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교사의 정서노동 분석

        한산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3

        This study aims to closely examine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labor according to the types and subjects of emotional labor, based on the importance of and need for attention to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labor in the context of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overall aspect of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teachers’ emotional labor according to their personal and institutional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8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emotional labor scale for kindergarten teachers” developed by Han, Lee, and Lee (2022) was used to measure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labor. For data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In addition, independent-samples -tests and one-way analyses of variance (ANOVAs) were conducted. If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a posterior Duncan 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s of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labor in both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were above average, and the emotional labor for parents was the highest compared to administrators, teachers, and childre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labor depending on age, care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as personal variables and the number of children, working hours, and monthly pay as institutional variables. In other words, some types and subjects differ depending on kindergarten teachers’ variables. Therefore, discrimination and support based on individual approaches are deemed necessary. These results indicate a necessity of paying attention to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finding out practical ways to support them. 본 연구에서는 교육의 맥락에서 유치원교사가 하는 정서노동의 중요성과 관심의 필요성에 기반하여 정서노동 유형과 정서노동을 하는 대상에 따라 유치원교사의 정서노동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 정서노동의 전반적 양상과 개인적, 기관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유치원의 현직교사 398명이었으며, 연구도구로는 한산섬, 이승연, 이영선(2022)의 유치원교사용 정서노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분석을 위해 빈도 및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독립표본 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경우 사후검증(Dunca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교사의 정서노동은 표면행위와 내면행위 모두 평균 이상의 정도로 나타났으며, 정서노동을 하는 대상 중에서는 학부모에 대한 정서노동이 가장 높았다. 둘째, 교사의 개인적 변인인 연령, 경력, 학력에 따라, 기관적 변인인 유아 수, 근무시간, 급여에 따라 유치원교사의 정서노동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유치원교사의 변인에 따라 일부 유형 및 대상에서 차이가 나타나 개별적 접근에 기초한 판별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이와 같은 결과는 유치원교사가 하는 정서노동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치원교사용 정서노동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산섬,이영선,이승연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emotional labor scale for kindergarten teachers in Korea and to tes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The first item draft was developed based o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ith teachers. The second item draft was prepared through the experts’ review, and the third item draft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view of another group of experts and a pilot study. To determine the final items, the data collected from 414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analyzed through item analysis, construct validity, content validity, criterion-related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As a result, the final scale of 24 items was confirmed with 4 factors and 12 items on both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The construct validity was confirmed by selecting a best model vi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several reviews by experts with experience in research related to emotional labor;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confirmed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existing scale (ELTS), resulting in r=.375 (p<.001) for surface acting and r=.428 (p<.001) for deep acting. In terms of reliability, the results of item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ronbach’s α) were .867 for surface acting and .857 for deep acting, and the results of test-retest reliability were r=.703 (p<.001) for surface acting and r=.522 (p<.001) for deep acting; both of which were revealed to be acceptably high, confirming that the final scale had a consistency and stability.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를 위한 정서노동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문헌연구 및 현직교사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1차 시안을 작성하였으며,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2차 시안을 만들고, 또 다른 전문가 협의회와 예비연구를 통해 3차 시안을 마련하였다. 최종 문항 선정을 위한 본연구 단계에서는 수도권 지역의 유치원교사가 응답한 414개의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문항분석, 구인타당도, 내용타당도, 준거타당도, 신뢰도 검증의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표면행위와 내면행위 각기 4요인[학부모, 원장(감), 동료교사, 유아] 12문항, 총 24문항의 최종 척도를 확정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적의 모형을 선정함으로써 구인타당도를 입증하였으며, 정서노동 관련 연구 경험이 있는 전문가들의 검토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고, 기존 도구(교사용 정서노동 척도)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준거타당도를 검증(표면행위 r=.375, p<.001, 내면행위 r=.428, p<.001)하였다. 신뢰도의 경우, 문항내적일관성신뢰도(Cronbach’s α)는 표면행위 .867, 내면행위 .857, 검사-재검사 신뢰도(r)는 표면행위 .703(p<.001), 내면행위.522(p<.001)로 나타나 본 척도가 일관성 및 안정성을 가지는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정서적 지형도에 나타난 거리감 분석

        한산섬(Han SanSeom),박은혜(Park Eunhye)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1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6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정서적 지형도에 나타난 거리감과 유아교사의 개인 및 기관 변인에 따라 정서적 지형도 전체와 영역 및 대상별로 나타나는 거리감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2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을 위해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경우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정서적 지형도 전체와 영역 및 대상에서 거리감은 모두 평균 이하로 나타났고, 도덕적 지형도가 가장 거리감을 많이 느끼는 영역이었으며, 학부모가 가장 거리감을 많이 느끼는 대상이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개인 변인 중 연령, 학력에 따라, 유아교사의 기관 변인 중 기관유형, 담임학급 영유아 연령, 담임학급 영유아 인원수, 근무시간에 따라 정서적 지형도 전체와 영역 및 대상별로 나타나는 거리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양적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유아교사의 정서적 지형도에 나타난 거리감을 살펴본 첫 연구라는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와 관련된 변인에 따라 정서적 지형도에서의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방안 모색이 개인, 기관의 조직 및 행정 차원에서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distance and personal/institutional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whole, area and target of their emotional geographies. The study was conducted on 229 teachers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earcher developed a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research, to collect data. For data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lso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and Scheffe posterior test was performed if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distance of the whole, area and target in the emotional geographies were all below average. Early childhood teachers felt the most distance in moral geography among the emotional geographies area, and they felt the most distance in parents among the emotional geographies targe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hole emotional geographies, area and target depending on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among personal variable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hole emotional geographies, area and target depending on the institution type, age of children in the homeroom class, number of children in the homeroom class and working hour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the first study to examine the distance on the emotional geograph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find ways to reduce distance in emotional geographies on both personal level and organization, administration of institutional level as the variabl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유아교육에서 학교폭력 바라보기

        한산섬(Sanseom Ha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교사의 학교폭력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탐구함으로써 유아교육 맥락에서의 학교폭력이라는 용어의 사용과 유치원교사가 가져야 하는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의 방향을 정립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층 그룹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교사가 인식하는 학교폭력의 특성은 8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둘째, 유아라는 주체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유아간의 폭력적인 문제를 학교폭력이라는 용어로 칭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보았다. 셋째, 유아 간 폭력적인 문제는 학교폭력으로 칭할 수 없지만 유아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았다. 넷째, 유아 간 폭력적인 문제에 대하여 행동지도 수준에서 대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에서도 학교폭력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며, 학교폭력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이해 현황과 인식의 방향을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anding and perceptions of school violence in order to establish the use of ‘school viol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perceptions about school violence that kindergarten teachers should hav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in-depth group interviews. As a result, first, there were 8 characteristics of school violence as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Secon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here were difficulties in labeling violent problems that occur in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with ‘school violence’. Third, the violent problems that exist in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which cannot be labeled as school violence, were thought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all children. Fourth, it was found that violent problems between children are dealt with at the level of behavior guidance. This study suggests that school violence needs to be addres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at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level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and direction on school violence.

      • KCI등재

        은유 분석을 통해 본 유아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

        김교령,한산섬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3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bout ‘teacher-child interaction’. To achieve this, a metaphor analysis method was conducted. The study involved 180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eachers’ perceptions of metaphorical categorie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were categorized into four main themes with 14 sub-themes: prerequisites, characteristics, roles, and outcomes. Among these, the ‘outcomes’ theme wa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and among the sub-themes, ‘support for child development’ was the most prominent. Second, teachers perceived teacher-child interaction as having characteristics of continuous change, emerging based on attention, respect, and positive emotions as prerequisites, functioning as a tool for learning, and resulting in a positive impact on both teachers and children, leading to a positive interaction. The metaphors used by teachers to describe ‘teacher-child interaction’ serve as a tool for revealing their perceptions and indicate their recognition of the significance of teacher-child interaction. Based on the importance of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develop concrete and practical support for implementing high-quality teacher-child inter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으로, 이를 위 해 은유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및 인천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 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180명이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가 인식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은유 유형은 4개 범주, 13개의 하위범주로 나타났다. 4개 범주는 전제 조건, 특 징, 역할, 결과로, 그중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결과 범주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하위 범주 중에서는 유아 성장지원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이 관심과 존중 및 긍정적 정서를 전제 조건으로 발생하여 끊임없이 변화하는 특징을 가지 고 있고, 배움의 도구로서의 기능적 측면이 있으며 상호작용을 통해 교사와 유아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다시 긍정적인 상호작용으로 이어지는 선순환적 결과를 낳는 것 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은유는 교사들의 인식을 드 러내는 도구로서 작용하였으며,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 을 교육적 관점에서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근거하여 유아교사들이 질 높은 교사-유아 상호 작용을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지원 마련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영유아기 준비도 개념과 연구동향 분석

        박은혜,한산섬 한국육아지원학회 2023 육아지원연구 Vol.18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early childhood readiness and examine research trends to determine the implications and direction of utilizing readines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and academia. The data for analysis were selected by conducting a search for research articles on early childhood readiness in the RISS database. To explore the definition of early childhood readiness, sub-variables identified in articles pertaining to school readiness, learning readiness, and academic readiness were categorized and examined. In order to analyze research trends concerning early childhood readiness, range of studies were reviewed, taking into account the year of the publication,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employed. This analysis encompassed not only early childhood readiness but also continuity and transition. The findings revealed sub-variables associated with early childhood readiness were predominantly concentrated on language and cognitive variables, while the physical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learning variables received less attention. In the case of early childhood readiness research trends, the number of studies showed an increasing trend over the years, and variations were observed in relation to topics (readiness, continuity, and transition),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employed. Accordingly, it is suggested that early childhood readiness should adhere to a precise and comprehensive definition of the core concept.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readiness of transition not only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elementary education but also for the transition from early childhood care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준비도 개념과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준비도 개념 활용 방향과 교육현장및 학계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은 영유아기 준비도 개념을 주제로 한 연구물을RISS에서 검색하여 선정하였다. 영유아기 준비도 개념의 정의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학교준비도, 학습준비도, 학업준비도를 주제로 한 연구물에서 다루는 하위 변인을 범주화하여 살펴보았다. 영유아기 준비도 주제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준비도뿐만 아니라 연계, 전이를 주제로 한 연구물까지 포함하여 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별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영유아기 준비도 하위 변인은 언어 및 인지적 변인에 집중되었으나 그에 비해 신체적 변인과 학습에 대한 긍정적 태도 변인은 적게 나타났다. 영유아기 준비도 연구동향의 경우, 연도별로 연구물의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연구대상과 연구방법별로는 준비도 및 연계, 전이 주제에 따라 경향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에 영유아기 준비도가 기본적인 개념 정의에 충실할 필요가 있고, 유아교육에서 초등교육으로의 전이 시 필요한 준비도뿐만 아니라 보육에서 유아교육으로의 전이 시 필요한 준비도도 중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해외 사례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유ㆍ보 및 유ㆍ초 이음교육 방향 탐색: 학제, 교육과정, 교원, 의무교육여부를 중심으로

        김교령,한산섬,박은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학논집 Vol.27 No.2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overseas‘ continuity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nd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lementary education, in terms of school system, curriculum, teacher qualifications, and compulsory education to determine the implications for the Korea's Leum education policy. First, in the case of school system, the UK and Sweden were integrated and France was connected in terms of continuity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Moreover, the US and Sweden were connected in continuity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lementary education. Compulsory education started from an overlapping age wh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lementary education were connected in the US and Sweden. In France, compulsory education started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in the case of curriculum, the UK and Sweden were integrated in terms of continuity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while the US, UK, Sweden, and France were connected in terms of continuity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lementary education. Third, in the case of teacher qualifications, the UK and Sweden were integrated, the US was connected in terms of continuity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nd France was integrated and the US was connected in terms of continuity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lementary education. In summary, while at least one or more aspects (school system, curriculum, teacher qualifications, and compulsory education) were connected or integrated in overseas, all of them were separated in South Korea.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connection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s well a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lementary education. Additionally, the study highlights that the current preparation and support for learners in this area are inadequate. 본 연구에서는 해외 보육, 유아교육, 초등교육의 학제, 교육과정, 교원 자격 측면에서의 현황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이음교육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제의 경우 유ㆍ보 측면에서는 영국과 스웨덴이 통합, 프랑스가 연계되고 있었으며, 유ㆍ초에서는 미국, 스웨덴이 연계되고 있었다. 의무교육의 경우 미국과 스웨덴은 유ㆍ초가 연계되는연령에서부터 의무교육이 시작되고, 프랑스는 유아교육 단계에서부터 의무교육이 시작되었다. 둘째, 교육과정의 경우 유ㆍ보 측면에서는 영국과 스웨덴이 통합되어 있었고, 유ㆍ초 측면에서는 미국, 영국, 스웨덴, 프랑스가 연계되어 있었다. 셋째, 교원 자격의 경우 유ㆍ보 측면에서는 영국과 스웨덴이 통합, 미국이 연계되어 있었으며, 유ㆍ초 측면에서는 프랑스가 통합, 미국이 연계되어 있었다. 종합하면 해외의 경우 학제, 교육과정, 교원 자격 측면에서 적어도하나 이상이 연계 또는 통합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우리나라는 모두 분리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ㆍ보, 유ㆍ초가 체계적으로 연계를 하기에 어려운 상황을 드러내며, 연계를 위한 학습자에 대한 준비와 지원이 미비할 수밖에 없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음교육의실질적인 대상이 되는 영유아가 전이에서 경험하게 되는 불연속성과 불안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전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제, 교육과정, 교원 자격 측면에서의 이음교육 정책 실행이필요함을 시사하며 동시에 이음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국내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연구동향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Research Trends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in Korea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박은혜,한산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교육과학연구 Vol.5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국내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관련된 국내 연구물에 포함된 394개의 주제어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가 공표된 2015년을 기준으로 상반기와 하반기로 시기를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2009년부터 2015년에 해당하는 상반기의 경우 ‘지속가능발전교육’만이, 2016년부터 현재까지(2021년 12월)에 해당하는 하반기의 경우 ‘지속가능발전교육’, ‘지속가능발전’, ‘지속가능발전환경교육’, ‘환경친화적태도’, ‘공동체의식’ 키워드가 주요 키워드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지속가능발전 및 지속가능발전교육 개념의 본질에 근거한 용어 사용과 교사양성과정에서부터 해당 개념에 대한 이해와 실천의 도모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학계와 현장에서의 보다 많은 관심을 촉구하고 향후 연구 방향성과 노력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i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in early childhood in Korea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To this end, 394 keywords in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as of 2015, whe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were announced, the period was divided into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As a result of the study, only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as found in the first halves, of 2009 to 2015,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ustainable development”, “sustainable development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friendly attitudes” and “community awareness” were the keywords found in the second halves, of 2016 to the present(December 2021). Based on this, the terms ‘sustainable development’and‘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needed to be used based on their essence of the concept and the need to understand and practice the concept from the period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was suggested. In addition, it encouraged academia and the education field to cultivate a greater interest i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and suggested the need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efforts.

      • KCI등재

        유치원 교사가 교육구성원 간 경험하는 폭력적인 문제에 대한 생각

        박은혜,한산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들이 교육 현장 속 모든 교육구성원 간 관계 속에서 경험하는 폭력적인 문제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서울 및 경기도 지역의 공립 및 사립유치원 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심층 그룹 면담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폭력적인 문제의 특징은 지속성, 강제성, 힘의 불균형, 피해 주체의 느낌, 회복 가능성, 사회적 수용 가능 여부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 현장의 폭력적인 문제를 학교폭력이라는 용어로써 표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뿐, 폭력적인 문제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 아닌 교육구성원 간 관계 속에서 양방향적으로 민감하게 인식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셋째, 폭력적인 문제에 대한 대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적극적인 대처를 위한 구조적 차원에서의 진단과 보완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에서도 학교폭력 및 폭력적인 문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관계 속에서 양방향으로 봐야한다는 인식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violence-related issues that occur among all members involved in the educational process. Data were gathered and analyzed from comprehensive group interviews with 15 kindergarten teachers from both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kindergarten teachers indentifi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violence-related issues: persistence, enforcement, power imbalance, the victim’s feelings, resilience, and social acceptance. Furthermore, we found that the term “school violence” does not adequately capture the vioence-related issu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se issues need to be considered sensitively as centered on relationships and as a two-way interaction between all educational members, without denying the existence of the violence-related problem itself. Although appropriate measures are being implemented to minimize the negative effects of these issues, there is a need for diagnosis and supplementation for more proactive and suitable measures at the structural level.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draws attention to school violence and violence-related issue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proposes that these issues be considered as bi-directional in relationships.

      • KCI등재

        내용분석 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어린이미디어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박은혜(EunHye Park),한산섬(SanSeom Ha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1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영유아 미디어교육을 선도하는 ‘어린이미디어연구’ 학술지의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어린이미디어연구’에 투고된 546편의 논문과, 논문에 포함된 1814개의 주제어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빈도분석을 통한 내용분석 방법과 유아교육 정책 시기별로 나누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 내용분석의 경우, 한 해에 발간하는 논문의 편수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양적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의 측면에서는 인적대상 중 유아를 연구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의 결과, 1기에서는 ‘유아컴퓨터교육’, ‘교사인식’, 2기에서는 ‘교수효능감’, ‘예비유아교사’, ‘어린이집’, ‘로봇기반교육’, 3기에서는 ‘그림책’, ‘예비유아교사’, ‘로봇기반교육’, ‘유아’, ‘정서지능’, ‘영아’, 4기에서는 ‘그림책’, ‘유아’, ‘유아교사’ 키워드가 시기별 네트워크 내에서 주요한 개념이자 연구주제이면서 다른 주제 및 변인과 함께 많이 다루어진 핵심 키워드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어린이미디어연구’ 학술지 및 유아교육 학계의 발전을 위하여 사회 및 정책적 변화를 반영하는 연구의 방향성과 학회와 학계의 노력이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the ‘Journal of Children’s Media and Education’ that leads media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or this, 546 articles on the ‘Journal of Children’s Media and Education’ and 1,814 keywords on those articl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content analysis method was perform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was used by divid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its policy period. As a result of content analysis, the number of articles published in a year tended to increase gradually,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e most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and studies on children were conducted the most among human subjects. As a result of keyword network analysis, 1st Period; “Early Childhood Computer Education”, “Teacher’s Recognition”, 2nd Period; “Teaching Efficienc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Daycare Center”, “Robot-based Learning”, 3rd Period; “Picture Book”,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Robot-based Learni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Infant and Toddler”, 4th Period; “Picture Book”, “Children”, “Early childhood teacher” were found to be the major concepts and research topics within each periods, and they were also the main keywords that were dealt with many other topics and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 to improve the Journal of Children’s Media and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cademia, the direction of research should reflect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and the efforts of associations and academia ar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