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기 청소년기 경찰접촉에서 인식한 절차적 공정성이후기 청소년의 법의식에 미치는 영향: 경찰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하지은,김민지 한국경찰연구학회 2018 한국경찰연구 Vol.17 No.4

        The study examined how legal consciousness and attitudes towards police can differ based on perceptions of procedural justice when contacted by police during middle adolescent period. We further examined whether attitudes toward polic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procedural justice and legal consciousness. Total of 83 late adolescents aged between 19 to 24 who experienced police contacts for crime victimizations, criminal behaviors, or as a witness during their middle adolescent period (aged between 13 to 18) participated for the study. The study results suggested that participants who contacted with police during their middle adolescent period with higher procedural justice perception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legal consciousness and more likely to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s police. Further analysis suggested that attitudes toward polic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procedural justice and legal consciousness. The results confirms that contacts with police during middle adolescence influences procedural justice perceptions, which in turn, influences attitudes toward police. It implies that police can take on a role of a legal educational institution to adolescents and thererfore, the investigation process on adolescents should be procedurally just.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 경찰로부터 조사를 받는 경험을 하게 될 경우 경찰의 절차적 공정성에 대한 인식에 따라 법의식과 경찰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절차적 공정성이 법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찰에 대한 태도가 이를 매개한다는 것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3세에서 만 18세의 중기 청소년기에 범죄 피해, 범죄 행위, 비행으로 조사를 받았거나 참고인으로서 경찰접촉 경험이 있는 만 19세에서 만 24세의 후기 청소년 83명을 대상으로 연구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기 청소년기의 경찰접촉 경험에서 경찰의 절차적 공정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후기 청소년의 법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중기 청소년기의 경찰접촉 경험에서 경찰의 절차적 공정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후기 청소년의 경찰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기 청소년기의 경찰접촉 경험에서 경찰의 절차적 공정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후기 청소년의 법의식이 높게 나타나고, 절차적 공정성이 법의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경찰에 대한 태도가 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중기 청소년기에 경찰로부터 조사를 받는 경찰접촉 경험이 있을 때, 경찰의 절차적 공정성이 법의식과 경찰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경찰이 청소년에 대한 법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청소년에 대한 경찰의 조사 과정이 절차적으로 공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RandomForest와 XGBoost를 활용한 한국어 텍스트 분류: 서울특별시 응답소 민원 데이터를 중심으로

        하지은,신현철,이준기,Ha, Ji-Eun,Shin, Hyun-Chul,Lee, Zoon-Ky 한국빅데이터학회 2017 한국빅데이터학회 학회지 Vol.2 No.2

        2014년 서울시는 시민의 목소리에 신속한 응대를 목표로 '서울특별시 응답소'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접수된 민원은 내용을 바탕으로 카테고리 확인 및 담당부서로 분류 되는데, 이 부분을 자동화시킬 수 있다면 시간 및 인력 비용이 감소될 것이다. 본 연구는 2010년 6월 1일부터 2017년 5월 31일까지 7년치 민원 사례 17,700건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XGBoost 모델을 기존 RandomForest 모델과 비교하여 한국어 텍스트 분류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RandomForest에 대비 XGBoost의 정확도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동일한 표본을 활용하여 업 샘플링과 다운 샘플링 시행 후에는 RandomForest의 정확도가 불안정하게 나타난 반면, XGBoost는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정확도를 보였다.

      • KCI등재

        주거침입 범죄두려움과 주거침입범죄 자기보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별 및 가구형태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하지은,김지현,김민지 한국범죄심리학회 2017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differences in fear of housebreaking crime and self-protective behavior against housebreaking among young adults(the age between 19 and 34) based on gender and type of households, single-person household female(SHF), multi-person household female(MHF), single-person household male(SHM), and multi-person household male(MHM) by conducting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vulnerability model, disorder model, and official control model. As results showed that fear of housebreaking decreased in order of SHF, MHF, SHM, and MHM. In all groups, the only factor predicting the fear of housebreaking crime was the residential disorder. The self-protective behavior against housebreaking crime decreased in order of SHF, MHF, MHM, and SHM. In case of SHF, SHM, MHM, factors predicting the self-protective behavior were the residential disorder and the security level of the house. In case of MHF, the only factor predicting the self-protective behavior was the residential disorder. 본 연구에서는 성별 및 가구형태를 기준으로 만 19세에서 34세 사이의 청년을 1인가구 여성, 다인가구 여성, 1인가구 남성, 다인가구 남성으로 나누어, 각 집단 간 주거침입 범죄두려움과 주거침입범죄 자기보호행동에 차이가 나타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고, 취약성 모델, 무질서 모델, 공식적 통제 모델에 근거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주거침입 범죄두려움은 1인가구 여성, 다인가구 여성, 1인가구 남성, 다인가구 남성 순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집단에서 주거침입 범죄두려움을 예측하는 유일한 요인은 주거지 근처의 무질서 요인이었다. 주거침입범죄에 대한 자기보호행동은 1인가구 여성, 다인가구 여성, 다인가구 남성, 1인가구 남성 순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가구 여성과 1인가구 남성, 다인가구 남성의 경우 주거침입범죄 자기보호행동을 예측하는 요인은 주거지 무질서 인식과 가구방범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인가구 여성의 경우에는 주거지 무질서 인식만이 유일한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학습자 특성에 따른 정의적 스캐폴딩 실행연구

        하지은,조희수,정재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learners' self-efficacy and learning engagement and to improve the researchers' educational practices by providing individual affective scaffolding according to learn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ethods To this end, the class was designed by recognizing the problem and establishing an improvement plan according to the general procedures of action research.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9 students taking an advanced IT application course in the Big Data Management Department at A University in Gyeonggi-do and 2 resear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open-coded and axial-coded, and results were derived using a paradigm model. Results Learners had expectations of new experiences but on the other hand, had difficulty performing assignments due to a lack of self-confidence. However, They compensated for their shortcomings through behavioral and cognitive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the instructor's affective scaffolding provided, learners could gain confidence and develop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performance process. As a result, the learners' self-efficacy improved along with satisfaction through the achievement of their goals, and they recognized the class as a meaningful time.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the instructor's individual affective scaffolding according to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was effective in helping students with Bachelor’s Degree Course at Junior College increase their self-efficacy and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gain confidence in their future career direc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erves as a starting point for expanding action research that explores the effects of individually provided affective scaffolding in Bachelor’s Degree Course at Junior College.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derive customized teaching strategies and strategies for providing affective scaffolding for learner-centered education.

      • KCI등재

        메타버스 사용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 요인들 탐색 및 상호작용성의 조절효과

        하지은,정재삼 한국교육공학회 2023 교육공학연구 Vol.39 No.3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user characteristics factors that affect the intentions to continue using the metavers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activity depending on whether the experience participating in metaverse-based education. In March 2023, valid 396 data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argeting people with metaverse using experience in the 20s to 50s in Korea were analyzed at a significance level of .005 to control for the multiple testing problems. The analysis was performed in the following order: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differences in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metaverse were found to depend on the number of users’ participation in metaverse-based activities and whether or not they have experience participating in education. The intentions to continue using the metaverse were found to depend on the personal innovativeness and perceived usefulness of participants who had previously experienced education activities in the metaverse.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activity in the metaverse were not statistically verified. The implications for the planning and instructional design of metaverse-based educational activities are discussed.

      • KCI등재

        15세기 이탈리아 군주의 이상과 욕망: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의 우르비노 스투디올로

        하지은 서양미술사학회 2008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28 No.-

        This study aims to offer insight into the intention and ambition reflected in the Studiolo of Urbino. I would like to discuss the artistic significance of the Studiolo of Urbino in its intimate architectural relationship with the other spaces of the Ducal Palace at Urbino. Placed in the most inward and secret area of the Ducal Palace, the Studiolo is lavishly decorated with the portraits of ‘Famous Men’ and sumptuous intarsia panels. Originally, Studiolo functioned as a private space for study and meditation. However, the Studiolo of Urbino, unlike previous examples, was a space that was charged with the ambition of prominent political leader at the birth of a concept of modern nations in the West. The late fifteenth century saw the development of highly sophisticated courtly culture as well as the emergence of prominent dukes and princes who succeeded in achieving great military and political power. A strict hierarchy in court became increasingly emphasized by those dukes and princes and can be clearly seen in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Ducal Palace at Urbino. Federico’s Ducal Palace, originally founded over a medieval building, was transformed into an ideal Renaissance palace after three-time renovations. Unlike the medieval building, the size and arrangement of rooms in the newly renovated Ducal Palace was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function and importance of rooms. Considering its location and size, the Studiolo seems to have occupied the top of architectural hierarchy in the Ducal Palace at Urbino. The decoration program of the Studiolo of Urbino is composed of portrait panels and intarsia panels. A series of portraits reveals Federico’s great knowledge of antiquity and his passion for liberal arts. More importantly, his choice of the figures and arrangement of their portraits suggests that Federico’s cultural sophistication was largely indebted to his teacher Vittorino da Feltre, a well-known humanist in that period. On the Trompe-l’oeil marquetry panels, Cardinal Virtues such as Justice, Fortitude, Temperance, Prudence are symbolized each as sword, mace, clock and squirrel. Theological Virtues such as Charity, Faith and Hope are also illustrated. Particularly, the squirrel and the fruit basket with pomegranates rendered on the protruding east wall, which each symbolized Prudence and Unity, suggest that the Duke of Urbino may have been profoundly influenced by he image of Ideal Ruler, widely discussed by scholars like Thomas Aquinas. On the other hand, the intarsia panels of east wall explicitly displays Federico’s desire to harmonize liberal and military arts. The east wall can be divided into Vita Activa on the left and Vita Contemplativa on the right. Armors and other equipments related to a successful condottiere are illustrated on the side of Vita Activa, while the virtual studiolo is placed on the side of Vita Contemplativa. In conclusion, the sumptuously decorated program of the Studiolo of Urbino illustrates every values and achievements that Federico da Montefeltro wished to achieve and propagate. I would like to say that the Studiolo of Urbino was a space full of desire and ambition of a Renaissance duke who wished to be both a cultivated humanist and powerful legitimate political leader.

      • NDI를 활용한 포터블 중계 시스템 구현

        하지은(Ha, Ji_Eun),전정아(Jeon, Jeong-Ah),임소현(Im, So-Hyun),백채이(Paek, Chae-Yi),윤수인(Yun, Su-In),박하은(Park, Ha-Eun),이상운(Lee, Sang-Un)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4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4 No.11

        본 논문에서는 최근 방송 제작 분야에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NDI(Network Device Interface) 기술을 포터블 중계에 적용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SDI를 활용하는 기존 포터블 중계 시스템과는 다르게 네트워크로 연결되기 때문에 사용 장비가 최소화된다. 이 시스템은 누구나 구축 가능하며 간단하다.

      • KCI등재
      • KCI등재

        메타버스 플랫폼이 교육적 맥락에서 사용된 경험연구 문헌분석

        조희수,하지은,허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 플랫폼이 교육적 맥락에서 사용된 경험 연구를 체계적 문헌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교육적 맥락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을 사용한 경험 연구에서 구체적 연구 맥락 및 연구의 결과, 제한점을 분석하여, 메타버스 플랫폼의 교육적 사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방법 2022년 4월 1일 이전에 발행된 연구 중 최근 10년간 KCI 등재지에 게재된 메타버스 경험연구들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최종 14건의 경험연구를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인의 연구자가 주제와 관련된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도출하고, 문헌 선정을 위한 포함 및 배제 기준에 대해 논의 후 확정하였다. 다음으로 2022년 3월 4일부터 4월 1일까지 관련문헌을 검색 및 확인하였으며 문헌 선정 기준에 따라 분석 대상 문헌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문제에 따라 문헌을 체계적으로분석 및 종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메타버스 연구 맥락, 플랫폼 및 기능, 주요 변인을 분석하고, 연구의 주요 결과 및 시사점, 제한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맥락은대학생 대상이 가장 많고, 플랫폼은 Gathertown(8회)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메타버스 플랫폼 내 기능은 대화협력도구, 정서지원도구, 지식구성도구 순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었고, 대상 문헌에서 관찰된 주요 연구 변인은 크게 9개(학습 실재감, 만족도, 몰입감(주의집중), 4C역량, 상호작용, 정서적 요인, 매체 활용 효능감, 이해도, 메타버스 이용동기)로 분류되었다. 결론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은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협력학습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다만, 실제 학습 상황에서의 연구 및 학습 성과를 탐색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학습 목표 및 교과목특성에 따른 메타버스 환경을 설계하여 실제 학습 성과를 탐색하는 후속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교수자는 교육의 목적과 평가 기준을 사전에 고려하여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수전략을 수립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교수자가 플랫폼 내 기능 및 특징을이해하여 학습자가 실재감을 느낄 수 있도록 공간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학습 상황에서 메타버스의 교육적활용에 대한 반복적 연구가 진행된다면 향후 수업 설계 및 가이드라인 개발에 보다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