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아 홀(TSV)의 Cu 충전 및 범핑 공정 단순화

        홍성준,홍성철,김원중,정재필,Hong, Sung-Jun,Hong, Sung-Chul,Kim, Won-Joong,Jung, Jae-Pil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10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17 No.3

        3차원 Si 칩 패키징 공정을 위한 비아 홀(TSV: Through-Si-Via) 및 Au 시드층 형성, 전기 도금을 이용한 Cu 충전기술과 범핑 공정 단순화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비아 홀 형성을 위하여 $SF_6$ 와 $C_4F_8$ 플라즈마를 교대로 사용하는 DRIE(Deep Reactive Ion Etching) 법을 사용하여 Si 웨이퍼를 에칭하였다. 1.92 ks동안 에칭하여 직경 40 ${\mu}m$, 깊이 80 ${\mu}m$의 비아 홀을 형성하였다. 비아 홀의 옆면에는 열습식 산화법으로 $SiO_2$ 절연층을, 스퍼터링 방법으로 Ti 접합층과 Au 시드층을 형성하였다. 펄스 DC 전기도금법에 의해 비아 홀에 Cu를 충전하였으며, 1000 mA/$dm^2$ 의 정펄스 전류에서 5 s 동안, 190 mA/$dm^2$의 역펄스 조건에서 25 s 동안 인가하는 조건으로 총 57.6 ks 동안 전기도금하였다. Si 다이 상의 Cu plugs 위에 리소그라피 공정 없이 전기도금을 실시하여 Sn 범프를 형성할 수 있었으며, 심각한 결함이 없는 범프를 성공적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 Formation of TSV (Through-Si-Via) with an Au seed layer and Cu filling to the via, simplification of bumping process for three dimensional stacking of Si dice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produce the via holes, the Si wafer was etched by a DRIE (Deep Reactive Ion Etching) process using $SF_6$ and $C_4F_8$ plasmas alternately. The vias were 40 ${\mu}m$ in diameter, 80 ${\mu}m$ in depth, and were produced by etching for 1.92 ks. On the via side wall, a dielectric layer of $SiO_2$ was formed by thermal oxidation, and an adhesion layer of Ti, and a seed layer of Au were applied by sputtering. Electroplating with pulsed DC was applied to fill the via holes with Cu. The plating condition was at a forward pulse current density of 1000 mA/$dm^2$ for 5 s and a reverse pulse current density of 190 mA/$dm^2$ for 25 s. By using these parameters, sound Cu filling was obtained in the vias with a total plating time of 57.6 ks. Sn bumping was performed on the Cu plugs without lithography process. The bumps were produced on the Si die successfully by the simplified process without serious defect.

      • KCI등재

        콩 품종, 파종시기 및 작부체계가 콩 불마름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홍성준,김용기,심창기,김민정,박종호,한은정,지형진,Hong, Sung-Jun,Kim, Yong-Ki,Shim, Chang-Ki,Kim, Min-Jeong,Park, Jong-Ho,Han, Eun-Jung,Jee, Hyeong-Ji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4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2 No.4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에 의해 발생하는 콩 불마름병은 콩을 재배하는 많은 지역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세균성 병해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콩 불마름병 발생 억제를 위한 저항성품종, 파종시기, 작부체계에 대한 효과를 포장에서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00여 품종을 자연 감염된 포장에서 저항성을 평가한 결과 푸른콩 등 14품종이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30여 품종이 병반면적률 3% 이하의 중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불마름병 감수성 품종인 태광콩을 5월 25일, 6월 5일, 6월 15일, 6월 25일 등 10일 간격으로 파종시기를 조절하여 병반면적률을 조사한 결과 23.3%-25.7%, 14.7%-18.0%, 10.7%-12.8%, 1.0%-2.7%의 발생을 각각 확인하였다. 불마름병 발생이 가장 낮은 처리구는 6월 25일 파종구였으며, 발생이 가장 심한 처리구는 5월 25일 처리구였다.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불마름병 발생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006년 12월부터 2007년 6월까지 5개의 콩-동계작물 작부체계의 토양을 채집하여 불마름병 병원균의 생존밀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모든 작부체계에서 병원균이 검출되었으며 콩-보리 작부체계와 콩-마늘 작부체계의 병원균 밀도가 다른 작부체계보다 생존밀도가 낮았다. 더욱이 두 개의 작부체계는 콩 불마름병 발생도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Bacterial pustule of soybean caused by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bacterial diseases in many areas where soybeans are grow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cultivars, sowing date and cropping system on the suppression of soybean bacterial pustule in the field. One hundred soybean cultivars were screened for disease resistance against bacterial pustule in naturally infested field. Among them, fourteen cultivars including 'Pureun' were found to be high resistant. And thirty cultivars showed to be moderate resistant(less than 3% of diseased leaf area). When Soybean cultivar 'Taekwang' were sown in four different dates, May 25, June 5, June 15, and June 25, at 10 day-interval in Milyang, the diseased leaf area of bacterial pustule was 23.3%-25.7%, 14.7%-18.0%, 10.7%-12.8%, and 1.0%-2.7%, respectively. The lowest percentage of diseased leaf area was recorded in the plots sown on June 25, whereas the highest percentage of diseased leaf area was recorded in the plot sown on May 25. As sowing time was delayed, incidence of soybean bacterial pustule found to be comparatively reduced. From December in 2006 to June in 2007, we surveyed the pathogen population of soybean bacterial pustule in five cropping upland soils where soybean was cultivated. The survey result showed the bacterial pustule pathogens were detected from the all cropping soils. The pathogen populations of soybean bacterial pustule in soybean-barley and soybean-garlic cropping soil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cropping soils. In addition, the incidence of soybean bacterial pustule was decreased under the two cropping system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유기농 토마토 재배시 발생하는 잎곰팡이병, 흰가루병, 잿빛곰팡이병의 방제연구

        홍성준,박종호,김용기,지형진,한은정,심창기,김민정,김정현,김승현,Hong, Sung-Jun,Park, Jong-Ho,Kim, Yong-Ki,Jee, Hyeong-Jin,Han, Eun-Jung,Shim, Chang-Ki,Kim, Min-Jeong,Kim, Jung-Hyun,Kim, Seung-Hyu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2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0 No.4

        유기농 토마토 생산에 있어 지상부 잎에 발생하는 병은 수량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다. 특히 흰가루병, 잎곰팡이병, 잿빛곰팡이병이 유기농 토마토 포장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저항성 품종, 환기장치, 난황유 및 미생물 농약 등 친환경적인 방제방법을 이용하여 유기농 토마토 생산 기술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시설하우스에 환기장치를 작동시키면 환기장치를 설치하지 않은 하우스에 비해 최고온도와 최저온도의 편차가 $2{\sim}7^{\circ}C$ 줄어들고, 평균상대습도도 1~5% 감소되었다. 그 결과 토마토 잎곰팡이병 발생이 55.0%, 그리고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발생이 24.4% 억제되었다. 미생물 농약 2종을 시설하우스에서 잿빛곰팡이병과 잎곰팡이병을 대상으로 방제시험을 실시한 결과, 잿빛곰팡이병은 49.0~55.9%, 잎곰팡이병은 39.2~58.2%의 방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난황유를 제조하여 흰가루병을 대상으로 시설하우스에서 처리한 결과 97.6%의 우수한 방제효과가 확인되었다. 잎곰팡이병과 흰가루병을 대상으로 병저항성 품종 선발시험을 실시한 결과 15품종 중 슈퍼탑을 포함한 7품종이 잎곰팡이병에 대해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흰가루병의 경우에는 15품종 중 파워킹만이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Foliar diseases are major constraints to profitable organic tomato production. Especially, powdery mildew, leaf mold and gray mold of tomato occur severely on organic cultured tomatoes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organic tomato cultivation technology using environmental-friendly disease control methods (resistance cultivar planting, air circulation fan installation, oil-egg yolk mixtures, and microbial agents). When tomatoes were cultivated in plastic film house installed with air circulation fan, daily range of temperature was decreased by $2{\sim}7^{\circ}C$, average relative humidity was decreased by 1~5% compared to those in plastic house without air circulation fan. Consequently, incidence of tomato leaf mold and tomato gray mold was reduced by 55.0% and 24.4%, respectively. Control effect of microbial agents and oil-egg yolk mixtures against major tomato diseases was examined in plastic house. As a result, the control value of microbial agents against tomato gray mold and tomato leaf mold showed at the range of 49.0~55.9 %(gray mold) and 39.2~58.2%(leaf mold), respectively. The control value of oilegg yolk mixtures against tomato powdery mildew showed 97.6%. Fifteen tomato cultivars were evaluated for disease resistance against leaf mold and powdery mildew in organically cultivated tomato field. Among 15 tomato cultivars, seven cultivars including 'Super-top' were found to be high resistant to tomato leaf mold. Also 'Powerking', one of fifteen tomato cultivars, showed to be high resistant to tomato powdery mildew.

      • KCI등재

        시장지향성과 기업성과와의 관계에서 시장지식관리 및 제품개발과정에서 혁신의 매개역할

        홍성준(Hong Sung Jun) 한국상품학회 2007 商品學硏究 Vol.25 No.1

        시장 지향성과 기업의 재무성과와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연구가 많았지만, 몇 몇 소수의 연구들만이 이 관계를 실증적으로 증명하고 있다. 따라서 시장지향성과 기업의 재무성과간의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최근의 연구에는 시장지향성-재무성과를 매개하는 변수가 도입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들 연구자들이 채택하고 있는 매개변수가 너무 포괄적이고 실행지침을 제시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는 기존 문헌을 고찰하여 시장지향성과 기업의 재무성관간의 가장 중요한 매개변수로 혁신을 주목하고, 마케팅관점을 반영하여 구체화된 혁신 차원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혁신을 마케팅 관점에서 시장지식관리과정 및 제품개발과정에서의 혁신으로 구분하여 시장지향성과 기업의 재무적 성과간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실증하였다. 연구결과 시장지향성의 영향력이 이 두 가지 혁신차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시장지식관리과정 및 제품개발과정에서의 혁신은 기업의 재무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시장지향성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Linkage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firm"s financial performance has been examined by a number of scholars. However, there is few studies found a positive association empirically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firm"s financial performance. To solve the problem, recently a few studies has introduced mediators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firm"s financial performance. But these mediators were too broad and took organizational approach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actualized mediators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firm"s financial performance. Especially this study considered two dimensions of innovations in the perspective of marketing core process. The study finds that market orientation spur two dimension of innovation. Also linkage between theses innovation types and firm"s financial performance has positive association. But, the direct relationship market orientation and firm"s financial performance is not supported.

      • KCI등재

        B2B거래에서 파트너의 CSR활동 지각과 관계혜택 간의 관계`

        홍성준 ( Hong Sung Jun ),박종철 ( Park Jong Chul ) 한국유통경영학회 2017 유통경영학회지 Vol.20 No.2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은 이해관계자들과의 관계형성을 전제로 하는 있다는 점에서 파트너와의 관계구축이 중요한 B2B거래에서 관계형성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들은 관계마케팅적 관점에서 CSR활동을 B2B거래 관점에서 접목하려는 시도는 다소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교환 파트너의 관점에서 파생되는 관계혜택의 관점에서 거래 파트너의 CSR활동에 대한 지각이 사회적, 심리적 혜택과 같은 비경제적 혜택은 물론 경제적, 경쟁 우위적 혜택으로 정의되는 기능적 혜택을 창출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관계혜택과 관계성과 요인으로 관계의 질을 대표하는 관계몰입과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서 B2B거래에서 CSR활동과 관계성과간의 연결고리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파트너의 두 가지 CSR활동, 즉 비즈니스 실행 CSR활동과 자선적 CSR활동에 대한 인식이 자사가 지각하는 관계혜택인 사회적, 심리적 기능적 혜택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기서 창출된 관계혜택은 관계성과인 관계몰입을 유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B2B거래에서 파트너의 CSR활동이 심리적 혜택과 같은 비경제적 혜택뿐만 아니라, 경제적 혜택이나 경쟁 우위적 혜택을 제공하여 관계성과인 관계몰입의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해관계자와의 관계구축이 핵심인 CSR영역과 B2B거래의 관계마케팅 영역과의 접목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측면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It is higjhly likely that corporate sodal responsibility activiti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lationship formation process in the B2B transaction, because CSR is required the relationship with stakeholder. However, there have been few attempts to incorporate CSR activ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ionship marketing.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erception of exchange partners `CSR activities lead relational benefit 切 influence relational commitment Especially, perceived CSR activities of partner positively affect functional benefits defined as economic and competitive advantages as well as non-economic benefits such as sodal and psychological benefits. In addition, we identify the link between CSR and performance in B2B transactions by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benefits and relational commitment, which represents relationship quality. As a result, the two CSR activities of the partner, business practices CSR and philanthropic CSR positively affect social, psychological, and functional benefits. In addition, the relational bene五ts positively influences relational commit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rtners` CSR activities in B2B transactions can contribute to building relationship by providing economic and competitive advantages as well as non-economic benefits such as psychological benefits. Finally, this study provide possibility of linking with relationship marketing area of B2B transaction and CSR study.

      • 마사토 미립분을 활용한 친환경 흙 콘크리트 개발에 관한 기초적 연구

        홍성준 ( Hong Sung-jun ),박동천 ( Park Dong-cheon ),류동우 ( Ryu Dong-woo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1 No.1

        This study examined basic mechanical properties by developing eco-friendly soil concrete using Masato particulate matter treated as waste. Experiments show that DG10 satisfies the compressive strength criterion, but for DG20, the criterion was not reached. As the mixing volume of Masato particulates increased,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slump decreased, and in the case of the compression strength test after freezing and melting, it was found that the standards were not met.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활동은 어떻게 기업의 혁신성을 창출하는가?

        홍성준 ( Hong Sung Jun ),박종철 ( Park Jong Chul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7 유통경영학회지 Vol.20 No.5

        그동안 기업의 CSR활동이 기업의 혁신을 창출할 수 있음에도 이에 대한 실증연구는 부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의 혁신성을 창출하는 메커니즘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동안 기존 연구들은 주로 소비자 태도형성 관점에서 신뢰, 평판, 동일시, 고객충성도와 같은 변수들을 CSR활동의 성과 창출과정의 요소로 제시하였다. ‘CSR활동-혁신’ 간의 관계를 밝힌 일부 연구도 주로 환경적 CSR의 범주에서 이들 두 변수간의 직접적인 관계만을 다루었을 뿐, CSR활동이 혁신에 이르는 과정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CSR활동이 기업의 혁신성을 창출하는 두 가지 경로, 즉 CSR활동이 지식기반의 관점에서 지식공유를 유도하고, 관계적 관점에서 공정성에 대한 파트너의 지각을 개선시켜 기업의 혁신성을 창출하는 과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파트너의 비즈니스실행 CSR활동은 지식공유과 공정성지각을 개선시켜 기업의 혁신성을 창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CSR활동에 대한 연구를 전략적 관점으로 확장하였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나아가 CSR활동이 혁신에 이르는 과정을 설명했다는 점에서도 학문적 의의가 있다. 더불어 그 동안 혁신 창출의 핵심변수였던 지식공유와 교환관계에서 협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공정성 변수에 대한 CSR활동의 영향력을 밝혔다는 점에서 실무적으로 시사 하는바가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create corporate innovation. Despite the direct and indirect evidence that CSR can create innovation, there have been few studies related to it.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mainly on attitude factors such as trust, reputation, identification, and customer loyalty as a CSR outcome. This research that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innovation had limitations in that CSR did not explain the process of innovation because it mainly dealt with only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in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CSR.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CSR has two ways of creating corporate innovation, that is, CSR activities induce knowledge sharing from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base and improve partner 's perceived fairness from a relational perspective. The innovation creation processes of CSR are demonstrated and prov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usiness practices and philanthropic CSR activities of the partners confirmed that the innovations of the corporation can be created by improving knowledge sharing and perceived fairnes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tend CSR research from a strategic point of view and suggests that CSR explained the process linking to innovation. In addition, it has contributed to the impact of CSR practices on fairness that have the important influence on collaboration in the knowledge sharing and exchange relationship, which were the key variables of innovation creation in extant researches. This is expected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CSR practices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