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병원 종사자들의 보안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현승훈,이창무 한국융합보안학회 2016 융합보안 논문지 Vol.16 No.7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전산화된 의료정보의 유출 및 보호 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되었다. 더불어 정부 에서도 의료기관의 정보보호를 위해 제도적 개선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의료기관의 정보보호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노 력들은 자칫 의료기관 종사자들에게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나아가 의료기관의 본질인 의료서비스의 질 하락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기관이 관리하는 정보의 보호를 강화함에 있어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보안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 및 그 선행요인들에 대해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기존 연구를 분석하여 보안스트레스와 보안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업무 과중, 프라 이버시 침해 그리고 업무 불확실성이라는 변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병원 종사자들 123명의 데이터를 수집, SPSS 21.0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업무 과중, 프라이버시 침해, 그리고 업무 불확실성의 일부는 보안 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e need for protecting computerized medical information has been growing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rapidly been developed. Government is also promoting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information protection of medical institutions. With more emphasis upon the efforts to enhance the information protection capability of the medical institution, however, it could increase stress to the hospital workers and cause a reduction in the quality of essential medical services of medical institu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stress from hospital workers to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information that medical institutions to manage and its antece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relevant researches, this study selected several factors that affect the security stress, including work overload, invasion of privacy and work uncertainty. The sample for this study was 123 hospital workers who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 The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method were employ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work overload, invasion of privacy and some of work uncertainty were the main factors positively influencing the security stres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영화 속 공포유발 혐오성 이미지 수용에 따른 관객 주관성의 유형별 특성 연구 : Q방법론을 중심으로

        현승훈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7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12 No.2

        오늘날 예술에 있어서 공포의 표현은 인간성의 상실, 환경의 파괴, 인간관계에서의 소통의 부 재 등을 소재로 여러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다. 예술작품에 표현된 공포 이미지에 대한 인간의 감정은 사회적, 외부 환경적, 심리, 유전적 원인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여러 예술 장르 중 영화는 이러한 공포 유발의 원인들을 표현하기 위해 이야기(내용)와 영상이미지(형식)를 함께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표현 방식은 관객의 공포를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따라서 공포영화에 있어 공포를 유발하는 이미지는 매우 중요한 관객 수용의 요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포영화의 이미지와 표현방법에 대한 관객 인식유형의 연구는 현재까지 많 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질적 방법론 중 하나인 Q방법론을 사용하여 공포 영화 속 혐오성 이미지에 대한 수용자의 주관적 감정의 상태와 유형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3가지 인식 유형을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신체적 가해에 대한 공포 감정을 느끼는 유형이 다. 이 유형은 잔인함 혹은 신체적 가해로 인해 나타나는 불안함을 공포의 감정으로 표출하고 있다. 다음으로 낯섦에 대한 공포는 알려지지 않는 악령이나 초자연적 현상 혹은 여성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고 있는 유형이다. 마지막으로 기형적 혐오성에 대해 공포를 느끼고 있는 유형은 이질적인 것들 인간과 다른 괴물이나 외계 생명체에 대해 공포의 감정을 갖고 있는 유형이다. 이러한 분석으로 도출되는 가설을 바탕으로 추후 계량적 방법론을 통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 된다면 더욱 더 유의미한 연구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The difference between anxiety and fear depends on whether the duration of emotions. Today, fear representation for art has been shown in many fields as a material loss of humanity, the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the absence of such communication in relationships. In particular, many of the artistic genre is used with the content and form to express this fear-induced causes. These representations have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horror of the audience. Therefore, images that cause fear in a horror movie can be a very important factor in audience acceptance. However, studies of audience awareness for the type of images and representations of horror movies are not carried out yet. In this study, using a qualitative methodology, one of Q methodology, we analyzed the status and type of subjective feelings of the audience to hate a character in a horror movie. The result could be derived the following three types of audience subjectivity. First is the type of emotions you feel the fear of physical violence. This type is expressed by feelings of fear that instability appears due to cruelty or physical attacks. Next, the fear of non-certainty is the type who feel the fear of evil spirits or the supernatural or women is not known. Finally, the type of feeling fear for the deformed creature is a type that has a sense of fear about the disparate things that humans and other monsters or aliens.

      • KCI등재후보

        디지털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영상이미지 제작특성과 이에 따른 교육과정 모형 연구

        현승훈 한국디지털영상학회 2009 디지털영상학술지 Vol.6 No.1

        As digital video technology advances, the types of demands have increased and diversified, away from the past's demands of 2D hi-def video production, into even such areas experience-type videos that appeal to human emotions. 3D video technology refers to a technology in which vividness and a sense of reality is imparted to the viewer using extra information created from 2D video by the use of two eyes and application of stereoscopic technology. Technical research on 3D video has been focused on display technology, and are being conducted in full swing all over the world, initiated by countless laboratories, companies, and governments. In contrast, the reality is that efforts on development of 3D video contents and production education are largely lacking in comparison to research on display technology. From the aspects of the issue of supplying equipments and nurturing talent for production education as well, the n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n't yet established an education system for 3D video. Therefore, in this paper, theoretical principles involved in 3D video production that can be easily taken up and the resulting educational organization were examined together. Furthermore, the practice-centered production education was systemized into an educational curriculum using three main production flows - shooting, editing, and 3D image composition.

      • KCI등재후보

        숭고미학으로서 디지털 아방가르드영화의 탈이데올로기적 특징 분석 : 영화창작집단 '곡사'의 <자본당 선언, 만국의 노동자여 축척하라>를 중심으로

        현승훈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0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5 No.2

        장르 영화의 이데올로기는 이제 과감한 컴퓨터그래픽과 화려한 스펙터클 그리고 입체라는 새로운 기술전략으로 관객에게 승부를 걸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데올로기에 봉합되지 않고 예술로서 영화의 책무를 끊임없이 보여주려는 노력 또한 여전히 존재한다. 그러한 노력은 폭로와 전복의 미학을 통해 가능한 것이다. 디지털은 바로 이러한 면에 있어서 이율배반적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관객에게 거칠고 날카로운 그들의 삶을 여과 없이 보여주기 위해 디지털은 자기의 모든 장식적 껍질을 벗어버리게 되는 것이다. 디지털 0과 1의 픽셀미학은 이미지의 아방가르드적 현존을 가능하게 하며 관객의 능동적 참여를 이끌어 내게 한다. ‘국내 디지털 아방가르드 영화 <자본당 선언, 만국의 노동자여 축적하라>는 바로 이러한 진화의 한 축을 이루는 진보적인 국내 실험영화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디지털 아방가르드 영화<자본당 선언, 만국의 노동자여 축적하라>의 숭고미학에 있어서 탈이데올로기적 특징을 리오타르의 이론을 통하여 고찰해 볼 것이다. The movement of vanguard film has positioned itself as a new aesthetic foothold at the edge of practice areas in modern film. In other words, it has taken the transformation of resistance to more practical coordinates through actively participating in and even subverting the reality suppressed as a criterion for good image aesthetics, instead of ontologically pursuing into the nature of film simply as an art form. By showing the attitudes of subversion instead of conformity to the norm, and by playing with symbols that defy being signified the vanguard cinema in Korea has continuously suggested democratic interplays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presenter in construing meanings. Nevertheless, the general perceptions are that vanguard cinema is not what is an alternative to the mainstream yet, but only an interesting deviation from the regular genre. Although this is somewhat understandable given the presence of excessive levels of practice variation by some directors intending to express their distorted political views or use it as a self-display strategy, the apathy and disparagement towards the pure Korean vanguard film sector are severely prevalent among the public audience despite the sector's relentless efforts to promote the practical aesthetics of subversion armed with the new technology of digital recording since the end of the nineties, which has brought about an entire eradication of the stream of spirits that may stimulate satiric reflection and make a viable challenge or critique possible. If it is admitted that challenge to ideological extremes constitutes the basic virtue of vanguard film, progress acquired from a constructive breakup is worth reevaluating as its valuable contribution in that the vanguard film movement opened a new horizon in discovering formal aesthetics of digital movies. Against these current settings, this study tries to shed new light on the traditional view of the characteristic nature of progressive formal aesthetics found in the films of the leading indie camp in Korea, Goksa, building on Leotard's theory of sublime aesthetics, and based on that, seeks a new gateway into the healthy future of the camp of vanguard and independent film in Korea.

      • KCI등재

        학업적 실패상황에서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에 따라 부적 정서가 학업적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

        현승훈,신종호 한국교육심리학회 2020 敎育心理硏究 Vol.34 No.2

        In this study, negative emotions that are triggered by failure were divided into shame and anger, and the effect of these two discrete emotions on academic behavioral regulation was examined.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goal-orientation was analyzed.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320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The failure situation was manipulated through two scenarios: the student regarded him/herself or another person (teacher) as the cause of the failure that led to each of the shame and anger emotions. The results showed, first, a positive main effect of shame emotions on behavioral regulation. The effect of shame on behavioral regulation was moderated by self-efficacy and mastery-avoidance goals. Second, unlike shame, the main effect of anger emotions in behavioral regulation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effect of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erformance-avoidance goal appeared in the effect of anger on behavior regul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적 시험 실패상황에서 유발되는 부적 정서를 수치심과 분노로 구분하고, 이 두 개별 정서가 학업적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데에 있다. 또한 그 과정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는 초등학교 2개교에서 초등학생 6학년 320명이 참여하였다. 본 실험에서 실패상황은 2개의 시나리오를 통해 조작되었으며, 그 실패 원인이 자신 혹은 타인(교사)에게 있는지 구분하여 각각 수치심 정서와 분노 정서를 유발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행동조절에 있어 수치심 정서의 정적 주효과가 나타났으며, 수치심이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효능감과 숙달회피목표가 조절하였다. 둘째, 수치심 정서와는 달리 행동조절에 있어 분노 정서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분노가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수행회피목표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