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CC 상에서의 최적 병렬 ANSV 알고리즘

        홍성익(Sung-Ik Hong),김명호(Myung-Ho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A

        ANSV(All Nearest Smaller Values)문제는 단조 다각형의 삼각분할, 이진 트리의 재구성, Cartesian 트리 구성등 여러 다양한 응용문제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쓰인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ANSV문제를 MCC상에서 최적시간에 해결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시하는 ANSV문제에 대한 병렬 알고리즘은 √n×√n MCC에서 O(√n)의 수행시간을 갖는다.

      • KCI등재

        한국 古 · 中世 승려 墓塔의 지하석실에 대한 검토

        홍성익(Hong, Sung-ik) 신라사학회 2019 新羅史學報 Vol.0 No.45

        신라말에 중국을 유학한 승려들에 의하여 전래된 南宗禪이 신라사회의 불교계에 새로운 충격을 가하게 되었다. 즉, 교종계의 불교가 신라사회를 이끌고 있었으나 이와 사유체계 방식이 다른 선종불교가 왕 또는 호족과 연계되면서 새로운 세력으로 자리잡았기 때문이다. 그동안 남종선의 전래와 정착 그리고 분화과정, 왕실과의 관계 등은 여러 전공자들에 의하여 연구되었다. 그러나 남종선 승려들의 장례과정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선승들이 입적하고 장례의 절차가 종료되면 9산선문의 개산조와 그들의 스승이 있을 경우 특정한 장소에 석조물로 묘탑을 건립하였다. 이를 부도 또는 승탑이라고 하는데 이 묘탑 내에 묘탑 주체자의 舍利를 봉납한 것인지 아니면 遺體를 매납한 것인지 알려져 있지 않다. 논자는 이번 연구를 통하여 나말여초 선승들의 입적 이후 장례에 따른 묘탑의 건립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사자산문의 개산조 징효절중만이 다비를 하고 나온 사리를 영월 흥녕선원으로 이운해 묘탑과 탑비를 건립하였다. 이외의 선승들은 입적 후 다비를 하지 않고 유체를 묘탑의 하부에 석실 또는 석관을 만들어 매장하는 전통방식을 따르고 있음을 묘탑의 비문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앞으로 선승의 묘탑을 보수 또는 발굴할 경우 하부의 유구를 조사하여 선승의 묘탑이 갖는 본래의 구조와 장례풍습이 밝혀져야 할 것이다. Namjongseong that was introduced by Buddhist monks who studied in Tang China in the late Silla Dynasty had a huge impact on the society of Silla. Gyojong-order Buddhism functioned as an ideology for political and social leadership for hundreds of years in the Silla society, but a different zen Buddhism having different reasoning was associated with the king and powerful families, thus becoming a new force. The introduction, settlement and differentiation process of Namjongseon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royalty, etc. were studied by various scholars. However, studies related to the funerals of Namjongseon monks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Furthermore, once zen monks died and the funerals were completed, in the case of Gaesanjo of the 9 Sanseonmun and most of their teachers, a grave pagoda was built as a fixed stone structure in specific places. These are called Budo or Seungtap, but it is unknown whether it enshrines the cremated remains of the monks buried in the grave or whether it buried the body. I investigated the construction of the grave pagodas following the death and funerals of Namalyeocho zen monks through this study. In result, it was found that only Gaesanjo Jinghyojeoljung of Sajasanmun was cremated and a grave pagoda and monument were built. Other zen monks were not cremated, and instead, it followed the traditional method of making a stone chamber or sarcophagus underground at the grave pagoda to bury the bodies through epitaphs on the grave pagoda. In the event that the grave pagodas of zen priests are repaired or excavated in the future, the remains underneath should be investigated to reveal the original structure of the grave pagodas of zen priests and to reveal the funeral customs of the time.

      • KCI등재

        삼척향교의 제례(祭禮) 석물(石物)에 관한 연구 - 성생단(省牲壇)과 망료석함(望燎石函)을 중심으로 -

        홍성익 ( Hong¸ Sung-ik ) 강원사학회 2022 江原史學 Vol.- No.38

        향교는 고려시대부터 국가에서 지방에 설치한 관학이다. 향교 건립은 조선시대에 전국으로 확산되어 유교이념으로 국가를 경영하고자 했던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지방 교육기관이었다. 강원도에는 15개의 향교가 있으며 춘천과 강릉만이 고려시대에 건립되고 이외의 향교 건립시기는 밝혀지지 않았다. 삼척향교의 건립년대는 밝혀진 바 없으나 조선초기에는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글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삼척향교의 대표적 제례석물은 성생단과 망료석함이다. 성생단이란 犧牲禮에 사용될 犧牲物의 건강과 肥肉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壇으로 민예풍의 거북이 형태로 제작되었다. 제례에 사용한 祭文은 제례가 종료되면 태우는 데 제문을 태우기 위한 석물을 망료석함이라 부른다. 망료석함은 石函과 蓋石 2점으로 구성되었는데 지붕이 우진각인 가옥의 형태로 제작되어 미술사적 가치가 높고 1656년에 제작한 사실이 확인되고 있어 시대적 기준작으로서 볼 수 있다. 성생단은 동재와 서재 사이에 있고 망료석함은 대성전 서쪽에 위치한다. 이외에도 망료석함과 동시에 건립되는 하마비가 있으며 원형으로 추정되는 관수대가 있다. 이와 같이 제례석물을 온전히 갖춘 향교는 강원도 내에서 삼척향교가 유일한 사례이다. 앞으로 이 석물이 향교에서 행해지는 제례에서 실제 설행되기를 기대한다. Hyanggyo are government schools installed in provinces by the central government since the Goryeo Dynasty. The establishment of hyanggyo spread nationwide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became the representative provincial educational institutes of the Joseon Dynasty, which wanted to run the nation under Confucian ideologies. There are 15 hyanggyo in Gangwon-do and only those in Chuncheon and Gangneung were built during the Goryeo Dynasty, while the dates of building other hyanggyo are unknown. The year that Samcheok Hyanggyo is unknown but it is estimated to have been construct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representative ritual ceremony stonework of Samcheok Hyanggyo to be examined in this paper are Seongsaengdan and Mangnyoseokham. Seongsaengdan is an altar for checking the health and fattiness of sacrifices to be used in the sacrificial ritual, and it was made in the shape of a turtle in a folk art style. The written funeral oration used in the ritual is burned once the ritual is complete, and the stonework for burning this piece of paper is called mangnyoseokham. Mangnyoseokham is made up of a stone case and two roof stones, and it is designed like a small house. Because of its high art history value and as it was made in 1956, it can be viewed as the standard piece of the time. Seongsaengdan is located between the dongjae and seojae, while mangnyoseokham is located west of the Daejseongjoen shrine. There is also the hamabi that was constructed together with mangnyoseokham and the gwansudae that is presumed to be in its original form. Samcheok Hyanggyo is the only hyanggyo that still has ritual stonework so fully intact in Gangwon-do.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onework will be actually used in rituals performed at the hyanggyo.

      • KCI등재

        강원 영서지역 寺址조사의 현황과 과제

        홍성익(Hong, Sung-I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0

        강원지역에는 많은 寺址가 산재해 있다. 이러한 사지를 개인 연구자 또는 학술기관에 의해서 다양하게 실시되어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족할 만큼의 성과를 냈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그 원인으로 강원지역은 산이 험하여 현장조사가 어렵고 佛敎考古學을 전공하는 연구자가 많지 않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사지 조사의 기초라 할 수 있는 문헌에 대한 기초조사가 충분히 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사지조사는 누락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곤 하였다. 사지는 다른 유적과 달리 산중에 위치하고 면적이 좁은 경우가 많아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하지 않을 경우 위치는 물론이고 존재여부에 대한 파악 자체가 어려운 유적이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현재까지 파악된 문헌에 등장하는 사찰과 사지를 총정리하였다. 추후 지역별로 조사할 기회가 주어지면 이를 토대로 면별, 리별로 구분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면 보다 충실한 현장조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조사된 사지에 분포하고 있는 많은 유형문화재들이 도난되거나 변형되는 상황 속에서 이를 개별적으로 소개하여 이러한 도난 또는 왜곡된 복원이 되지 않기를 기대한다. 사지에 대한 기초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재해 또는 개발행위가 이루어질 경우 유적 자체가 사라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지에 대한 문헌조사와 지표조사의 사례 등에 대한 견해를 제시하였다. 강원지역은 문화재청과 지방정부의 지원으로 1990년대와 2000년대에 사지를 全數調査할 기회가 2회 있었으나 강원도는 이 기회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였다. 이는 조사기관이나 조사자가 조사목적과 불교고고학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이 글이 강원지역에 산재한 사지조사와 연구 그리고 보존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Individual researchers and academic institutions surveyed many temple sites scattered in Gangwon area. Despite many achievements, the result is not satisfactory enough due to difficult field research by rugged mountains and lack of buddhism archaeology researchers. Many sites were omitted from survey list as document investigation on temple sites has not been done well.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temple sites not recorded in document as the site is small and located in the mountains unlike other historic sites. By recognizing these facts, this research re-organized the temples and sites appeared in documents so far. More faithful field researches could be conducted in Myeon and Ri based on this research. We also expect that individual introduction of temple sites enable to restore the original state without loss or distortion of many tangible cultural assets. Natural disaster or regional development without basic investigation on temple sites could destroy the sites themselves. Therefore ground surveys on temple sites are presented along with document surveys. Gangwon-do has had 2 opportunities for total inspection of temple sites in Si and Gun in 1990s and 2000s with the support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Local Government, however, did not take full advantage of the opportunities. We expect this research could be of assistance for the research and preservation of temple sites scattered in Gangwon area.

      • KCI등재

        조선전기 王妃 加封胎室에 관한 연구

        홍성익(Hong, Sung-Ik) 한국사학회 2015 史學硏究 Vol.- No.117

        이 논문은 조선전기 왕비 3인의 태실에 대한 연구이다. 신라시대부터 간헐적으로 전승되어 온 장태습속은 조선시대에 들어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재위한 모든 王과 王孫들의 태실이 설치되었다. 이 중에서 세자가 왕위에 오르면 아기태실에 많은 석물을 더하여 나말여초기의 八角圓球型浮屠와 같은 중앙석물을 설치하고 주변에는 왕릉의 난간석과 같은 형태의 석물을 더하여 가봉태실을 조성하였다. 그런데 독특하게도 조선전기의 일부 왕비에게 이러한 가봉태실을 조성하는 예가 확인되고 있다. 태실이 조선후기로 오면서 관리의 소홀로 붕괴되거나 李王職에서 西三陵域으로 이봉하면서 왕의 가봉태실이 인위적으로 대부분 파괴되었고, 소헌왕후와 폐비윤씨의 태실도 파괴되어 원형을 추정하기가 어려운 정도이다. 정희왕후는 가봉되었는지, 아기태실로 남은 것인지도 명확히 연구되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연구자간에 왕비의 태실지 위치가 다르고, 태실 주인공도 혼선이 있어 왔으며 문헌 간에도 동일한 태실을 다른 왕비의 태실로 기술하는 경우도 있어 왔다. 그리고 왕족이 아닌 士大夫家출신의 딸들이 어떻게 경북 영주 소백산, 강원 홍천 공작산, 경북 예천 용문사에 각기 장태되었고, 왜 이 지역이 장태지로 선정되었는지도 규명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하여 문헌과 고고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queen’s Placenta Chamber (Taesil) in the early Choseon period. Jangtae convention that has been passed down since the Silla period started to establish Pacenta Chamber for the king and his crown prince in the later Goryeo period. In the Joseon period, a Placenta Chamber was established not only for the king, but for his children as well. In addition, another procedure called “Gabong” had to be underwent for the king who was on the throne and a baby Placenta Chamber was magnificently built with stone monuments. However, some exceptional examples that even the queen’s Placenta Chamber that had underwent the procedure of “Gabong” in the early Joseon period can be found. These examples include the Queen Soheon who was the wife of King Sejong, and the queen Yun, Seongjong’s royal concubine who had been expelled from the palace. The Queen Soheon was born in Yangju, Gyeonggido. The baby placenta that was buried here was moved to Yeongjusi for the process of ‘Gabong’ and it was known as the Placenta Chamber of the King Choongryeo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However, it was demonstrated to be untrue based on bibliographic data. In the case of the Queen Jeonghee,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Queen Jeonghee was born when Yoongyeon was appointed as Hongcheonhyeongam, and that the baby placenta was buried in Gongjaksan. Also, it was seen that as Sejo himself did not let his baby placenta chamber to go under “Gabong” process and instead, he ordered only the tombstone to be built, he left the baby placenta chamber of the Queen Jeonghee as it is. As for the location of the Placenta Chamber, when the name of the place and the geographical features are taken into account, the small mountaintop on the west side of Deokjicheon across today’s Sutasa was seen as Taebongsan. The Placenta Chamber of queen Yun who had been expelled seemed to have been moved to the present location for “Gabong” after she became the queen. This Placenta Chamber was moved to Seosamneungyeok by Lee Wangjik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lso, this Placenta Chamber was mistaken as the Placenta Chamber of the Queen Soheon 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Yongmunsa has been receiving a favor of being exempted of miscellaneous services due to this Placenta Chamber. The queen’s Placenta Chamber in the early Joseon period was examined as above. The present articl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facts concerning the Placenta Chamber based on bibliographic as well as relic data. Nevertheless, the study was unable to discover the ideological background for explaining why the Placenta Chamber of the queens of King Sejong and King Seongjong were the only ones that underwent the process of ‘Gabong’ and why it cannot be observed in other periods. Such questions remain for further investigation for future studies on the Placenta Chamber.

      • KCI등재

        한국 승려 分舍利 부도의 양식과 법맥

        홍성익(Hong, Sung-I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과학연구 Vol.0 No.53

        나말여초기에 남종선이 한국에 전래되고 禪僧을 중심으로 부도라는 석조묘탑에 遺體 또는 舍利를 봉안하였다. 그런데 이 사리탑이 건립될 때 1인에게 1개의 부도가 건립되던 풍습에서 어느 시기엔가 舍利를 나누어 여러 개의 浮屠로 건립하는 풍습이 유행하게 되었다. 그간 한국의 분사리 부도의 기원을 840년대의 가지산문 도의라는 견해와 900년대의 사자산문 징효라는 견해가 있어 왔으나, 이 연구에서 고려말 나옹과 태고에 의하여 시작되었고 이는 인도 승려이면서 元나라에서 주로 활동했던 나옹의 스승인 지공에게서 시작되었다고 보았다. 이후 조선초기에는 분사리 부도가 함허와 학조 등에서 희소하게 나타나다가 임진왜란이 끝나고 청허와 부휴에 이르러 크게 번성하게 되었으며 이들의 법맥을 중심으로 계보가 생겨 번성하게 되었다고 보았다. 분사리 부도를 건립한 승려의 수를 보면 고려말에 2인, 15세기와 16세기에 각 1명이었으나 17세기와 18세기에는 급속히 증가하여 각 17명과 16명에 이르고 19세기에는 급격히 감소하여 3명이 파악되고 있다. 이는 고려말에 승려의 분사리 부도 건립이 시작되었으나 조선이 건국되면서 주자학이 국시가 되어 고려시대와는 다른 정책이 실시되자 분사리 부도를 건립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확산되지 못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僧將으로 활약했던 청허와 유정, 벽암 등의 활약으로 불교에 대한 정책이나 관료들의 인식변화로 불교계가 활발한 사회역할을 전개하였고 청허와 부휴계의 계보가 정립되고 계보간의 법맥을 현창하고자 하는 경향도 분사리 부도의 건립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았다. 이 글에서는 살피지 못하였지만 앞으로 분사리 부도의 건립이 조선사회의 정치·경제와 더불어 어떻게 연계되는지의 문제도 주목하고자 한다. During the late Shilla and early Goryeo periods, Namjongseon was transferred to Korea and Seonseung enshrined their dead bodies or sarira in the stone structures called Budo. When the sarira towers were built, one Budo was built for each person at first, but the customs changed to build more than one Budo at different places. There have been theories that it originated from Gajisanmun Doui around 840 or from Sajasanmun Jinghyo around 900 and 940. However, this study denied the previous theories and argued that it originated from Naong and Taego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Naong was influenced by his teacher, Jigong, who was a monk from India and mostly active in the Yuan Dynast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nsarira Budo was rarely found with Hamheo and Hakjo, but it was widely flourished by Cheongheo and Buhyu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The genealogy of their Beommaek contributed to the popularity. The number of monks that built Bunsarira Budo was two in the late Goryeo Dynasty, two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about 30 in the 1600s and 1700s. However, it sharply decreased to fewer than 10 in the 1800s. This is because the monks began to build Bunsarira Budo in the late Goryeo Dynasty, but the establishment of Bunsarira Budo could not spread as the Buddhist policies changed after the foundation of Joseon. Through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and the Japanese Reinvasion of 1636, Cheongheo, Samyeongdang, and Beogam served as monk-generals to change the Buddhist policies or the nobility’s view toward Buddhism. The Buddhist sector actively fulfilled the social responsibilities and established the genealogy of Cheongheo and Buhyu to spread the Beommaek of each genealogy and influence the establishment of Bunsarira Budo. This study could not include how the establishment of Bunsarira Budo was related to the politics and economy of Joseon and this should be further discussed in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조선시대 태실(胎室)의 역사고고학적 연구

        홍성익 ( Sung Ik Ho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5 嶺南學 Vol.0 No.27

        胎室은 왕실 자녀의 태를 묻은 곳이다. 태실의 설치는 비록 왕자의 신분은 아니지만 신라시대 김유신에서 시작되어 고려시대에 .胎藏經.이 과거시험에 포함되면서 제도화되었다. 이러한 왕실의 藏胎文化는 조선전기에 정착하는데 가봉태실은 1대 태조, 왕자태실은 4대 세종, 왕녀태실은 9대 성종 대에 이르러 완성되었다. 태실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 들어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여 분야별 성과물이 활발하게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태실 연구의 기초가 되는 胎室碑와 胎誌石의 명문 자료가 集成되지 않았고, 연구자에 따라 다르게 판독되어 혼선이 있어 왔다. 태실비와 태지석은 조선왕실 자녀의 출생일시와 장태일시를 파악하고 나아가 왕실 系譜圖를 재구성하는데 필수적인 고고학적 1차 사료이기 때문에 전수조사와 명확한 판독이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고고자료의 명문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전수조사를 거쳐 재판독하였고, 일부 자녀에 대해서는 문헌자료와 비교검토하여 자료간의 차이를 밝혀보았다. 또한 아기태실의 역사고고학적 의의와 가봉태실의 석조미술사적 계승관계를 살펴보았다. 가봉태실의 경우 중앙석물과 그 주변으로 난간석을 마련하였는데 이에 대한 연원을 찾아보았다. 초보적인 단계이지만 중앙석물은 八角圓球型 浮屠에서, 난간석은 공민왕릉에서 그 연원을 비정하였다. 태실의 연구는 태실비와 태지석의 명문을 통하여 왕실의 계보도와 석조미술의 편년을 설정하는데 기여하는 바 크다. 胎壺도 같은 예이다. 이외에도 태실의 입지를 통한 풍수, 아기태실과 가봉태실을 조성하면서 지역민에게 미치는 경제적 피해, 作變을 통한 지역민의 동향 등을 살필 수 있을 것이다. Taesil is a place where the royal family buried the amnion generated from a baby if born. Taesil began from Kim Yusin in Silla period and was institutionalized in the Goryeo Dynasty period when 『Taejanggyeong』 was included in Gwageo examination. Such culture that buries the amnion of royal family``s baby was settled dow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GabongTaesil was settled down in the era of the 1st king Taejo; prince Taesil in the era of the 4th king Sejong; and princess Taesil in the era of the 9th king Seongjong. Results of research on Taesil have been vigorously reported in various fields in the 2000``s by many researchers. However, data of letters carved on Taesilbi and Taejiseok which are basics of Taesil research have not been compiled and the letters are read in different ways by researchers causing confusion. Taesilbi and Taejiseok are essential and primary archeological data to grasp dates of birth and dates of burial of Joseon royal family children and to reconstruct genealogy chart of the royal family an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ave complete enumeration survey and clear reading. This writing re-read inscription of the archeological data through complete enumeration survey as much as possible and conducted comparison with literature data to investigate difference between the data as for some children. In addition, it looked into meaning of historical research on AgiTaesil and succession relationship of GabongTaesil from viewpoint of stone art history. As for GabongTaesil, magnificent central stone monuments and stone banister around them are arranged; even though it is the beginning stage, this writing found the source from Palgakoneguhyeong Budo as for central stone monuments and from Gongminwangneung as for the stone banister. Research on Taesil greatly contributed to establishment of genealogy chart of the royal family and chronology of stone art on the basis of letters carved on Taesilbi and Taejiseok. It is the same case to Taeho. Besides, we can investigate Pungsu through location of Taesil, economical damage to local residents due to construction of AgiTaesil and GabongTaesil , local residents`` trend through damage to Taesil.

      • KCI등재

        조선시대 분사리(分舍利) 부도(浮屠)의 특성(特性)과 사원경제(寺院經濟)

        홍성익 ( Hong Sung-ik ) 강원사학회 2018 江原史學 Vol.0 No.30

        석가모니가 인도의 쿠시나가라에서 입멸하고 출현한 사리를 8개소에 나누어 봉안한 것이 분사리의 시작이다. 한국에서는 고려말에 인도 출신 元나라 승려인 指空의 사리가 고려국에 전달되어 사리를 여러 곳에 나누어 봉안한 것이 한국분사리 부도의 시작이다. 이는 고려말 나옹과 태고, 조선 초기 함허로 이어지고, 임진왜란을 전후한 시기에 부용의 제자인 청허와 부휴의 사리가 분사리되면서 조선후기에 이르기 까지 한 승려의 사리가 여러 곳에 나누어 봉안되는 장례풍습이 유행하게 되었다. 특히, 청허와 부휴의 제자들에 의해서 두 스승에 대한 현창운동이 전개되어 분사리 부도의 건립은 크게 유행하였다. 이러한 승려의 장례풍습이 주자학을 국가의 사상과 정치적 이념으로 삼았던 조선시대에 유행하게 된 것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국가의 위기에서 많은 승려들이 여러 전쟁에 참여하고 이후에는 산성쌓기 등에 많은 공헌을 하면서 사대부들로부터 묵시적이고 때로는 왕실의 절대적 후원을 받아 사원경제가 활기를 띠면서 분사리 부도의 건립은 불교장례 풍습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러한 분사리 부도는 石造로 조성되었는데 당대의 양식을 따라 조성되면서도 지역적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원인은 부도가 해당 시대의 산물이면서 각기 분사리 부도가 입지한 지역색을 반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origin of Bunsari is when Sari from Sakyamuni's body was enshrined in 8 places after he was deceased in Kusinagara, India. In Korea, Bunsari Budo was originated when Sari of Jigong, a Buddhist priest of the Yuan Dynasty from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was delivered to Goryeo and enshrined at different places. It led to Naong and Taego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to Hamheo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round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Bunsari was created for Sari of Cheongheo and Buhyu, the pupils of Buyong, to continue the custom of enshrining Sari of a Buddhist priest at different places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the pupils of Cheongheo and Buhyu led the glorifying movement in honor of their two teachers, so building Bunsari Budo was widely popular. This funeral custom of Buddhist priests was popular in the Joseon Dynasty where Neo-Confucianism was the national and political ideology because many Buddhist priests fought in various wars to defend the country through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and the Qing's Invasion of 1636 and contributed to building the fortresses. In this process, the temple economy flourished with the implied support of Sadaebu and the Royal Palace's absolute sponsorship to make it a custom to build Bunsari Budo for the funerals. Bunsari Budo was made of stone and the style varied by the time period and region. It is because Budo was the product of each time period and reflecte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where Bunsari Budo was located.

      • 1700년대 刊, 『동여비고(東輿備攷)』에 수록된 사찰(寺刹)·사지(寺址)에 대한 검토 - 지도(地圖)와 지리지(地理誌)에 수록된 강원지역 사찰을 중심으로 -

        홍성익 ( Hong¸ Sung-ik ),김근태 ( Kim¸ Gun-tae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21 강원문화연구 Vol.43 No.-

        『동여비고』는 보물 제1596호로 전국을 도별로 구분하여 편찬한 고지도이다. 다양한 인문학적 자료가 수록되었지만 특히 사찰에 관련한 자료가 집중적으로 실려 있다. 이 지도는 노산대군의 묘가 장릉으로 추봉되는 1699년 이후, 숙종이 승하하기 이전인 1720년 사이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동여비고』와 동시기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강역총도』는 『동여비고』의 水脈과 山脈이 완벽하리만치 동일하며 수록된 자료 명칭, 수록 위치, 수록된 유산의 성격 등 모든 자료가 같을 정도이다. 그런데 세부 내용에서 『조선강역도』는 삼척에 소재한 三和寺를 主和寺로, 看藏庵을 春藏庵으로 수록하는 등 여러 곳에서 『동여비고』를 模本으로 하여 제작된 지도임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동여비고』는 조선시대 작성된 고지도에서 사찰 자료를 수록한 最善本이라 할 것이다. Dongyeobigo is an old map compiled by categorizing the entire nation by provinces, and it is Treasure No. 1596. There are various multi-disciplinary data, but it focuses on data related to Buddhist temples. This map is estimated to have been published after 1699 when the tomb of Nosan Daegun was promoted to jangneung and 1720 prior to the death of Sukjong. The Joseon-Gangyeokchongdo that is assumed to have been compiled during the same period is almost completely the same in terms of the waterways and mountain ranges of Dongyeobigo for manuscripts, and the listed names of data, location of lists, characteristics of listed cultural assets, and all of the data are the same. But in terms of details, the Joseon-Gangyeokdo indicates Samhwasa, which is a temple located in Dutasan (Mt.) of Samcheok and Ganjangam as Chunjangam, showing that it is a map that was copied from the original Dongyeobigo in many areas. Accordingly, Dongyeobigo can be said to be the best book listing Buddhist temples among ancient maps draf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