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장애인의 정보 활용 격차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황주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9 정보화정책 Vol.26 No.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between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utilize the Internet and those who do not. The study also found out through an interaction term analysis if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life satisfaction and digital utilization by gender, age, education level, employment status, household income, as well as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disability type and degree. While the existing studies have been mainly focused on the digital divide between the non-disabled and the disabled, this study attempts to further apply the advanced concept of digital divide - digital utilization divide - within the group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hows that the digital utilization by people with disabilitie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quality of life, and that lif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use the Internet is affected by their education level, residence, and disability degree. Consequently, these findings indicate implications that suggest an expanded form of digital divide polic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broadening perspectives on policies for closing such divide. 본 연구는 인터넷을 활용하는 장애인과 그렇지 않은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알아보고, 장애인의 정보 활용 유무와 같은 격차에 있어 성별, 연령과 같은 개인별 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차이를 나타나는지를 교차항(interaction term)분석을 통해서 추가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기존에 주로 연구되었던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디지털 격차 및 정보 활용 형태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에서 더 나아가 장애인 그룹 내에서의 정보 활용 격차라고 하는 발전된 형태의 디지털격차의 개념을 적용해 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결과, 장애인의 정보 활용 여부는 이들의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을 사용·활용하는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는 이들의 교육수준, 사는 지역, 장애 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현재 진행 중인 장애인 대상 디지털 격차해소 정책에 대한 시각을 넓혀 보다 확장된 형태의 디지털 격차해소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정책적 함의를 포함하고 있다.
김정은 시대 북한의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 연구: 경영관행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황주희 통일연구원 2023 統一 政策 硏究 Vol.32 No.1
본 연구는 시장경제적 요소를 도입한 북한의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 등장 맥락을 신제도주의적 관점에서관행의 제도화로 규명한다.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는 북한 당국이 공식과 비공식의 이중구조를 관행의 포용과 배제를 통해 시장의허용범위를 새롭게 규정한 규칙이다. 다음과 같은 관행은 포용되었다. 즉, 재무관리 측면에서, 기업소는 자산임대, 타인자산 활용, 계획 외 생산 등을 통해 경영자금을자체조달하였다. 생산운영관리 측면에서, 기업소는 계획과 무관한 생산조직을 구성하고 품질검사를 통해 비공식 생산을 생산실적화하였다.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지배인은 당비서 및 노동자의 고용과 해고를 통해 경영하기 쉬운 환경을 조작하고 자체적으로 인재를 양성하였다. 이 같은 관행은 『기업소법』(2015)의 계획권, 재정관리권, 가격제정권 ‧ 판매권, 생산조직권, 제품개발권, 품질관리권, 관리기구 ‧ ‘로력조절권’, 제품개발권, 품질관리권 안에서 포용되었다. 관행의 포용과 배제를 통한 제도화는 일련의 특징을지닌다. ‘보통 기업화’ 추구 원칙에서 9대 경영권 범위 내비즈니스, 지배인 중심의 기업 지배구조, 재산권의 ‘경영상 관리권’ 범위 안에서 관행 등을 제도로 포용한다. 연성예산제약 개선 원칙에서, 연성보조금, 연성과세, 연성 행정가격 책정 등을 개선하는 관행은 허용하였다. 재정수입 극대화 원칙에서, 거래비용 축소, 이익 극대화, 자산규모 파악이 가능한 관행은 제도화하였다. 반면, ‘생산수단의 국가 소유’를 침해하는 관행은 배제한다. 본 연구는 북한의 기업소 경영활동 원리를 이해하고변화하는 북한을 조망하는 자료로써 의미가 있다.
데이컴 기법을 적용한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간호사 케어코디네이터 직무분석
황주희,최용준,김미숙,이성은,박용순,김지향,윤주영,신동수 한국간호과학회 2021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51 No.6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nduct a job analysis of nurse carecoordinators and to identify the frequency,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each task of their job. Methods: A committee for developing a curriculum (DACUM) was formed and members of the committee defined nurse care coordinators’ jobs and enumerated the duties, tasks and task elements by applying the DACUM technique. Then nurse care coordinators enrolled in the pilot project evaluated the frequency,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each task. Results: From the job descriptions of nurse care coordinators, we identified 12 duties and 42 tasks. Each task comprised 1~5 task elements. Among tasks, ‘assess the patient’s general health status’ was carried out most frequently. Nurse care coordinators perceived that ‘check vital signs’ and ‘strengthen patient competence to promote health behaviors’ were more important than all other tasks. The most difficult task was ‘develop professionalism as a nurse care coordinator’. Conclusion: The nurse care coordinators' roles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serve as the key guideline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care coordinators. Further, job specifications for nurse care coordinators need to be developed, which is necessary for designing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We also need to integrate primary health care as an essential component in nursing education.
평양시 상권분석과 정치경제적 함의: 유형화와 발달 요인을 중심으로
황주희 한국공간환경학회 2024 공간과 사회 Vol.34 No.2
본 연구는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 평양시의 상권분석을 통해 정치경제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평양시의 상권은 상업시설 입지에 따라 골목상권, 발달상권, 전통시장상권으로 유형화하였다.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의 상권이 발달하는 요인을 상품의 공급 확대, 구매력 강화, 교통 인프라 확충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평양 상권의 정치경제적 함의는 첫째, 북한 당국의 통제에 따른 상권의 형성과 발달, 둘째, 평양의 발달된 상권은 당국의 재정 확보에 기여 셋째, 평양의 상권에 북한 당국의 경제시스템 투영이다. 기존의 사회주의 계획경제 공간으로 조성된 평양의 공간적 성격이 북한당국의 주도하에 상권이 발달하면서 계획경제와 시장경제의 혼합된 성격으로 도시공간에가시화되고 있다.
황주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11 장애와 고용 Vol.21 No.4
한국을 포함한 선진국들의 최근 사회복지정책은 (a) 복지정책과 (b) 노동시장 정책과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근로 연계적 복지(welfare-to-work)’ 또는‘근로 유인적(work incentive)정책설계’를 강조하고 있다. 즉, 국가·사회·경제적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고령층의 노동참여의 어려움들을 제거하고, 고령자가 오랫동안 일할 수 있는 환경 을 조성하려는 노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수행되고 있는 고령자 고 용지원 사업과 같은 정부 지원 사업에서는 고령자의 (a) 노령으로 인한 장애(late-life disability)의 경험이나 기존의 장애에 더해지는 고령화의 징후들(symptoms)과 관련된 이슈와 (b)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고령 장애인의 장애에의 적응 및 대처 문제, 경제적 혹 은 직업욕구의 문제 등에 어떻게 효율적으로 대처해 나갈 것인가? 하는 이슈들을 간과하 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대응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정부 의 고령자 고용지원사업을 살펴보고, 고령 장애인의 직업재활 방향을 탐색적으로 연구하 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는 문헌 연구방법이 사용되었으며, 본 연구의 구 성은 (a) 한국 고령자의 특성과 욕구 및 변화하는 복지정책 내에서의 정부의 고령자 고용 지원사업의 특성 (b) 고령 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과의 연계 가능성 (c) 미국의 고령층 고용지원서비스와 직업재활과의 협력체계 그리고 (d) 미국의 직업재활 학계에서 고령 장 애인을 위해 수행된 연구들의 동향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e) 결론 및 제언부분에서는 고 령 장애인의 직업재활연계 가능성 및 이를 위해 전제되어야 할 부분과 한국의 직업재활 학계, 현장 및 연구에서 준비하고 고려해야 할 구체적인 방향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n many aging-related studies, the issue of extending the working lives of older individuals has become a serious concern for economic sustainability in South Korea. Many public policies and employment support services for older individuals have been changed to encourage older workers to work more. Various employment services for the older population are facilitating the Korean Government’s attempts to persuade older people to maintain their employability. Having a job, sustaining a job, or re-entering a job market in later life has become an aspiration for most of the aging population in South Korea due to financial necessity. However, governmental employment support services are eliminating the issue of disability among the older population. With the age of workers increasing, a greater number of older individuals are likely to experience disability. However,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ways to support older individuals who are disabled through public employment support services. Over the past two decades,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have not been committed to helping the older population find and retain employment.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have focused mostly on the working age population with disabilities. The present is an opportune time to attend to the demographic composition of older clientele.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take the steps necessary to expand and develop our dated rehabilitation systems and community programs by promoting greater coordination of employment services for older workers. This study also suggests a few political, educational, practical, and research implications for further developments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olde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장애인의 실업과 우울 사이의 상호 인과성 분석 :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황주희,전동일,김홍모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4 장애와 고용 Vol.24 No.1
본 연구는 장애인의 실업과 우울의 인과관계를 검정하고, 이 결과를 반영한 정책적 함의를 찾는데 목적이 있다. 최근 연구들은 장애인의 실업과 장애인의 우울에 대해 개별적으로 접근해 왔으나, 장애인의 실업과 우울에 대한 명확한 인과관계 규명에 미흡하였다. 단지 일반적 수준에서 장애인들은 취업에 실패하는 실업상태로 인해 우울을 경험한다고 설명하는 노출가설과 장애인의 우울이 이들의 취업을 방해하는 원인이라는 선택가설이 대립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2006년∼2012년 자료를 활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장애인의 실업과 우울간의 인과관계를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의 우울이 이들의 실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장애인의 실업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은 제언부분에 포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unemployment and depress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2) to examine the its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Recent studies have tended to explore the issues of unemployment and depress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eparately, with the result that they have failed to clearly establish causality between unemployment and depression, even in the field of disability studies. Some studies argue that unemployment is caused by depression, while others claim that the other way around is true. This study, attempts to establish a clear causal relationship between unemployment and depression using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based on the Korea Welfare Panel Data from 2006 to 2012.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depression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unemployment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other words, it is not that unemployment causes depression. Various poli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발달장애인 직업재활정책의 방향 모색: 미국의 발달장애인 지원정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황주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6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34
발달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정책은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과 노력을 통해 발달장애인이 더 이상 돌봄의 대상이 아니라 근로를 통해 자립적이고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대상으로 인식함으로써 시작될 수 있다. 타 장애유형에 비해 취업률이 낮고 직업유지가 어려운 발달장애인의 특성상 직업재활정책은 돌봄과 주거 등 다른 복지서비스와의 적절한 관계를 통해 이루어질 수밖에 없지만, 직업을 통한 의미 있는 삶을 달성하는 데에 보다 강점을 두고 관련 정책들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본 연구는 현행 직업재활정책의 현황을 분석하고, 미국의 발달장애인 지원정책의 역사와 정책 방향성을 파악하여 이제 시작단계에 있는 우리나라 발달장애인 직업재활 정책의 발전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특화서비스 및 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설의 설치가 가장 우선적으로 요구되며, 의미 있는 삶을 목표로 하는 돌봄과 평생교육, 직업재활서비스와의 연계, 직업재활(서비스)의 개념 확대, 발달장애인 전 생애주기를 고려한 서비스 전달체계의 구축이 직업재활정책의 방향으로 제시되었다. A proper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truly begin once society perceiv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self-sufficient and independent individuals rather than passive objects of care, with the ability to work, through vigorous national-driven interventions and efforts. Although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ies for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cord lower employment rates and job retention compared to other types of disabilities, they must consider the appropriate relationships with other welfare services, including care and housing and their ultimate focus must be on achieving a meaningful life through employ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future direction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i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Republic of Korea. To achieve this goal, the status quo of the current vocational policies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supporting policies in the U.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pecialized services and their install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the biggest priority, followed by care and life long education for meaningful lives. Additionally, linkage with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an expanded concep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services) and the construction of a service delivery system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the entire life cycle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장애인 e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분석
황주희,이예훈,박다원,신원상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4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 Vol.12 No.5
본 연구는 IPA기법을 활용하여 장애인 e스포츠 참가자가 가진 e스포츠 전반의 구성 요소에 대한 기대와 만족을 파악하고, 항목 별 중요도-만족도 매트릭스의 분포를 가시적으로 나타내어 중요도와 만족도 간의 균형과 차이를 분석하여 장애인 e스포츠활성화를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e스포츠 참여 현황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의 장애인복지관, 장애인 스포츠클럽, 장애인 e스포츠 대회에 참여한 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콘텐츠, 대회, 시설, 지원, 교육, 홍보 항목의 중요도와 성과를 파악하기 위해 중요도-성과 분석(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콘텐츠, 지원, 홍보, 교육은 중요도는 높지만 성과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어 집중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설과 대회는 중요도와 성과가 모두 높은 1사분면에 속해 이 항목에 대한 관심을 유지하고 교육계에서 구체적이고 지속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3사분면과 4사분면에는 항목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e스포츠 활성화를 위하여 향후 다각적인 접근과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장애인들이 더욱 활발히 e스포츠에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In order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on the participation status of e-sports for the disabled, this study surveyed disabled welfare centers, sports clubs for the disabled,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e-sports competitions for the disabled in the Seoul/Gyeonggi region. Based on the results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ontent, competitions, facilities, support, education, and promotion items. First, content, support, outreach, and education were analyzed as having a high perceived importance but low performance, indicating a need for focused improvement. Second, facilities and competitions are in the first quadrant with hi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dicating that attention should be maintained on these items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ensure their concrete and continuous realization in the education industry, while no items appeared in the third and fourth quadrants.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화통역서비스 의무제공 현황 및활성화방안 모색- 사법, 의료영역을 중심으로
황주희,이선화,김지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3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2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dentify how a sign language interpreter service was provided in judical and medical situations and (2) to suggest political implications for a more suitable provision of a sign language interpreter service by the institutions. To accomplish this study’s aims, the researchers conducted a survey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interpreters who are the main providers of sign language as well a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individuals with hearing impairment. This study presents the findings of that survey and interviews, and analyses them with regard to political implication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terpreters, who are the main providers of sign language, demonstrated the greatest difficulties in judicial and medical areas, so they suggested the need for more systematic continuation training. Second, interpreters who have experience of providing an interpreter service in judical and medical situations also suggested the necessity of awareness training for people who are working in the institutions. Due to the lack of awareness of the institutions' responsibility of providing an interpreter service as a resonable recommendation and the function of the sign language interpreter service as a Human Right, it is difficult to provide an adequat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 Lastly, the in-depth interview results suggested that individuals with hearing impairment want to have a high quality interpreter service in emergency situations. To do this, it is required that a professional certification system is established, especially for judicial and medical areas. More political implications are included in the final section.
간호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접촉경험이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황주희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37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장애인과의 접촉경험이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연구이다. 연구대상은 Y시에 거주하는 간호대학생 137명이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검정, 일원 배치 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 전공 선택 동기(t=7.063, p=.001)와 간호전공만족도(t=9.449, p<.001)에 따라 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유의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인 인식교육 이후에 태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t=2.649, p=.009).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장애인 인식교육 이수(t=-1.75, p=.042), 장애인에 대한 인식(t=-3.79, p<.001), 간호전공에 대한 만족도(t=-3.51, p=.001)가 있었으며, 이는 29%(F=10.64, p<.001)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긍정적으로 개선하고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기르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장애인과의 접촉경험과 자원봉사활동을 늘리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the disabled and contact experience with the disabled on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The subjects of thie study were 137 nursing students from Y cit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utiliz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attitude toward the disabled was significantly changed according to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nursing major (t=7.063, p=.001) and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major (t=9.449, p<.001). It was also found that the attitudes was found to improve after education on disability awareness (t=2.649, p=.009).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included completion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1.75, p=.042), perception of the disabled (t=-3.79, p<.001)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 (t=-3.51, p=.001). This showed an explanatory power of 29% (F=10.64, p<.001).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increase contact experience with the disabled and volunteer activities in various ways to positively improve nursing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the disabled, and foster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