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부라린의 침종처리가 보리 생육초기 생장 및 체세포 염색체에 미치는 영향

        한지윤,강성욱,전재범,김양길,윤영미,조성우,Han, Ji-Yoon,Kang, Seong-Wook,Chun, JaeBuhm,Kim, Yang-Kil,Yoon, Young-Mi,Cho, Seong-Woo 한국작물학회 2020 한국작물학회지 Vol.65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zebularine soaking on the early growth stage of barley (Hordeum vulgare L.). Hence, root elongation was measured daily according to th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zebularine (1.0, 2.5, 5.0, and 10.0 μM) for 4 days. On the first day, root length at 2.5 and 5.0 μM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in the non-treated control. On the second day, root lengt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concentrations and controls. On the third day, root elongation was suppressed by the effect of zebularine, except at 2.5 μM. The treatment time of zebularine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variation in root elongation. After transplanting, plant growth velocity was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however, plants at 2.5 μM showed faster growth velocity than that of the other concentrations and the control. In the metaphase of mitosis, most chromosomes of cells under zebularine treatment were ordinary regardless of the concentration, while some cells with short chromosomes were investigated at around 2%. The short chromosome showed a centromere. In addition, it showed short and long arms based on the centromere. The lengths of the short and long arms were different for each short chromosom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effect of the short chromosome as a chromosomal function on plant growth and phenotype through investigation of meiosis and fertilization at the chromosome level.

      • KCI등재

        소승불교와 대승불교의 수행 양식에서 찾아본 교육적 특징 : 아함경과 신화엄경론을 중심으로

        한지윤(Han, Ji Yoon),권선향(Kwon, Sun Hyang),나상원(Na, Sang Won),신창호(Shin, Chang H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敎育問題硏究 Vol.32 No.1

        본 연구는 불교의 양대 축으로 인식되는 소승불교와 대승불교의 수행 양식을 통해 교육적 특징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고는 소승불교의 개인적 지혜를 통한 깨달음과 해탈, 그리 고 대승불교의 타자를 배려하는 자비와 그 사회적 관계 차원의 수행을 교육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소승불교로 상징되는 원시불교는 개인적 해탈이 목적이므로, 이를 위한 지혜의 증득이 수행의 중심 내용이 되고, 그 깨달음을 향한 각성이 수행 방법의 핵심으로 자리한다. 이를 교육으로 환언하면, 개인교육의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다. 교육 목적의 측면에서 개인적 해탈은 개인의 온전한 성장이고, 교육내용의 측면에서 지혜의 증득은 지혜의 터득이며, 교육방법의 측면에서 각성은 자기 학습을 통해 깨달음을 얻는 수련 양식과 상통한다. 또한 대승불교는 개인의 해탈을 넘어 사회적 해탈을 목적으로 하므로, 사회적 관계를 통해 속박에서 벗어나기 위한 일을 주요 지향점으로 하고, 그 과정에서 대자자비의 체득을 핵심 내용으로 하며, 그것을 원만하게 수행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게송을 통해 전달한다. 이를 교육 으로 환언하면, 공동체교육의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다. 교육 목적의 측면에서 사회적 해탈은 개인을 포함하는 공동체의 완전한 발전을 지향하고, 교육내용의 측면에서 자비의 체득은 상호 주고받는 대자대비의 실천을 통해 사회적 관계 형성이라는 자성의 터득이며, 교육방법의 측면에서 게송은 모든 사람이 쉽게 알고 함께 할 수 있는 수행 덕목의 대중화를 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ed light on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that are inherent in the modes of practice of what are thought to be the two pillars of Buddhism, namely Hinayana Buddhism and Mahayana Buddhism. Educational aspects of the reaching the state of enlightenment and nirvana through personal wisdom, as emphasized in Hinayana Buddhism, and the practicing of compassion toward others in one s social relationships, as emphasized in Mahayana Buddhism, are explicated. The main purpose of the practice in early Buddhism as represented by Hinayana Buddhism is to acquire wisdom through awakening to the state of enlightenment, for the aim of the early Buddhism is to reach the state of nirvana. Such a process is virtually the same as the process of individual education. The reaching the state of nirvana as the aim of the practice is equal to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as the aim of individual education; the acquiring the wisdom is equal to grasping wisdom as the educational content; the awakening is equal to self-learning or -training that leads to enlightenment as the educational method. The main purpose of the practice in Mahayana Buddhism is to try to become free of restraints through social relationships by acquiring the great mercy and great pity through gatha, for the aim is to go beyond personal nirvana and to reach social nirvana. Such a process is virtually the same as the process of community education; the reaching social nirvana is equal to the full development of community which includes individual as the educational aim; The acquiring compassion is equal to grasping the self-nature which is the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practicing the great mercy and great pity, an interactional process, as the educational content; the gatha is equal to popularization of virtues that everyone can know easily and perform together.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초기 치료로 유리체강내 조직플라스미노겐 활성제, C3F8 가스,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주입술을 시행받은 대량망막하출혈 환자의 치료 후 임상 경과

        한지윤(Ji Yun Han),김성우(Seong-Woo Kim),오재령(Jaeryung Oh) 대한검안학회 2017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Vol.16 No.2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s of eyes with massive subretinal hemorrhage (SRH) initially treated with intravitreal injection of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tPA), perfluoropropane (C3F8) gas and anti-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ti-VEGF) (triple therapy). Methods: Twenty one eyes of 21 patients with massive SRH followed up for ≥ 3 months after triple therapy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final diagnosis of patients, efficacy and clinical outcomes of the triple therapy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final diagnosis of 21 eyes consisted of three disease. 13 eyes (61.9%) were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4 eyes (19.0%) wer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2 eyes (9.5%) were retinal macroaneurysm and 2 eyes (9.5%) could not be confirmed the final diagnosis. The mean size of SRH was 4.5 (±1.5) disc diameter. The visual acuity was improved in 10 eyes (47.6%), remained stable in 10 eyes (47.6%) and decreased in 1 eye (4.8%). The size of SRH and final diagnosis had not significant relationship on visual acuity change. For 12 eyes followed up for ≥ 12 months after triple therapy, the mean logMAR best-corrected visual acuity significantly improved at 12 months (p=0.023, Wilcoxon signed rank test). Conclusions: The triple therapy of tPA, C3F8 gas and anti-VEGF could be a one of effective initial treatment modality in stabilization and maintenance of visual improvement for massive SRH.

      • KCI등재

        Item Analysis for Korean-Working Memory Measures for Children (K-WMM-C)

        한지윤(Jiyun Han),임동선(Dongsun Yim),석혜은(Hye-Eun Seo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널리 사용되는 네 가지 작업기억 측정과제의 문항을 분석하고 작업기억 측정과제의 공인타당도를 확보하고자 하는 데 있다. 방법: 본 논문에는 두 가지 예비 연구가 포함되어 있다. 첫 번째 예비연구는 만 4세에서 8세 사이의 아동 329명(NL 248, LI 81)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였다. 비단어 따라말하기, 매트릭스 정순, 매트릭스 역순, 문장 따라말하기 과제가 사용되었다. 문항난이도는 문항반응이론과 고전검사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2차 예비연구에서는 만 4세에서 6세 사이의 84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수정된 작업기억 과제를 실시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문항난이도 및 변별도를 분석하여 문항 양호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표준화된 어휘검사 점수와 네 가지 작업기억 측정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공인 타당도의 증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과: 대부분의 문항은 난이도 순으로 적절히 배치되었고, 난이도가 부적절한 일부 문항은 수정 및 제거되었다. 네 작업기억 과제의 시작문항은 대부분의 아동이 90% 이상 통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문항난이도와 변별도를 산출하였으나, 1차 연구를 통해 문항을 수정했음에도 여전히 난이도와 변별도 지수가 적절하지 못한 문항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작업기억 측정과제들과 어휘점수 간 상관은 모두 유의하여 공인타당도의 증거를 제시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작업기억 측정과제의 문항을 체계적으로 검토하는데 있어서 두 검사이론에 입각하여 문항양호도 검증을 시도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2차 예비검사의 표본 크기는 작기 때문에 해석상 주의가 요구되며, 추후 표본을 추가하여 타당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performed item analyses of four working memory (WM) measures and constructed the validity of the WM measures. Methods: The present paper included two preliminary studies. The 1st preliminary study included data from three hundred twenty-nine children between 4-8 (NL 248, LI 81). Nonword repetition, matrix forward, matrix backward, and sentence repetition tasks were used. Item difficulty was analyzed using item response theory and classical test theory. In the 2nd preliminary studies, 84 children aged between 4-6 performed revised working memory tasks. Item difficulty and item discrimination parameters were analyzed. Lastly, construct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the Pearson correlation between standardized vocabulary measures and four WM tasks. Results: Most items were appropriately placed in the order of difficulty, and some items with unacceptable difficulty levels were replaced, modified, or removed for the 2nd study. Most baseline items in forum WM tasks started with above 90% of the pass rate. The 2nd study results showed that item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parameters were adequate, but item parameters for few items were higher than expected, so that those items should be removed for the final version of tasks. The high level of concurrent validity for four WM tasks was demonstrated through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score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ystematically reviewed items in widely used WM measures. Based on the results, WM measures are expected to be used in the clinical setting. Further work is required to verify validity constantly.

      • KCI등재

        주자의 인식 능력에 대한 교육적 고찰

        한지윤 ( Han¸ Jiyoon ) 한국공자학회 2021 공자학 Vol.45 No.-

        본 연구는 인식 능력을 개념 차원과 실제 교육의 과정에서 작용하는 차원에 초점을 두고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첫째, 지각은 본체인 지(智)에 의거해서 나오는 양(陽)의 기(氣)로 대상을 인지하는 작용이다. 둘째, 분별은 지(智)에 의거한 백(魄)의 기(氣)로 사물을 판별하는 작용이다. 셋째, 사고는 성(性)에 의거한 혼(魂)의 기(氣)로 인해 사물을 탐구하는 작용이다. 인식 능력은 개념 차원에서 ‘지각’, ‘분별’, ‘사고’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교육의 과정에서는 다양한 인식 능력을 종합적으로 발휘한다. 어른을 공경하는 행동을 익힌 학습자는 어른을 공경하지 않는 모습을 본 경험과 접목시키는 ‘사고’를 하다가 그것이 예의에 어긋난 잘못임을 ‘분별’하고 곧장 마음의 천리를 ‘지각’해야, 몸소 실천하는 수준까지 이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recognition ability as a concept level and a level that works in the process of education. First, ‘perception’ is the action of recognizing an object as a material force that comes out of wisdom. Second, ‘Discriminatory’ is the action of discriminating things with material force based on wisdom. Third, ‘thinking’ is the action of exploring things due to the material force based on the principle. Recognition ability can be classified into 'perception', 'discriminatory', and 'thinking' at the concept level. However, in the process of education, various recognition abilities are comprehensively exhibited. The learner sees a figure that does not respect adults and engages in 'thinking' that combines it with experience, discriminates that it is an act that goes against politeness, and immediately learns the principle of the mind by himself.

      • KCI등재

        지능정보사회의 노인교육 : 승조(僧肇)의 「반야무지론(般若無知論)」을 중심으로

        한지윤 ( Han Ji-yoon ),강선보 ( Kang Sun-bo ) 안암교육학회 2017 한국교육학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승조의 「반야무지론(般若無知論)」에 나타난 지혜를 토대로, 지능정보사회에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인교육의 방향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지능정보사회에서 예상되는 노인의 특성을 살펴보면, 지혜의 쇠퇴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고, 시간적 여유가 많을 수 있으며, 급격하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적응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고, 경제적으로 취약해지기 쉬운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지능정보사회에서도 노인은 죽음을 회피할 수 없고, 아집으로 인해 존재를 있는 그대로 통찰하기 어려우며, 기존의 것에만 집착하는 태도를 지니기 쉽다. 이러한 노인의 삶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노인교육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사고(生死苦)가 일시적인 것임을 알기 위한 학습`을 통해 특정한 대상에 대해 나오는 마음과 사라지는 마음이 일시적이고 공(空)하다는 것을 깨닫는 일이다. 둘째, `아집을 없애면서 존재하기 위한 학습`을 통해 아(我)가 있다고 믿는 왜곡된 독단으로부터 벗어나는 일이다. 셋째, `집착을 끊고자 행동하기 위한 학습`을 통해 기대한 바에 따른 결과가 발생할 것이라는 주관적인 견해를 각성으로 끊으며 행위의 전환을 불러일으키는 일이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direction of the elderly educ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on the basis of the wisdom shown in the “Pan-jo wu-chih lun” of Seng-Zha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are four-fold. First, the elderly show no deterioration in wisdom. Second, they have a lot of leisure time. Third, they are likely not to adapt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Fourth, they are exposed to an economically vulnerable environment. But in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the elderly cannot avoid death, and it is difficult for them to have insight into their existence due to the egotism, they take the attitude of attaching themselves only to exiting things. The direction of the Elderly Education to solve the problem is as follows: First, “Learning to know that Life-and-Death-and-suffering is temporary” is to make the elderly aware that the coming mind and the disappearing mind for a specific object are temporary and Sunya. Second, “Learning to be while eliminating the egotism” is set them free from the dogmatism that there is the attan. Third, “Learning to do to break the attachment” is to disabuse them of the idea that things will turn out according to their expectation through an awakening and to transforming their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