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LOD 기반의 화산재 확산 모델 가시화

        박찬수,최형환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1 No.-

        화산재해대응을 위하여 화산분화 시 화산재 확산의 다양한 조건을 분석 모델에 의해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도출된 결과물을 가시화함으로서 화산재 확산 시 피해규모 및 범위를 사전에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간대 별 격자 형태의 대용량 분석 결과물을 실시간 3차원으로 가시화하기 위해 LOD(Level Of Detail) 알고리즘을 핵심 요소로 적용한다. 최근 3차원 시각화 기술은 재해 시뮬레이션은 물론, GIS 응용 분야, 가상현실 등을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대용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시각화를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메모리 한계성의 극복은 아직 과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의 화산재 확산 분석 모델 데이터를 가시화하기 위해 파일 기반의 효율적은 실시간 LOD 알고리즘 개발을 수행한다. 실시간 LOD 알고리즘은 대규모 분석데이터 표현에 필요한 기하학적 연산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시간대별 격자형태의 화산재 확산 분석 모델 결과 데이터(NetCDF)의 가시화를 위해 3차원 격자 데이터를 공간 분할하여 피라미드 형태의 계층적인 구조로 재구성 하는 방법을 선택한다. 또한 정규화 된 3차원 격자(Cube)는 사용자 시야를 중심으로 원활하고 사실감 있는 표현이 될 수 있도록 비 메모리 방식의 계층 구조로 블록화하여 파일 형태로 저장한다. 대용량 분석데이터는 다수의 상세도를 가지는 데이터로 변형하고 이를 상호 연결함으로서 수많은 격자를 데이터 손실 없이 표현하고 3차원 프레임 속도를 극대화 시키는 방안을 제시한다.

      • 통합형 화산재해 대응시스템 운영을 위한 플랫폼 아키텍처 수립

        김호웅,최형환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1 No.-

        통합형 화산재해 대응시스템 플랫폼이 가져야할 아키텍처 요건과 각 기관에서 개발된 컴포넌트를 통합 연계할 수 있는 아키텍처 모델을 제시하여 화산재해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의 근간이 되는 통합형 화산재해 대응 시스템 플랫폼 설계를 통해 의사결정 지원 및 재난대응 표출이 가능하도록 아키텍처 설계할 수 있는 참조모델을 연구하고, 최종시스템 사용자의 사용성 및 편리성을 도모하고 화산재해 연구업무의 환경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화산폭발 전조정보 수집 등 유관기관(기상청, 행정기관 등)과의 자료 공유 및 연계방안 수립을 위해 설계된 통합형 플랫폼의 아키텍처를 소개한다.

      • LOD 기반의 화산재 확산 모델 가시화

        박찬수,최형환,Park. Chan Soo,Choi. Hyung Hwan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1

        화산재해대응을 위하여 화산분화 시 화산재 확산의 다양한 조건을 분석 모델에 의해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도출된 결과물을 가시화함으로서 화산재 확산 시 피해규모 및 범위를 사전에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간대 별 격자 형태의 대용량 분석 결과물을 실시간 3차원으로 가시화하기 위해 LOD(Level Of Detail) 알고리즘을 핵심 요소로 적용한다. 최근 3차원 시각화 기술은 재해 시뮬레이션은 물론, GIS 응용 분야, 가상현실 등을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대용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시각화를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메모리 한계성의 극복은 아직 과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의 화산재 확산 분석 모델 데이터를 가시화하기 위해 파일 기반의 효율적은 실시간 LOD 알고리즘 개발을 수행한다. 실시간 LOD 알고리즘은 대규모 분석데이터 표현에 필요한 기하학적 연산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시간대별 격자형태의 화산재 확산 분석 모델 결과 데이터(NetCDF)의 가시화를 위해 3차원 격자데이터를 공간 분할하여 피라미드 형태의 계층적인 구조로 재구성 하는 방법을 선택한다. 또한 정규화 된 3차원 격자(Cube)는 사용자 시야를 중심으로 원활하고 사실감 있는 표현이 될 수 있도록 비 메모리 방식의 계층 구조로 블록화하여 파일 형태로 저장한다. 대용량 분석데이터는 다수의 상세도를 가지는 데이터로 변형하고 이를 상호 연결함으로서 수많은 격자를 데이터 손실 없이 표현하고 3차원 프레임 속도를 극대화 시키는 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개별 권리객체 기반의 3차원 지적정보 구축 및 활용방안

        배상근,이성규,신윤호,김재복,최형환,Bae, Sang-Keun,Lee, Seong-Gyu,Shin, Yun-Ho,Kim, Jae-Bok,Choi, Hyung-Hwan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16 지적과 국토정보 Vol.46 No.1

        기존에는 토지의 이용이 지표에 한정된 비교적 단순한 형태였으나, 급속한 도시밀집화 및 대규모 도시개발 등으로 인해 최근에는 토지 이용이 공중, 지하로까지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토지에 대한 권리도 기존의 2차원적 측면에서 3차원적 측면까지 확장할 필요성이 생겼고, 최근 몇 년 사이 3차원 지적정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중 3차원 지적정보의 구축 및 가시화에 대한 연구도 일부 진행되었으나, 대부분 필지에 포함된 건물이나 시설물을 전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눈에 보이는 건물의 '물리적 정보'뿐 아니라 '권리적 정보'의 측면까지 고려하게 되면, 공동주택이나 상가건물과 같은 집합 건축물은 하나의 건물에 여러 개의 권리관계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이들을 각각의 권리객체로서 표현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개별 권리객체 단위로 지적정보를 구축 및 표현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기존보다 더욱 정교한 3차원 지적정보를 구축하고 표현함으로써 지적정보의 수준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지적정보가 향후 부동산 정보, 인구통계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와 결합된다면, 지적정보의 활용성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uses of land were relatively simple in the old days, but they are being expanded rapidly to the aboveground and underground due to the urban concentration, the large-scale urban development and so on in these days. Accordingly, the concept of the rights to lands grows from 2D to 3D, and many studies about the 3D cadastral information have been performed in recent years. Several studies were performed about the construction and the visualization of the 3D cadastral information, but most of them focused on the 3D visualization of the buildings and facilities. However, it is more desirable to visualize the individual objects of the rights to lands while considering 'the information on the rights' as well as the 'physical information'. Therefore it is supposed to construct and use the 3D cadastral information based on the individual objects of the rights in this paper. The level of the cadastral information will be upgraded by making and describing more detailed 3D cadastral information through this paper. And also the applicability of the 3D cadastral information will be improved when it is used with the real estate information, the demographic information and many others.

      • VWorld 고 정밀 3D 실내 공간정보 서비스의 성능 향상 방안

        박찬수(Chan-Soo Park),김성호(Sung-Ho Kim),최형환(Hyung-Hwan Choi),이현수(Hyun-Soo Lee) 대한공간정보학회 2015 한국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9

        컴퓨터 그래픽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에 따라 웹 또는 모바일 환경에서 단순히 지도를 보기 위한 2D/3D 공간정보뿐만 아니라, 고 정밀 위성/항공 영상, 지형 정보, Street 정보, 그리고 실내외의 고 정밀 3D객체정보에 대한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정부기관, 지자체, 기업 및 개인이 보유한 2D/3D 공간정보의 사실감 있는 제공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 고 정밀화에 부흥하여 3D 스캐너, LiDAR 등 측량 장비에 의해 고 정밀 3D 실내 공간 데이터베이스가 활발하게 구축되어 지고 있으나, 이를 서비스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기술의 부재로 인해 고 정밀 데이터의 손실 압축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고 정밀 원시데이터의 서비스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적 기술의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고용량, 고정밀의 실내 3D 공간 정보의 원활한 서비스를 위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고 기존 브이월드 실내 공간 서비스 성능을 최적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