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유학기제 시행 후 진로성숙도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기순,심승엽 한국교육개발원 2020 한국교육 Vol.47 No.1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를 시행중인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자유학기제 진로성숙도와 관련된 논문들을 찾아 메타분석의 방법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계량화 하였다. 중복 연구, 주제와 관련되지 않은 연구, 통계 분석치를 포함하지 않은 연구 등을 제외하고 최종 29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총 165개의 개별효과 크기를 도출하였다. 모집단의 값이 86.67로 이질하여 랜덤효과 크기로 확인한 결과 진로성숙도의 총 효과 크기는 .507 이었고 평균값의 95% 신뢰구간은 .365에서 .603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도 하위영역의 효과 크기는 크게 태도, 능력, 행동 세 가지 영역으로 살펴보았으며, 행동영역 평균 효과 크기는 .424, 태도영역은 .439, 능력영역은 .575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자유학기제 운영모형에 따른 평균 효과 크기는 동아리활동 운영모형이 1.252로 가장 크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예술・체육활동 운영모형 .674, 선택프로그램 활동 운영모형 .538, 진로탐색 활동 운영모형은 .383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자유학기제는 진로성숙도의 능력영역 및 동아리활동 운영모형에서 상대적으로 큰 효과 크기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자유학기제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다양한 측면으로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현장의 자유학기제 개선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해보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 effects of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under the free learning semester system through meta-analysis. To understand this, the studies related to career maturity in free learning semester were statistically quantified using meta-analysis approach. Design: Researchers selected and analyzed 29 primary studies using meta-analysis which reported effects of career maturity. The effect size of the career maturity subcategory was divided into attitude area, ability area and behavior area. In addition, the effect size was confirmed according to the intensive operation model (career exploration, club activities, arts and sports activities, and student selection program)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Results: The average effect sizes of attitude, ability, and behavior areas were .439, .575, .424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operational model, the effect sizes were in the order of club activities(1.252), arts and sports activities(.674), student selection program(.538), and career exploration(.383). Valu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effect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system through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meta-analysis of the vast amount of related studies.

      • 영재교육과정의 모형과 방향

        한기순 숙명여자대학교 사회 교육과학연구소 2001 사회 교육과학연구 Vol.5 No.1

        영재교육과정 모형은 영재들을 위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론적, 실질적 근거를 제시하며, 제대로 된 영재교육과정의 마련은 효과적인 영재교육 실현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요건이다. 영재를 판별하고 나서도 그들을 위한 올바른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면 영재교육은 그 위상을 상실하기 때문에, 학자들의 효과적인 영재교육과정의 개발에대한 관심과 노력은 영재교육의 어느 분야보다도 높다. 영재교육법의 통과로 본격적인 영재교육의 실시를 앞두고 있는 지금, 안타깝게도 우리는 우리의 실정과 여건에 적합한 영재교육과정 모형의 필요성과 개발에 대한 인식이 전무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외에서 지금까지 계발된 영재교육과정 모형 중 가장 대표적인 일곱 가지 모형들을 간단히 소개하고, 그 모형들이 우리 나라 영재교육과정 개발에 시사하는 바를 제시함으로 교육과정 담당자들에게 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Models for the curriculum of gifted education provide theoretial and practical foundations that enhance effective and efficient learning process of the gifted. Well-organized curriculum is the most imprtant condition to maximize gifted education process. Since the absence of appropriate programs for gifted children, however rightfully we select them, does make gifted education groudless, scholars put their utmost intersets and effort into developing a resourceful curriculum. The full-scale gifted education prompted by the pass of gifted education bill will be immediately effective, but we do not have any conscious awareness for the necessary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most compatible with our vernacular situation and reality. This article will introduce briefly seven most representative models developed abroad, and suggest what implications the models have for the development of our own curriculum. It is hoped to illuminate some ideas that might help the educators devoted to developing the curriculu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의 과학문화 확산에 관한 연구 : 인천의 8구·2군을 중심으로

        한기순,이영란 한국국회학회 2023 한국과 세계 Vol.5 No.5

        본 연구는 과학문화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 정책 추진을 목적으로 인천지역 과학문화의 특성을 파악하고 확산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네이버 지도 내 등록된 인천지역의 구조물을 탐색하고 인천광역시 홈페이지 및 인천지역 8개의 구, 2개의 군을 대상으로 구·군청 공식 홈페이지를 활용하여 인천 8구·2군의 지역별 과학문화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인프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천지역 8구·2군의 인프라 유형은 역사적 가치를 담은 박물관이 가장 많았으며 체험장, 연구소, 공단에서 조성한 공간, 교육센터, 과학관, 공원, 기업에서 운영하는 공간 순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기업에서 운영하는 과학문화 공간이 가장 적은 실정이며 이러한 인프라는 서구, 중구, 연수구에만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천지역의 구・군별 과학문화 인프라의 격차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인천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발전해 왔기에 지역의 고고학적 자료, 역사적 유물, 예술품 등의 역사 문화에 관한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으며 지리적으로도 서해와 인접하고 한강의 하류에 위치하여 168개의 크고 작은 섬과 한강과 서해로 유입되는 작은 하천, 산 등 인천만의 특화된 풍부한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인천의 다양한 문화적 또는 지리적 특성의 자원을 체계적으로 구분하고 연계함으로써 인천광역시만의 특화된 과학문화 인프라 자원을 활용하고 과학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Incheon culture and the degree of spread of science culture for the purpose of effective policy promotion for the revitalization of science culture. For this purpose, structures registered on Naver Map were searched and using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official website, the infrastructure that can contribute to the spread of science culture by region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type of infrastructure in Incheon area's 8 districts and 2 county was the most in the form of museums, followed by experience centers, research institutes, spaces created by industrial complexes, education centers, science center park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spaces operated by companies was the smallest and concentrated only in Seo-gu, Jung-gu, and Yeonsu-gu. However, Incheon has been developing since the Paleolithic. As a result, infrastructure related to historical and culture such as archaeological materials, historical relics, and works of art has been established. Geographically, it is adjacent to the westem sea and located downstream of the Han River, so it has 168 large and small islands, small rivers and mountains flowing into the Han River and the westem sea.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systematically classify and link Incheon's resources of various cultural or geographic characteristics to utilize Incheon Metropolitan City's unique scientific and cultural infrastructure resources an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scientific culture enjoyment.

      • KCI등재후보

        성취영재와 미성취영재는 어떻게 다른가? : 학습전략, 동기, 능력신념, 그리고 문제해결성향의 차이분석

        한기순,신정아 韓國英才學會 2007 영재교육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현재의 영재교육이 성취영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서 줄곧 제외되어 온 미성취영재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성취영재들과 유사한 지적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나, 교사추천과 검사결과에 의해 현재의 학업성취가 지적 잠재능력과 비교하여 현저한 편차를 보인다고 판단된 미성취영재들의 학습전략 및 관련변인들을 살펴보았다. 즉, 미성취영재의 학습전략과 관련변인들이 성취영재와 어떻게 차별화되는가를 살펴보고, 이중 어느 변인이 두 집단을 가장 변별력 있게 구분하는가를 탐색하는 것이 이 연구의 초점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 68명의 성취영재들과 34명의 미성취 영재들의 학습전략, 동기, 능력신념, 문제해결성향 등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성취영재와 미성취영재들은 제시된 모든 변인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판별분석 결과 학습전략, 동기, 능력신념, 문제해결성향 등은 판별적중률 77.5%로 성취영재집단과 미성취영재집단을 유의하게 구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외재적 동기, 과제해결성향 등이 두 집단을 가장 잘 구분하는 변인임이 밝혀졌다. 이 연구가 미성취영재의 판별, 교육, 연구에 주는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gifted achievers and gifted underachievers differ in their learning strategies, motivation, beliefs in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atterns. The sample for the study consisted of 68 gifted achievers and 34 gifted underachievers who were in 5th and 6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Gifted achievers and gifted underachiev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aspects using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In addition, the discriminant analysis correctly classified over 77.5% of the sample as either gifted achievers or gifted underachievers using the variables used in the study, indicating factors related to learning strategies can be effective measures to identify gifted achievers and underachievers. Especially, extrinsic motivation and problem solving patterns were the most discriminant factors in these two group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related to the identification and education of the gifted underachievers were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후보

        영재들은 행복한가? : 영재, 잠재적 영재, 일반학생의 행복관련 정서적 특성 비교

        한기순,김영미 韓國英才學會 2008 영재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영재들의 행복에 관한 연구로 영재(201명), 잠재적 영재(124명), 일반학생들(241명)의 행복지수,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 학교교육 행복지수를 분석하고 행복관련 정서적 특성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학생들의 배경변인이 행복지수 및 관련 정서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 보았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영재와 잠재적영재가 일반학생에 비하여 행복지수, 낙관성, 심리적 안녕감, 학교교육 행복지수 등 행복관련 정서적 특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행복관련 정서적특성에 나타난 성차를 살펴보면 선발된 영재집단의 경우 여학생들이, 잠재적 영재집단의 경우 남학생들이 더 높은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 성별과 집단 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존재했다. 행복관련 정서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으로는 행복지수, 낙관성, 심리적 안녕감, 학교교육 행복지수 전반에 걸쳐 또래관계와 가정행복감이 가장 설명력이 큰 변인으로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gifted children's happiness, such as happiness index, optimism,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education happiness. For the study, 201 gifted students who were currently enrolled in gifted education centers, 124 potentially gifted students who were nominated by teachers for their scientific interests and high performances, and 241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the gifted and the potentially gifted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motion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happiness compared to the general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ifted and the potentially gifted in the diverse aspects of happiness. Interestingly,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giftedness was found. Girls were happier when they were identified as the gifted, compared to the boys. Variables related to the happiness were also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er relationship and the family happiness were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that explained gifted children’s happiness in general.

      • KCI등재

        과학영재들은 어떻게 사고하는가

        한기순,배미란,박인호 한국과학교육학회 200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현재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있는 266명의 과학 영재들을 대상으로 Sternberg (1988, 1990)의 정신자치제 이론에 기초한 사고양식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그들의 사고양식의 특성을 밝히고, 사고양식과 지능 및 창의성과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과학영재들은 일반 학생들보다 자유주의적이고 입법적인 성향, 그리고 사법적인 성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집행적이고 보수주의적인 성향보다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에 적합한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사고양식은 지능검사 및 과학적 탐구능력과는 거의 관계가 없었지만, 창의성 검사와는 부분적인 상관을 보여 주었다. 즉 자유주의적인 성향이 강한 학생들은 TTCT검사의 독창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고, 유창성은 보수주의적인 경향성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또한 사법적인 양식은 독창성 및 융통성과 긍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과학 영재들의 사고양식의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과학 영재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how how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think in terms of Thinking Style Inventory based on Sternberg's theory of mental self-government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thinking styles, intelligence and creativity. Two hundred and sixty-six middled school students (169 boys, 97 girls) who enrolled in a gifted education program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prefer legislative, liberal, judical thinking styles, in comparison to general students, known to be related to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tyles, in comparison to general students, known to be related to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rather than executive and conventional style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ny of thinking style sub measures and Raven' Matrices and Scientific Aptitude Test, but som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the sub measures of thinking style and TTCT. Whereas liberal students gained high originality scores, conventional students gained low fluency scores. Also, judical thinking style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originality and flexibility TTCT sub scores. In sum, this study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inking styles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gifted edu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presented.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시대 과학영재교육의 인재상 및 방향성 탐색

        한기순,안동근 한국영재교육학회 2018 영재와 영재교육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제4차 산업혁명시대 과학영재의 인재상과 핵심역량을 제시함으로써 미래사회 과학영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특히 인공지능과 자연지능의 기능적 차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과 차별화될 수 있는 인간고유의 과학영재 핵심역량을 제안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제안하는 네 가지 인재상은 감성적 가치판단가, 과학·공학적 창조자, 초연결적 매개자, 전생애적 과학자이다. 첫째, 인공지능이 대체 불가한 빅데이터 시대의 감성적 가치 판단가 양성을 위해 본 연구는 유연하고 비판적인 상황인지역량과 인문적 소양 기반의 문제인식역량을 관련 핵심역량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메이커 혁명을 주도할 과학·공학적 창조자를 기르기 위해 과학지식 산출역량과 기술공학적 실행역량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셋째, 인공지능과 상생하는 초연결적 매개자를 양성하기 위해 휴먼-컴퓨터 매개역량과 이성-감성의 매개역량의 중요성을 기술하였다. 끝으로, 진로를 디자인하는 전생애적 과학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자기 주도적 진로창조역량과 첨단과학기술 습득 및 평생학습역량을 주요 하위역량으로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재상과 하위 핵심역량 제안과 더불어 향후 급변하는 시대와 사회변화에 대응-대비할 수 있는 과학영재교육 시스템 변화에 대한 방향성을 함께 논의하고 있다.

      • KCI등재

        피로사회 속 영재와 영재교육에 관한 담론

        한기순 韓國英才學會 2013 영재교육연구 Vol.23 No.6

        본고에서는 한병철(2012)이 제시하는 피로사회, 성과주의, 자기착취 등의 개념이 영재 및 영재교육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가를 탐색한다. 특히 영재들의 완벽주의, 자신 및 주변으로부터의 높은 기대, 과제집착력, 다재다능함, 과도한 자기비판 등의 영재의 기질적 특성이 피로사회의 성과주의로부터 어떻게 영재를 고 위험군으로 만들 수 있는가를 논의한다. 또한 최근 교육 현장에서 많이 이슈가 되고 있는 영재들의 자살이슈가 어떻게 구조적으로 피로사회의 성과주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지는가를 고찰한다. 무엇보다 중요하게 본고는 피로사회의 성과주의가 왜 그리고 어떻게 창의성의 저하 및 궁극의 하류지향을 초래하며 이러한 현상이 영재들의 창의성 및 창의적 산출에 어떠한 관련성을 부여하는가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끝으로 본고는 사색적 삶의 복원 등 피로사회 극복을 위한 몇 가지 논의거리를 제시한다. In this paper, we explore how the concepts of fatigue society and self exploitation are related with the gifted and gifted education. Gifted students' burnout are the result of an excess of positivity. The violence of positivity stems from over-producing, over-achieving or over-communicating. Especially, this paper tries to warn gifted students' maladaptive perfectionism, high expectations of themselves and their surroundings, high task commitment, and excessive self criticism could make the gifted the high risk group who burnout themselves in this fatigue society. In addition, it is discussed how the gifted students' suicid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issues of fatigue society and self exploitation structurally. Most importantly, we examine that why and how the concept of fatigue society results in ultimate decline of creativity. Finally, we discuss some ways to overcome this over-achieving fatigue society and their implications in the aspects of gifted students' creative lives and products.

      • KCI등재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을 위한 관찰 · 추천제의가능성과 한계분석

        한기순,오윤석 한국교육개발원 2011 한국교육 Vol.3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the limitations of the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s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gifted through the concept mapping approach. For this study, ten gifted education teachers composed two statements regarding the issues in question, and these statements were examined using the multi-dimensional scale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he stress values for the two times were .211 and .287, which were appropriate for two-dimensional point maps. In addition, 110 gifted education teachers rated the degree of importance of the statements and the realistic possibility of the ideas suggested for the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possibilities of the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s, four categories were drawn from 14 statements: 'diversifying gifted education,' 'increasing public awareness of gifted education,' 'discovering the potential gifted,' and 'restoring confidence in the identification of the gifted.' Second, regarding the limitations of the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s, four categories were drawn from 30 statements: 'the operational problems in implementing the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s,' 'the side effects of the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s,' 'the qualifications of the teachers,’ and 'the vagueness of the observation and nomination criteria.'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then discussed in depth. 본 연구에서는 개념도연구법을 활용하여 영재담당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관찰.추천제의 가능성 및 한계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10명의 초점집단 영재교사들이 관찰·추천시스템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 작성한 진술문을 산출, 종합, 분류하고 이를 기초로 다차원 척도와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여기서 산출된 문항들을 가지고 110명의 영재담당교사들이 다시 각 문항에 대한 중요도와 실현가능성 및 극복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찰·추천제의 가능성에 대한 브레인스토밍 결과를 토대로 진술문을 종합한 결과 14개의 진술문이 도출 되었으며 이들 14개의 진술문에 대한 비유사성 평정 자료를 사용하여 다차원 척도분석을 한 결과 2차원 개념도 제작에 필요한 stress 값은 .211이었다. 개념도에 나타난 진술문의 좌표 값을 기초로 위계적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재 선발을 위한 관찰·추천제의 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영재교육 분야의 다양화’, ‘영재 교육의 인식개선’, ‘잠재 영재 발굴’, ‘영재 선발의 신뢰 회복’ 범주로 나타났다. 둘째, 관찰·추천제의 한계에 대한 브레인스토밍 결과를 토대로 진술문을 종합한 결과 30개의 진술문이 도출 되었으며 30개의 진술문에 대한 비유사성 평정 자료를 사용하여 다차원 척도분석을 한 결과 2차원 개념도 제작에 필요한 stress 값은 .287이었다. 개념도에 나타난 진술문의 좌표 값을 기초로 위계적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재 선발을 위한 관찰·추천제의 한계에 대한 인식은 ‘관찰·추천 시행에서의 운영상 문제’, ‘관찰·추천제의 부작용’, ‘담임교사의 자질문제’, ‘관찰·추천 기준의 모호성’ 등 4개의 범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영재교육의 현장적용 맥락에서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