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斗庵集』․『斗庵叟隨錄』․『斗庵題詠』을 통한 斗庵 金若鍊의 산문 연구(1) -傳을 중심으로-

        한의숭 한국한문학회 2023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7

        This paper corresponds to an attempt to fully illuminate the Duam prose thanks to the discovery and introduction of the manuscript 『Duamsusurok』 and 『Duamjeyeong』, which are the first draft materials of the collection 『Duamjib』. To this end, we tri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uam prose, focusing on Jeon, among the prose contained in the collection of writings, 『Duamjib』 and the manuscript 『Duamsusurok』, 『Duamjeyeong』. There are nine works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Duamjib』. Looking at the expulsion of the work, it is confirmed that it aims to strengthen the Confucian ideology that revealed “Chung(忠), Hyo(孝), Yeol(烈)” at the forefront. In addition, the target of entry is also noted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such as women and animals, which seems to be aimed at attracting effective targets to clearly convey ideology. Among them, first, th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preparation for 「Euigujeon(義狗傳)」 and 「Geumyeolyeojeon(琴烈女傳)」, which are commonly included in 『Duamjib』 and 『Duamsusurok』. Above all, compared to the manuscript 『Duamsusurok』, the works included in the 『Duamjib』 were almost half deleted in terms of volume, and many traces of processing were found during the compilation proces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nature of the work included in the 『Duamjib』 was also transformed into a pattern in which the controversy was erased and the biography elements focused on the record of the event were emphasized compared to the original 『Duamsusurok』.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works included in 『Duamsusurok』 were created in a pattern in which discussions and narratives were strengthened compared to 『Duamjib』. On the other hand, the works of biography not included in 『Duamjib』 are included in 「Eonpeon(俚諺編)」of 『Duamjeyeong』 such as 「Mosijajeon(某氏子傳)」, 「Yeohogeoljeon(女豪傑傳)」, 「Rakyangheonbujeon(洛陽賢婦傳)」, 「Honammangsajeon(湖南妄士傳)」. These works are translated into the story of Duam's transmission, focusing on ‘femininity’ and ‘eccentricity’. Among them, 「Mosijajeon(某氏子傳)」 and 「Honammangsajeon(湖南妄士傳)」 are noted for their humorous tendency using curious subject, while 「Yeohogeoljeon(女豪傑傳)」 and 「Rakyangheonbujeon(洛陽賢婦傳)」 focus on describing female figures who edify men or perform comparable actions. As part of analyzing the prose works contained in the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Duamjib』 the manuscript 『Duamsusurok』 and 『Duamjeyeong』 the characteristics of Duam prose were first highlighted, focusing on the works of the three texts. Through this,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entire Duam prose will be conducted, which will lead to a study of the genealogy of Galam and Milam families affected by the Duam prose. In that case, research on the prose of Yeong-nam Namin in the 17th and 8th centuries is expected to face a new turning point. In this respect, this paper corresponds to an attempt to establish a place to partition the history of prose on Yeong-nam Namin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illuminating the new trend of prose on Yeong-nam Namin in the 17th and 8th centuries. 본고는 문집본 『斗庵集』의 초고본 자료인 필사본 『斗庵叟隨錄』과 『斗庵題詠』이 새롭게 발굴, 소개된 것에 힘입어 두암 산문을 전면적으로 새롭게 조명하려는 시도에 해당된다. 이를 위해 문집본 『두암집』과 필사본 『두암수수록』, 『두암제영』에 수록된 산문 가운데 傳 작품을 중심으로 두암 산문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문집본 『두암집』에 수록된 傳 작품은 9편이다. 작품 제명을 살펴보면 ‘忠, 孝, 烈’을 전면에 드러낸 유교 이데올로기의 강화를 지향하고 있는 게 확인된다. 그리고 입전 대상 또한 여성, 동물과 같은 사회적 약자가 주목되는데, 이는 이데올로기성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데 효과적인 대상을 끌어오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이 가운데 먼저 『두암집』과 『두암수수록』에 공통적으로 수록된 「義狗傳」과 「琴烈女傳」을 대비하여 성격을 분석하였다. 무엇보다 초고본 형태인 필사본 『두암수수록』에 비해 『두암집』에 수록된 작품은 분량에 있어서 절반 가까이 삭제된 양상을 보이는 등 편찬 과정에서 가공된 흔적을 다수 발견할 수 있었다. 아울러 작품의 성격 또한 『두암집』에 수록된 작품은 『두암수수록』에 비해 의론성이 소거되고 사건의 기록에 비중을 둔 傳記性이 강조된 양상으로 탈바꿈된 게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초고본 『두암수수록』에 수록된 작품은 『두암집』에 비해 의론과 서사가 강화된 양상으로 창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두암집』에 미수록된 傳 작품은 「某氏子傳」, 「女豪傑傳」, 「洛陽賢婦傳」, 「湖南妄士傳」 4편으로 『두암제영』의 「俚諺編」에 수록되어 있다. 이들 작품은 두암이 구비전승된 이야기를 한역한 것으로 ‘女性’과 ‘奇異’를 중심에 두고 있다. 이 가운데 「모씨자전」과 「호남망사전」은 기이한 소재를 활용한 야담적 성향이 주목되며, 「여호걸전」과 「낙양현부전」은 남성을 교화하거나 필적할 만한 행동을 실행하는 여성 형상을 서술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는 게 확인된다. 본고는 문집본 『두암집』과 필사본 『두암수수록』, 『두암제영』에 수록된 산문 작품을 분석하기 위한 일환으로 먼저 3개의 텍스트에 수록된 傳 작품을 중심으로 두암 산문의 특징을 조명하였다. 이를 통해 두암 산문 전반에 대한 총체적 연구가 진행될 것이며, 이는 두암 산문이 영향을 받은 갈암, 밀암 계열 문인 계보에 대한 연구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럴 경우 17∼8세기 영남 남인 산문에 대한 연구는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고는 이런 측면에서 17∼8세기 영남 남인 산문의 새로운 경향을 입체적으로 조명함으로써, 조선 후기 영남 남인 산문사를 구획하기 위한 입점을 마련하려는 시도에 해당된다.

      • KCI등재

        竹陰 趙希逸의 散文에 대한 연구

        한의숭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64

        This paper corresponds to a review of the tendency of prose contained in the collection of the writings of Juk-Um(竹陰) Cho, Hee-il(趙希逸). Cho Hee-il was recognized in his time in the creation of poetry, but the prominent part was poetry. The prose was not illuminated because of its relatively small number. This paper is an attempt to pay attention to prose and shed light on the characteristic phase. The number of prose included in Juk-Um-Jip(竹陰集) is 56, and it is mainly composed of attention such as ‘Gye(啓)’, ‘Pyo(表)’, ‘Joen(箋)’, ‘Check(策)’ and Elegy for praising the dead(哀祭類) prose such as Juk-Um(竹陰) and Jui-eui-ryu(奏議類), Jo-ryeong-ryu(詔令類) prose. The prose of Juk- Um(竹陰) has a relatively superior formal beauty with a public characteristic rather than a literary style with a distinctive inner personality. However, as can be seen from expressions such as ‘So-Jo-Jeok-Byeok(蘇趙赤壁)’ and ‘Hon-Jang-Geo-Pil(鴻匠鉅筆)’ the ability to create poems of Juk-Um(竹陰) was fully recognized in the time. Among them,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 aspects revealed in the prose of Juk-Um(竹陰), the phrase of the elegant style through the use of various authentic precedent. In other words, Juk-Um(竹陰) actively utilizes various dictionaries for prose creation to enhance and achieve the beauty of formality and exemplum virtutis of Jui-eui-ryu(奏議類) prose. In addition, Juk-Um(竹陰) was the most frequently built Elegy for praising the dead(哀祭類) among prose, and the target was mainly relatives of the family and famous Confucian figures of the time, and in the case of Je-chuk-mun(祭祝文), Writings for rain calling(祈雨祭文) was the majority. Looking at the Elegy for praising the dead of Juk-Um(竹陰), it is characterized by a combination of mourning and formal beauty of exemplum virtutis. This paper is only a glimpse of the approximate tendency rather than clearly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Juk-Um(竹陰) prose. In order to discuss Juk-Um(竹陰) prose in the lullaby of prose history in the Joseon Dynasty, a full-fledged study needs to be conducted from now on. In this regard, the translation of Juk-Um-Jip(竹陰集) is meaningful as a result of completing the basic work on the overall study of Juk-Um(竹陰) literatur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of Juk-Um(竹陰) can prepare a new biography. 본고는 죽음 조희일의 문집에 수록된 산문을 대상으로 경향성의 일단을 살펴본 것에 해당된다. 조희일은 시문 창작에 있어서 당대에 인정을 받았으나, 두드러진 부분은 시였다. 산문은 상대적으로 수가 적은 관계로 조명을 받지 못했다. 본고는 산문에 관심을 두고 특징적 국면을 조명하려 한 시도에 해당된다. 죽음집 에 수록된 산문의 수는 56편이며 啓, 表, 箋, 策 등과 같은 주의류와 조령류 산문 및 제문과 같은 애제류 산문이 주를 이루고 있다. 죽음의 산문은 내면의 개성적 특징이 두드러진 문학적 성향의 글이기보다 공적 성격을 띤 형식미가 상대적으로 우세한 편이다. 하지만 죽음의 시문 창작 능력은 ‘소조적벽(蘇趙赤壁)’, ‘홍장거필(鴻匠鉅筆)’ 등과 같은 표현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당대에 충분히 인정을 받고 있었다. 그 가운데 죽음의 산문에 드러난 특징적 국면을 살펴보면 먼저 다양한 전고 활용을 통한 전아한 문체의 구사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즉, 죽음은 다양한 전고를 산문 창작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주의류 산문이 가진 형식미와 전범성을 고양, 성취시키는데 활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죽음은 산문 가운데 애제문을 가장 많이 지었는데 그 대상은 주로 집안의 친인척과 당대 유명한 교유 인사였으며, 제축문의 경우에는 기우제문이 다수를 차지했다. 죽음의 애제문을 살펴보면 애도의 정서와 전범적 형식미의 결합이 나타나는 특징을 지닌다. 본고는 죽음 산문의 특징을 명확하게 정의하기보다 대략적 성향에 대해 일별한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죽음 산문을 조선시대 산문사의 자장 안에서 논의하기 위해서는 지금부터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죽음집 번역은 죽음의 문학 전반에 대한 연구에 기초 작업을 완수한 결과물로써 의미가 있으며, 이를 통해 죽음에 대한 연구가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柳五乘記」의 서사적 특징 연구 -愛情傳奇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의숭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硏究 Vol.- No.67

        “ryu-o-syeung-ki” is one of the pieces carried on “ki-sul” which is called as Chinese short story version of a historical story and the release date has been expected to be sometime in 19 centuries. Characteristics of “ki-sul” have been briefly researched and reported before but individual analysis about 6 different pieces requires more close look insights. This paper has placed emphasis on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ryu-o-syeung-ki”. In case of “ki-sul” where “ryu-o-syeung-ki” is carried on, the overall orientation of the piece is pursuing directivity of yadam. This tendency could be found out through the fact that “dong-ya-whii-jeep” or “cheong-goo-ya-dam” has similar stories like “bark- chyeun-youn-jeon” and “san-ryeung-am-ki” which are included in “ki-sul”. “ryu-o-syeung-ki”’s relationship with yadam is confirmed and this similarity could be found between dong-pae-nac-song and dong-ya-whii-jeep as well as “cheong-goo-ya-dam”. The important part to pay attention is the process of yadam being novelized and especially it utilized historical method of aiging- jeongi in the process of being novelized. Specific characteristics are like followings. First of all, it gives three dimensional effect to characters through describing of aiging-jeongi character formation with aggressive female character and impulsive and solitary male character. Secondly, it has uplifted the novelistic achievement by describing deficiency and satisfaction constructed with narrative structure through the social status gap between high class male character and low class female character setup in the story in advance. Thirdly, it is partially observed that colorful sentence style which has been commonly used in love romance is being pursued when it comes to describe specific scenes, situations or background story and it differentiates from yadam style. Likewise, the narrative method of “ryu-o-syeung-ki” shows that it depicts the story through the adaptation of love romance narrative grammar. However, the narrative structure which flows throughout the whole storyline has been focused on the processes of achievements of individual characters’ personal desires and it needs the understanding of that narrative grammar of love romance is used to emphasize the relation between male character and female character. Therefore, even though “ryu-o-syeung-ki” has rooted on fore yadam text, it shows the process of transforming from yadam to novel by describing the story with the narrative method of love romance. At this point, it necessary to restate that the important narrative method is the narrative method of love romance and through this aiging-jeongi could give influence on 19 centuries yadam where “ryu-o-syeung- ki” shows the details discussed in this paper. 「柳五乘記」는 『奇說』이란 야담계 한문단편소설집에 수록된 작품 가운데 하나로 창작연대는 19세기로 추정된다. 『기설』의 전반적인 성격에 대해서는 간단히 연구된 바 있으나 수록된 6편에 대한 개별 작품론은 좀 더 정밀한 고찰이 요구된다. 그 가운데 본고에서는 「류오승기」의 서사적 특징에 관해 주목하였다. 「류오승기」가 수록된 『기설』의 경우 일단 전반적인 작품 성향이 야담계열에 놓여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기설』에 수록된 작품 가운데 「박천연전」과 「산령암기」가 『東野彙輯』이나 『靑邱野 談』에 비슷한 유화가 실려 있는 것을 통해서 상호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류오승기」의 경우 또한 야담과의 친연성이 확인되며, 이 점은 『동패낙송』과 『동야휘집』 및 『청구야담』에 유사한 화소가 실려 있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하지만 「류오승기」의 경우 야담이 소설로 전변되는 사례의 하나로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소설화 되는 과정에서 애정전기의 서사방식을 적극 활용한 점이 특징적이라 하겠다. 그 구체적 양상을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독성’과 ‘충동성’을 가진 남주인공과 ‘적극적’인 행동을 취하는 여주인공을 통해 애정전기적 인물형상을 서술함으로써 인물에 입체감을 부여하고 있다. 둘째, 상층 남성과 하층 여성의 결연이라는 신분문제를 저간에 설정하고 이를 통해 남녀주인공 상호간에 야기되는 ‘결핍’과 ‘충족’을 서사 구조로 활용하여 서술함으로써 소설적 성취를 이루고 있다. 셋째, 작품 내에서 특정 장면이나 상황, 배경을 묘사하는데 있어 애정전기에서 사용되는 전고나 용사 등을 사용함으로써 야담과 구별되는 소설로의 전변 양상을 일정 부분 확인할 수 있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류오승기」는 애정전기의 서사문법을 적극 활용하여 작품을 서술해 나가고 있으며, 작품 전체를 관류하는 서사의 구도에 있어서는 남녀주인공이 개별적인 욕망을 성취하는 과정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가운데 애정전기의 서사문법은 남녀주인공의 결연을 효과적으로 부각시키기 위해 활용된 것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류오승기」는 화소의 원천이 전대 야담집에 뿌리를 두고 있으나 애정전기의 서사문법을 적극 활용하여 서술함으로써 야담에서 소설로 전변되었으며 이때, 중요한 서사방식으로 애정전기의 서사문법을 활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애정전기가 19세기 야담에까지 그 영향력을 미친 구체적 양상을 「류오승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여성의 주체되기와 살아남기 — <방한림전>을 중심으로 —

        한의숭 동양고전학회 2022 東洋古典硏究 Vol.- No.89

        <Banghanrimjeon> drew attention in the history of classical novels as a work that strongly shocked the medieval ruling order by revealing the taboo subject of same-sex marriage. <Banghanrimjeon> examines the traces of hardship and anguish caused by the marriage system, which provides the basic foundation for the existence of the state in a class society, acting as a bond between restraint and oppression for two women in the play. The same-sex marriage between Bang Gwan-ju and Yeong Hye-bing, the female protagonists of <Banghanrimjeon> was possible because they chose their partner as a viable target,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ir intentions. This is evident in the way the two women respond to identities that come violently to the two women bystanders and Young Hye-bing. Bystanders deny the female identity itself and choose marriage to possess and acquire subjectivity in the process of imitating male identity. On the other hand, Young Hye-bing rejects the identity imposed on women, but paradoxically chooses to use the marriage system to cover it up externally. This means that the life option given in front of women inevitably results in either transfer or resistance,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acquisition of women's subjectivity is still difficult. However, the two main characters of <Banghanrimjeon>, Bang Gwan-ju and Yeong Hye-bing, constantly try to escape from their given identity. Sometimes, even if the method is only incorporation and resistance, it is the same for both women in that it is the process of surviving the oppression and restraint given to women and standing as subjects, and it is interdependence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once again note that the system of marriage lies at the root of the identity imposed on women. Bystander and Young Hye-bing's conflicting reactions make us look back on the power hierarchy of the marriage system. This paper corresponds to a request for a change of direction to the perspective focused on the ripple effect and gender of the subject of same-sex marriage in the interpretation surrounding <Banghanrimjeon>. Rather, it reminds us that the marriage system, which exists as a hierarchy, can sometimes be reset as a buffer zone to secure safety. Therefore, an attempt to take a new approach to the problem of identity and subjectivity surrounding the <Banghanrimje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system is necessary, and this paper corresponds to pointing out this.

      • KCI등재

        嶺南 南人 散文 연구를 위한 試論적 접근-雜著 수록 散文을 중심으로-

        한의숭 택민국학연구원 2022 국학연구론총 Vol.- No.30

        This paper started with the intention of grasping the overall status and character of prose works contained in Yeong-nam Nam-in anthology. The prose included in the miscellaneous writings of Yeong-nam Nam-in anthology has a side that asks for reflection on what researchers have not paid attention to.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reviewed the rough status of the prose data in the Yeong-nam Nam-in anthology, and pointed out several points that the Yeong-nam Nam-in anthology is noted as an important character of prose. First, in the case of prose contained in Yeong-nam Nam-in anthology, it can be seen that a number of works borrowed from the mythical writing method are included. This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tical reality of Yeong-nam Nam-in and the way they write,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lewd writing method was summoned in a way that could easily digest the literary outburst of Yeong-nam Nam-in's self-consciousness, worldview, and political and social reality of the time. Second, many animals and anthropomorphic objects have been found as the subject of writing. Prose works represented by ‘Dong-mul-seol’ show that they are being used in an important way to express their inner feelings in a roundabout way among various writings. Third, it is confirmed that many of the works appear in the prose of Han yu and Yoo Jong-won, which are typical of the Tang Song's Ancient Writing. This is understood to have been written for the exemplum virtutis sentence learning of Han Yu and Yoo Jong-won, and at the same time, it is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the intention to utilize the allegory of Tang Song's Ancient Writing. This paper has a poetic nature of seeking perspective and direction to clarify the overall nature of Yeong-nam Nam-in prose, which has not been spotlighted so far, through the organization and analysis of prose in Yeong-nam Nam-in anthology. Therefore, rather than focusing on in-depth interpretation of the data, there is an aspect of focusing on finding and organizing data that have not been discovered or introduced. This point will be continuously supplemented through more detailed research in the future based on several research directions presented in this paper. 본고는 영남 남인 문집 잡저에 수록된 산문 작품을 대상으로 전체적인 현황과 성격을 파악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영남 남인 문집 잡저 항목에 수록된 산문은 그동안 연구자들이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것에 대해 반성을 요청하는 측면이 존재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우선 영남 남인 문집 잡저 수록 산문 자료를 정리하여 대략적인 현황을 검토하고, 영남 남인 문집 잡저 수록 산문의 중요한 성격으로 주목되는 점을 몇 가지 짚어보았다. 첫째, 영남 남인 문집 잡저에 수록된 산문의 경우 우언적 글쓰기 방식이 차용된 작품이 다수 수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점은 영남 남인의 정치적 현실과 글쓰기 방식의 연관을 보여주는 것으로, 영남 남인의 자의식과 세계관, 당대 정치사회현실에 대한 문학적 분출을 용이하게 소화할 수 있는 양식으로 우언적 글쓰기 방식이 소환된 것으로 이해된다. 둘째, 글쓰기의 소재로 동물과 의인화된 사물 등이 다수 발견되고 있다. 동물설로 대표되는 산문 작품은 다양한 글쓰기 가운데 우회적 방식으로 내면을 토로하는 데 중요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당송고문가의 전형인 한유와 유종원 산문을 의작한 것이 잡저 수록 산문에 다수 등장하는 게 확인된다. 이는 한유와 유종원이라는 당송고문가의 전범적 문장 학습을 위해 습작한 것으로 이해됨과 동시에 당송고문가의 문장이 가진 우언성을 활용하려는 의도가 복합적으로 작동한 결과로 해석된다. 본고는 영남 남인 문집 잡저 수록 산문에 대한 정리와 분석을 통해 그동안 조명받지 못했던 영남 남인 산문의 전체적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시각과 방향을 모색한 시론적 성격의 글이다. 때문에 자료에 대한 깊이있는 해석에 중점을 두기보다, 그동안 발굴, 소개되지 않았던 자료를 찾아서 정리하는데 집중한 측면이 있다. 이점에 대해서는 본고에서 제시된 몇 가지 연구 방향을 바탕으로 추후 보다 정밀한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보충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공서(共棲)의 대상으로 인정받기-여성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 및 이종(異種)을 중심으로

        한의숭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 No.44

        Through the concept of ‘Gong-seo(共棲)’, this paper attempts to check the aspects of practical behavior for women and other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in the traditional era to be recognized as members of the community in an unequal society through various literature data and examine the meaning. In classical literature, the problems of hierarchy and class are clearly understood reflecting the reality of a status-based society. At this time, the problem of hierarchy and class implies the view of discrimination, so the reality of different conditions is bound to unfold in the same time and space. It can be said that the method of coexisting in such conditional discrimination is ‘Gong-seo(共棲)’. Therefore, ‘Gong-seo(共棲)’ are understood as the concept of realistic and substantive reproduction of symbiosis resulting from the so-called hierarchical and heterogeneous relationship. This complements the gap between concepts and reality caused when humans and others are recognized through coexistence and communication, and is also connected to the realistic perception that reproduces the existing relationship as it is. If symbiosis or coexistence is one step away from the target and tries to look at it objectively without focusing on value advantage, the ‘Gong-seo(共棲)’ is rather closer to realizing life with others by considering the political and relational context between the two. Through this paper, I would like to continue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newly understanding with the concept of ‘Gong-seo(共棲)’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politics of the traditional community's way of life. 본고는 ‘공서(共棲)’라는 개념을 통해 전통시대 여성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들이 불평등한 사회에서 공동체의 일원으로 인정받기 위한 실천 행위의 양상을 다양한 문헌자료를 통해 확인하고, 의미를 살펴보려는 것에 해당된다. 고전문학에서 위계와 계급의 문제는 신분제 사회의 현실을 반영한 엄연한 실제로 이해된다. 이때 위계와 계급의 문제는 차별의 시선을 내포한 것이기에 상이한 조건의 현실이 동일한 시공간에서 펼쳐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조건적 차별 속에서 공존해 나가는 방식이 공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공서는 이른바 위계와 이종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공생의 현실적, 실체적 재현의 개념으로 이해된다. 이는 공존과 소통 등으로 인간과 타자를 인식할 때 야기되는 개념과 현실의 틈을 보완하며, 현존 관계를 있는 그대로 재현하는 사실적 인식과 연결되는 것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공서는 위계적 현실의 관계 속에서 상상과 희망에 기반한 인식에서 벗어나 관계의 정치성을 포착하되, 사회적 약자의 희생과 헌신 등을 당위로 규정하는 게 아닌 계급성을 초월하는 인정의 발현으로 재인식할 수 있다. 이는 지배계급 중심의 사회질서 체제 안에서 포착되는 여성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의 존재가 공서의 대상으로 인정받는 과정을 통해 공동체의 일원으로 환기됨을 보여준다. 이름 없는 자로 묻힌 역사가 아닌 호명되는 주체로 일어서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공생이나 공존이 대상에서 한 발짝 떨어져 가치 우위에 비중을 두지 않고 객관적으로 바라보려는 시각이 우세하다면, 공서는 오히려 한 발짝 더 밀착해 둘 사이에 발생하는 정치적, 관계적 맥락을 고려하면서 타자와의 삶이 실현되는 양상에 다가선 것이라 할 수 있다. 본고를 통해 전통시대 공동체의 삶의 방식이 지닌 정치성을 주목하면서, 공서라는 개념으로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탐색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고전 산문을 통해 본 ‘人間’·‘生態’·‘資本’의 양상과 포스트 휴머니즘

        한의숭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용봉인문논총 Vol.- No.56

        This article visits classical prose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ism. The starting point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aterials that are considered either to have a subversive connotation, or to invite a new interpretation, in their treatments of subject-object relations. In other words, by reading ‘Dong-Mul-Seol(動物說)’, ‘Ga-jeon’(假傳), and ‘Ya-Dam’(野談) stories that thematize ‘wealth’, this article focuses on what was traditionally classified as objects and subordinates, attempting to find a new interpretive possibility. Dong-mul-seol contains an interpretive possibility that humans and animals can coexist. For, while Dong-mul-seol mobilizes tales of animals as a way to narrativize human stories, it also has the implication that the mere animals can live up to human beings when the animals’ acts are noble enough. In this precise sense that the status of animals can be heightened to that of human beings, Dong-mul-seol can be read as highlighting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between humans and animals. Likewise, the way that Ga-jeon deals with animals is to move them from the margin to the center of the narrative universe. Circumventing anthropocentric attitude, it tries to re-cognize and re-evaluate what is traditionally viewed as mere objects. Because objects in Ga-jeon are often transformed to assume subjectivity so that they tell stories about human being from their perspective, it deserves an exploration of the interpretive possibility that the two parties can be mutually visited and examined ‘objectively’. Ya-Dam also makes room for post-human interpretation. The episodes of wealthy people provides with examples of conscientious businessmen who, after giving up upon ‘Gwageo’, enters into commerce world to make fortune through such commercial practices as bartering, cornering, and hoarding, and gives aid to the poor and the marginalized, which in turn, helps to enhance their reputation. These episodes historically re-cognize and re-evaluate the capital by showcasing the ambiguity of the mercantile capital of the times. The ambiguity is clearly demonstrated in that the characters value the survival in the real life situation much more than the moral obligations imposed on the gentry class in Cho-sun Dynasty. The texts, in short, exemplify a new perspective on the value and function of Capital. These readings will enable us to grasp the current problems through the classical prose, and vice versa. While this attempt for re-reading and re-formulation of the classical literature is, in other words, methodologically new, it is pertinent not only to the problems we are face with, but also to the classical literature that has to be renewed again and again. 본고는 포스트 휴머니즘을 통해 고전을 재음미하되, 주체와 객체 또는 주체와 종속의 관계를 기존의 시각에서 탈피하거나 역전된 시각으로 읽을 수 있는 자료들을 검토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이는 객체나 종속체로 구분되었던 것들에 중심에 두면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찾으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고전산문 작품 가운데 문집에 수록된 ‘動物說’과 ‘假傳’ 그리고 野談 소재 ‘富’ 관련 작품에 주목하였다. 동물설은 인간과 동물의 등가적 공존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내포되어 있다. 왜냐하면 동물설이 소환된 이유는 인간이 주목적이긴 하나, 하찮은 대상으로 여겨지는 동물이 결코 인간에 비해 뒤질게 없다는 인식이 작품 속에서 동물의 행위를 통해 마련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점에 있어서 인간과 동물은 등가적 존재로 위상을 가지며 이러한 사고가 동물설의 기저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동물설은 인간과 동물의 공존을 강조하는 텍스트로 읽을 수 있다. 이와 함께 객체적 대상인 사물을 주변부에서 중심부로 견인하여 인간중심적 사고에서 탈피하려는 의미가 부여된 가전 또한 재인식의 대상으로 주목된다. 가전은 객체로서의 대상이 주체로 소환되어 인간을 이야기한다는 측면에서 사물과 인간의 상호 객관화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해석의 확장 가능성을 담지하고 있다. 한편 야담에 수록된 부자(富者) 일화를 주목해 보면 과거를 준비하다가 중도에 포기하고 생계를 위해 상업에 뛰어들어 물물의 흐름에 주시한 뒤 물물교환, 매점매석을 활용하여 시세차익을 통해 막대한 이익을 얻고 이를 바탕으로 서민 구휼과 같은 행동으로 인심을 얻는 양심적 자본가의 존재가 포착된다. 조선후기 상업자본에 대한 긍정과 부정의 양면적 속성을 직시, 포착한 것으로 자본의 존재와 가치에 대한 재인식을 역설한다. 특히 이점은 등장 인물이 사대부란 계급의 명분성보다 생존이란 현실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자본을 축적하기 위해 노력한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에서 명징하게 확인된다. 이는 계급과 상업자본에 대한 기존 관점의 전환을 은근히 의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해 고전을 재음미할 경우 그에 따라 새롭게 환기되는 사고는 우리 앞에 제기된 문제로 환류되어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른바 고전의 재발견이라 할 수 있을 것인데, 방법론적으로 고전 독해의 관점에 포스트 휴머니즘적 시각을 일정부분 적용시켜 바라본다는 점에서 본고는 시론적 시도에 해당된다.

      • KCI등재

        공통의 경험에 대한 기록과 기억의 거리- 『호구일록(虎口日錄)』과 『평창일기(平昌日記)』를 중심으로-

        한의숭 한국문학언어학회 2023 어문론총 Vol.97 No.-

        The main subject of this article is an explor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recording and memory, focusing on the special experiences of Kwon Du-mun(權斗文) and Kwon Ju(權 ), who were captured during the Imjin War and documented their experiences in the 『Hoguilrok(虎口日錄)』 and 『Pyeongchangilgi (平昌日記)』 respectively. These two texts, based on a shared experience, each capture different perspectives and therefore have the potential to reveal contrasting viewpoints. The core period of Kwon Du-mun's experience spans from August 7th to September 13th. This record revolves around his suffering as a captive during the Imjin War, his eventual escape, and his return. Due to the shared experience between father and son, the difference in recording dates is not significant. Examining the narrative styles of 『Hoguilrok(虎口日錄)』 and 『Pyeongchangilgi(平昌日記)』 one can distinguish between detailed situational descriptions and experience-centered abridged descriptions. 『Hoguilrok(虎口日錄)』 unfolds with diverse depictions of the historical context, dialogues, environmental descriptions, and emotional expressions, allowing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narrative flow. On the other hand, 『Pyeongchangilgi(平昌日記)』 adheres to a more factual recording style, resembling a news article, focusing on individuals, events, and the spatiotemporal context, emphasizing an objective documentation approach. Through these two texts, we can discern the consciousness of the recording subjects regarding recording and memory. In 『Hoguilrok(虎口日錄)』 Kwon Du-mun, the recording subject, primarily focuses on documenting his stance as a loyal subject dealing with the national crisis of the Imjin War, rather than solely chronicling the disaster itself. Conversely, in 『Pyeongchangilgi(平昌日記)』 Kwon Ju, the recording subject, centers his documentation on the perspective of a child, focusing on the captive situation. He recalls the actual events based on his memory and provides detailed accounts of when, with whom, and how actions were taken. These texts reveal a difference in the way shared experiences are remembered. This disparity cannot be solely attributed to the distinct recording subjects. Various dynamics surrounding the recording subjects influenced their memory and documentation processes. While both texts share a common spatiotemporal framework, they demonstrate how different perspectives and understandings can emerge when looking at the same shared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