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에서의 대학생 자아정체감 비교분석 연구

        임호용 ( Ho Yong Lim ),황청일 ( Chung Il Hwang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 교육문제연구소) 2011 慶熙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論文集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관계 및 성별, 학년, 인터넷 활용 시간에 따른 현실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차이, 그리고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설문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조사하고 검증하였다. 현실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측정을 위해 박아청(2003)이 개발한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나,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검사지를 제작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 이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고 둘째, 오직 인터넷 활용 시간 정도에 따라서만 현실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셋째, 현실 공간에서의 친밀성, 주도성, 자기수용성이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을 32.3%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한점을 보완하고 보다 발전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d (1) How is related ego-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real and cyber-space? (2) Are the differences of ego-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real and cyber-space by sex, grade, internet usage time? (3)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ego-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cyber-space? To answer these questions, Korean ego-identity tool was used, and Developed ego-identity tool in cyber-space was verifi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results suggest that (1) ego-identity of real and cyber-space are related to each other. (2) only the internet application time was the main a variable which make difference in university student`s ego-identity in real and cyber-space. (3) intimacy, initiative, and receptiveness in real life are the critical factors that make happy or unhappy cyber life.

      • KCI등재후보

        화옹호의 식물플랑크톤과 환경요인

        정미희 ( Mi Hee Chung ),김호섭 ( So Sub Kim ),청일 ( Chung Il Choi ),순진 ( Soon Jin Hwang ) 한국하천호수학회 2004 생태와 환경 Vol.37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both temporal and spatial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in a newly made reclaimed esturine lake (L. Hwaong). Monthly sampling was conducted at 4 sites covering the longest transact of longitudinal gradient of the lake from June to November, 2002. Total 5 classes 8 orders 26 families 63 genus 192 species were identified at all study sites during the study period. Phytoplankton total cell density ranged 24~1,882 cells mL^(-1) and highly varied both temporally and spatially. Total cell dens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salinity, pH, BOD, COD, SS, TN and TP concentration. Diatom density also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alinity, SS, BOD, COD and TN concentration. Although there was spatial difference, a longtudinal gradient appeared in phytoplankton cell density, Chl-α, TN and TP concentration from the mouth of river in June and August. In conclusion, phytoplakton community structure was dominated by diatoms (Bacillariophyceae), and appeared to be largely influenced by salinity, precipitation, and nutrients during the summer and the fall.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고등교육 서비스 해외진출 유형과 개선 방안 * - 제도적 개선을 중심으로 -

        김선주(Seon-Joo Kim),이정은(Jung Eun Lee),황청일(Chung-Il Hwang)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7 글로벌교육연구 Vol.9 No.2

        대학의 경쟁력은 국가의 경쟁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학은 개별 국가의 재능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 확충하는 인적자원개발의 요람으로 기능한다. 하지만 최근 우리나라 대학은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대학의 입학자원 감소, 주변국의 경쟁적 유학생 유치로 인한 학생 유입 감소, 전 지구적 교육시장 개발과 경쟁이라는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대학 교육 환경 속에서 국내대학의 교육서비스 해외진출은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유학생의 적극적인 유치 및 교육서비스 해외 진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과 정부의 제도적 지원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하겠다. 본 연구는 정부의 고등교육 국제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추진되고 있는 상황에서 해외 진출을 통한 교육서 비스 확대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우리나라 고등교육 서비스가 해외로 진출 하는 기반을 수립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국경을 이동하는 고등교육 (Transnational Higher Education, TNHE) 서비스를 교육과정 제공 주체, 학위 수여 주체의 입장에서 통합적으로 유형화 하고, 고등교육 서비스 해외진출을 기관 진출, 프로 그램 진출로 분류한 후 제도적 관점에서 각각의 개선방안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is closely tied to the competitiveness of nations. Universities function as cradles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at nurture and bolster talent in each country. Recently, however, Korean universities have suffered from a drop in enrollment of universities due to a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 decrease in the influx of students from overseas due to increased competi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from neighboring countries and an increasingly open and competitive global education environment. In such an environment, Transnational higher education abroad has never been more important for Korean universities. The time has come to develop a variety of plans and seek institutional support from governmental institutions to attract students from overseas to study in Korea and to ensure the successful entry of Korean educational services abroa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 for expanding the provision of transnational higher education service in line with the government’s push for the glob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as well as create the basis for Korean higher education services to venture abroad.Transnational Higher Education (TNHE) services that transcend borders are being consolidated and formalized by curriculum providers and degree granting bodies. After transnational higher education of higher education services were classified into institutional advancement and program advancement, improvement plans and policy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each track from an institutional standpoint.

      • 사회 복지와 기본적 생활권에 관한 연구

        황청일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5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7 No.2

        본 논문은 사회복지의 개념을 정립해 보고 그에 대한 국민의 권리성을 규명한 것이다. 사회복지의 개념설정과 국민의 복지권 내지 사회권 의식은 대응적 민주사회에 있어서나 형평적 정의사회를 실현하기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변수이다. 사회복지는 사인간의 자선적 차원에서 출발하여 오늘날의 공식적 제도로 정착된 개념이고 국민의 사회적 권리는 산업사회로의 진입 후 국가 사회의 연대성 이념 하에 형성된 질서적 가치규범이다. 그리하여 이들 양자 간에는 그 목적 내지 가치이념, 개념구성의 내용, 행정에의 포괄 범위 등에 있어서 일치하지 않는 측면이 있다. 신자유주의에 의한 복지다원주의 하에서 사회복지 주체와 객체의 다양화와 그에 대한 국가의 기능과 역할, 국민의 국가에 대한 사회적 권리 등이 다 같이 약화되고 있는 듯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국가의 기능은 증가하나 국민의 권리는 약화되는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요컨대 사회복지의 수혜자는 은혜로서가 아닌 권리로서 받는 개별인간이며 그리하여 개인의 국가에 대한 권리는 신장될 필요가 있다. 사회복지에 대한 법규범적 영역과 그 실현의 장인 사회복지행정의 실제와는 격차가 좁혀질 때 우리나라의 사회복지는 발전하게 될 것이다. Today's social welfare is something which can be pursued nationally with the state's institutional concept, now with personal charity one. In this context, social welfare provisions, in general, are not given by the state but achieved by every citizen's welfare rights and his/her consciousness of them. Citizens' welfare consciousness as of a civilized concept can be more important factor for getting nearer to social welfare(state) than sophisticated discussions of ex; inequality gap, absolute poverty line, social safety net, rational delivery system, etc. So,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relatedness of between social welfare and its rights, for this kind of general discussions (such a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the span and contents of social rights and citizens' recognition and consciousness of them) may be able to provide us with a further advanced society. Expecting some more sincere arguments for this kind of agenda among the scholars concerned.

      • KCI등재

        대학 강의식 수업에서 학습자가 경험한 질문 저해요소 분석 연구

        황청일,이성호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1 교육과학연구 Vol.4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강의식 수업에서 학습자 질문을 저해하는 요소들을 교수자, 학습자 그리고 환경의 상호 맥락적 관점에서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차용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총 5개 수업사례를 바탕으로 30회 동안 수업 참여관찰을 하였으며, 수업에서 학습에 열의를 가졌던 학습자 중 수업시간 중 혹은 수업시간 외에 질문을 하였거나, 혹은 질문을 하지 않은 학습자 9명을 연구제보자로 선정하여 학습자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Hatch (2002)가 제안한 9단계 유형적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대학 교수-학습 상황에서 학습자들이 경험한 학습자 질문저해 요소는 학습자 역할과 질문의 의미(소극적인 학습자, 질문할 가치를 인정하는 물음), 질문에 영향을 주는 교수자 요소(부정적인 태도와 행동, 질문시간과 질문기회 부재, 부정적인 감정적 피드백 행동, 불충분한 정보적 피드백 행동), 질문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요소(어렵고 불편한 교수자와의 관계, 동료학습자의 부정적인 시선과 반응, 대형강의로 인한 심리적 위축, 질문이 낯설은 수업분위기)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 질문행동을 촉진하기 위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hindrance factors of students' questioning with intercontextual viewpoints of the teacher, student,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in the university lecture class. This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an ethnographic analysis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45 students distributed evenly across 5 university classes.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nine steps of case study analysis suggested by Hatch (2002) on the basis of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Results show that factors inhibiting students' questioning behavior were found to be the student’s role, the content of questions, perceived teacher support of questions, and the perceived environmental support of question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with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한국의 빈민구제 및 공공부조제도의 역사적 발전과 전망

        황청일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4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6 No.2

        빈곤구제 내지 공공부조제도는 한마디로 굶주림에서 벗어나게 하거나 최소한의 인간다운 생활을 유지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써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사회보장제도의 가장 핵심적 부분이다. 본고에서는 예전의 빈곤 구제제도와 현대의 공공부조제도의 변화ㆍ발전 과정을 시대별ㆍ왕조별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 과정을 객관적으로 타당성 있게 타당성 있게 제시하려고 각 시대에 따라 왕조 및 정권을 배경으로 하면서 기존의 사회복지 변화ㆍ발전에 관련되는 일반적 이론들에 입각하여 분석하고 조명하였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과 이론적 관점에서 또한 현 한국의 제반 환경적 조건을 감안하여 미구에 전개될 공공부조제도를 그려본 것이다. The public assistance or poor relief programs are in brief to secure the least standard of living which has been the essential part of social security system. It is still a core program even in the present social insurance oriented social welfare plan.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evaluate and prospect the change and evolution of social security system based on the poor-relief system and programs or public assistance. This study explains the history of the poor-relief system and programs by times; the old, modem and present, and by th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tate, religion, citizens' rights and charity concept. In the concluding remarks, the future public assistance schemes in Korea are envisaged by taking into account of the past historical culture, developmental trends, the present socio-economic conditions, etc.

      • 사회보장에의 국가책임과 NGO의 역할

        황청일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4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6 No.1

        국민소득과 경제발전에 따라 사회복지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점고 되고 사회보장정책의 내용이 충실해 지고 있다. 사회복지에의 주도적 역할이 지역집단이나 종교단체에서 사회단체나 국가로 전이되고 있으나, 그 급여와 서비스를 위한 전달과 재원부문에 있어서는 여전히 국가 외에도 모든 관련기관이나 시민단체들의 참여와 협조가 필요하다. 이러한 사회복지의 특성 때문인지 사회보장관련 법령에도 사회보장에 대한 책임의 소재(주체)와 대상(객체), 그 내용이 구체적이지 못하고 모호한 규정·표현이 많다. 더욱이 신자유주의 또는 복지다원주의 등의 영향으로 그 책임소재와 내용이 불분명 내지 약화되고 있는 경향도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에서는 사회보장에 대한 국가책임성을 6하원칙에 입각하여 그 책임의 근거, 타당성, 당위성, 시급이 요망되는 분야 등 여러 가지 국면에서 제기되는 이슈를 심도 있게 논의하고 있다. The concepts of the state's accountability and NGO's roles for social security (social welfare programs and services) are composed of several aspects and various dimensions in the practice and conceptual definitions as well. There is such an obscureness in the usage of responsibility, concerned with legal or moral one; with the state's or the people's, or social one; with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or NGO's one and so on.. Such blurred meaning does also come from the variety of the responsibility concept, in itself. Besides, there are many explanations of responsibility, for examples; legal accountability, ethical responsibility, financial liability, obligation involved with duties and offices, responsiveness to the people's requests, dependability, etc. There are few detail specifications even in the positive laws and regulations, and also in the discussion of academic logic of social welfare. This thesis that it starts with the above reasons deals with some major issues, which are derived from characteristical aspects of social security programs, such as social insurance, public assistance, demo-grants, social welfare services, etc., correlated. with their common dimensions, that is, welfare provision(what), finance(from where), beneficiary(to whom), delivery(how) and normative validity (why the state is responsible). The themes as of major issues dealt in this subject are: 1. the changes and various respects of the state's responsibility for social security; 2. the state's responsiveness to the people's welfare rights; 3. the validity that the state should be responsible for social security; 4. the loss or weakening of the state's responsibility with the trends of welfare pluralism and privatization; 5. the urgent problems such as obligatory education and poor farmers which should be taken over into social security category; and 6. the necessity of the NGO's roles for the management and operations of social security system. In conclusion, the state's accountability for social security couldn't be evaluated by the managing and operating concept only, such as governance, privatization, NGO's participation at the delivery process, but by comprehensive concept, such as legal accountability based on precise criteria, responsiveness as of a positive obligation, and financial liability for both quantitative welfare programs and qualitative social services.

      • 빈곤과 가족해체와의 관련성 모색

        황청일,조광영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5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6 No.3

        본 논문은 빈곤과 가족간의 관계를, 구 개념 간 직접적 내지 간접적 원인 또는 결과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것이라기 보다는 빈곤과 가족해체는 상호 관련성이 높다는 전제하에 그 관련 구성과 특성을 모색하고자 시도된 것이다. 그런데 가족은 일차적 집단이면서 이차적 집단 및 사회에서도 기능해야 하는 생활의 기본단위이기 때문에 간단히 조사대상 그 자체 만을 다루는 것은 무의미하다. 한국의 전체가족 및 일반적 빈곤가족, 필자의 조사를 통한 공공부조를 수급하는 빈곤가구의 구성과 기능을 포괄적으로 수집ㆍ정리하여, 즉 모집단과 비교집단을 상호 비교하여 이론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높이려 하였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우선 관련 이차자료를 이용하여 일반적 가족의 구성과 기능을 제시하고, 절대빈곤가족의 사실적 자료가 되는 국민기초생활수급자 통합조사표를 수집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This thesis aims to present,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and family disorganization, and then intends to remind the personnel concerned of the importance of family matters in the social welfare policy. This study has verified a certain inclination of family disorganization or dissemination through the content amalysis of the official survey record of the absolute poor's living, which are benefited by public assistance programs. In order to enhance its validity and reiability, this study compares the data of benefit-recipient families(drawn from the primary sources) with those of the socially.-recognized poor and of the average ones(drawn from the secondary 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