Koreans are more concentrated in Northeast China as is well known. Third, data show that mobility is more active between large cities for Chinese, but mobility of ethnic Koreans was shown to be active within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that is, Jilin, Liaoning, and Heilongjiang provinces. Forth, the main reason for migration was occupational for both ethnic groups, but ethnic Koreans are more oriented to migration for family reasons. Finally, the most interesting is that Chinese males are more migration-oriented than Chinese females, while migration rate of ethnic Korean females is higher than that of ethnic Korean males in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