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업계 고등학교 출신 임금근로자의 직장만족도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영향요인 분석

        하승혁,홍세희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2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5 No.2

        This research aims to classify latent profiles in job satisfaction of workers from vocational high school and analyze the related determinant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1st(2016), 2nd(2017), and 3rd(2019) waves of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 Ⅱ of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KRIVET). The profiles were extracted from 1,037 people who had graduat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went to the company.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three latent profiles emerged: low-level job satisfaction group (28.3%), middle-level job satisfaction group (58.6%), and high-level job satisfaction group (13.1%). In addition, it was proved whether demographic, introspective, career, and employment factors influenced the latent profile. Furthermore, in-school employment activity satisfaction had affected all profiles. According to the findings, this research discusses that vocational high schools should look at the educational or vocational content to increase students’ satisfaction after getting a job. 본 연구는 직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임금근로자의 직장만족도에 따라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였다. 또한, 고등학교 재학 당시의 개인 특성과 경험 중 직장만족도 잠재프로파일 영향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해당 연구를 위해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Ⅱ의 1차(2016), 2차(2017), 3차(2019)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중, 1차 설문에서 마이스터 및 특성화고등학교 2학년 설문에 응답하고 3차 설문에서 ‘주된 일자리-임금근로자’ 설문에 응답한 졸업생 1,037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한 결과, “직장만족도 저 집단”, “직장만족도 중 집단”, “직장만족도 고 집단” 총 3개 집단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자기 탐색적, 진로 관련, 취업 관련 요인 중 어떤 요인이 잠재프로파일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고, 교내 취업 관련 활동 참여 만족도가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는데 모두 영향을 미쳤던 유일한 변수임을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재학생에게 필요한 교육 및 취업의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분할함수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청소년기 사회 자아개념 연구: 영향요인 탐색 및 진로성숙도 차이 검증

        윤소진,하승혁,이준우,김유정,홍세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23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75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hanges in social self-concept in adolescence, explore the effects of factors affecting the latent classes, and examine the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among the latent classes. The 1st to 7th data of KELS 2013 were used for analysis. Among the influencing factors, gender and child's perceived parent-child interaction were used as individual factors,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child interaction were used as parent factors and peer attachment was used as peer factors to analyze the effects of each on the subtypes of social self-concept change. A piecewise growth mixture model was applied since adolescents can experience a transition effect when entering higher schoo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iecewise growth mixture model was the most appropriate, and there were three latent growth classes: reduction-recovery group (3.3%), high-level maintenance group (74.2%), and increase-maintenance group (22.5%). Among gender, parent-child interaction, parenting attitude, parent-child interaction, and peer attachment, which were supposed as the determinants, the parent-child interaction, the self-regulating parenting attitude, and the peer attach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latent classes. The mean was high in the order of the high-level maintenance group, the reduction-recovery group, and the increase-maintenance group, and some mean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provides a foundation for a broad understanding of the social self-concept of adolescence by accurately estimating the changes and identifying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social self-concept subtypes. 본 연구는 청소년기 사회 자아개념의 변화 유형 및 유형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효과를 확인하고, 유형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KELS(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의 1~7차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영향요인 중 개인 요인으로는 성별과 자녀가 인식한 부모-자녀 상호작용 변수를, 부모 요인으로는 양육태도와 부모-자녀 상호작용 변수를, 또래 요인으로는 또래애착 변수를 사용하여 각 변수들이 사회 자아개념 변화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청소년은 상급학교로 진학하는 시점에서 전환기 효과(transition effect)를 겪을 수 있기 때문에 전환점을 기준으로 성장패턴을 다르게 추정하는 분할함수 성장혼합모형(piecewise growth mixture model)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기 사회 자아개념의 변화 패턴은 분할함수 성장모형이 가장 적합하였고, 변화에 따른 유형은 감소-회복 집단(3.3%), 고수준 유지 집단(74.2%), 증가-유지 집단(22.5%)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영향요인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부모-자녀 상호작용이 많을수록, 부모의 자율적 양육태도 수준이 높을수록, 또래애착이 높을수록 증가-유지 집단보다 고수준 유지 집단에, 부모-자녀 상호작용이 많을수록 감소-회복 집단보다 고수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또래애착이 높을수록 증가-유지 집단보다 감소-회복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각 잠재집단의 진로성숙도 평균을 확인한 결과, 고수준 유지 집단, 감소-회복 집단, 증가-유지 집단의 순서로 진로성숙도 평균이 높았다. 본 연구는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하여 전환기를 기점으로 변화하는 청소년기 사회 자아개념의 발달궤적을 유형화하고, 유형에 따른 진로성숙도 차이를 확인하여 청소년기 사회 자아개념을 폭넓게 이해하는 기반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취학 전 타인과 상호작용이 초등학생의 학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학교적응의 매개효과와 가족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지윤,이은진,하승혁,홍세희 육아정책연구소 2021 육아정책연구 Vol.15 No.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chool adaptation process in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on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performance and interaction with others. The study also proposes to evaluate whether these mediating effects differ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family interaction. The analysis for the mediating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as conducted with 1,203 children from the 7th and 11th years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peer interaction and school adaptation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academic performance. Second, the effect of interaction with others on academic performance through school adaptation was significant. Third, the effect of teacher interaction on school adapta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interaction. Fourth, in the relationship that only teacher interaction affects academic performance through school adaptation level,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and controlled by family interaction. 본 연구는 아동의 취학 전 가족 외 타인과의 상호작용과 초등학교 4학년 시기의 학업수행능력간의 관계에서 취학 전 가족-아동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와 초등학교 4학년 시기 학교적응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7차, 11차 자료 중 결측치를 제외한 총 1,20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또래 상호작용과 학교적응은 학업수행능력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둘째,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이 학교적응을 거쳐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다. 셋째, 아동이 경험한 교사 상호작용은 아동과 가족의 상호작용 수준에 따라 학교적응 차이가 존재하였다. 넷째, 아동과 교사 상호작용만이 학교적응을 매개로 학업수행능력에 영향이 미치는 관계에서 가족-아동 상호작용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어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 대한 의의 및 후속 연구, 정책적 제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잠재전이모형을 활용한 장기 미취업 청년의 구직효능감 유형 변화양상 분석 및 영향요인 검증

        윤소진,이준우,하승혁,홍세희 한국노동연구원 2023 노동정책연구 Vol.23 No.2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the job search self-efficacy of long-term unemployed youth and to analyze their transition patterns. Determinants of classifying and changing latent profiles were also verified. 695 long-term unemployed youth in the Youth Panel were analyzed, and the latent profiles for job search self-efficacy in both 2017 and 2020 were classified into three profiles (low, middle, and high group). Gender, education level,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tress were significant in classifying the latent profiles. As a result of latent transition analysis, the low group was more likely to move to the middle group, and the middle group and the high group were more likely to maintain the group. Stress was a significant factor in transition; the lower stress, the more likely to move to the high group rather than maintaining a low group after three years. Based on this study, it will b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job search self-efficacy and to actively discuss ways to increase the job search self-efficacy of long-term unemployed youth. 본 연구는 장기 미취업 청년의 구직효능감에 따라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집단의 전이 양상 및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청년패널의 장기 미취업 청년 695명을 대상으로 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진행한 결과, 2017년과 2020년의 구직효능감 잠재집단은 두 시점 모두 3개(저․중․고집단)로 분류되었고, 2017년의 구직효능감 잠재집단 구분에 성별,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가 유의하였다. 잠재집단 전이 양상 확인결과, 저집단은 중집단으로 전이될 확률이 높았고, 중집단과 고집단은 집단을 유지할 확률이 높았다. 전이 영향요인 중 스트레스가 유의하였는데, 스트레스 수준이 낮을수록 구직효능감 고집단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았다. 본 연구에 기반하여 장기 미취업 청년 구직효능감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의 구직효능감을 상승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주관적 웰빙 잠재프로파일 연구: 영향요인 탐색 및 학교중퇴의도 차이 검증

        홍세희,윤소진,하승혁,민동환 통계청 2022 통계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이용하여 고등학생의 주관적 웰빙 수준에 따라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개인, 사회, 가정, 학교 요인 중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유의한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잠재프로파일 별로 학교중퇴의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8년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고등학생 3,4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고등학생의 주관적 웰빙 잠재프로파일은 총 3개(주관적 웰빙 저·중·고집단)로 분류되었다. 또한, 주관적 웰빙 잠재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사회, 가정, 학교 요인중 주관적 웰빙 집단 분류에는 10개의 변수(성별, 주관적 경제수준, 여가시간, 주관적 건강, 고민을 나눌 사람 여부, 차별 피해경험, 민주적 양육태도, 체벌/욕설 경험(부모), 친구의 배려, 교사의 존중)가 모든 집단 분류에 공통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관적 웰빙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학교중퇴의도는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학교중퇴의도를 낮추고 주관적 웰빙을 높이기 위해 교육 현장에서 시행되어야 할 방안에 대한 논의점을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산재 근로자의 성공적 복귀 유형과 변화 양상: 잠재전이분석을 활용한 영향 요인 및 이직 의도 차이 검증

        윤소진(Yoon Sojin),하승혁(Ha Seunghyeok),홍세희(Hong Sehee)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3 장애와 고용 Vol.33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산재 근로자의 복귀 직후와 1년 후의 성공적 복귀를 유형화하고, 각 잠재 프로파일의 전이 양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또한 성공적 복귀 잠재 프로파일의 영향 및 전이 영향 요인을 검증하고, 유형별 이직 의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3단계 분석 방법을 적용한 잠재전이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산재 근로자의 성공적 복귀 유형은 복귀 직후와 1년 후 모두 4개의 잠재 프로파일(불만족형, 모호형, 안정형, 성공적 복귀형)로 분류되었다. 또한 사회경제적 지위와 동료들의 배려 정도가 모든 잠재 프로파일의 분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복귀 직후 ‘불만족형’은 1년 후에는 유형이 바뀔 확률이 높았으며, ‘모호형’, ‘안정형’, ‘성공적 복귀형’은 유형이 같을 확률이 높았다. 또한,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동료들의 배려 정도가 잠재 프로파일 전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잠재 프로파일 별 이직 의도는 ‘불만족형’이 가장 높았고, ‘적응형’과 ‘성공적 복귀형’이 가장 낮았다. 시사점: 단일 지표로 성공적 복귀를 측정하는 한계를 극복하고, 질적 측면에서의 성공적 복귀 측정의 중요성을 제고하였다. 또한 산재 근로자의 성공적 복귀와 장기 근속을 위한 개입 방안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ategorize the subtypes of a successful return to work immediately and one year after an industrial accident and examine each subtypes transition pattern. Method: Latent transit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applying the three-step analysis method Results: The subtypes of a successful return to work were classified into four latent profiles (unsatisfied, ambiguous, stable, and successful return to work) both immediately and a year after their return. Socioeconomic status and consideration of cowork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return-to-work subtypes. The unsatisfied type was more likely to change its type after a year. In contrast, the ambiguous type, stable type, and successful return to work type were more likely to remain the same subtype. Self-esteem, self-efficacy, and the degree of consideration of coworkers significantly affected the transition of the latent class. The unsatisfied type showed the highest turnover intention. Implications: Based on this research, the practical implication for the successful return to work and long-term employment of industrial accident workers were provided.

      • KCI등재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동향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강윤경 ( Younkyung Kang ),배상영 ( Sangyoung Bae ),하승혁 ( Seunghyeok Ha ),홍세희 ( Sehee Ho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21 중등교육연구 Vol.69 No.1

        본 연구는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7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네트워크 구조와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9월까지 국내 학술지 중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과 관련된 연구 논문의 키워드를 수집하였고, 총 181개 논문으로 교육과정별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결 중심성은 7차 교육과정에서 수준별,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과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평가, 스토리텔링,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과서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하위 네트워크 구조는 주요 집단에서 두 개 이상 연구의 주제어로 구성되었고, 주요 집단 간 연결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주제의 핵심과 구조를 파악하였고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의 흐름을 정리하여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연구 동향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overall network structures based on relationships among keywords mainly covered in high-school mathematics and national curriculum studies from the 7th to the 2015 revised. For the purpose, using 181 domestic studies on the high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up to September 2020, network analysis of each curriculum was conducted. Results show, first, degree centrality indexes were high for ‘level’ in the 7th, ‘textbooks’ in 2007 revised, ‘national level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evaluation’, ‘storytelling’ in 2009 revised, and ‘textbooks’ in 2015 revised. Second, from sub-network analysis, the main group was composed of two or more main words and the main groups were connected. Based on the core and structure of research topics in high school mathematics and national curriculum, current research trends were identified and so far, the flow of mathematics and national curriculum research were summarized.

      • 잠재전이모형을 활용한 장기 미취업 청년의 구직효능감 유형 변화 양상 분석 및 영향요인 검증

        윤소진(Yoon, Sojin),이준우(LEe, Joonwoo),하승혁(Ha, Seunghyeok) 한국고용정보원 2022 세미나 자료 Vol.- No.-

        본 연구는 장기 미취업 청년의 구직효능감에 따라 잠재집단을 분류한 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집단의 전이 양상 및 영향요인을 분석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청년패널(YP)의 11차(2017년)와 14차(2020년) 자료, 추가표본의 3차(2017년)와 6차(2020년)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장기 미취업자의 구직효능감이 어떤 유형으로 나뉠 수 있으며, 각 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자아기 미취업 청년 695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2017년과 2020년의 구직효능감 잠재프로파일은 두 시점 모두 3개의 집단(‘저집단’, ‘중집단’, ‘고집단’)으로 분류되었고, 2017년의 구직효능감 잠재프로파일 구분에 성별,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잠재프로파일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며,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전이 요인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해 잠재전이분석을 실시하였다. 2017년에서 2020년으로의 잠재프로파일 전이 양상을 살펴본 결과, 저집단은 중집단으로 전이될 확률이 높았으며, 중집단과 고집단은 집단을 유지할 확률이 높았다. 전이 영향요인에는 주관적 건강상태와 스트레스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장기 미취업 청년은 자신을 건강하다고 인식할수록, 스트레스 정도가 심할수록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저집단의 상태가 유지되기보다 고집단으로 이동할 확률이 높았다. 본 연구는 장기 미취업 청년의 구직효능감의 유형을 확인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유형의 전이 양상과 그 영향 요인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장기 미취업자의 구직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