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성적 실행을 통한 사회과 교사자질 개선

        이종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3 사회과교육 Vol.42 No.2

        1980년대 이전까지 교사자질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은 대학의 교수들에 의해 이루어 졌으며, 그 연구결과는 현장 교사들에게 전달되어 실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대한 비판적 대안으로 1980년대 초에 제기된 ‘반성적 실행가로서의 교사자질’ 연구는 교사 스스로 자신의 교사자질을 개선해야 한다는 내재적 개선 방법에 토대를 둔다는 점에서 이전 연구들과 뚜렷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특히 Schon 이 제기한 반성적 실행가로서의 교사자질 연구는 교원양성 대학의 교육과정 진행 속에서 교사자질이 완성되는 것으로 생각하는 주류적 접근(CBTE나 Shulman의 접근)과는 달리, 교사가 자신의 수업 행위에 대해 반성적 실행을 함으로써 스스로 교사자질을 개선해 가는 것으로 보는 시각이다. 본 논문은 교사자질 개선 방안의 주요 관심사로 떠오른 Schon 이론이 오늘날 우리 교육현장에 필요한 이유와 사회과에서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Before 1980s, the research on teacher competency has been conducted mainly by professors in university, however, the practical experience of teachers to improving teachers' Quality has not been stressed much. As an alternative in the early 1980s, there has been suggested 'teacher competency research based on reflective practitioners', and this perspective is differ from the early one in terms of the training of practical competencies. CBTE and Schulman's approach view that teacher can develop their competencies through the curriculum of teacher preparation institutes. Instead Schon's conceptions of 'reflective practice' implies that teachers can mak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ir profession through the reflection on their practice to strengthen and develop its positive features, In this article, I discussed and sugges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chon's reflective ration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eacher competencies of social studies.

      • KCI등재

        南韓地域 漢藥資源植物의 蒐集分類와 利用體系에 關한 硏究, II. 南韓地域 漢藥資源植物의 蒐集分類

        이종일,이상래,박병서,김영기,조영숙,박정로,전순실,윤경원,윤의수,조덕봉,Lee, Jong-Ill,Lee, Sang-Rae,Park, Bueng-Sue,Kim, Young-Kee,Cho, Yueng-Suk,Park, Jueng-Ro,Jun, Sun-Sil,Yun, Kyeong-Won,Yoon, Eui-Soo,Jo, Deog-Bong 한국자원식물학회 1993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6 No.2

        Plant in chollabuk-do have investded 105 family, 442 species. 2. The order of distribution of the most family was the Compositae 43, Leguminosae Gramineae each 28, Rosaceae 17, Liliaceas 22, Labiatae 17, Ranunculaceae 12, Betulaceae 11, Violaceae 10, Polygonaceae Aspidiaceae each 9, Cruciferae${\cdot}$Caryothyllaceae${\cdot}$Celastraceae each 8, Fagaceae, Rubiaceae each 6, Ulmaceae 5. 3. Medical plants have invested 56 family, 116 species. 4. The order of the most family was the Compositae 8, Liliaceae Rosaceae${\cdot}$Umbelliferae${\cdot}$Labiatae each 6, Leguminosae${\cdot}$Rutaceae each 5, Campanulaceae${\cdot}$Ranunculaceae each 3, Simaroubaceae${\cdot}$Euphorbiaceae${\cdot}$Araliaceae each 2, Scrophulariaceae${\cdot}$Plantaginaceae each 1.

      • KCI등재

        사회과 교사자질에 대한 CBTE적 접근

        이종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2000 사회과교육 Vol.- No.33

        교사자질의 내용들은 예비교사들이 교사가 되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준거지침이 될 뿐만 아니라, 교원을 양성하는 대학의 교육과정의 방향성 제시에도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사회과 교사자질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그다지 흔치 않다. 본 논문은 사회과 교사자질 연구의 토대가 된 사회과 CBTE의 제시·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필자는 지금까지 교사자질 연구의 경향 변화와, CBTE 접근 방법·교육학자들에 의한 CBTE 연구들을 먼저 살펴보고, 그 다음으로 사회과 CBTE 연구 사례인 NCSS의 「사회과 교사를 위한 준거기준」과 뉴욕주의 「사회과 교사자질」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사회과 교사자질의 내용과 사회과 CBTE 연구의 의의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나아가서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현 시점의 교육개혁 논의에서 교사자질에 대한 체계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cial studies teacher competencies. It is not easy to find papers on CBTE, especially in social studies, in Korea. This 'paper specifically deals with the following four points: First, the history of teacher education proposals is traced from CBTE in the 60's, to Shulman s proposal and to Schori s recent theory of reflective practitioner. Also it is insisted that both Shulman and Schon succeed a basic idea of CBTE rather than criticize it.. Second, som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BTE approach are discussed. Also are discussed some of the CBTE examples by Oliva, Henson, Allen & Ryan, and the Florida State Department of Education. Third, more specifically in the area of social studies teacher education, the NCSS standards for social studies teachers and social studies teacher competencies of the New York State Department of Education are discussed. And fourth, is appended the New York State's social studies teacher competences, a specific example of CBTE in social studies.

      • KCI등재

        트랜스내셔널 사회의 시민성 교육

        이종일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4 사회과교육연구 Vol.21 No.4

        This paper attempts to find the way citizenship education in transnational age should go for in relation to migration. Migration after 15th century passes through 3 stages. The first stage shows westerners’ moves into every part of the world to reinforce their national power from the 15th century to the mid 19th. In this age western nations inspired their people with national consciousness, which brought about nationalism in the 19th century. The second stage shows migration flow from the underdeveloped south to the developed north countries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late 20th. In this age western countries at first tried to assimilate immigrants into western culture and later accepted multicultural thought to recognize immigrant culture. Along with this frequent relationships with foreign countries required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and the advent of global age global education. The third stage shows transnational circular or commuting mobility after 1990s. With highly developed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people in this age reject to accept standardized group identities forced to them by national communities, freely cross the national boundaries for their work and shape their own individual identities living with other people from every part of the world. Therefore citizenship education in transnational age is required to change its way from the downward education which make students accept the standardized group identities passively to interactive education which help students to shape their own identities accepting various ways of life. 본 논문은 트랜스내셔널 시대 시민성교육의 방향을 인간의 이동과 관련하여 모색해보고자 한다. 15세기 이후 인간의 이동은 크게 3단계로 나누어진다. 첫째 단계는 15세기부터 19세기 전반기까지로 서구인들이 자국의 세력을 확장하기 위해 세계 여러 지역으로 이동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의 진행과정에 유럽 각국은 국가가 중심이 되어 국가구성원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시킴으로써 19세기에 이르러 민족주의의 출현을 가져왔다. 둘째 단계는 19세기 후반기에서 20세기 후반기에 이르는 시기로 소득이 낮은 남쪽국가 사람들이 소득이 높은 북쪽 국가로 이주하는 시기이다. 이주민의 증가로 서구 각국은 국내적으로는 이민자들을 자국의 문화에 동화시킬 필요가 있었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민자들의 문화를 수용하는 다문화주의를 수용했다. 이 시기 국제관계에 있어 외국과의 빈번한 교류는 국제이해교육을 필요로 하였으나, 지구촌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글로벌 교육의 필요를 가져왔다. 셋째 단계는 급격한 교통통신 수단의 발달로 인한 1990년대 이후 순환적·통근적 이동 시기이다. 이 시기 사람들은 지역·국가·세계가 중심이 되어 집단정체성을 개인에게 강요하는 흐름을 거부하고, 순환적·통근적 이동으로 지역이나 국경을 자유로이 넘나들며 지역·국가·세계에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면서, 정체성을 스스로 만들어간다. 따라서 트랜스내셔널 시대를 살아가는 개인들을 위한 시민성교육은, 집단이 설정한 특정의 정체성을 수동적으로 수용하게 하는 하향식 시민성 교육에서, 개인 스스로 여러 문화를 접하면서 능동적으로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을 돕는 상호작용적 시민성교육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본다.

      • KCI등재

        이주와 시민성의 변화

        이종일 이주사학회 2019 Homo Migrans Vol.20 No.-

        This paper is an attempt to understand changes in citizenship as an offshoot of changes in mobility or migration mode. Discovery of newer transportational means initiated newer modes of migration for people dreaming of better life in another world, and changes in migration in turn ushered in new ways of life previously unforeseen. The main-stream group, settled for the old order, demanded immigrant people to adopt newer value system of theirs, in order to maintain their national or cultural identity unimpaired, and thus denied citizenship to immigrant groups rejecting their identity. But the successive discovery of newer modes of transportation increased mobilities exponentially, and in consequence escalated conflicts of values between the natives and the immigrants, towards disruption of existing social order. In the face of changes in mobility and increased immigrants the conservatives have responded, for the last two centuries, by insisting on the national identity and assimilatory citizenship, while the progressives by demanding changes in the status quo, based on the pluralist citizenship, transnational citizenship, and political correctness. 본 논문은 19세기 이후 시민성의 변화를 모빌리티, 이주유형의 변화와 관련지워 이해하고자 한다. 모빌리티의 변화는 기존의 질서체제를 허물고 새로운 질서체제로 나아가게 한다. 보다 나은 삶을 꿈꾸는 사람들에게 운송수단의 발명은 새로운 이주 유형을 낳고, 이는 인간에게 이전 시기에 없었던 새로운 삶의 양식을 가져온다. 그 결과 기존의 질서 체제에 적응해 온 정주민 혹은 주류 집단은 문화정체성, 민족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이주자 집단에게 기존 집단의 가치에 순응할 것을 요구하고, 이에 순응하지 않은 이주민들에게는 시민권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운송수단의 지속적인 발명과 개선은 이주자 수를 급격하게 증가시켰고, 이는 도착지 사람들과 이주민 집단 간의 가치관의 갈등을 가져와 기존의 사회체계에 커다란 위협으로 나타났다. 지난 2세기 동안 보수주의자들은 모빌리티의 변화와 이주자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통합된 가치관을 유지하기 위해 국가정체성, 동화주의 시민성 등을 주장하였고, 진보주의자들은 이주자의 증가에 부응하여 다문화 시민성, 트랜스내셔널 시민성, 정치적 올바름 논쟁과 시민성 등을 주장하면서 변화를 수용할 것을 요구하였다.

      • 全南地域 漢藥資源植物 蒐集分類 및 利用體系에 關한 硏究 : Ⅰ. 母后山 漢藥資料 植物分布調査 Ⅰ. Investigation of the Herb plant Resources around Mt. Mohu

        李鍾一 순천대학 새마을연구소 1989 새마을硏究論文集 Vol.5 No.-

        The Plants medicinal resources of Mt. Mohu were investigated 12 times from July 1, 1987 to July 28, 1988. In order to analyze the vegetation of Mt. Mohu area, herb plants structure and distribution. Herb plants of Mohu Mt. consisted of 58 families. 230 species in all. The resources of important herb drugs were plantaginaceae, Amarantaceae, Campanulaceae, Aselepiaclaceae, Leguminosae, Gentianaceae, Liliaceae, liliaceae, lilicaceae, Dioscoreaceae, Compositae, Caprifoliaceae, Ranuneulaceae, Lauraceae, Lardizabalaceae, Araliaceae, Solanaceae, Cornaceae, Fagaceae and Rosaceae. The herb durgs were comparatively more than in other mountains in our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