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섬강 수계에서 하천 형태복잡도와 토지이용, 수질 및 부착규조류 군집 분포와의 관계

        민한나,김난영,김미경,이상우,황길순,황순진 한국하천호수학회 2012 생태와 환경 Vol.45 No.1

        본 연구는 섬강 수계 하천에서 하천의 형태복잡도와 부착규조류 군집 분포와의 관계를 자연지리, 토지이용도, 수리, 수질요인들과의 관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하천의 형태복잡도는 하천의 입지(고도)와 하폭 그리고 주변의 토지이용도와 밀접한 관계를 나타냈으며, 동시에 하천의 수질과도 유의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즉, 형태복잡도가 높 은 하천은 숲과 농경지의 이용도가 높았으며, 반면 형태 복잡도가 낮은 하천에서는 도시 이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형태복잡도가 높을수록 하천의 영양염의 농도가 낮 은 결과를 나타냈다. 섬강 수계에서 출현한 부착규조는 총 145 분류군(2목 3아목 8과 26속 125종 15변종 2품종 3아종)이 출현하였다. 하천의 형태복잡도 차이에 관계없 하천 형태복잡도와 부착규조류 군집 분포 119 이 부착규조류 군집의 종조성과 우점종의 차이는 크지 않 았으나 밀도와 지표종의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부착 규조류 지표종은 낮은 형태복잡도를 가진 지점들에서 호 오탁성종의 상대밀도가 높았던 반면, 복잡도가 높은 지점 들에서는 호청수성종의 종수와 상대밀도가 더욱 높았다. 부착규조류 생물지수(TDI, DAIpo)를 이용해 생물학적 수 질을 평가한 결과 형태복잡도가 낮은 지점들에서의 수질 이 상대적으로 불량하게 나타났다. 특히, BOD, TP, PO4-P 농도는 DAIpo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섬강 수계 하천의 형태복잡도는 부착조류 군집의 분포와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었으며, 보다 직접적으로 이들의 관 계는 형태복잡도의 차이를 결정짓는 주변 토지이용의 형 태가 하천수질에 영향을 미쳐 나타난 것으로 이해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benthic diatom community distribution, land cover/use and water quality in relation to stream shape complexity (SSC) in the Seom River watershed. SSC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 to the riparian land cover/use pattern and also water quality variables of the studied streams. Streams with high stream shape complexity (HSC) appeared to have a high proportion of forest and farmland, while streams having a low stream shape complexity (LSC) appeared to have high proportion of city. Streams with lower SSC showed higher nutrients concentration in the stream waters. Benthic diatom species composition and dominant species appeared to be similar regardless of SSC differences among the studied streams, while the variation of diatom density was manifested with SSC. The relative abundance of dominant benthic diatoms varied with SSC. Saprophilic diatoms were dominant in the streams of LSC, while saproxenic diatoms were dominant in the streams of HSC. During the evaluation of biological water quality using the benthic diatom indices, Trophic Diatom Index (TDI) and Diatom Assemblage Index to organic water pollution (DAIpo), the streams of LSC generally showed poorer water quality than those of MSC (Middle stream shape complexity) and HSC. In particular, BOD, TP, and PO4-P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DAIpo. In conclusion, shape complexity of streams in the Seom River watershed showed a close relation with benthic diatom distribution. This relation seemed to primarily be resulted from the effect of proximate factors, such as water quality, which might be affected by the land use types determining the degree of SSC.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마산시주요하천의 (馬山市主要河川) 무척추동물 군집구조에 (群集構造) 관한 연구

        윤일병,배연재,여상덕 ( Il Byong Yoon,Yeon Jae Bae,Sang Duk Yeo ) 한국하천호수학회 1984 생태와 환경 Vol.17 No.3·4

        Aquat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structure was studied in four maior streams of Masan City during the period of 1977-1979. Macroinvertebrates were collected at 18 stations over 4 major streams and quantitative data were examined by abundance, dominance indices, similality indices, diversity indices, etc. In whole streams, macroinvertebrates were composed of 37 species, 36 genera.. 30 families, 13 orders, 6 classes in 4 phyla, Among them chironomids and annelid: were most abundantly. Dominance indices showed most higly at Kyobang stream(0.98) and most lowly at Hoewon stream (0.81). Species diversity indices showed most highly at Hoewon stream (0.94) and most lowly at Kyobang stream (0.71). According to species diversity indices, all the streams studied was determined polysaprobic area.

      • KCI등재후보

        제주도 하천의 중대가리나무 식생

        최병기,류태복,김종원 한국하천호수학회 2015 생태와 환경 Vol.48 No.1

        화산섬 제주도 하천에는 버드나무류 (Salix spp.) 연목림 식생은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에 일부 하천 구간에서 유전적 고립개체군으로서 중대가리나무 식생이 발달한다. 그럼에도 획일적인 하천정비사업으로 중대가리나무의 현존 서식처 및 잠재 서식 공간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 본 연구는 중대가리나무 식생에 대한 군락분류 및 군락생태를 규명하였다. 중대가리나무가 분포하는 전역에 대하여 전통적인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91개 지점에서 11개 식생조사표(phytosociological relevé)를 획득하였고, 기발표 자료 (식생조사표 총 16개)를 수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종조성의 질적 양적 유의성 분석은 PCoA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를 이용한 좌표결정을 수행했다. 본 연구에서는 산철쭉에 대한 군락분류 및 군락지리를 근거로 산철쭉-중대가리나무군집 (Adino-Rhododendretum poukhanensae Itow et al., 1993)을 폐기하고, 중대가리나무-교래잠자리피군집 (Tripogono-Adinetum rubellae ass. nova hoc loco), 중대가리나무군단 (Adinion rubella all. nova hoc loco)을 새로이 기재하였다. 본 단위식생은 제주도 서귀포생태역의 간헐천(間歇川, ephemeral stream) 물길구간내에서 지하수와 완전 격리된 하천식생형(partly ombrotrophic vegetation in ephemeral stream)으로 규정되었다. 한반도 내에서의 대응식생형으로 산철쭉군단 (Rhododendrion poukhanensae Lee, 2004 ex. hoc loco)을 기재하고, 갯버들-달뿌리풀군단 (Phragmito-Salicion)과의 명백한 상이성을 기재했다. 중대가리나무 식생은 제주도 고유의 식생자원으로 절대감시 1급 국가식생자원의 절대(absolute)감시 보존 대상으로 보호대책이 요청되었다. There is no willow riparian vegetation in Jeju Island, Korea. Instead, a genetically-isolated population of Adina rubella is found in some parts of the riparian system. We describe its syntaxonomy and synecology. A total of 27 phytosociological relevés were collected, 11 relevés from 91 sites and 16 relevés from the previously published relevant materials. Data were analyzed by traditional Braun-Blanquet method and multivariate PCoA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New syntaxa are distinguished, Adinion rubellae all. nov. and its type association Tripogono-Adinetum rubellae ass. nov. with two subassociations, typicum and rhododendretosum poukhanensae. Adino-Rhododendretum poukhanensae Itow et al. 1993 was discarded owing to mismatch of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Adina and Rhododendron phytocoena. The alliance Adinion is Jeju's regional and partly ombrotrophic vegetation occurring in pothole and rock crevice where are independent on ground-water table. We also suggest a revised alliance, Rhododendrion poukhanensae Lee 2004 ex. hoc loco in Korean peninsula, as a corresponding syntaxon to Adinion, which completely differs from Phragmito-Salicion. Finally we pointed out that Adina phytocoena requiring an absolutely monitoring has been threatened by river maintenance project of local government.

      • KCI등재

        어류군집과 하천주변 토지이용에 따른 회야강 수계와 인근하천의 건강성 평가

        김정희 ( Jeong Hui Kim ),윤주덕 ( Ju Duk Yoon ),조현빈 ( Hyun Bin Jo ),장광현 ( Kwang Hyeon Chang ),장민호 ( Min Ho Jang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2012 생태와 환경 Vol.45 No.4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stream health using fish assemblage and make effective management, we conducted fish monitoring in the Hoeya River basin and neighboring streams. A total of 33 species classified into 12 families were collected from 29 sites in 2007. Dominant species was Zacco platypus (Relative abundance, RA: 24.8%), and subdominant species was Rhynchocypris oxycephalus (RA: 16.2%). Eight Korean endemic species and 4 exotic species were identified. Moreover, two species (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and Hemiculter eigenmanni) were translocated from other basin. To evaluate stream health of the study sites,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was applied, based on fish assemblages. Overall, IBI values were "C (Fair)" or "D (Poor)" condition, according to the grade except two sites which recorded "B (Good)". The correlation between land use pattern of surrounding watershed and IBI was analyzed to verify impact of development on stream health using fish assemblage. As a result, when percentage of the developmental groups increased, IBI values were decreased (Pearson correlation, r=-- 0.425, p=0.022). In contrast, increment of percent forest and grass lan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BI (r=0.556, p=0.002). The agricultural group and IBI did not significantly correlate with each other (r=-- 0.231, p=0.333). In this study, we identified a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of surrounding watershed and stream health using fish data (i.e. IBI). These results could be provided useful fundamental information to establish management and restoration plan in the Hoeya River basin and other rivers distributed in Korea.

      • KCI등재후보

        Brackish Lakes in Shinpo District, North Korea. I. Zooplankton

        강연식,김세화,Kang, Yeon-Shik,Kim, Say-Wa 한국하천호수학회 2003 생태와 환경 Vol.36 No.2

        북한 신포지구에 위치하는 3개 호수는(호만포호, 현금호, 대인호)동물플랑크톤 출현 결과와 염분도로 (현금호는 2002년 5월과 10월에 2.8ppt와 0.8ppt, 대인호는 1.5ppt와 0.5ppt) 보아 기수호임이 밝혀졌다. 3개 호수에서 출현한 34종류의 동물플랑크톤 중 요각류와 윤충류가 각각 15종과 7종 동정되었으며 34종류 중 담수종은 24종, 기수종과 해산종은 각각 6종과 4종이었다. 기수성 요각류인 Pseudodiaptomus와 Sinocalanus tenellus는 3개 호수에 모두 분포하고 있었으며 3개 호수 모두에서 기수종과 해산종의 출현양이 동물플랑크톤 출현양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5월에 현금호에서 S. tenellus가 입방미터당 59,000개체로 대량 출현하여 이때 기수종과 해산종의 출현양은 전체 동물플랑크톤 출현양의 99%를 넘었다. 연구 지역의 기수호를 보호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장기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ree lakes (lake Homanpo, Hyunkum and Daein) were revealed to be brackish by the results of zooplankton fauna and salinities (2.8 ppt and 0.8 at lake Hyunkum in May and October 2002, and 1.5 and 0.5 at the Daein) in Shinpo district, North Korea. Among 34 taxa of zooplankton occurred, copepods and rotifers showed the prosperity in species number with 15 species and 7 species, respectively. Twenty four taxa of freshwater animals, six brackish ones and four marine ones were found, Brackish copepods, Pseudodiaptomus inopinus and Sinocalanus tenellus, were found in all lakes. More than 90% of zooplankton abundances consisted of brackish and marine species in three lakes. The outburst of S. tenellus was observed (59,000 indiv./$m^3$) at lake Hyunkum in May, when the proportion of brackish and marine zooplankton exceeded 99% of total zooplankton abundance. Long-term monitoring appears to be needed to provide basic data to protect brackish lakes in the study area.

      • KCI등재

        위천 상류에 건설 중인 화북댐 상,하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서진원 ( Jin Won Seo ),김희성 ( Hee Sung Kim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2009 생태와 환경 Vol.42 No.2

        본 조사는 낙동강 유역의 홍수피해를 저감하고, 경북 중부지역의 안정적인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경북 군위군 고로면에 건설 중인 화북댐의 상?하류 어류조사를 통하여 댐 건설이 하천유역에 특히 수 생태계내의 어류군집에 미치는 영향유무를 파악하여 종 다양성을 보전하고 하천의 건강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화북댐 상?하류에서 사후환경영향조사 기간(2004~2008년) 중 측정된 수질항목 분석결과 현장에서 측정한 수온, 용존산소, 수소이온농도와 실내분석 항목인 부유물, 총대장균수의 경우 지점별로 다소 계절에 따른 변화를 나타냈지만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유기물 및 영양염류 농도에 해당하는 생물학적?화학적 산소요구량, 엽록소, 질소, 인의 경우 지점별로 매우 큰 폭의 변화를 보였으며 상류에서 다소 높고 하류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중금속 중 비소의 경우 2005년 6월 0.092 mg L-1를 제외하고는 0.05 mg L-1 이하를 나타내어 하천수 수질환경기준 상 사람의 건강 보호 측면에서 규정한 0.05 mg L-1 이하의 범위 내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북댐 상?하류에서 어류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7과 19종 10,263개체가 확인되었다. 조사된 어류 중 우점종은 하천중?상류에 주로 서식하는 참갈겨니(62.5%)로 확인되었으며 아우점종은 버들치(10.6%)로 나타났다. 조사 구간인 위천 상류에서 확인된 19종 중 한국고유종은 긴몰개, 동사리, 쉬리 등 총 9종(47.4%)으로 나타났으며, 멸종위기야 생동?식물 I급으로 지정된 얼룩새코미꾸리(Koreocobitis naktongensis)가 소수의 개체이지만 포획되었고, 외래도 입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 지수는 하류로 갈수록 감소한 반면에 다양도, 풍부도 지수는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우점종인 참갈겨니의 개체군 분석 결과, 길이-무게 상관관계식은 TW=0.000003 (TL)3.2603로서 매개변수 b값이 3.0보다 크게 나타나 개체군의 영양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사시기에 다른 하천에서의 개체군들과 비교분석 결과 size별 평균 비대지수 (CF)가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여 화북댐 유역의 참갈 겨니가 다른 지역보다 성장률이 높았다. 화북댐 상?하류에서 어류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하천건강성평가(IBI)를 적용한 결과, 대부분의 지점에서 양호(26~35)에서 최적 (36~40)을 보였으며 지점 5에서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어류에 관한 환경영향평가와 하천건강성평가 등을 통한 화북댐 완공 후 상?하류 하천의 어류상 변화유무 및 환경영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Hwabuk Dam has been under construction to reduce flood damage in Nakdong River watershed and to supply stable water for middle area of Gyeongbuk Province. Therefore, fish investigation in up and downstream of the dam was conducted from 2004 to 2008 in order to determine any negative effect on fish community due to dam construction and to use as fundamental data for conserving species diversity and maintaining stream health. According to data analysis on water quality, temperature, dissolved oxygen, pH, suspended solids, and total E-coli had seasonal variation, but they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in sites. However, biological and chemical oxygen demand, chlorophyll-a, nitrogen, and phosphorus representing organic matter and nutrient concentration were higher in upper site and decreased to lower site so that they differed by site. Concentration of arsenic among the heavy metals was less than 0.05mg L-1, which is regulated for protection of human health in water quality standard, except for 0.092 mg L-1 in June 2005. During the study period, the total number of fish caught from the 6 sites was 10,263 representing 7 families 19 species. Among them, dominant and subdominant species were Korean chub (Zacco koreanus, 62.5%) and Chinese minnow (Rhynchocypris oxycephalus, 10.6%) which inhabit mostly in mid and upper streams, Korea. Among the 19 species, Korean endemic species were 9 species (47.4%) including Korean slender gudgeon (Squalidus gracilis majimae), Korean dark sleeper (Odontobutis platycephala), and Korean shiner (Coreoleuciscus splendidus). There was several individuals of the 1st-class endangered species, Naktong nose loach (Koreocobitis naktongensis), caught in 2005~2007, and no introduced species of fish was found in entire sampling period. According to result of community analysis, dominance index decreased toward lower site, but diversity and richness indices increased toward lower site. The equation of length-weight relationship on the dominant species was TW=0.000003 (TL)3.2603. The parameter b in the equation was greater than 3.0 indicating good nutritional condition in the populations. Compared to populations of Korean chub in other streams, the population in Hwabuk Dam watershed had higher mean of condition factor by size indicating better growth rate. With fish fauna and multi-metric health assessment model in each sampling attempt, index of biotic integrity (IBI) was evaluated and it resulted mostly in good (26~35) and excellent (36~40) condition in all sites, and the mean of IBI was the highest in site 5.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not onl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ith fish composition but also stream health assessment in order to conserve healthy aquatic ecosystem.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마산저수지의 어류 종조성 및 생태 지표 특성 분석

        한정호 ( Jung Ho Han ),이의행 ( Eui Haeng Lee ),안광국 ( Kwang Guk An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2009 생태와 환경 Vol.42 No.2

        본 연구는 2008년 11월에 마산저수지를 대상으로 어류 종조성 및 섭식길드 및 오염내성길드에 따른 생태지표 특성을 분석하고, 이와 연관된 화학적 수질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총 12종(6과)으로 나타났고, 주요 우점종은 피라미, 치리, 참붕어 등으로 나타났다. 한국 고유종은 3종만이 출현하였으며, 외래도입종은 떡붕어 1종이 출현하였다. 생태지표 특성 분석에 따르면, 내성종 및 잡식종의 상대풍부도는 각각 98%로 단연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화학적 질적저하 및 물리적 서식지 교란요인에 의한 영향을 반영하고 있었다. 호안에 따른 종분포 특성 분석 결과, 정수식물이 발달한 호안에서 대부분의 어류가 95% 이상이 채집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상 기질 특성에 따른 분석 결과, 뻘(Silt)로 된 구간에서 가장 많은 종(11종, 91.7%)이 채집되어, 하상기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화학적 수질자료 분석에 따르면, 호수 영양상태 지표인 총인(TP) 및 Chl-a의 농도는 모두 과영양상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수의 유기물오염의 지표로 사용되는 COD도 평균 10.9 mg L-1로 나타났다. 마산저수지의 이러한 수질저하는 어류의 섭식구조(잡식종의 증가) 및 내성종의 증가 등을 통해 반영되었다. 향후 마산저수지의 어류상 및 어류 종조성이 향상을 위해서 수질 개선 및 서식지 복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fish composition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rophic guilds and tolerance guilds in association with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san Reservoir during November 2008. Total number of species were 12 species (6 families)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Zacco platypus, Hemiculter eigenmanni, and Pseudorasbora parva. We found three Korean endemic species and one exotic species, Carassius cuvieri.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ecological indicator characteristics, relative proportion of tolerant and omnivore species was 98% of the total indicating that probably, the fauna was influenced by physical habitat disturbance and physicochemical degradations. Fish distribution analysis along with littoral zone showed that the most fishes (~95%) were observed in the littoral zone where emerged macrophytes were well developed. Also, substrat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ost species were found near silt area (11 species, 91.7%), so tha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substrate types. Analysis of water quality indicated that concentrations of total phosphorus (TP) and chlorophyll-a (Chl-a) as a lake trophic indicator were judged as eutrophic states, respectively and COD as an indicator of organic matter pollution averaged 10.9 mg L-1. Based on the water quality, this system were influenced by the nutrient enrichments and organic matter. The degradations of water quality in Masan Reservoir resulted in trophic compositions of fish (increase of omnivore species) and the dominance of tolerant fish. This Monitoring data may contribute changes of fish fauna and compositions in relation to habitat modifications and chemical water quality degradation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