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향링크 다중사용자 다중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반복 가중치 최소평균자승오류 빔형성 기법

        최일규,황영수,이충용,Choi, Ilgyu,Hwang, Youngsoo,Lee, Chungyong 대한전자공학회 2013 전자공학회논문지 Vol.49 No.11

        기존의 최소평균자승오류 빔형성 기법은 간섭제거나 정합필터 빔형성 기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지만, 전체 전송률의 증가를 목적으로 하지는 않는다. 본 논문은 전체 전송률을 가중된 평균자승오류로 표현하여 증가시키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 기법은 기존의 최소평균자승오류 기법에서 출발하여 반복적으로 가중치와 빔을 갱신함으로써 전체 전송률을 증가시킨다. 모의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 기법이 기존 기법보다 전체 전송률 측면에서 뛰어나며, 기존 기법과 달리 사용자의 수가 높아질수록 전체 전송률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onventional MMSE beamforming scheme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ZF or MF beamforming, but it does not aim increase of sum rate. This paper proposes sum rate maximizing scheme by representing sum rate as a function of weighted MSE. Proposed scheme increases sum rate iteratively by updating weights and beam whose initial form is conventional MMSE beam. Simulation result shows sum rate of proposed scheme is higher than those of conventional schemes and increases as the number of users increases.

      • KCI등재

        상대전달함수의 역필터링을 이용한 자동차 환경에서의 마이크로폰 어레이 빔형성 기법

        강홍구,황영수,윤대희,한철희,Kang Hong-Goo,Hwang Youngsoo,Youn Dae-Hee,Han Chul-Hee 한국음향학회 2006 韓國音響學會誌 Vol.25 No.1

        본 논문에서는 상대전달함수의 역필터링 (inverse-filtering) 전처리를 수행한 후 MVDR (Minimum-Variance Distortionless Response) 빔형성기나 GSC (Generalized Sidelobe Canceller)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RTF-MVDR 및 TF-GSC 보다 적은 계산량을 갖으며 최적해 측면에서 동등함을 보였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자동차 환경에서 녹음된 음성 데이터베이스와 HTK를 이용하여 음성인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방법과 대등한 성능을 갖거나 적은 성능저하를 보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frequency domain beamforming algorithm composed of inverse-filtering stages followed by a MVDR (Minimum-Variance Distortionless Response) beamformer or a GSC (Generalized Sidelobe Canceller). The proposed method is shown to require less complexity than the conventional RTF-MVDR and TF-GSC. respectively, and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is equivalent to the conventional RTF-MVDR and TF-GSC in optimum solution.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speech recognition experiments are performed using the speech database recorded in a car. The Proposed method shows equal or slightly degraded Performance compar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s in terms of the speech recognition rate.

      • KCI등재

        차량환경에서 음성인식 성능 향상을 위한 마이크로폰 어레이 빔형성 기법

        한철희,강홍구,황영수,윤대희,Han Chul-Hee,Kang Hong-Goo,Hwang Youngsoo,Youn Dae-Hee 한국음향학회 2005 韓國音響學會誌 Vol.24 No.7

        본 논문에서는 차량환경에서 잔향과 근접장 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목적 음성 신호의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폰 어레이 빔형성 기법을 제안하였다. 온라인으로 추정하기 어려운 소스와 마이크간의 전달함수 대신 상대적으로 추정이 용이한 기준 마이크와 다른 마이크간의 상대전달함수를 조향 벡터로 이용함으로써, 원격장 모델의 조향 벡터를 이용한 빔형성기에 비해 목적 음성 신호의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는 준최적 빔형성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차량에서 녹음된 음성 DB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HTK를 통한 음성인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음성인식 실험 결과 원격장 모델을 이용한 방법보다 인식률이 최대 $15\%$까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a microphone array beamforming algorithm that reduces the signal distortion caused by reverberation and near-field effect in car environment is proposed. When reverberation or near-field effect is present, an optimum beamformer should be constructed with a steering vector consisting of transfer functions between source and microphones, but it is generally difficult to estimate transfer functions on-line without knowledge of the source signal. Instead, a sub-optimal beamforming algorithm that reduces signal distortion is proposed. It is constructed with steering vectors consisting of relative transfer functions between reference sensor and other sensors.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we had recorded noisy speech database in a car, and performed speech recognition experiments with HMM Toolkit (HTK) released by Cambridge University. The recognition rate of the proposed algorithm was 15 percents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far-field beamformers in best case.

      • KCI등재

        하향링크 다중사용자 다중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반복 가중치 최소평균자승오류 빔형성 기법

        최일규(Ilgyu Choi),황영수(Youngsoo Hwang),이충용(Chungyong Lee) 대한전자공학회 2013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0 No.3

        기존의 최소평균자승오류 빔형성 기법은 간섭제거나 정합필터 빔형성 기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지만, 전체 전송률의 증가를 목적으로 하지는 않는다. 본 논문은 전체 전송률을 가중된 평균자승오류로 표현하여 증가시키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 기법은 기존의 최소평균자승오류 기법에서 출발하여 반복적으로 가중치와 빔을 갱신함으로써 전체 전송률을 증가시킨다. 모의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 기법이 기존 기법보다 전체 전송률 측면에서 뛰어나며, 기존 기법과 달리 사용자의 수가 높아질수록 전체 전송률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onventional MMSE beamforming scheme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ZF or MF beamforming, but it does not aim increase of sum rate. This paper proposes sum rate maximizing scheme by representing sum rate as a function of weighted MSE. Proposed scheme increases sum rate iteratively by updating weights and beam whose initial form is conventional MMSE beam. Simulation result shows sum rate of proposed scheme is higher than those of conventional schemes and increases as the number of users increases.

      • KCI등재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위한 적응 모드 컨트롤러

        정양원,강홍구,이충용,황영수,윤대희,Jung Yang-Won,Kang Hong-Goo,Lee Chungyong,Hwang Youngsoo,Youn Dae Hee 한국통신학회 2004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9 No.11C

        본 논문은 실제 환경에서 고품질 음성 신호 취득을 위해, 적응 마이크로폰 어레이 시스템을 위한 적응 모드 컨트롤러를 제안한다. 적응 어레이 알고리즘의 올바른 동작을 위하여, 제안된 적응 모드 컨트롤러는 시간 축의 정보뿐만 아니라 공간 축의 정보를 함께 사용한다. 제안된 적응 모드 컨트롤러는 초기화 단계와 수행 단계의 두 단계로 나뉘어 동작되는데, 초기화 단계에서는 음원 위치 추정 기술이 사용되며, 수행 단계는 신호의 상관 관계 특성에 의해 동작한다. 적응 어레이 알고리즘으로는 적응 차단 행렬을 이용한 Generalized Sidelobe Canceller가 사용되었다. 제안한 적응 모드 컨트롤러는 적응 차단 행렬이 수렴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 가능하며, 기존의 전력비 방법에 비해 안정적인 성능을 나타낸다. 본 논문은 제안한 시스템을 실제 환경에서 평가하였으며, 2m 거리에 위치한 화자에 대해 13dB SINR 향상을 얻었다. In this paper, an adaptation mode controller for adaptive microphone array system is proposed for high-quality speech acquisition in real environments. To ensure proper adaptation of the adaptive array algorithm, the proposed adaptation mode controller uses not only temporal information, but also spatial information. The proposed adaptation mode controller is constructed with two processing stages: an initialization stage and a running stage. In the initialization stage, a sound source localization technique is adopted, and a signal correlation characteristic is used in the running stage. For the adaptive may algorithm, a generalized sidelobe canceller with an adaptive blocking matrix is used. The proposed adaptation mode controller can be used even when the adaptive blocking matrix is not adapted, and is much stable than the power ratio method. The proposed algorithm is evaluated in real environment, and simulation results show 13dB SINR improvement with the speaker sitting 2m distance from the may.

      • Design Optimization of Weight based Occupant Classification System using Genetic Algorithm

        Byeongyeol Kim(김병열),Jaeho Hwang(황재호),Youngsoo Hwang(황영수) 한국자동차공학회 2008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As occupant injuries induced by airbag deployment had become a critical issue, revisions to FMVSS 208 were made to mandate the adoption of advanced airbag which can protect occupants of varying statures. As a result, OCS(occupant classification system)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advanced airbag technologies. In this paper, we review the existing OCS technologies briefly and list the details of development issues and solutions for weight-based OCS. As an effort to enhance performance, a study on design optimization for the current system using Genetic algorithm is used and mainly discussed.

      • 보행자 충돌 감지를 위한 가속도 센서에 대한 연구

        박병혁(Byunghyuk Park),박만수(Mansu Park),황영수(Youngsoo Hwa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07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Pedestrian protection has recently drawn great interest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Especially, active pedestrian protection is described from a system perspective. Active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is able to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is the sensor system, which is placed in the bumper of the car to give an early indication that an impact is occurring. The second part of the protection system comprises active hood lift system involved in two actuators or hood airbag system. In this paper, we report acceleration sensor technologies which provide the response for the impact of pedestrian and the crash detection.

      • 압력 센서 기반 측면 충돌 감지 시스템 개발

        서성환(Sunghwan Seo),정석현(Sughyun Jeong),송현(Hyun Song),전만철(Manchul Jeon),황영수(Youngsoo Hwa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11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1 No.11

        In order to enhance the side impact sensing capability, the pressure sensor is recently used in production car. In this paper, the effectiveness of p-SIS(pressure side impact sensor) is introduced with regard to crash discrimination algorithm. First, the performance variation of pressure sensor, which is due to door condition and mounting position, is studied through series of side pole sled tests with rigid pole to take a look at a tendency. The pressure sensing performance is not affected significantly in different door condition, and the mounting position is not important factor to decide the sensing capability if the pressure sensor is located inside the door. Second, from viewpoint of crash discrimination performance the simulation results using real crash data are explained comparing the results of p-SIS with those of acceleration type sensors(g-SIS) which are mounted on B-pillar or C-pillar of vehicle. The verification results are also introduced in code level and system level including vehicle crash test after implemented in 7<SUP>th</SUP> generation of Hyundai Airbag ECU(HAE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