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문법의 통합적 평가 방안 연구

        하성욱 국어교과교육학회 2011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8 No.-

        문법은 모든 국어 하위 영역과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문법 이외 모든 국어 교육의 영역은 기본적으로 문법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사실 문법은 그 어떤 국어 교육 영역과도 통합 가능하다. 국어 교육 전체의 바탕을 이루는 것이 문법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교육내용, 방법만 살펴보아도 문법은 다른 영역과 통합할 수 있는 여지를 다수 가지고 있다. 결국 정확하면서도 올바른 국어의 이해와 사용을 위해서는 문법 교육이 필수적이며, 또 작문 및 발화, 독서의 전체 과정 중 일어나는 초인지 작용과 관계된 상당한 영역이 문법적 지식을 필요로 하므로 문법 영역과의 통합은 필연적이라 하겠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전제하에 문법의 통합적 평가의 가능성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문법 중심의 통합적 작문 평가', '작문 중심의 통합적 문법 평가', '문법, 작문, 독서의 통합적 평가'를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봄으로써 통합적 교수·학습 평가의 의미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문법의 지필 평가와 수행 평가의 상관관계 연구

        하성욱 한국문법교육학회 2010 문법 교육 Vol.1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paper-pencil test and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evaluation of Korean Grammar. And I've analyzed the correlation of them. Above of all, I've focused on the following three subordinate subjects. (1) According to total score, Did the paper-pencil test and performance assessment have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paper-pencil test and performance assessment had a high correlation of 0.775 in experimental research.(r=.775, p<0.01)(2) According to assessment element, Did the paper-pencil test and performance assessment have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paper-pencil test and performance assessment had a varied correlation from 0.357 to 0.598. Among them, ‘Phonological Changes’ and ‘Sentence response’, ‘Sentence response’ and ‘Sentence response’, ‘Sentence response’ and ‘meaning of words’, ‘meaning of words’ and ‘meaning of words’,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and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and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and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the rules of Korean orthography’ and ‘the rules of Korean orthography’ had a low correla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paper-pencil test and performance assessment should be carried out for the sake of achievement of validity and credibility (3) According to student's grammatical awareness, Did the paper-pencil test and performance assessment have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correlation is revealed that the more student's grammatical awareness is high, the more the correlation is high. The correlation of non-study group was showed 0.670, the correlation of memorized-study group was showed 0.745, and the correlation of meaningful-study group was showed 0.791. 학교 현장에서는 여전히 ‘죽어 있는’ 문법 지식을 지필 평가 문항을 활용하여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의 원인을 ‘대학수학능력시험’이라고 하는 입시 제도의 문제라 치부(置簿)해 버릴 수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문법 영역은 직접적인 방법으로 평가하기 어려운 것이며 학생의 수행을 바탕으로 직접적인 평가를 하는 것보다 간접적인 평가를 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이라는, 실제적 근거 없는 현장 교사들의 인식이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관규(2004:299~328)는 이러한 현장 교사들의 인식을 실제로 확인해 볼 수 있는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현장 교사 44명을 대상으로 문법 지필 평가와 구술 평가에 대한 인식을 물었는데, ‘지필 평가만으로 충분하다(31.8%, 14명), 지필 평가를 위주로 하고 구술 평가는 조금만 한다(34.1%, 15명), 지필 평가와 구술 평가를 반반으로 한다(29.5%, 13명), 지필 평가는 조금만 하고 구술 평가를 위주로 한다(2.3%, 1명), 구술 평가만으로 충분하다(2.3%, 1명)’라는 결과를 도출한 바 있다. 또한 주세형(2003:303)에서도 수행 평가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인식을 ‘학생들에게 정확한 지식을 주지 않고 놀게 하는 것’이라며 단적으로 제시한 바 있다. 이와 같이 수행 평가의 기본 개념과 취지가 무색해졌음을 비판하며, 지식의 의미를 더욱 심각하게 고려하여 수행 평가를 고안해야 하고, 학생들에게 더 높은 성취 기준을 요구함을 널리 알릴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에서 주목해 보아야 할 부분은 현장 교사들이 지필 평가에 대해 호의적인 반면, 구술 평가(수행 평가)에 대해서는 그다지 호의적이지 못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교사들의 인식으로 볼 때 현장에서 문법 영역의 평가는 지필 평가 위주로 전개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는 근본적으로 타당한 문법 평가 구현을 저해하는 것이 될 수도 있다. 문법 영역에서 지필 평가와 수행 평가 각각 나름대로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지니고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지필 평가에서 평가하지 못하는 부분을 수행 평가로 평가할 수 있는 가능성도 충분히 내재되어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실제로 최지현(2000:109)에서는 “서답형 지필 평가나 구술 평가 등이 교수․학습을 통해 얻어진 학습자의 국어능력을 완전히 측정하거나 진단할 수 있다고 보기 어렵다면, 선택형 지필 평가로 평가하지 못하는 학습자의 국어능력은 그보다 더 많을 것이다.”라고 제시한 바 있다. 이는 곧 서답형 지필 평가나 구술 평가가 선택형 지필 평가로 측정하지 못하는 국어능력을 측정할 수 있음을 역설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능성을 실재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다시 말해 지금까지 문법의 지필 평가와 수행 평가에 대해 가져왔던 막연한 인식을 실험 연구 설계로 구체화해 보고자 한다. 특히 지필 평가와 수행 평가의 상관관계에 주목하며, 문법 영역의 효과적인 평가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욕창 재건에 있어 천공분지에 기저를 둔 도서형 피판의 유용성

        하성욱,이근철,박정민,김석권,이진화 대한성형외과학회 2004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31 No.4

        For treatment of the pressure sore, variable methods have been developed such as skin graft, local flap, myocutaneous or fasciocutaneous flap. The myocutaneous flap has been used commonly for the coverage and padding of the wound. However, sacrifice of the deep muscles causes some problems such as intraoperative bleeding, functional disabilities of donor sites, and difficulty in controling the volume of the flap for the skin reability of myocutaneous flaps.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we tried perforator-based myocutaeous island flaps for reconstruction of buttock area. During the dissection of the flap, we could control the volume and shape of the flap exactly depending on the perforator. And minimal morbidity of the donor site is expected because of significant volume of gluteus maximus muscle need not be sacrificed. The perforator-based flaps are especially indicated for ambulatory patients, and for paraplegic patients as well.Clinically, total of 20 cases were treated with 13 parasacral perforator-based myocutaneous island flaps and 7 parasacral perforator-based fasciocutaeous island flaps. The mean operating time was 84 minutes, and the mean flap size was 8×9.2cm. In donor sites, primary closure were done in all cases, post operative complications were wound dishescence in 1 case, venous congestion in 3 cases, but immediately improved. Recurrence was not reported.

      • KCI등재

        전자부품 중소기업의 상대적 탐험지향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하성욱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5 산업혁신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상대적 탐험지향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동태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우리나라 전자부품산업에 속한 중소기업 80개의 1995년-2004년간 자료를 이용하여 종단적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상대적 탐험지향성은 매출액성장률(동년)과 U자형태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매출액성장률(+3년)과는 역의 U자 형태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대적 탐험지향성은 ROS들과는 어떠한 관계도 가지지 않았다. March(1991)의 적정균형가설이 단기적 관점이 아닌 장기적 관점에서 나타나는 현상임을 실증한 의의를 가진다. Uotila et al.(2009)은 탐험이 수행된 시점의 경영성과를 대상으로 상대적 탐험지향성과 Tobin’s Q가 역의 U자 형태의 관계를 가짐을 실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상대적 탐험지향성이 매출액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을 동태적으로 분석해본 결과, 단기 보다는 장기에서 적정균형가설이 지지되었다. 단기적으로는 활용에 집중하거나 시장상황이 좋은 제품의 탐험에 집중하는 것이 쉽게 매출액 성장률을 높일 수 있었다. 그렇지만 관련된 표본기업에서 나타난 현상을 보면 지나친 탐험을 하는 경우에는 기존 역량과 결합하여 경쟁기업과 구별되는 차별적 역량을 형성하기가 쉽지 않았고, 탐험의 효과를 장기적으로 지속시키기 어려웠다. 적어도 전자부품 중소기업에서 성공의 함정이나 실패의 함정 모두 근시안적 경영의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이었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relative exploration orientation and firm performance, based on the longitudinal analysis of 80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in the Korean electronic parts industry during the period of 1995-2004. Relative exploration orientation is the amount of exploration divided by the sum of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es sales growth rate and return on sales(ROS), and their time intervals cover from year t, in which exploitation and exploration occur, to three year after year t (i.e. t+3).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1) relative exploration orientation has an U-shaped relationship with sales growth rate in year t, and a reversed U-shaped relationship with sales growth rate in year t+3. It has no relationships with sales growth rates in other years. (2) it has no relationships with ROS in any years.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Based 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문법 탐구 학습의 학습 동기 증진 효과 연구

        하성욱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15 한어문교육 Vol.33 No.-

        This study aims at assuring effects of inquiry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In other words, this study confirm a next hypothesis based on Pintrich &De Groot(1990). First, Inquiry study will improve student's self-efficacy and Intrinsic value. Second, Inquiry study will not help solution of Test anxiety at all. But it will has a negative impact on Test anxiety. To achieve this aim, I have used the ‘Questionnaire of Grammar Learning motivation’(included 22 questions). A reliability(Cronbach Alpha) of measurement tool was turned out that self-efficacy was .81, intrinsic value was .85, test anxiety was .86. The whole reliability of measurement tool was .78. The following ar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nquiry study improved student's self-efficacy(M=3.567, p=.006) and Intrinsic value(M=8.267, p=.000). Inquiry study group is showing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than the control group(p<.05). By teaching Grammar, inquiry study is actually played a vital role. Second, inquiry study does not have an affect on Test anxiety(M= -.6, p=.791). Inquiry study group is not showing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p<.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