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시현황 및 요구

        황지희(Hwang JiHee),최형성(Choe HyungS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교육 실시현황, 교사의 요구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이해와 관심 증진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6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유아역사교육을 민족공동 체 의식 및 전통적 가치관 강조로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의 교사들은 유아 역사교육이 필요한 교육이라고 인식하는 반면 교육은 실시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시하지 않는 이유로 자료나 준비 부족을 가장 많이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역사교육을 위해 교사교육을 받은 경우는 매우 드물며, 교육을 받더라도 이론 위주의 강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수방법이 몇 가지에 집중되어 다양하게 사용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효과적인 유아역사교육 을 위하여 교사 직무 연수, 역사교육 자료 개발 및 보급, 프로그램 개발을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 동안 활발히 연구되어 오지 못한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고, 더 나아가 유아역사교육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examined infant teachers’ recognition, present states, and support needs on infant history education. The participation were 363 teachers who work at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in Busan, Korea, The results showed many teachers recognize that infant history education is necessary for infant and that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is for conserving ethnic community and traditional values. However, a few teachers participated in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education, which isn’t the program based on practice. Also, many teachers thought that the tools, materials, and methods used in the education were limited. The teachers request to develop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the education materials and participation the program. This research can be used to understand infant history education, and to develop the infant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development of material for the education.

      • KCI등재

        밀키트 선택속성이 내식/외식 컨셉의 밀키트 제품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

        황지희(Jihee Hwang),엄하람(Haram Eom),이동민(Dongmin Lee),문정훈(Junghoon Moon)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는 밀키트 선택요인이 내식 컨셉과 외식 컨셉의 밀키트 구매의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밀키트 경험자(n=412)와 비경험자(n=153)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총 565명의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밀키트 선택속성의 경우 건강, 가격, 환경보호, 편리성, 친숙함의 5가지 특성으로 정리되었다. 가설 검증을 위해 SPSS Statistics 23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식 컨셉의 밀키트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편리함, 환경 보호, 친숙함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외식 컨셉의 밀키트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건강함, 편리함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친숙함의 경우, 부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밀키트를 특정 컨셉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연구는 처음이며, 각 컨셉의 구매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식품업계 마케터에게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마케팅 전략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t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purchase meal kits between at-home concept meal kits and eating-out concept meal kit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565 Korean participants including meal kit experienced (n=412) and non-experienced (n=153). Meal kits selection attributes were organized into five factors, health, price, environmental protection, convenience, and familiarity. To verify the hypothesis, SPSS Statistics 23 was used. The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at-home menu, convenience(p < .01), environmental protection(p < .05), and familiarity(p < .01) show positive influences on willingness to buy. Second, for the eating-out menu, health(p < .001) and convenience(p < .001) have positive effects on willingness to buy, but familiarity(p<.01) has a negative effect. This is the first study to categorize the menu of meal kits and investigate each factor affecting willingness to buy. Therefore, the results can offer useful guidelines to meal kit marketers letting them know the consumers’ purchase behaviors.

      • KCI등재

        스페인어 포괄적 언어에 대한 인식 조사 : 유튜브 댓글을 활용한 감정분석 연구

        황지희 ( Hwang Jihee )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24 스페인어문학 Vol.- No.110

        Inclusive language is a multifaceted issue that encompasses language, culture, society, and politics, making it a crucial topic for exploring the intricate nuances of language use. The present study conducted sentiment analysis using 21,512 YouTube comments as a dataset to comprehend how Spanish speakers perceive inclusive language. By employing relevant Python libraries and/or packages for extracting YouTube comments and conducting sentiment analysis, the present study aimed to shed light on the authentic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the public towards Spanish inclusive language. The findings revealed a prevailing negative tone in the YouTube comments, with a diversity of mixed opinions regarding the linguistic phenomenon in question. Additionally, some disparities were observed in content and expression depending on whether the comments were written in Spanish or English. Spanish comments tended to focus more on the unique sociocultural context of Spanish-speaking communities, while English comments leaned towards interpreting it from a more international perspective, with an emphasis on the influence of American culture. The present study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inclusive language in Spanish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combined wit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 농촌지역 버스정류장의 디자인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황지희(Hwang, Jihee),서주환(Suh, Joohwan),여화선(Yeo, Hwasu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5 디자인지식저널 Vol.33 No.-

        오늘날 농촌이 녹색복지 실현을 위한 새로운 장으로서 역할이 증대되면서, 농촌다운 양호한 경관형성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농촌경관을 이루는 자연?생태적 요소와 인공적 요소들의 부조화로 농촌경관의 시각적 질은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 경관의 장소성을 부여하고, 농촌 경관이미지를 좌우하는 주요 경관 시설 중 하나인 ‘버스정류장’을 대상으로 버스정류장의 물리적 디자인 특성인 형태, 재료, 색채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각 행정구역별로 버스정류장 디자인특성은 유사한 패턴으로 나타났으며, 농촌만의 지역성이나 풍토성이 결여된 일반 기능위주의 도시환경 이미지를 형성하는 디자인 특성이 나타났다. 즉, 농촌 전 지역에서 농촌만의 지역적 정취와 개성이 결여된 경향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농촌 버스정류장 디자인 계획에 있어, 농촌의 자연적이며 부드러운 이미지와 농촌 각 지역의 정체성을 반영할 수 있는 형태, 재료, 색채 등의 디자인 구성요소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처럼 본 연구는 이러한 디자인 현황을 바탕으로 디자인 특성과 문제점을 추출하였고, 농촌경관의 가치를 재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농촌지역 버스정류장 디자인 활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As the role of rural area in becomes greater in green welfare, there are various attempts for landscape management of rural area to be favorable. However disharmony between natural factor and artificial factor deteriorates visual landscape quality of rural area. This study analyzed the design characteristics - such as form, material and color ? of ‘bus stations’s, which assign rural landscape placeness and influence rural landscape image. As a result,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bus stations among different rural areas and the design represented urban environment image instead of regionality or endemicity. In other words, All of rural areas tended to lack regionality and individuality of their own. Therefore consideration about a comprehensive plan including form, material and color in designing bus station in rural area in order to reflect the identity of each rural area. By means of analyzing present condition of design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in rural area, this study is relevant to rediscover the value of rural landscape and providing basic data.

      • 선천성 결장 폐쇄증의 경험

        황지희,김대연,김성철,김인구,Hwang, Jihee,Kim, Dae-Yeon,Kim, Seong-Chul,Kim, In-Koo 대한소아외과학회 2012 소아외과 Vol.18 No.2

        Colonic atresia (CA) is the rare cause of intestinal obstruction, and diagnosis of CA is difficult. But only few research has been performed, so little information has been availabl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findings of CA so that help physicians make decision properly. Children with CA who were treated at the division of pediatric surgery at Asan Medical Center in the period from January 1989 to December 2011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A total of 6 children were treated with CA. These accounted for 2.7% of all gastrointestinal atresias managed in Asan Medical Center. Only one child was premature and low birth weight, the others were fullterm neonates and showed normal birth weight. Vomiting and abdominal distension were common symptoms and simple X-ray and barium study were used for diagnose of CA. But only 66.7% of the babies were diagnosed as CA pre-operatively. And 2 children out of 6 underwent re-operation due to missed CA at the time of the first operation. In aspect of types of atresia, the type IIIa were two, type IV were two, type I was one case, and one child showed rectal stenosis due to rectal web. Various operations were done according to individual findings and associated diseases. The 50% (n=3) of children underwent the primary anastomosis and the others (n=3) underwent colostomy first and staged operation later for missed CA or associated disease. All of them were recovered any significant complications. Therefore, the prognosis of CA is satisfactory if diagnosis and surgical management could be made properly. But because of the low incidence of CA, delay of diagnosis and treatment may occur. To prevent delay of diagnosis, we suggest prompt evaluation of doubtful infant and careful inspection of distal patency of bowel including whole colon and rectum when operating patients with intestinal atresia at any level.

      • 도시가로변 가설시설물의 경관이미지 및 시각적 선호도 분석

        서주환(Suh, Joohwan),황지희(Hwang, Jihee)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2 디자인지식저널 Vol.22 No.-

        도시학자 제이콥스(Jane Jacob)에 의하면 ‘도시의 거리가 재미있어 보이면, 그 도시도 재미있게 보인다.’라고 하였다. 즉, ‘가로 공간’의 경관이 실질적으로 도시의 이미지 전체를 형성하는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이러한 ‘가로 공간’은 도시의 경제적 · 기능적 측면이 부각됨에 따라 상업기능이 활성화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업시설물인 가설시설물들은 가로 공간 내에 입지가 확산되고, 가로경관 및 도시환경 전체의 이미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 도시의 이미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설시설물’을 대상으로 가설시설물의 주·야간 시각적 및 경관적 특성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즉, 가설시설물의 주·야간 경관의 이미지와 시각적 선호도, 경관이미지 인자와 시각적 선호도와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가설시설물로 인해 가로의 경관이 어떻게 인식되는지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그간 부정적으로만 인식되어 온 가설시설물에 대한 가치를 재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조화롭고 특색 있는 가로공간으로 정비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According to Jane Jacob, urbanologist, if the streets of the city seem to be fun, the city also seems to be fun. That is to say, Landscape is the principal factor which form the image of the entire city. Shedding a new light on economic and functional aspect of the city, the commercial function of the streets is becoming more vitalized. As a result, the number of the street vendors grows more and more, which impacts on landscape and the environment of a city.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landscape and visual characteristic of the street vendors, especially comparing day and night. I did comparative analysis on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 landscape variables and visual preference at different time - day and night - in this study. This study will make people reconsider street vendors which were looked at negatively and give us indexes for redesigning street with harmony and character.

      • KCI등재
      • 농촌 경관향상을 위한 마을회관의 색채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서주환(Suh, Joohwan),김민철(Kim, Minchul),김진표(Kim, Jinpyo),황지희(Hwang, Jihee)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2 No.-

        최근 ‘농촌’이 새로운 지역개발의 중심지로서 농촌의 역할과 가치가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농촌문화의 흔적을 담은 역사자원이자 자연과 문화의 자원이 되는 농촌경관의 형성과 개발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농촌의 경관은 무분별한 외장색채의 사용 등 자연경관과 인공경관의 색채 부조화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의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를 형성시키고, 농촌만의 정체성을 구현하는데 큰 영향을 주는 ‘색채’의 분석을 통해 농촌지역에서 주된 인위적 시각 구성요소인 공공시설 중 마을회관의 외장색채에 대한 색채현황과 이미지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따라서 농촌지역 마을회관의 건축물 입면의 색채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고 I.R.I 색채감성척도를 통해 경관의 이미지를 색채로 도출하여 색채이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능적이며 인공적인 색채의 경향이 농촌의 모든 지역에서 동일하게 나타나 일반 기능위주의 도시환경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농촌경관의 가치를 재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여, 자연과 조화를 이루면서 동시에 농촌의 지역적 특성과 정체성이 내재된 특색 있는 농촌경관 색채 환경을 정비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Recently, the ‘rural areas’ have been engaging public attention for their roles and values as the hub of the new local development.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landscapes of the rural areas, until now, the exterior colors have been used only thoughtlessly. In the light of that, this study analyzed ‘colors’, and there, the colors have been forming various visual images of the rural areas. Through the analysis, the study looked into the current statuses and images of the exterior colors of community center, these public facilities which are located in the rural areas as the most popular artificial visual component. All the rural areas in South Korea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es and features of the facades of the community center. In addition, through I.R.I color sensibility scale, the study converted the landscape images into the colors, and analyzed the images of the target area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academically significant not only for the study has provided any relevant fields with a chance to have new understanding on the rural landscapes but also for it presents ideas about how to repair the color environments of the rural landsca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