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북정상회담과 북핵문제

        황지환(Jihwan Hwang)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3 국제관계연구 Vol.18 No.1

        How do we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Korean summit meeting and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Does the summit meeting between two Koreas lead to the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help improve inter-Korean relations? Or, does the nuclear issue gives a strong influence on the summit meeting?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summit meetings between two Koreas in the process of North Korean nuclear crisis since the early 1990s, and seeks to predict the influence of the nuclear issue on the summit meeting, adopting the leadership variable. In this sense, this paper revisits four cases of inter-Korean summit meeting under Kim Young-Sam, Kim Dae-Jung, Rho Moo-Hyun, and Lee Myung-Bak governments. This paper finally summarizes the outcome of research and produces the possibility of the third summit meeting between two Koreas under Park Geun-Hye government.

      • KCI등재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nd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 Bridging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Jihwan Hwang(황지환)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08 국제관계연구 Vol.13 No.1

        북한의 핵 정책에 대한 대체적인 설명은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에 바탕을 둔 안보모델에 의한 것이다. 이는 냉전의 종식 이후 북한이 다른 수단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중대한 안보위협에 직면해 왔기 때문에 핵무기 개발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현실주의 안보모델에 대한 이론적 도전은 주로 자유주의적 접근법에서 나왔는데, 북한과 국제사회가 공동의 목표와 근심을 공유하고 있으며 모두 협상을 통해 핵 위기를 해소하고자 한다고 주장한다. 자유주의적 접근법은 북한의 변화된 성격과 상호성의 전략에 기초한 협상의지와 협력적 행동의 모습을 전제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의 핵 정책에 대한 현실주의-자유주의의 해석은 핵 위기의 변화 모습과 그에 대한 북한의 대응을 적절히 설명하는데 성공했는지는 회의적이다. 대체로 이러한 논의들은 북한이 충돌이나 유화정책 중 하나의 정책을 선택해 왔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실제 핵 위기 과정에서 북한이 상황에 따라 보여준 핵 정책의 변화 모습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 글은 기존의 이론적 접근이 보이고 있는 단편적인 설명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북한의 핵 정책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는 이론과 실제의 괴리현상을 극복하는데 유용한 몇 가지 이론적 개념을 제시한다. 이 글은 비대칭적 충돌, 안보딜레마, 전략적 상호작용, 양면게임의 논의를 통해 북한 핵 위기에 대한 국제정치이론의 설명력 제고를 시도한다.

      • KCI우수등재

        한반도 분단과 한국전쟁의 국제정치이론적 의미

        황지환(Jihwan Hwang) 한국국제정치학회 2012 국제정치논총 Vol.52 No.3

        There has been few literatures on the meaning of the Korean War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lthough the Korean War was an significant event in the history of the Cold War. This article shows that one of the theoretical meaning of the Korean War lies in the revisionist power and status-quo power debate between offensive realism and defensive realism, and that the Soviet Union and China during the Korean War give a few important cases in understanding the debate. The Soviet Union and China have been often regarded as the revisionist powers that sought to break through the balance of the Cold War, while they have been also understood as the status-quo powers that had their first priority on their security and interest during the Korean War. They may be said to be the revisionist powers because they actively sponsored North Korea’s initiating the war, but a careful examination of their intention and preference say that they have not necessarily shown the revisionist behaviors. Another theoretical meaning is that a power’s revisionist or status-quo characteristic is not static but somewhat dynamic, depending on the chang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In particular, the Soviet Union is assumed to have had the revisionist intention but has not always shown such behaviors. Its preference and behavior was changing over time according to the chang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 KCI등재

        Rethinking South Korea’s Arms Buildup during the Cold War - The Action-Reaction Model and Alliance Politics in Comparative Perspective

        HWANG Jihwan(황지환)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6 신아세아 Vol.13 No.4

          본 연구는 작용-반작용 모델과 동맹이론의 설명력을 비교하며, 냉전기 한국 군비증강의 원인을 분석한다. 그 동안 이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가 작용-반작용 모델에 기반해 왔지만, 본 연구는 한미동맹의 변수가 한국 군비증강에 더 커다란 영향을 주었음을 강조한다. 한국은 미국과 비대칭적 안보동맹을 맺어왔기 때문에 방기의 위험을 겪어왔고, 따라서 미국이 한반도에서의 안보공약을 약화시켰을 때 대내적 군비증강을 통해 안보를 확보해 왔다. 반면 북한의 군비증강이 있더라도 미국의 강력한 안보공약이 지속되는 한 한국은 강하게 대응하지 않았다. 이 가설은 냉전기의 세 시기를 통해 검증되었는데, 현 시점에서도 상당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비록 냉전이 종식되고 한국은 더 이상 약소국이 아니지만, 21세기 미국의 세계전략이 변화하고 한미동맹이 재조정되는 과정에서 동맹의 안정성은 여전히 중요하기 때문이다. 한미동맹의 긴장이 악화된다면 한반도의 새로운 군비경쟁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origins of South Korea’s arms buildup during the Cold War, comparing the explanatory powers of the action-reaction model and alliance politics. Most explanations of the South"s arms buildup are based on the action-reaction model, but this study argues that South Korea’s behavior has been much more influenced by the U.S. security commitment than North Korea"s behavior. Since South Korea has had an asymmetric security alliance with the United States, it has suffered from fears of abandonment and concentrated on the internal balancing when the United States sought to disengage itself from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South Korea did not respond strongly to North Korea’s arms buildup insofar as the United States continued its security promise. This hypothesis is tested and supported by three different observations of South Korea’s security policy during the Cold War. Although the Cold War is over and South Korea is not a weak nation any longer, this study also has some policy implication for the recent changes in U.S. grand strategy and the readjustment of the Korean-U.S. security alliance. Because South Korea still has an asymmetric alliance with the United States, therefore both nations still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stability of the alliance in order to prevent future arms race on the Korean peninsula.

      • KCI우수등재

        북한은 핵실험 이후 더 공격적인가?

        황지환(Jihwan Hwang) 한국정치학회 2018 한국정치학회보 Vol.52 No.1

        이 글은 북한의 핵무기 실험 및 보유과정에서 보여준 대외전략과 대외정책의 변화를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국가들이 핵무기를 보유하게 되면 일정한 대외적 행동의 변화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북한은 2005년 핵무기 보유를 선언하고 2017년까지 6차례의 핵실험을 하는 동안 어떠한 대외전략과 대외정책을 보여주었는가? 북한은 ‘사실상의’ 핵무기 보유국 선언 이후 더 공격적으로 변화했는가? 이 글은 북한이 핵실험 이후 대외전략적으로는 현상타파의 모습을 유지하면서도 대외정책적으로는 현상유지의 상반된 정책을 보여주었다는 점을 설명한다. This paper examines changes in North Korea’s national strategy and foreign policy after its nuclear tests? Has North Korea shown quite different behaviors from those before nuclear tests? Is North Korea now more offensive externally as a ‘de facto’ nuclear weapon state? This paper argues that North Korea has possessed a revisionist strategy with nuclear weapons while it has shown a status-quo policy, which makes a gap between strategy and policy in North Korea’s external behavior.

      • KCI등재

        네트워크의 시각으로 보는 북핵 문제의 국제정치 : 6자회담의 네트워크 동학

        황지환(黃智煥, HWANG Jihwan)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0 신아세아 Vol.17 No.2

        6자회담의 실험을 단순히 유럽에서 경험했던 다자안보협력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평가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따른다. 6자회담은 제도화의 과정이나 상시적인 협의체의 형태를 추구하고 있지 않아 전통적인 다자안보체제와는 상이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참여국들의 미묘한 관계변화에 따라 부침하는 주기적인 불안정성을 노정시켜 왔다. 또한 6자회담은 공동의 이슈에 대해 공유된 인식을 가지고 동일한 지향점을 추구하는 협의체가 아니라 서로상반된 입장을 가진 참여자들이 거래하는 협상의 자리였다. 따라서 중국과 같이 협상이 붕괴되지 않도록 조정하는 매개자들의 역할도 상당했다. 또한 이들 매개국의 노력과 다른 참여국들의 이해관계가 교차되면서 한-미-일, 북-중-러, 남-북-중 등 다양한 무리짓기(grouping)가 이루어지기도 했으며, 이에 따라 합의가 성사되기도 하고 협상이 결렬되기도 했다. 결국6자회담은 참여국들의 관계변화와 이들이 만들어내는 관계의 네트워크에 따라 상당히 동태적인 변화의 과정을 보여 주었다. 이처럼 규범을 강조하는 국가와 이에 대항하는 국가간의대립, 그리고 이들 사이를 조정하고 매개하려는 국가간의 관계변화는 새로운 권력구조와 동태적인 게임의 양상을 보여주게 된다. 하지만, 6자회담에 대한 기존 다자안보협력의 접근법은 참여국들의 관계변화가 가져오는 권력변화와 구조변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이러한 관점에서 이 논문은 참여 행위자들의 관계가 네트워크를 창출하고 이러한 네트워크상의 변화가 새로운 권력을 창출하고 구조와 과정을 변화시킨다는 관점에서 국제정치에서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네트워크 이론에 주목하고 이를 통해 6자회담의 구조와 과정을 재해석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adopts the network theory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ries to reinterpret the structure and the process of the six-party talk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six-party talk is a type of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developed in Europe. The six-party talks have not gone through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as opposed to the traditional multilateral security organizations. Thus, we have seen the periodical rises and falls of the six-party talks. The six-party talks are not the meeting of nations with same positions and objectives but the negotiation table among players with different positions. In this sense, China as a mediator has played a critical role in helping the negotiation not to be collapsed. Moreover, there have been diverse grouping among parties such as South Korea-U.S.-Japan, North Korea-China-Russia, South and North Korea-China according the changing interests and relations of parties. As a result, the six-party talks have shown several dynamics because of the changing relations among parties and their network. However, the established literature has not been so successful in explaining the impact of network dynamics on the change in power and structure of six-party talk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relations among parties create the network in the six-party talks and that the change in the network leads to the rise and fall of power, transforming the structure and the process of the game.

      • 이명박 정부의 남북관계와 새로운 대북정책의 모색

        황지환(HWANG, Jihwan) 한국공공정책학회 2010 공공정책연구 Vol.17 No.2

        천안함 및 연평도 사건 이후 남북관계와 한반도 정세가 중대한 전환점을 맞고 있는 것으로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일부의 이러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천안함과 연평도 사건이 북한의 의도와 행동의 본질을 이제 완전히 새롭게 인식시켜준 사건이라고 평가하기는 어렵다. 더구나 이 두 사건이 한반도 주변정세와 남북관계의 기본적 성격을 근본적으로 뒤바꿔놓을 만큼 거시적인 영향력을 가진 구조적 사건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천안함 및 연평도 사건이 한국의 대북 안보인식을 고취시키고 대북제재를 강화함으로써, 당분간 남북관계 변화의 커다란 변수로 작용할 것임은 분명하지만, 한반도 안보환경과 남북관계의 장기적인 변수로서 작용할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장기적으로 볼 때, 한반도 주변환경과 남북관계의 구조적 걸림돌은 북한 핵문제와 선군정치가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남북관계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정책에 대응하여 남북한 기본관계를 재설정하고 새로운 대북정책을 모색하는 것이 보다 적절한 접근법이 될 수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인식하에 천안함 사건 이전과 이후의 남북관계를 비교하고, 북한의 인식과 대남정책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남북관계의 설정을 위한 보다 거시적인 대북정책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 글은 새로운 대북정책이 미국과 중국을 아우르는 동시에 햇볕과 제재라는 기존의 이분법적 구조를 넘어서서 남북관계의 기본성격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전략이어야 함을 주장한다. After North Korea's attack on navy corvette Cheonan and Yeonpyeong Island, it is said that the relations between two Koreas and the security environment around the Korean peninsula begin to face a new turning point. Despite such an understanding, however, it is doubtful if they are completely new events that show a new nature of North Korea's intention and behavior. Moreo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y have a macroscopic and structural impact on the relations between two Korea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t is North Korea's nuclear issue and military-first policy that destabilizes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ense, it is necessary to recreate a new relations between two Koreas and search for a new North Korea policy given the nature of the North Korean regime and the security environment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is paper analyzes North Korea's perception and policy around the incidents of Cheonan ship and Yeonpyeong Island and tries to search for a new North Korea policy. It argues that the new policy should include both the U.S. and China's percep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also go beyond the dichotomy between Sunshine Policy's engagement and Grand Bargain's sanctions.

      • KCI등재

        Isolation of Temperature-sensitive Mutant Escherichia coli YrdC Involved in Universal t<SUP>6</SUP>A tRNA Synthesis

        Jihwan Hwang(황지환) 한국생명과학회 2018 생명과학회지 Vol.28 No.2

        YrdC 수퍼 패밀리는 지금까지 유전 서열이 알려진 거의 모든 생명체에서 매우 잘 보존 된 단백질 중 하나이다. Escherichia coli의 YrdC는 리보솜 생합성, 번역 종결, 저온 적응, tRNA에서 threonylcarbamoyl adenosine의 형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이 연구에서, yrdC 유전자가 대장균에서 필수적이라는 것을 명확하게 증명하기 위해, 대장균에서 두 개의 yrdC 결손 돌연변이 균주를 만들고 그 표현형을 조사하였다. 특히 온도에 민감한 yrdC 돌연변이 균주는 42°C 온도 조건 하에서 거의 즉시 세포 성장을 멈추었으며 30S 리보솜 단위체의 상당한 축적없이 16S rRNA 전구체를 축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모와 인간의 yrdC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이들이 대장균 yrdC 결손 균주의 성장억제를 회복 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밖에도 여러 돌연변이 연구에 의해, 우리는 YrdC 단백질의 중간에 위치한 오목한 표면이 대장균, 효모 및 인간의 YrdC 단백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두 개의 yrdC 결손 균주를 비교하여, yrdC 유전자가 대장균에서 생존력에 필수적이며, 효모 및 인간 동족체의 기능이 대장균 YrdC의 기능과 중복된다는 것을 규명하였고, 이 균주를 이용하여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대장균 YrdC 단백질이 tRNA 형성에 관여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YrdC superfamily is a group of proteins that are highly conserved in almost all organisms sequenced so far. YrdC in Escherichia coli was suggested to be involved in ribosome biogenesis, translation termination, cold adaptation, and threonylcarbamoyl adenosine formation in tRNA. In this study, to unambiguously demonstrate that yrdC is essential in E. coli, we constructed two yrdC mutant strains of E. coli and examined their phenotypes. In the temperature-sensitive yrdC mutant strain, cell growth stopped almost immediately under nonpermissive conditions and it appeared to accumulate 16S ribosomal RNA precursors without significant accumulation of 30S ribosomal subunits. We also cloned yeast and human homologs and demonstrated that they complement the E. coli yrdC-deletion strain. By mutational study, we demonstrated that the concave surface in the middle of the YrdC protein plays an important role in E. coli, yeast, and human versions. By comparison of two yrdC-deletion strains, we also unambiguously demonstrated that yrdC is essential for viability in E. coli and that the functions of its yeast and human homologs overlap with that of E. coli YrdC.

      • KCI등재

        핵확산의 국제정치와 비확산체제의 위기

        황지환(Jihwan Hwang)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09 국제관계연구 Vol.14 No.1

        Although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regime appears to have pre-vented relatively well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toward non-nuclear states since the late 1960s, the future of the regime seems to be neither stable nor optimistic. In fact, it faces a serious crisis, and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hallenges comes from weak states like North Korea and Iran which try to develop nuclear weapons program. This paper examines the diverse challenges raised by these nations and explains the nonproliferation regime's inability to meet them. The challenges include the issue of withdrawal from the NPT, the regime's vulnerability to member states' noncooperative behaviors like reluctant or ex post facto confession of violation and refusal to cooperate with the IAEA. This paper argues that these challenges result not only from the regime's structural limitation but also from the strong influence of international anarchy and power politics in the nuclear issue. Because the regime has much difficulty in preventing even weak nations' efforts when they try to develop nuclear weapons in the name of security,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regional political context in dealing with the challenges. It is of course important to correct the structural weaknesses in the regime itself, but power politics and political consideration in international anarchy is inherent in the nuclear iss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