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egmental schwannomatosis in the upper extremity: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하청수,Yun Kyung Kang,Joong-Won Ha,Dong Hun Han,Jun-Ku Lee,한수홍 대한수부외과학회 2022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7 No.1

        Schwannomas,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benign tumors of the peripheral nerve sheath, generally remain as painless swellings for several years before diagnosis. Multiple schwannomas involving different nerves within the same extremity are rare. We report a rare case of a 61-year-old female patient who presented with multiple schwannomas in the palmar common and proper digital nerves, 15 years after the resection of a median nerve schwannoma within the same upper extremity. Using pre-established diagnostic criteria, she was diagnosed with segmental schwannomatosis. After careful surgical resection, biopsy confirmed the diagnosis, and she recovered without neurological symptoms or limitations in the range of motion. A literature review revealed only four case series on segmental schwannomatosis, indicating its rarity. Postoperative sensory deficits are more likely in cases with multiple schwannomas in the common and proper digital nerves. We demonstrate that such complications can be avoided by meticulous dissection and separation of the tumors from the nerve fibers.

      • KCI등재

        응답자가 선택한 속성 및 속성수준을 이용한컨조인트분석에 관한 연구 : 모형의 타당성을 중심으로

        하청수,이훈영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2 마케팅관리연구 Vol.17 No.2

        In the conjoint analysis, it is very important to decide attributes and their levels along with choosing a proper analysis model. However, such decisions have been typically made by the researcher without many concerns about their influences. There have been relatively few researches addressing such issues due to some implementational problems. This paper not only mentions the problems regarding such decisions but also examine how the validity of model varies depending on the attributes and their levels used in the research. We also investigate whether the predictive validity of model depends on the types of analyzing model applied. For the study, we collected the data from the potential buyers of new apartments. We developed the models using the attributes chosen by the researcher and those selected by each respondent. The models with attributes selected by each respondent outperformed that of the attributes given by the researcher. The models with levels chosen by each respondent also outperformed that with the levels prefixed by the researcher. When we compared the different analytic models, the part worth function model was better than those combining part worth function, vector and ideal point models. In sum, the customized conjoint models with the attributes and their levels reflecting respondents' different considerations outperformed that with those predetermined by the researcher. However,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was not easy since we allowed each respondent to choose his/her important attributes and their levels when considering a new apartment. We should design the conjoint profile set for each participant's response. However, it turns out worthwhile. Thus, for this type of research, we should develop the better interactive process or system to more effectively reflect the customer's different preferences because the customization in the conjoint analysis becomes useful and eventually essential for improving the validity of models. This paper leaves it as a promising future research in the conjoint analysis. 컨조인트 분석에서 속성과 속성수준을 결정하고 속성에 따른 분석모형을 선택하는 것은 모형의 타당성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연구자의 임의적 판단에 의존해 왔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연구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속성과 속성수준을 결정함에 있어 응답자의 상이한 선호를 반영하는 고객화된 모형과 연구자가 임의로 속성과 속성수준을 선택한 모형의 타당성을 속성, 속성수준 및 극단적인 속성수준 포함여부에 따라 각각 살펴보았다. 아울러, 속성의 특성을 어느 분석모형이 잘 반영하는가를 살펴보기 위해서 컨조인트 분석에 적용되는 부분가치모형과 부분가치모형, 벡터모형, 이상점모형을 혼용한 혼합모형의 타당성을 서로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신규 분양아파트 잠재고객 668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응답자가 선택한 속성과 속성수준을 이용한 일종의 고객화된 모형이 연구자가 미리 결정한 속성과 속성수준을 이용한 모형보다 모형의 예측력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분석모형에 따른 차이는 크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분가치모형이 연구에 사용된 속성의 성격을 고려한 혼합모형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는 컨조인트 분석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더불어,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하면 응답자로부터 보다 정확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가에 관한, 즉 자료수집 방법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가장 힘들었던 응답자의 선택에 따라 컨조인트 프로필 셋을 구성하여 설문을 진행한다는 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 발달된 다양한 컴퓨터 기기를 활용하는 등의 보다 효과적인 자료수집 방법을 모색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상완골 소두 골절에서의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

        하청수(Cheungsoo Ha),김준한(Junhan Kim),하중원(Joong Won Ha),이준구(Jun-Ku Lee),한수홍(Soo-Hong Han)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3

        목적: 상완골 소두의 골절은 비교적 드물게 발생되는 손상으로 유병률은 주관절부 골절의 1% 미만으로 알려져 있다. 소두는 요골두와 관절면을 이루고 있어 골절 자체가 관절 내 골절에 해당하여, 골절 전위 시에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골절의 희소성 때문에 치료에 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나 최근에는 무두나사를 이용한 고정술을 시행한 환자들에게서 양호한 치료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본 저자들은 본원에서 소두 골절로 있어 수술적 치료를 시행받은 증례들을 분석하여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통하여 2002년 1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상완골 소두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들 중,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고 16세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K-강선과 압박 무두나사로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을 시행받은 총 19명의 환자들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치료 결과에 대한 영상의학적 결과 분석으로 단순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관절의 안정성 유지, 골절의 유합 여부를 조사하였다. 임상적 결과 분석으로는 최종 추시 시점에서의 주관절 운동 범위, 시각적 통증점수,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 Disability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술 후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수상 당시 평균 연령은 57.3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2.6개월이었고, Bryan–Morrey 분류에서는 1형이 12예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4형이 3예, 3형이 3예, 2형이 1예씩이었다. 영상의학적 분석 결과로서 모든 골절에서 최종 추시 시 골유합을 얻었으며 관절의 불안정성이 발견된 경우는 없었다. 임상적 분석 결과로써 수술 후 평균 굴곡구축은 9.7° (최소 0°–최대 30°), 평균 최대굴곡은 130.3° (최소 90°–최대 145°)였으며 평균 총 굴곡 신전 각도는 120.5°였다. 최종 추시 시 평균 시각통증 점수는 1.3 (최소 0–최대 3)점이었다. 최종 추시 시 평균 MEPS는 85.5 (최소 75–최대 95)점, 평균 DASH 점수는 27.6 (최소 5–최대 46)점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 상완골 소두 골절은 드물어 흔하게 경험하는 골절은 아니지만, 손상 양상을 파악하여 전위된 골편의 해부학적 정복 및 K-강선과 무두나사를 이용한 안정된 고정이 이루어진다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urpose: Fractures of the capitellum of the humerus are relatively rare injuries, and the prevalence is known to be less than 1% of all elbow fractures. Since the capitellum forms an articular surface with the radial head, this fracture is considered to be an intra-articular fracture, and surgical treatment is required for the displaced fracture. Due to the rarity of this type of fracture, only a few studies on treatment have been published. We report the results of cases that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capitellum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rough a retrospective review,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a capitellum fracture from January 2002 to January 2020, and who could be followed-up for at least 12 months and were over 16 years old were included. A total of 19 patients who underwent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K-wires and headless compression screws were included. Radiographic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imple radiographs taken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of the joint and the union of fractures. Clinical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range of motion of the elbow, visualized pain score,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nalyzed at the time of the final follow-up.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57.3 years, and their average follow-up time was 22.6 months. Most of them were type I (n=12) as per the Bryan–Morrey classification. The radiographic analysis showed that bony union was obtained at the final follow-up in all cases, and there was no case of joint instability. The results of the clinical analysis showed that average flexion contracture was 9.7° (min 0°–max 30°), average further flexion was 130.3° (min 90°–max 145°), and average range of motion was 120.5°, and the average visualized pain score at the final follow-up was 1.3 (min 0–max 3). At the final follow-up, the average MEPS was 85.5 (min 75–max 95) and the average DASH score was 27.6 (min 5–max 46), which was satisfactory. Conclusion: With early rehabilitation, capitellum fractures can be treated well without complications if the joint surface is aligned congruently with open reduction and firm fixation by using K-wire or headless compression screws.

      • KCI등재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Mayo 2A형)에서장력대 강선 고정술의 적용이 필수적인가?

        홍인태,하청수,조성민,안우열,한수홍 대한골절학회 2022 대한골절학회지 Vol.35 No.3

        Purpose: Various problems have been reported with tension-band wire (TBW) fix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anatomical plates and the improvement of fixation forces, plate fixation is currently being performed for non-comminuted, displaced, transverse olecranon fractures (Mayo Type 2A). This study compared the usefulness of the above two procedures applied in non-comminuted, displaced, transverse olecranon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Fifty-three patients with Mayo Type 2A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Twentynine patients underwent TBW fixation, while the other 24 underwent plate fixation. The average outpatient follow-up period was 10 months for both groups. Both groups were analyzed radiologically and clinically. The radiological assessment included the time to bone union, joint stability, and presence of traumatic osteoarthritis at the final follow-up. The clinical assessment included the operation time, range of motion of the elbow joint,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 Disability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and the pres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Both groups showed stable elbow joints, proper union of fractures, and no traumatic osteoarthritis at the final follow-up. The range of motion for the TBW fixation group was 142° (range, 3° -145°), while that of the plate fixation group was 135° (range, 4°-139°) at the final follow-up (p=0.219). The MEPS was 98.2 and 97.7 for the TBW fixation and plate fixation groups, respectively (p=0.675). The DASH score was 10.7 and 13.9 for the TBW fixation and plate fixation groups, respectively. Both groups showed excellent results, and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289). Conclusion: TBW fixation and plate fixation were compared in non-comminuted, displaced, transverse olecranon fractures, and good results were obtained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Hence, surgeons should choose a technique they are more confident with and can be applied more efficiently. 목적: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Mayo 2A형 주두 골절)에대해 골절부의 인장력을 압박력으로 변화시키는 원리로 장력대 강선 고정술이 주된 수술적 치료 방법으로 적용되었다. 하지만 장력대 강선 고정술의 다양한 문제점들이 보고되고, 이와 함께 해부학적 금속판의 발달과 고정력 향상으로 최근에는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에 대해서도 금속판으로 고정술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에서 적용되는 위 두 술식을 비교 분석하여 그 유용성에 대해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분당차병원 정형외과에서 주두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Mayo 분류 2A에 해당하는 53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하였다. 장력대 강선 고정술을 시행한 환자는 29명, 금속판내고정술을 시행한 환자는 24명이었으며, 평균 외래 추시 기간은 10개월이었다. 방사선적 분석으로 골절의 유합 시기, 최종 추시상 외상성 관절염의 발생 유무를 조사하였고, 임상적으로는 수술 시간, 관절의 안정성 유지, 최종 추시에서 주관절 운동 범위, MEPS, DASH score, 술 후 합병증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두 술식 수술군 모두 방사선 검사상 골유합 소견을 확인할 수 있었고, 골유합까지의 평균 소요 기간은 장력대 강선고정술에서는 10.3주, 금속판 내고정술에서는 11.5주였다. 수술 시간은 장력대 강선 고정술에서는 46.3분, 금속판 내고정술에서는 52.0분이었으며,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모든 환자에서 주관절의 안정성이 유지됨을 확인하였으며, 주관절의 평균 관절 운동 범위는 장력대 강선 고정술에서 142° (범위 3°-145°), 금속판 내고정술에서 135° (범위 4°-139°)로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19). 평균 MEPS는 장력대 강선 고정술에서 98.2점, 금속판 내고정술에서 97.7점으로 두 술식군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675). 평균DASH score 역시 장력대 강선 고정술에서 10.7점, 금속판 내고정술에서 13.9점으로 이 역시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89). 술 후 내고정물 제거술은 장력대 강선 고정술에서는 66%, 금속판 내고정술에서는 75%에서 시행하였다. 술후 합병증은 장력대 강선 고정술 후 핀 후방 전위 1예, 이소성골화증 1예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에서장력대 강선 고정술과 금속판 내고정술을 비교한 결과 두 군간 유의한 결과 차이 없이 좋은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에서 장력대 강선 고정술 및 금속판 고정술 모두 추천할 만한 술식으로 증례에 따라, 또 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수술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흑인 여성에서 발생한 밴드형 말단골용해: 증례 보고 및 문헌 고찰

        단진명,하청수,이호재 대한수부외과학회 2022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7 No.1

        Acro-osteolysis is a bone resorption reaction that progresses slowly in the distal phalanx of the hand and foot and is associated with various diseases. It can be classified as idiopathic or secondary. Although the mechanism of acro-osteolysis has not been fully elucidated, the presence of a chronic ischemic injury appears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and bone metabolism dysregulation due to the accompanying calcinosis or peripheral neuropathy also appears to contribute. Acro-osteolysis can show various clinical and radiological features, and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the underlying etiology is essential. It is a rare and sporadic disease worldwide. The authors experienced a case of acro-osteolysis suspected of idiopathic cause in a Black woman; therefore, we report this case with a literature review.

      • KCI등재

        린버그-콤스톡 증후군: 증례 보고 및 문헌 고찰

        김세기,하청수,오치훈,정심호,한수홍 대한수부외과학회 2023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8 No.4

        1979년 린버그(Linburg)와 콤스톡(Comstock)은 장무지굴곡건과 제2 심수지굴곡건 사이 비정상적인 해부학적 구조물의 연결로 인해 해당 수지의 독립적인 굴곡에 이상을 초래하는 병변을 보고하였다. 해당 소견은 기능적으로 섬세한 수지 사용이 필요한 경우 일상 생활에 불편감을 유발할 수 있어, 증상에 따라 수술적 치료가 추천되기도 한다. 본 저자들은 선천적인 무지와 인지의 동시 굴곡 증상에 대한 기능 개선을 원해 내원한 환자에게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린버그-콤스톡 증후군에 대한 수술적 치료 보고는 국내에서는 드물어 본 저자들은 해당 환자를 토대로 경험한 바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In 1979, Linburg and Comstock reported a lesion that interfered with the independent flexion of the fingers due to an abnormal connection between the flexor pollicis longus and the tendon of the flexor digitorum profundus to the index finger. This entity can cause discomfort in daily life when functionally delicate finger use is required; therefore, surgical treatment is sometimes recommended depending on the symptoms. The authors performed surgical treatment for a patient who visited our outpatient clinic seeking functional improvement for congenital symptoms of simultaneous thumb and index finger flexion and obtained satisfactory results. Reports of surgical treatment for Linburg-Comstock syndrome are rare in Korea, so the authors report this experience, along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방사형과 초점형 체외충격파를 이용한 견갑골 주변 근막동통증후군의 임상적 치료결과

        이재만(Jaeman Lee),하청수(Cheungsoo Ha),안태근(Tae-Keun Ahn)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2

        목적: 지난 20년간 근막동통증후군에서 체외충격파 치료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방사형과 초점형의 효과를 직접적으로 비교한 선행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체외충격파 유형에 따른 견갑골 주변 근막동통증후군의 임상적 치료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18년 1월부터 2019년 2월까지 견갑골 주변 근막동통증후군을 진단받고 체외충격파 치료를 시행받은 6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유형별로 방사형 체외충격파 치료군 24명, 초점형 체외충격파 치료군 42명이었다. 치료 시작 전 시각통증척도와 어깨관절 기능평가 조사항목으로 Constant Murley scale, UCLA score를 조사하고, 1주일 간격으로 총 6차례의 체외충격파 치료를 마친 후 동일한 시각통증척도와 어깨관절 기능평가 조사항목Constant Murley scale, UCLA score를 다시 조사하였다. 결과: 시각통증척도는 방사형 체외충격파 치료군에서 치료 전 3.66점에서 치료 후 2.54점으로 개선되었고(p=0.007), 초점형 체외충격파 치료군에서 치료 전 3.26점에서 치료 후 2.52점으로 개선되었다(p=0.010). 어깨관절 기능평가 조사항목에서는 방사형 체외충격파 치료군에서 치료 전 Constant Murley scale, UCLA score는 각각 64.60점, 24.96점에서 치료 후 각각 71.76점, 27.98점으로 개선되었고(p<0.001, p=0.006), 초점형 체외충격파 치료군에서 치료 전 Constant Murley scale, UCLA score는 각각 64.06점, 25.26점에서 치료 후 각각 72.19점, 28.80점으로 개선되었다(p<0.001, p<0.001). 결론: 방사형 및 초점형 체외충격파 치료 모두 견갑골 주변 근막동통증후군 환자의 통증 감소 및 어깨관절 운동기능 증가에 효과적이었다. Purpose: In the past 20 years, studies on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in myofascial pain syndrome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ways, but no studies have compared the effects of the radial and focused type directly. This study examined the clinical treatment effects of periscapular myofascial pain syndrome according to the type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18 to February 2019, 66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periscapular myofascial pain syndrome and subjected to extracorporeal shock waves. Twenty-four patients were in the radial extracorporeal shock wave treatment group, and 42 patients were in the focused extracorporeal shock wave treatment group. Before starting treatment, the visual analog pain scale, Constant Murley scale, and UCLA score were examined. After six shock wave treatments were completed at intervals of one week, the visual analog pain scale, Constant Murley scale, and UCLA score were re-evaluated. Results: The visual analog pain scale improved from pre-treatment 3.66 points to post-treatment 2.54 points in the radial extracorporeal shock wave treatment group (p=0.007), and improved from pre-treatment 3.26 points to post-treatment 2.52 points in the focused extracorporeal shock wave treatment group (p=0.010). For the shoulder function evaluation, the Constant Murley scale and UCLA score in the radial extracorporeal shock wave treatment group improved from 64.60 points and 24.96 points, respectively, before treatment to 71.76 points and 27.98 points after treatment, respectively (p<0.001, p=0.006). The Constant Murley scale and UCLA score in the focal extracorporeal shockwave treatment group improved from 64.06 points and 25.26 points, respectively, to 72.19 points and 28.80 points after treatment (p<0.001, p<0.001). Conclusion: Both radial and focused extracorporeal shockwave therapy were effective in reducing pain and increasing the shoulder function in patients with periscapular myofascial pain syndrome.

      • KCI등재

        Preventive Effects of Low Parathyroid Hormone Levels on Hip Fracture in Patients with Vitamin D Deficiency

        변성은,이순철,김지완,하용찬,김철호,하청수,류근정,고정민,김형경,장재석 대한골대사학회 2019 대한골대사학회지 Vol.26 No.2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is to determine the role of serum parathyroid hormone (PTH) on hip fracture development by retrospectivel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itamin D and PTH levels and hip fracture prevalence. Methods: Among 288 patients over 50 years of age, 113 patients with hip fracture and 111 controls without fracture were analyzed after excluding patients with conditions affecting bone metabolism. Bone mineral density and serum biochemical markers were measured, while demographic data were obtain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serum 25-hydroxy-vitamin D (25-[OH]D) and PTH levels: LowD+LowP (low 25[OH]D and PTH); LowD+HighP, (low 25[OH]D and high PTH); HighD+LowP (high 25[OH]D and low PTH); and HighD+HighP, patients with (high 25[OH]D and PTH). Measured values and percentages of patients with hip fracture in each group were then determined and compared. Results: The number of patients included in the LowD+LowP, LowD+HighP, HighD+LowP, and HighD+HighP groups was 116, 17, 87, and 4, while the percentages of patients with hip fracture in the same groups were 60.3%, 88.2%, 27.6%, and 100%,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hip fractur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LowD+LowP than the LowD+HighP group (P=0.049). Conclusions: Patients with low serum 25(OH)D and PTH levels showed lower hip fracture prevalence, indicating the potential protective role of low PTH levels on bone health in patients with vitamin D deficiency. Therefore, clinician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fractures in patients with vitamin D deficiency who present with high PTH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