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 포용적 박물관⋅미술관을 위한 직원 교육 방향성 연구

        홍해지 한국문화교육학회 202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장애 포용적 박물관⋅미술관 실현을 위한 직원 대상 직무교육의 요구사항과 지향점을 파악하여 교육의 방향성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박물관⋅미술관 직원과 특수교사, 장애인 관람객 16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 또는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을 전사한 후, 이를 의미 단위로 도출하고 범주화하였으며,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분석을 통해 높은 빈도로 언급된 단어를 워드클라우드로 제시함으로써 상위 범주별 주요 내용을 시각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4개의 상위범주와 18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세부 결과로는 박물관⋅미술관 직원 대상 장애감수성 형성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장애인 접근성 향상을 위한 조직적 공감대 형성, 다양한 장애 유형에 대한 이해, 업무 영역별 기술 지원과 역량 강화 등의 내용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박물관⋅미술관 직원의 직무교육 차원에서 장애 포용적 박물관⋅미술관 실현을 위한 실천적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박물관⋅미술관 직원 대상 장애이해교육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장애 포용적 박물관·미술관을 위한 직원 교육 내용 구성요소 델파이 연구

        홍해지,김동일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아시아교육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mponents of educational contents to develop a disability-inclusive museum and art gallery. To this end,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e 4 key areas of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for museum and art gallery staff and the detailed contents of education to be included in each area were collected. Based on this,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7 experts in the field of museums and art galleries and disabilities, and what contents should be included in job training for staff to realize disability-inclusive museums and art galler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ur key areas of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for museum and art gallery staff proposed in this study ('raising awareness of disability', 'organizational consensus building and practice', 'understanding of various types of disabilities', and 'by work area') capacity building')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suitability evaluation of detailed education contents for each key area, a final agreement was drawn for a total of 37 content elem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gathered experts' opinions on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museum and art gallery staff in the early stage when the discourse on inclusive museums and art galleries began to be discussed in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포용적인 박물관·미술관이 되기 위한 직원 대상 교육 내용의 구성요소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박물관·미술관 직원 대상 장애이해교육의 4가지 핵심 영역과 각 영역에 포함될 세부 교육 내용을 수집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박물관·미술관과 장애 분야 전문가 17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장애 포용적 박물관·미술관 실현을 위한 직원의 직무교육에 어떠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박물관·미술관 직원 대상 장애이해교육의 4가지 구성 영역(‘장애에 대한 인식 고취’, ‘조직적 공감대 형성과 실천’, ‘다양한 장애 유형에 대한 이해’, ‘업무 영역별 역량 강화’)이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구성 영역별 세부 교육 내용에 대한 적합성 평정 결과 총 37개 요소의 최종 합의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포용적 박물관·미술관 담론이 논의되기 시작한 초기 단계에서 박물관·미술관 직원 대상 교육의 내용 구성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조선후기 수령의 향촌통치와 관민소통책 -18세기 목민서를 중심으로-

        홍해뜸 ( Hae Ddem Hong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49

        본 논문에서는 18세기 목민서가 제시하는 수령의 향촌지배 방안과 관민소통책을 살펴보았다. 목민서에는 새로운 향촌통치 방법을 서술하고 있었고 이는 당시 조선 정부의 개혁방향과 맞닿아 있었다. 목민서 저자들은 수령과 민의 관계를 고민하며 민과의 소통을 중요하게 여겼고 이러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었다. 이를 위해 먼저 수령과 민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세력인 향임과 이서를 통제해야 했다. 이 방법은 향소를 강력하게 장악하고 형장을 강조하는 방법과 향소의 자율성을 인정하면서 교화를 강조하는 방법으로 나뉘었다. 전자를 표명하는 목민서는 『목민고』였고 후자는 『임관정요』, 『선각』, 『칠사고』 였다. 이렇게 수령의 향촌지배방안에는 목민서 간 차이가 존재하였으나 궁극적으로 이들 목민서에서 지향한 것은 관과 민의 소통이었다. 먼저 청송시 수령의 역할과 태도에 주목하여, 소장처리 절차와 방법을 상세하게 제시하였다. 특히 목민서에서는 소지뿐만 아니라 발괄까지 수령이 직접 정성스럽게 처리할 것을 주문하여 모든 계층이 억울함이 없이 자신의 의사를 표시할 수 있게 하였다. 두 번째는 수령과 민의 직접 연결이었다. 민의가 직접 상달될 수 있는 통로를 제도화하여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사회문제 파악에 목적을 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목민서에서 수령은 국왕이 순문을 실시하듯 전령을 내려 향촌 사회 모든 사람에게 폐단 및 의견을 개진하라 하였다. 이 때 언문으로 된 것도 인정하였다. 이 방법은 일반 민의 의견도 공론으로 인정하고자 한 움직임의 반영이었다. 여기서 더 나아가 항통이라는 익명의 투고함을 만들어 민들이 향촌사회에서 자행되고 있던 불법들을 직접 고발할 수 있게 하였다. 목민서는 향촌사회에서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개선책에 초점을 맞추어 민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실효성 있는 방안으로 소민보호를 시행하고자 하였다. 민정을 잘 살피고 언로를 개방하여 관과 민이 소통하여 성장하고 있던 민의 역량을 인정하고 수령권의 기반으로 삼고자 한 것이다. 수령정치의 성패가 수령과 향촌세력만의 문제가 아니라 민과 관련됨을 자각한 결과였다. The Chosun government`s policy on hyangchon in the 18th century was to enforce the government`s control to the public through an establishment of a suryong-led ruling. Suryong, as seen in suryong chilsa, was a sole delegate within a kunhyun, entrusted by the king to take full charge of governing the province. However, his ruling power was restricted to wield the entrusted authority fully. In fact, his moral credentials and administrative capacity as an individual were the decisive element in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reign. Mongminso became an important resource book for the suryongs in this particular setting as it contained a list of things that mattered to them such as self-discipline, administrative guidelines on the national system, management strategies for an ideal hyangchon and so on. Hence, various versions of Mongminso were published and distributed in the 18th century. A new ruling strategy for hyangchon, differentiated from old ones, were introduced in Mongminso, which reflected the reform the Chosun government was then carrying out. The authors of Mongminso pondered about the relation between suryong and the people and put a high priority on communication. The authors shared the same sentiment about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suggested wide-ranging methods of enhanc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It was deemed necessary for suryongs to supervise the local officials called Hyang-Im and Lee-Seo in order to directly and better communicate with the people. There were two approaches to supervising them. One was to incorporate Hyang-So into an administrative organ at the suryong`s command and promote a punishment-oriented policy. The other was to recognize the autonomy of Hyang-So and encourage edification rather than punishment. There existed different opinions as to how suryongs could consolidate its power over hyangchon as aforementioned. The ultimate goal of Mongminso was, however, to improve communic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There were two suggestions in Mongminso as to how to achieve the effective communication. Firstly, considering the role and attitude of suryongs when it comes to dealing with lawsuits, the Mongminso presented the detailed procedure and methods to cope with the lawsuits. In particular, suryongs were requested to handle bal-kwal(verbal appeals) as well as so-ji(written appeals) with the utmost care by themselves so that all people, regardless of social class, could express their opinions without feeling they have been treated unfairly. Secondly, it was to directly connect suryongs with the public. In other words, it intended to institutionalize a pathway that directly delivered the public opinions to the government and aimed to help suryongs understand social ills in more specific and practical terms. Suryongs were advised in Mongminso to grant an order of the same kind as a king`s Soon-Moon, an interview where a king listened to people`s opinions in person, so that all the people in hyangchon could articulate the problems and their opinions. The people were allowed to write appeals in Korean. This approach meant that the ordinary people’s ideas were counted as essential public opinion. Moreover, a submission box of anonymous grievances called Hyang-Tong was made available to the public, providing them opportunities to make an accusation of illegalities occurred in local society. Focusing on the feasibility of reform, Mongminso aimed to safeguard the ordinary people in hyangchon through the employment of efficient measures as locally as possible. By looking after the people and opening up the participatory communication, Mongminso also acknowledged and intended to facilitate the growing capacity of the public on which the suryong`s power could be based. All in all, Mongminso realized that the well-established local politics led by suryongs depended on not only suryong and local aristocrats but also the ordinary people of the hyangchon society.

      • KCI등재

        고령자의 피난안전설계를 위한 군집보행속도에 관한 연구

        홍해,서동구,長谷見雄二,권영진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5 No.1

        Korea is rapidly becoming an aging society. As a basic research on increasing evacuation safety design at silver facilities, the study was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different foot’s pa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niors and their locations in a crowding of ordinary people and seniors all together. When the seniors were located at the front, the pace reduced to 0.81m/s on average. With 10 seniors which covered 50% of the crowd, the pace decreased to 0.85m/s. It is true that Korea has no existing researches on evacuation behaviour, and functions mentioned in its evacuation safety design is lack of practicality. Therefore, it is certainly necessary to secure any data of the evacuation behavior through various studies on seniors’ evacuation behaviors. 본 연구는 국내의 급격한 고령화추세와 그에 대응하기 위해 증가하고 있는 고령자시설의 피난안전설계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일반인과 고령자의 군집형성시의 보행속도를 고령자의 위치와 비율에 차이를 두어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고령자가 전방에 배치되었을 때 평균 0.81m/s로 가장 감소하였으며, 고령자의 비율이 50%인 10명 배치되었을 때 0.85m/s로 가장 감소하였다. 국내의 경우 피난행동특성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며 또한 실제적인 성능설계나 피난계획이 미흡한 실정이므로 향후 피난안전설계를 위하여 고령자의피난행동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연구를 통한 DATA 확보가 시급할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연암 박지원의 수령관과 지방정치운영

        홍해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4 동방학지 Vol.206 No.-

        이 글은 연암 박지원의 지방관 활동에 나타난 수령관과 정치운영 방안을 검토한 논문이다. 박지원은 당시 수령을 도신(盜臣)으로 평가하면서 이들이 인순고식하고 미봉책만 시행한다고 비판하였다. 수령이 그의 책임과 역할을 다하기를 촉구하였다. 단 이 과정에서 일시적인 시혜가 아닌 수령이 대체(大體)를 파악하여 장기적인 대안을 제시하기를 기대하였다. 박지원은 수령의 태도뿐 아니라 수령이 적극적으로 다스리기 어려운 구조의 한계를 지적하였다. 박지원은 수령이 상부의 명령만을 집행하여 향촌의 병폐를 자기 손으로 해결할 수 없는 처지라고 보았다. 이에 수령에게 많은 자율적 권한이 부여되어 수령이 독자적으로 결정하고 책임질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근거한 박지원의 정치를 확인할 수 있는 영역이 진휼이다. 박지원은 감사에게 사진(私賑)을 요청하면서 감사의 개입과 관리 대신 수령에게 오롯한 책임을 부여해달라고 하였다. 수령의 자율적 판단에 따른 시행을 중시한 것이다. 이외에도 기근이 들었을 때 국가의 시장 개입과 균역법의 어·염·선세의 정액화를 비판하였다. 박지원은 행위 주체가 융통성을 발휘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합당하다 여겼다. 아울러 박지원은 선정의 방법으로 교화의 확대와 예치를 모색하였다. 조선후기는 교화의 주재자로서 수령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는 상황임에도 박지원은 수령이 그 교화의 책임을 이행하지 못한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박지원은 형벌과 포상의 정치는 한계가 있어 인간 내면의 명예를 바라는 욕구를 높여야 한다고 보았다. 이에 박지원은 형장이 아닌 교화로서 군현을 다스렸다. 향리를 대하는 방식, 문제를 일으킨 관속과 천주교인을 처리할 때 교화로서 이들을 감화하고 권면하였다. 교화를 통한 깨달음을 얻은 백성들이 자율적으로 행동하여 문제가 해결되기를 기대하였다. 더 나아가 박지원은 교화의 확장과 풍속 개조를 위하여 군현 의례를 정비하였다. 이는 국왕인 정조의 정치를 군현에서 실현하는 것이었다. 박지원은 수령이 군현의례를 정비하고 시행하는 과정에서 사족을 교육하여 사족의 역량이 강화되기를 기대하였다. 아울러 수령이 진휼 현장에서 발생하는 백성의 범분(犯分)과 무질서를 교정하고 예를 깨우치게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의례의 형식이든 수령이 시행하는 구체적인 행정이든 예에 맞는 질서를 보여주고 가르쳐, 사족과 백성 모두 예를 체화하기를 기대하였다. This article discusses Park Ji-won's thoughts on local governance and practical administrative measures as manifested in his activities as a Suryeong(守令). Park Ji-won criticized the Suryeong at the time for only implementing minor measures and called for an active role. In the process, he argued that long-term solutions should be sought, not temporary relief. He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the Suryeong's power. He argued for more autonomy for the Suryeong, allowing them to make their own decisions. Park advocated for the autonomous judgment of the Suryeong instead of the intervention and management of Gamsa(監査). He argued that the politics of punishment and reward had its limits and that human beings' desire for honor should be increased. Therefore, Park Ji-won tried to govern the county through edification rather than punishment. This was evident in his treatment of Hyangri(鄕吏), as well as in his punishment of troublemakers and his treatment of Catholics. He hoped that the enlightened people would act autonomously and solve their own problems by sensitizing and exhorting them as a edification. Furthermore, He reorganized the rituals of the county to expand edification. Park Ji-won expected the Suryeong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the Sajok(士族) by educating them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rituals of the county. He also insisted that the Suryeong should correct the disorder of the people in Relief. By demonstrating and teaching proper order, whether in the form of rituals or specific administrative practices, the people attempted to internalize courtes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