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태권도학과 재학생의 진로의식 성숙도와 진로탐색 행동에 대한 연구

        대석(Yang, Dae-Seok),최영렬(Choi, Young-Ryul) 경희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원 2009 태권도과학 Vol.2 No.1

        This study aims to un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ense maturity and career search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aekwondo studies and speculate the right way to educate future leaders of the world Taekwondo society. I conducted a survey using convenience sampling of 315 students who are attending Taekwondo studies in Kyunghee University, Kyungwon University, and Suwon Science College in the present of the year 2007. The result from analysis in career searching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al variables, junior year group shows higher result than freshman and sophomore year group. Also there are meaningful distinctions in career searching factor along with hometown, and in information collection and job experience with level of significance of 0.001, and for qualification, in major and further studies. After analyzing career searching behavior according to level of household, it shows that students with ordinary household are high in searching a job, while students with rich household are high in job experiences and in job preparation such as language skill and qualification. The career independence has correlation with language skill, qualification, major, further studies, and information collection in order. Also negotiation level is meaningfully connected with major, further studies, job experiences, and qualification in order. 본 연구는 태권도학과 재학생의 진로의식 성숙도와 진로탐색행동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전 세계 태권도계를 이끌어갈 지도자들의 올바른 양성방안이 무엇인지를 고찰하는데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연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진로의식 성숙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학년 간 진로의식 성숙도에서 진로독립에서 유의한차이가 나타났고 어학, 정보수집, 직업체험 자격증, 전공과진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진로탐색에서는 2학년보다 3학년이, 전공과진학에서는 1학년보다 3학년이 높게 나타났고 정보수집, 직업체험은 전공과 진학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가계수준에 있어 보통인 학생보다 가계수준이 여유로운 학생의 경우 진로탐색과 자격증, 어학, 취업준비활동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산화안정성 및 TGA에 의한 폴리올에스테르 오일의 열안정성 평가 및 오일의 수명

        대석,김영운,정근우 한국공업화학회 2002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02 No.0

        폴리올에스테르 오일의 수명을 예측하기 위해서 산화 안정성 실험과 열중량분석(TGA)을 행하였다. 각 측정온도에서 중량 감소율이 5%일 때를 한계치로 할 때 공기 분위기 하에서 TGA의 결과에 의하면, Turbo oil 2380(STD)의 경우 오일의 수명은 127 min (@175˚C), 63 min (@189˚C), 33 min (@204˚C), 14 min (@218˚C), 6 min (@ 232˚C)이었고 Jet oil 291 (HTS) 오일의 수명은 178 min (@175˚C), 78 min (@189˚C), 48 min (@204˚C), 12 min (@218˚C), 8 min (@232˚C)이었다. 즉, 낮은 온도에서 오일의 수명은 HTS 오일이 STD 오일에 비해 훨씬 높음을 알 수 있었다. STD 오일의 산화안정성 실험은 FED-STD-791 Method 5308을 이용하였고 수명은 정도와 TAN 값이 각각 15%, 2.0의 증가를 각 온도에서의 오일의 한계치로 보고 측정하였다. 점도 결과에 의하면 STD 오일의 수명은 463 hr (@175˚C), 33.5 h r(@204˚C), 14.1 h r(@218˚C)이었으며 TAN 결과에 의하면 STD 오일의 수명은 1346 hr (@175˚C), 54.9 hr (@204˚C), 12.4 hr (@218˚C) 이었다. 금속 시편의 무게변화는 土0.2mg/㎠ (시편무게변화/시편의 표면적)이내였고 SUS 304와 AMS 4700A의 색깔이 변색되었다. 변색된 부위를 SEM 과 EDS로 분석한 결과, 시험시간이 증가할수록 탄소 및 산소 피크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오일의 산화로 인하여 생긴 산화물이 금속 시편에 퇴적되어 생기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SCOPUSKCI등재

        폴리올에스테르 오일의 온도에 따른 열 안정성 및 수명 변화 특성

        대석 ( Dae Seok Yang ),김영운 ( Young Wun Kim ),정근우 ( Keun Wo Chung ),한정식 ( Jeong Sik Han ) 한국공업화학회 2002 공업화학 Vol.13 No.8

        폴리올에스테르 오일 (Turbo Oil 2380)의 수명을 예측하기 위하여 열중량 분석(TGA)과 산화안정성 시험(FED-STD-791 Method 5308)을 행하였다. 공기 분위기와 등온(175, 189, 204, 218 및 232 ℃) 상태에서 시험한 TGA 분석 결과, 오일의 수명은 각각 127, 63, 33, 14 및 6 min을 나타내었다. FED-STD-791 Method 5308으로 시험한 후 시험 오일의 동점도(KV) 및 전산가(TAN)를 분석하여 오일의 수명을 예측하였으며 금속 시편의 무게 감량 및 변색 유무를 평가하여 오일의 산화과정을 고찰하였다. 첫째, 동점도 결과로 예측한 오일의 수명 (수명의 한계 : 40 ℃ 동점도 변화량 15%)은 130(@ 175 ℃), 38 (@ 189 ℃), 34 (@ 204 ℃) 및 14 h (@ 218 ℃)을 각각 나타내었다. 둘째, 전산가(TAN) 결과로 평가한 오일의 수명(수명의 한계 : TAN 변화량 2.0 mgKOH/g)은 1346 (@ 175 ℃), 208 (@ 189 ℃), 55 (@ 204 ℃) 및 13 h (@ 218 ℃)을 나타내었다. 셋째, 촉매로 사용한 금속 시편 (INCO 625, SUS 304, AMS 4015 및 AMS 4700A)의 무게 변화량은 ±0.2 mg/㎠ 이내였고 SUS 304와 AMS 4700A의 색깔이 변화하였다. 색깔이 변화한 AMS 4700A를 EDX 스펙트럼으로 분석한 결과, 산화시간이 증가하고 변화한 색깔이 진할수록 탄소와 산소의 피크가 커졌으며 이것은 오일의 산화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금속산화물과 유기산화물 때문이라 생각되었다. The lifetime of polyolester oil, Turbo Oil 2380 (STD) was examined through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and oxidation stability experiments. The TGA experiments under air, as the carrier gas, revealed that the lifetimes of STD oil were 127, 63, 33, 14, and 6 min for the samples at 175, 189, 204, 218, 232 ℃, respectively. The oxidation stability experiments by using FED-STD-791 Method 5308 allowed us to obtain kinematic viscosity, TAN, and the weight change data of the metal specimen. The kinematic viscosity results indicated that the lifetimes of the oil (limit of life: 15% change) were 130, 38, 34 and 14 h for the samples exposed to the temperatures of 175, 189, 204 and 218 ℃, respectively. From the TAN results (limit of life: 2.0 change), it was shown that 1346, 208, 55 and 13 h were the lifetimes for the sample under 175, 189, 204 and 218 ℃, respectively.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weight change of metal specimens was less than 0.2 m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oxidation process changed the colors of SUS 304 and AMS 4700A. To analyz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color-changed surface, an EDX technique was used. In the EDX spectra, it was observed that the peaks of C and O increased with increasing oxidation time. This implies that the changes in color of the metal surface were due to the accumulation of metal oxides and oxidized organic compounds on the surface.

      • KCI등재
      • 미생물을 이용한 절삭유제의 부패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대석,홍광민,김영운,정근우 한국공업화학회 2001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01 No.-

        여러 가지 금속재료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삭이 요구되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금속가공분야에서 가공능률이나 가공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절삭유제는 사용 중에 부패되어 악취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부패 방지능이 우수한 절삭유제의 개발이 시급하며 이의 개발을 위하여 부패 평가 방법의 확립이 아주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용성 절삭유제에서 발견되는 여러 가지 호기성 균 중에서 부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E. coli 와 K pneumoniae균을 사용하여 절삭유제 (B사의 부패방지제가 처방되지 않은 제품)의 부패능을 고찰하여 절삭유의 부패평가 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부패평가 실험은 E. coli와 K. pneumoniae의 균을 간헐적으로 접종하면서 상온에서 개봉하여 부패능을 실험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E. coli 균 보다는 K. pneumoniae 균이 부패에 더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E. coli와 K. pneumoniae의 균을 각각 접종한 경우보다는 두 균을 같이 접종한 경우에 그 균수가 더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주관증후군 접근 중 마주치는 내측 전완부 피부 신경 분지의 해부학적 분포

        대석,우상현,천호준,남현재,강동호,김영우 대한수부외과학회 2013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rospective study is to examine the anatomical variations of the branches of the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in Koreans encountered during cubital tunnel surgery. Methods: Ninety two patients with cubital tunnel syndrome were treated with a standard approach from December 2008 to July 2012. The position of the branches of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was evaluated based on the medial humeral epicondyle with the elbows fully extended. Results: At least one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branch was found during the surgeries in all patients. The average number of crossing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branches per patient was 1.6. Thirty-eight percent of the cases showed that the medial cutaneous nerve branches cross proximal to the medial humeral epicondyle within 1 cm. Eighty-two percent showed that the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branches cross distal to the medial humeral epicondyle within 1.9 cm. Conclusion: When using standard approach during cubital tunnel surgery,more than one medial forearm cutaneous nerve is found. Therefore, understanding the general position of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branches helps avoid iatrogenic damage to this nerve during cubital tunnel surgery.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에 있어서 주관증후군 수술 중에 마주치게 되는 내측 전완 피부 신경 분지의 해부학적 분포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2월부터 2012년 7월까지 주관증후군으로 진단받고 전형적인 접근법을 통한 수술을 시행한 9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내측 전완 피부 신경 분지의 분포는 주관절을 신전시킨 상태에서 상완골의 내측 상과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92명의 모든 환자에게서 최소 1개 이상의 내측 전완 피부 신경 분지가 발견되었으며, 평균 1.7개의 신경 분지가 발견되었다. 내측 상과 또는 그 근위부를 지나는 경우는 35예(38%)에서 발견되었으며, 내측 상과에서 평균 1 cm 근위부에존재하였다. 내측 전완 피부 신경 분지가 내측 상과의 원위부를 지나는 경우는 82예(89.1%)에서 발견되었으며, 내측 상과에서 평균 1.9 cm 원위부에 존재하였다. 결론: 주관증후군 환자에게 전형적인 접근법을 이용한 수술을 시행할 때 모든 예에서 최소한 한 개 이상의 내측 전완 피부 신경을 마주치게 되므로, 내측 전완 피부 신경 분지의 일반적인 위치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것은 주관증후군 수술 중에 내측 전완 피부 신경의 의인성 손상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