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액상 투과전자현미경 분석기법 소개 및 최신 연구동향

        홍재영(Jaeyoung Hong),천동원(Dong Won Chun) 한국세라믹학회 2019 세라미스트 Vol.22 No.4

        Even though, nanoscale materials of various shapes and compositions have been synthesized in the liquid, their underlying growth and transformation mechanisms are not well understood due to a lack of analytical methods. The advent of liquid cell for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enables the direct imaging of chemical reactions that occur in liquids with nanometer resolution of the electron microscope (EM). Here,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liquid cell TEM equipment and their applications to the study of nanomaterials analysis in liquid are discussed. Also new findings discovered through liquid cell TEM studies such as nucleation & growth, coalescence process and transform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초점집단면담(FGI)을 통해 알아본 시각장애교육 교사의 전문성 함양 방안

        홍재영( jaeyoung Hong),김원호(Won Ho Kim),서효정(Hyo-Jeong Seo)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3 시각장애연구 Vol.39 No.2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시각장애학생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하여 초점집단면담(FGI)을 통해 현재 시각장애교육 교사의 자질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시각장애교육 교사의 전문성 함양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8명의 전문가 집단(교수 집단 4명, 현장 전문가 집단 4명)을 구성하여 그룹별로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첫째, 시각장애교육 교사의 전문성 부족 문제를 제기하며 현행 특수교사 양성체제에서 문제의 원인을 찾았다. 둘째, 시각장애교육 교사 전문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현행 특수교사 양성체제를 유지하면서 현직 교사의 연수 참여 또는 대학원 과정 이수를 통한 전문성 확보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전문성 확보를 위한 적정한 교육 내용 마련과 관련 법 및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함께 제시하였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시각장애교육 교사의 전문성 함양 방안과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시각장애교육 교사 양성체제 개선과 교육 내용 개선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FGIs), are to examine the qualifica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teach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explore advancement plans on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hose teachers. Method: To achieve these purposes, a group of 8 experts (4 professors, 4 field experts) was formed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ach group. Results: First, the findings highlighted the lack of professionalism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en teaching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hich was attributed to the current special education preparation system. Second, research participants proposed ways to establish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special education teacher preparation system: (a)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training or (b) in-service teachers’ completion of graduate school courses. The study participants also suggested developing teacher training contents in order to secure teachers’ professionalism as well as to improve legislation/policy advancement plans and systems.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provided implications in enhancing teachers’ professionalism when teaching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xamine ways to improve the teacher preparation system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the quality of professional development training contents.

      • KCI등재

        시각장애인을 위한 촉각 그래픽에 등장하는 시각 중심적 표현 고찰

        고아라(Ara Ko),홍재영(Jaeyoung Hong)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4 시각장애연구 Vol.40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시각장애인을 위해 제작된 촉각 그래픽에 등장하는 시각 중심적 표현의 유형과 시각장애인이 시각 중심적 표현을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를 연구한 문헌 고찰연구이다. 이 연구는 시각장애 학생에게 유의미한 촉각 그래픽을 제작하기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1990년대 이후 발표된 문헌 중 시각장애인을 위한 촉각 자료 관련 문헌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귀납적 내용분석 절차에 따라 문헌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촉각 그래픽에 등장하는 시각 중심적 표현에는 ‘시점, 원근법, 가려짐, 비일관성, 복잡성, 관용적 표현’ 등이 있었다. 시점, 원근법, 가려짐은 시각으로 대상을 관찰하거나, 시각으로 관찰한 대상을 평면에 옮길 때 발생하였다. 이는 촉각으로 대상을 탐색할 때는 발생하지 않는 시각 중심적 표현이다. 시각으로 대상을 관찰할 때는 어렵게 여겨지지 않는 비일관성, 복잡성, 관용적 표현도 시각적 경험이 없는 시각장애인에게는 자료 탐색에 어려움을 가중하는 요소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장애 학생에게 유의미한 촉각 그래픽을 제작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a literature review that investigated the types of visually centered expressions found in tactile graphic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reasons why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fou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these expressions. The purpose was to provide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creating meaningful tactile graphic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Method: The study focused on literature related to tactile materials for the visually impaired published since the 1990s and conducted an inductive content analysis of the selected documents. Results: Visually centered expressions identified in tactile graphic include ‘viewpoint, perspective, occlusion, inconsistency, complexity, and visual graphic habits.’ Viewpoint, perspective and occlusion occur when translating observed objects into tactile graphic, which do not arise when exploring objects through touch. Inconsistencies, complexity and visual graphic habits, typically not challenging when observed visually, exacerbated the difficulty for individuals with congenital blindnes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strategies for developing meaningful tactile material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 KCI등재후보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음악과 성취기준의 중요도-실행도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

        이두진(DooJin Lee),홍재영(jaeyoung Hong)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3 특수교육논집 Vol.27 No.2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기본 교육과정 음악과 성취기준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전국 특수교사 중 음악 교과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요도는 생활화, 감상, 표현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생활화 영역의 핵심개념 중 음악과 소통의 중요도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표현 영역의 핵심개념 중 음악의 요소 중요도를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실행도는 생활화, 감상, 표현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생활화 영역의 핵심개념 중 음악의 쓰임 실행도가 가장 높았으며, 표현 영역의 핵심개념 중 음악의 요소 실행도가 가장 낮았다. 셋째, 총 94개 중 92개의 성취기준이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교사들의 성취기준 실행도를 높이기 위한 개선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 연구 결과는 기본교육과정 음악과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향 및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music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15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experience teaching music subjects across the country. Results: First, the importance was in the order of habituation, listening, and expression. Teachers recognized the core concept of ‘music and communication’ in ‘habituation’ at most, while they recognized the core concept of ‘elements of music’ in the ‘expression’ at least. Second, the performance was in the order of habituation, listening, and expression. Teachers applied the core concept of ‘use of music’ in ‘habituation’ at most, while they indicated the core concept of ‘element of music’ in the ‘expression’ at least. Third, 92 of the 94 achievement standard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to investigate ways to increase teacher performa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direction, as well as basic music curriculum.

      • 레고 블록을 이용한 넓은 주파수 밴드갭(Band Gap)을 갖는 메타재료 연구

        김근일(Guenil Kim),홍재영(Jaeyoung Hong),김은호(Eunho Kim) 대한기계학회 202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0 No.8

        최근 재료의 내부 구조를 설계하여 파동을 제어하기 위한 메타재료(metamaterials)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파동영역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역학파인 음파/탄성파 영역에서 선형파동의 전파특성을 제어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긴 실린더 입자를 적층한 woodpile 형상의 입자구조에서 파동의 전파 특성을 연구한 선행연구를 통해 입자의 국부공진에 의해 나타나는 주파수 밴드갭(frequency bandgap)을 중첩하면 넓은 주파수 밴드갭을 형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입자들로 구성된 구조는 기본적으로 안정성이 부족하여 실용적인 구조물의 제작에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Lego 블럭을 이용하여 안정적이면서도 쉽게 주파수 밴드갭을 설계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레고 블록은 기본 블록들을 쉽게 조립하여 다양한 구조를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치수와 형상의 규격화 되어 있어 기본 블록들의 파동특성과 파동의 전파 원리만 파악하면 쉽게 다양한 파동특성을 갖는 메타재료의 설계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 블록들의 굽힘 진동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을 조립하여 주파수 밴드갭의 확장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Fig.1(a)는 여러 길이의 레고 블록을 결합하여 주파수 밴드갭이 중첩되도록 설계한 구조를 나타내며, Fig. 1(b) 실험적으로 측정된 주파수 응답함수를 나타낸다. 주파수 밴드갭이 중첩되어 6~7 kHz 부근에서 넓은 주파수 밴드갭이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진동필터 및 진동/소음 감쇠 등 다양한 진동시스템의 설계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 본문 참조]

      • KCI등재

        특수교육 분야 국내 내러티브 탐구 동향분석(2000~2021)

        고아라(Ara Ko),홍재영(Jaeyoung 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이 연구는 국내 특수교육 분야의 내러티브 탐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특수교육 분야에서 내러티브 연구를 실행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기본 정보를 제공하고 연구의 방향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1년까지의 국내 특수교육 분야의 내러티브 탐구 연구 51편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분석 준거를 설정하였으며, ‘학술지, 발행 연도, 연구 참여자, 참여자 수, 연구 주제, 장애 영역, 참여자 수, 자료형성 방법, 면담 기간 및 횟수’를 준거로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분석대상 논문 중 6편(11.8%)이 ‘유아특수교육연구’, 5편(9.8%)이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에 실려 있어 51편의 논문 중 11편(21.6%)이 2개의 학술지에 게재되어 있었다. 발행 연도는 2004년 1편을 시작으로 2021년에 8건이 발행되어 내러티브 탐구 연구의 증가 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는 특수교사 24편(40.7%), 일반교사 12(20.3%)편으로 교사 참여 연구가 많았으며, 참여자의 수는 3명(25.5%), 1명(21.6%), 2명(15.7%)으로 1~3명인 경우가 다수를 차지했다. 연구 주제는 교육과정 및 수업, 통합교육과 같은 직접적인 학생 지도를 주제로 한 연구가 많았다. 장애 영역의 경우 특정 장애 영역을 한정하지 않고 장애 전반을 다룬 연구가 26편(46.4%)으로 다수를 차지했으며 단일 장애 영역으로는 시각장애, 중복장애가 각 5편(8.9%)으로 가장 많았다. 자료형성 방법은 개별 면담과 현장 자료를 함께 수집한 경우가 33편(64.7%)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면담 기간은 1개월 미만에서 12개월까지 고른 분포를 보였으며, 개별 면담 횟수는 3~4회가 17편(27.4%)으로 가장 많았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특수교육 분야에서의 내러티브 탐구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researchers who want to carry out narrative inquiry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the future. Methods 51 narrative studie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were analyzed from 2000 to 2021. For analysis, analysis criteria were established through a review of prior research, and based on this, analyzed by journal, publication year, research participants, number of participants, research topics, disability area, number of participants, data formation methods, interview period and number of tim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1.8% of the papers to be analyzed were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9.8% i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with a total of 21.6% published in two journals. The publication started with 1 paper in 2004, 8 papers were published in 2021, confirming the increasing trend of narrative inquiry research. As for the participants, 40.7%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20.3% of general teachers were involved in the study.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1~3 people accounting for the majority. Most of the research topics were instruction and curriculum operation experiences. In the case of the disability area, 46.4% of the studies dealt with the overall disability without limiting the specific disability area, and 8.9% of the single disability area were visual impairment and Multiple disability, respectively. As for the data formation method, 64.7% of them collected individual interviews and field text together. The interview period showed an even distribution from less than 1 month to 12 months. As for the number of individual interviews, 3~4 times were the most at 27.4%.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inquiry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the future were discussed.

      • 특수교사 양성과 배치 개선 방안

        최상배(Sangbae Choi),홍재영(Jaeyoung Hong),황윤재(Yunjae Hwang),서효정(Hyojung Seo),박영근(Youngkeun Park),김원호(Wonho Kim) 한국특수교육학회 2022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

        연구목적: 현행 특수교사 자격제도와 양서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개선 방향의 일환으로 청각장애와 시각장애교육 교사자격제도 운영의 필요성과 양성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특수교사 양성 현황과 개선사항을 분석하기 위하여 문헌분석, 초점집단면담(FGI)과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현행 특수교사 양성과정이 학교과정별로만 진행하고 있으며 양성과정이 경직되고 있고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으며, 교육실습 기회가 부족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특히, 현행 특수교사 자격과정은 유·초·중등 하교과정별 기본과정으로만 운영되고 있으나, 교육의 전문성을 강조하는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여 특수교사 자격제도를 기본과정과 심화과정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으며, 심화과정에서는 진로진학상담 교사, 청각장애교육 교사, 시각장애교육 교사 등 교육의 수요에 적절하게 특수교사 자격과정을 세분화할 필요가 있음이 제안되었다. 둘째, 청각장애와 시각장애교육 교사 자격제도의 필요성이 제시되었으며, 청각장애와 시각장애교육 교사 자격과정을 운영하는 과정은 학부, 대학원 자격연수 과정이 제안되었다. 셋째, 청각장애와 시각장애교육 교사 자격증 소지자가 지속적이고 전문적으로 해당 장애학생을 지도하도록 교사전보 유예와 자격취득 비용 지원 등 인센티브가 필요함이 제안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