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골극 골절의 관절경적 치료 후 슬관절의 전방 불안정성

        최종혁,김성환,주종환,김형식,Choi, Chong-Hyuk,Kim, Sung-Hwan,Joo, Jong-Hwan,Kim, Hyung-Sik 대한관절경학회 2006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0 No.1

        목적: 경골극 골절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골편의 정복 및 고정 후 골절편의 정복 정도와 전방 불안정성에 대한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골극 골절로 관절경적 치료를 받은 32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8개월(12개월-48개월)이었다. 수술 후 평가는 Lachman 검사 및 회전 불안정성 검사와 KT-2000 관절측정기를 이용한 건측과의 전방전위차이(SSD)를 측정하였다. 방사선 사진 상 골편의 완전 정복, 전방 거상 및 정복 실패로 나누었고, 골편의 정복 정도에 따른 전방 불안정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골편의 완전 정복, 전방 거상, 정복 실패는 각각 23예(71%), 8예(25%), 1예(4%)였고 pull-out 방법 28예 중 8예(29%)에서 전방 거상이 있었다. 완전 정복군과 전방 거상군의 SSD는 각각 2.0 mm와 2.8mm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Lachman 0등급 비율(P=0.021)과 3 mm 미만의 SSD의 비율(P=0.048)은 의미 있게 정복군이 높았다. 결론: 심하게 전위된 골절일수록 골편의 정확한 정복이 술 후 전방 동요를 줄이는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봉합사를 이용한 pull-out 방법에 의한 고정은 수술 후 골편 전방부의 거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evaluated the result of the degree of reduction and anterior instability after arthroscopic treatment of tibial spine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cases of tibial spine fractures treated with arthroscopic procedure could be evaluated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8\;(12{\sim}48)$ months. Evaluations included Lachman test, rotatory instability examination and side to side difference (SSD) using KT-2000 arthrometer. The degree of radiologic reduction was classified as accurate reduction, anterior elevation and reduction failure, according to which the degree of anterior instability was measured. Results: There were twenty three cases (71%) of accurate duction, eight cases (25%) of anterior elevation and one case (4%) of education failure. Eight (29%) of twenty eight cases with pull-out method showed anterior elevation. The SSDs of the accurate reduction and the anterior elevation group were 2.0 mm and 2.8 mm, respectively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percent age of grade 0 Lachman test and SSD less than 3 mm of the accurate reduc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Conclusion: Accurate reduction is important in reducing anterior instability especially in unstable fractures. Therefore, arthroscopic pull-out method should be performed with great caution to avoid anterior elevation of the fracture fragment.

      • SCOPUSKCI등재

        진주 가산리 우물지에서 출토된 동물뼈 유물의 해부학적 분류

        최종혁,이시준,김종섭,원청길,Choi, Jong-Hyuk,Lee, Si-Joon,Kim, Chong-Sup,Won, Chungkil 대한수의학회 2021 大韓獸醫學會誌 Vol.61 No.4

        The classification of the bone pieces excavated from Gasan-ri archaeological site 1 in Jinju, presumed to be relics was investigated macroscopically. The remains of the animal bone were 3 classes (Mammalia, Aves, Amphibia), 5 orders (Carnivora, Artiodactyla, Galliformer, Rodentia, Salientia), and 6 species (Sus scrofa, Cervidae sp., Nyctereutes procyonides, Phasianidae, Rattus norvegicus caraco, Rana nigromaculata). The total weight of the animal bone remains was 1,002.80 g, with the identified bones comprising 975.30 g and an identification rate of 97.26%. A total of 447 animal bone fragments were identified, including 204 bone pieces of S. scrofa (468.00 g, 47.99%), 102 bone pieces of Cervidae sp. (453.79 g, 46.53%), 68 bone pieces of R. nigromaculata (4.69 g, 0.48%), 59 bone pieces of N. procyonides (47.14 g, 4.83%), 9 bone pieces of Phasianidae (0.98 g, 0.10%), and 5 bone pieces of Rattus norvegicus caraco (0.70 g, 0.07%). The bone pieces of the animal relics consisted of 81 skull (18.12%), 161 axial skeleton (36.02%), 64 forelimb (14.32%), and 141 hindlimb (31.54%) fragments. The archa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animal bones excavated in this investigation was that wild boars and deer were presumed to have been mainly used animals in the Gasan-ri area of Jinju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 KCI등재

        임펄스전압에 의한 수중방전특성의 분석

        최종혁(Jong-Hyuk Choi),안상덕(Sang-Duk An),이복희(Bok-Hee Lee)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8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2 No.2

        이 논문은 반구형 수조에 설치되어 있는 침전극과 구형전극에 표준뇌임펄스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나타나는 수중 방전현상과 절연파괴특성을 나타낸다. 이 논문의 목적은 뇌서지에 대한 과도접지임피던스와 관련된 기본적인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인가전압의 극성과 물의 저항률에 따른 방전광을 촬영하였고 절연파괴전압의 의존성을 측정하였다. 침전극과 구형전극의 끝단에서 스트리머코로나가 발생하였고 접지된 수조를 향하여 단계적으로 진전하였다. 저항률에 따른 절연파괴전압은 V자 형태를 나타내며, 구형전극의 절연파괴전압-시간곡선이 침전극보다 높게 나타났다. This paper describes underwater discharge phenomena and breakdown characteristics in case that the standard lightning impulse voltage is injected to the needle and spherical electrodes instilled in the hemisphere water tank. The objective of this work is to understand the basic features related to transient ground impedance against lightning surges. The discharge luminous images were observed and the dependence of breakdown voltage on the polarity of applied voltage and water resistivity were investigated. As a consequence, streamer corona is initiated at the tip of needle and spherical electrodes and is propagated toward grounded tank with stepwise extension. The breakdown voltage characteristics measured as a function of water resistivity showed Vrshaped curves. Breakdown voltage and time curve of needle electrode is higher than that of spherical electrode.

      • KCI등재

        접지전류의 주파수에 따른 대지표면전위 상승 및 위험전압의 분석

        최종혁(Jong-Hyuk Choi),조용승(Yong-Sung Cho),이복희(Bok-Hee Lee)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1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5 No.4

        The most important object of grounding systems is to protect human being from electric shock. Touch and step voltages are measur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s of grounding systems. Dangerous voltages have been largely studied by the power frequency fault currents, on the other hand, the ground current containing the high frequency components and surge currents haven't been considered. Many attempts about the grounding impedances reported in these day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the grounding systems in high frequency range is very different with the ground resistanc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dangerous voltages formed by the ground currents containing high frequency components. In this paper, the ground surface potential rises near the vertical and horizontal grounding electrodes are measured at the frequency of 100[Hz], 30[kHz], and 100[kHz]. Dangerous voltages are investigated with the frequency-dependent grounding impedance. As a result, the ground surface potential rise is increased as the grounding impedance increases. Touch and step voltages near the grounding electrode whose impedance increases with the frequency are sharply raised.

      • KCI등재

        접지그리드의 접지임피던스 측정의 정확도 평가

        최종혁(Jong-Hyuk Choi),최영철(Young-Chul Choi),정동철(Dong-Cheol Jeong),김동성(Dong-Seong Kim),이복희(Bok-Hee Lee)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9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3 No.12

        최근 대형 건축물들은 접지그리드를 기반으로 한 공통접지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접지시스템의 성능평가는 접지저항만으로 불충분하므로 접지임피던스의 측정이 요구된다. 대형 접지시스템의 접지임피던스에 대한 측정방법은 IEEE standard 81.2에 기술되었으나 세부적인 평가방법들은 제시되지 못한 상태이다. 본 논문은 15[m]×15[m] 접지그리드에 대하여 수정된 전위강하법에 기반한 접지임피던스의 정확한 측정방법과 보조전극의 위치에 따른 도전유도 및 전자유도에 의한 측정오차를 기술한다. 그 결과 도전유도에 의한 오차는 보조전극의 거리가 늘어날수록 감소하였다. 전자유도에 의한 오차를 배제하기 위해서 전위측정선은 전류측정선과 90도를 이루어야 한다. 전위측정선과 전류측정선이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었을 때 전자유도전압은 각각 + 또는 -를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전자유도에 의한 오차는 예각에 비해서 둔각의 경로가 작게 나타났다. Recently, the common grounding systems are adapted in most large structures. Since the ground resistance is insufficien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grounding systems, it is needed to measure grounding impedance. Even though the methods of measuring grounding impedance of large grounding systems are presented in IEEE standard 81.2, but they have not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accurate method of measuring grounding impedance based on the revised fall-of-potential method and measurement errors due to earth mutual resistance and ac mutual coupling depending on locating test electrodes at remote earth were examined for the 15[m]×15[m] grounding grid. As a result, the measurement error due to earth mutual resistance is decreased when the distance to auxiliary electrodes increased. To get rid of measurement errors due to mutual coupling, the potential lead should be installed at a right angle to the current lead. When the angle between the potential and the current leads is an acute angle or an obtuse angle, the mutual couple voltage is positive or negative, respectively. Generally, the measurement errors due to mutual coupling with an obtuse angle route are lower than those with an acute angle route.

      • KCI등재

        수중에 잠긴 접지전극 주변에서의 이온화에 의한 전위저감 및 에너지방출

        최종혁(Jong-Hyuk Choi),안상덕(Sang-Duk Ahn),양순만(Soon-Man Yang),이복희(Bok-Hee Lee)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9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3 No.1

        심매설 접지봉의 경우 장마철에 빗물이나 지하수와 접촉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수중에 잠겨있는 접지극에 서지 전압이 인가되면 접지극 주변에서 이온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지중이나 수중에서의 이온화 현상은 접지 시스템의 에너지적인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 논문의 목적은 축소된 전해 수조를 이용하여 임펄스 전압에 의한 접지시스템의 과도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매틀랩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온화에 의한 전위저감과 방출된 에너지를 측정 하여 정량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접지극 끝단의 최대 전압은 물의 저항률과 Marx형 전압발생장치의 충전전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접지극 끝단의 전위는 절연파괴전압에 이르기 전 인가전압에서 대략 절반까지 감소하였다. 또한 절연파괴가 발생하기 전 인가된 에너지의 절반 이상의 에너지가 이온화에 의해 접지극을 통하여 방출되었다. Deeply-driven ground rod in the rainy season may contact with rainwater and ground water. When surge voltages are applied to the submerged ground rods, the ionization around the ground rods are occurred. Ionization in soil and/or water is affected in dynamic performance of ground rod systems. This work aims at studying the transient performance of ground rod system under impulse voltage using scale model in an electrolytic tank. The potential reduction and energy dispersion caused by ionization were measured and quantitatively analyzed using the Matlab Program As a result, the peak voltage at the terminal of ground rod was varied with water resistivity and charging voltage of Marx generator. The potential at the terminal of the ground rod was approximately reduced to a half of the applied voltage just below breakdown voltage. Also the energy more than half of the applied energy was dispersed through the ground rod due to ionization just below breakdown voltage.

      •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을 위한 세그먼트 디렉토리 방식의 설계 및 성능 분석

        최종혁(Jong Hyuk Choi),이창규(Chang Kyu Lee),박규호(Kyu Ho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0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27 No.11

        본 논문에서 우리는 전체 벡터 디렉토리와 포인터 디렉토리의 중간 형태를 가지는 새로운 디렉토리인 세그먼트 디렉토리를 제안한다. 이는 대부분의 포인터 기반 디렉토리 방법들에서 디렉토리 저장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포인터가 단지 하나의 프로세서만을 가리키는 데 비하여, 세그먼트 디렉토리 요소는 포인터와 거의 같은 수의 비트들을 가지고 여러 개의 프로세서들을 동시에 가리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세그먼트 디렉토리를 기존의 네 가지 한정 디렉토리 방법들에 적용하고, 이렇게 얻은 성능 개선을 측정, 분석하였다. 세그먼트 디렉토리는 한정 디렉토리 방법들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인 디렉토리 넘침을 71% 까지 제거시킴으로써, 이 네 가지 방법들 상에서 수행된 모든 벤치마크 프로그램들에 대해 대역폭 요구량과 디렉토리 제어기 점유도, 메모리 접근 지연을 감소시켜서 프로그램의 수행을 가속시켰다. 게다가, 세그먼트 디렉토리는 추가적인 하드웨어 부담이나 프로토콜 복잡도 없이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directory element called the segment directory, which is a hybrid of the full map vector and the pointer. It can be used in place of the pointer in most pointer-based directory schemes to improve directory storage efficiency: a segment directory element can point to several processors with almost the same number of bits as the pointer which can point to only one. In this paper, the segment directory is applied to four of the limited directory schemes, and performance improvement is then evaluated. The segment directory eliminates directory overflows by up to 71 % and reduces the traffic amount, the occupancy of directory controllers, and the latency of memory accesses. Therefore it can reduce the overall execution time of all the workloads run on the four schemes. Moreover, the segment directory does not introduce additional hardware overhead and protocol complex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