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 자궁내막에서 발견되는 극소형 추정줄기세포

        최종렬,주종길,전은숙,고경래,이홍구,이규섭,김원규,Choi, Jong-Ryeol,Joo, Jong-Kil,Jun, Eun-Sook,Ko, Kyoung-Rae,Lee, Hong-Gu,Lee, Kyu-Sup,Kim, Won-Gyu 대한생식의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7 No.2

        Objective: It has been recently reported that very small stem cells with pluripotency are detected in murine and huma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nfirm whether very small putative stem cells (VSPSCs), which have the proper characteristics of stem cells as well as the expression of stem cell markers, are detected in human endometrium. Methods: The endometrial cells of 5 women, which were obtained by endometrial biopsy, were cultured for 2 weeks and were confirmed for the expressions of alkaline phosphatase, OCT-4 and CXCR4 by immunochemistry. Subsequently VSPSCs were separated by percoll density gradient method and were cultured. Also VSPSCs and their derived cells were confirmed for the expressions of OCT-4 and CXCR4. Results: The colonies, which is composed with VSPSCs less than 3 ${\mu}m$ and the 5~15 ${\mu}m$ sized hyperchromatic round cells, were detected in the endometrium of all of women and showed the strong expressions of alkaline phosphatase, OCT-4 and CXCR4. In culture after the separation of VSPSCs by percoll, these cells showed the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stem cells; self-renewal, colony formation, embryoid body-like formation and differential plasticity. VSPSCs formed gradually the 5~15 ${\mu}m$ sized hyperchromatic round cells and the 10~20 ${\mu}m$ sized sphere-shaped cells by cell-to-cell aggregation or cell fusion. Then these cells differentiated the various cells including fibroblast-like cells, nerve-like cells and endothelium-like cells. VSPSCs and their derived cells often showed the strong expressions of OCT-4 and CXCR4. Conclusion: VSPSCs less than 3 ${\mu}m$ and their derived cells are detected in human endometrium and these cells have the proper characteristics of stem cells and the expressions of stem cell markers as alkaline phosphatase, OCT-4 and CXCR4. 목 적: 최근 다능성을 가진 극소형 줄기세포가 생쥐와 인간에서 발견된다고 보고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이 인간 자궁내막에 존재하는지, 그리고 이 세포들이 줄기세포의 고유 특성들과 줄기세포 표지자들을 발현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자궁내막조직검사로부터 채취한 여성 5명의 자궁내막세포를 2주 동안 배양하였으며, alkaline phosphatase, OCT-4, CXCR4 면역화학염색을 통해 줄기세포 표지자 발현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후 percoll density gradient method 방법으로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을 분리하여 배양하였으며, 또한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과 그 유래의 세포들이 OCT-4와 CXCR4를 발현시키는지 확인하였다. 결 과: $3{\mu}m$ 미만의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과 5~15 ${\mu}m$의 과다염색질 원형세포들로 구성된 군집들이 모든 여성의 자궁내막세포에서 발견되었으며, alkaline phosphatase, OCT-4 및 CXCR4를 강하게 발현시켰다. Percoll을 이용하여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을 분리 배양한 결과,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은 자가재생, 배아체양 형성, 군집 형성, 분화 가소성과 같은 줄기세포의 형태학적 및 기능적인 특성들을 나타내었다.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은 세포간 응집 혹은 세포융합을 통하여 약 5~15 ${\mu}m$ 과다염색질 원형세포들과 약 10~20 ${\mu}m$ 구형세포들을 점진적으로 형성시켰다. 이후이 세포들은 섬유아세포 유사세포, 신경유사세포, 혈관내피유사세포를 포함하는 다양한 세포로 분화하였다. 또한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과 극소형 추정줄기세포에서 유래한 세포들은 흔히 OCT-4와 CXCR4를 강하게 발현시켰다. 결 론: 3 ${\mu}m$ 미만의 극소형 추정줄기세포들과 극소형 추정줄기세포에서 유래한 세포들이 인간 자궁내막에서 발견되며, 이 세포들은 줄기세포의 고유 특성들과 줄기세포 표지자인 alkaline phosphatase, OCT-4, CXCR4를 발현시킨다.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콘텐츠 가치평가(COVA) 시스템 개발을 통한 지역 문화콘텐츠산업 활성화 연구

        최종렬(Choi Jong-ryeol),김동환(Kim dong-hwan),서해숙(Seo Hae-sug),전충헌(Jeon Chong-heon)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7

        콘텐츠 가치평가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기업가치 및 기술가치 평가 차원에서 시도되었으며, 이는 창작능력 및 기술력이 뛰어나지만 담보력이 약한 투자가치 우수기업들이 콘텐츠 제작자금을 조달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기업평가 방식의 한계를 넘어 문화콘텐츠 산업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콘텐츠 가치평가(COVA) 모형을 개발하였다. COVA 모형은 콘텐츠 가치평가에 있어서 정성적 분석과 정량적 분석을 동시에 수행하는 단일 의사결정 시스템이다. 콘텐츠 특성에 맞게 콘텐츠조건, 환경조건, 기업조건, 그리고 인적자원 조건을 조건지표로 하고 있으며 평가하고자 하는 콘텐츠 장르별로 20여개에 이르는 판단지표를 평가항목으로 도입하고 있다 COVA 모형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원하는 각종 사업에서 콘텐츠 제작기업이나 프로젝트의 투자가치평가모형으로 적합하며, 지역 문화콘텐츠의 핵심 가치를 발굴하여 상품화하는데 유용한 분석도구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A study on contents value assessment has been conducted for company value or technique value assessments, which has fallen companies, with superior investment value, good manufacturing skills and techniques, and lack of securities, into short of funds. Accordingly, this study developed a new Contents Value Assessment(COVA) model excesses the existing company value assessment and fits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e COVA model is a single decision making system conducting both qualitative analysis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contents value. Contents condition, Environmental condition, Company condition and Human resource condition are condition indicators and the assessment set down by more than 20 indicators based on what contents genre is. The model is good for contents manufacturing company or project investment value assessment models on the project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 and is expected to be a useful assessment tool to discover the core value of local cultural contents and to turn the contents into products.

      • KCI등재

        진행성 자궁내막증 환자의 자궁내막에서 추정줄기세포의 과다발현

        최종렬 ( Jong Ryeol Choi ),주종길 ( Jong Kil Joo ),나용진 ( Yong Jin Na ),고경래 ( Kyung Rae Ko ),이홍구 ( Hong Gu Lee ),이규섭 ( Kyu Sup Lee ),임용택 ( Yong Taek L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3

        목적: 최근 줄기세포가 자궁내막증의 병인에 관련될 것이라는 가설이 제시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궁내막증 여성과 대조군 여성의 월경혈에서 채취한 자궁내막세포를 배양하여 줄기세포의 특성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고, 두 군 간에 줄기세포의 미분화표지자인 OCT-4와 CXCR4의 발현율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진행성 자궁내막증 여성 6명과 자궁내막증, 자궁선근증, 자궁근종이 없는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궁내막 세포는 월경주기 2~4일 째에 월경혈에서 채취하여 약 2주 정도 배양하였으며, 이후 추정줄기세포를 Percoll density gradient method 방법으로 분리 및 배양하면서 세포의 특징을 관찰하였다. OCT-4와 CXCR4 발현율 차이는 real time RT-PC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자궁내막증 환자의 자궁내막세포들은 대조군에 비하여 형태학적으로 다른 특징을 나타내었는데, 이질적인 지지세포들 과 3 μm 미만의 극소원형세포들과 약 5~15 μm의 과다염색질 원형세포들이 더욱 흔히 관찰되었다. 이후 3 μm 미만의 극소원형세포들만 다시 분리하여 배양한 결과, 자가 재생, 비대칭 분열, 군집 형성, 배아체 형성과 같은 줄기세포의 여러 특징들을 나타내었다. 3 μm 미만 극소원형세포들은 극소배아양 줄기세포와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는데, 적혈구보다 작은 세포가 움직이거나, 지지세포로 이동 혹은 부착하기도 하고, 세포 응집을 통해 구형세포를 형성하거나, 세포 융합을 통해 새로운 분화된 세포를 형성하기도 하였다. real time RT-PCR을 이용한 OCT-4와 CXCR4 검사에서는 자궁내막증 환자가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5.66배, 17.69배 높게 발현하였다 (P<0.05). 결론: 자궁내막증 환자의 자궁내막세포에서 줄기세포의 특성을 나타내는 3 μm 미만의 극소원형세포와 약 5~15 μm의 과다염색질 원형세포들이 더욱 흔히 존재하였으며, 자궁내막증 환자 군의 OCT-4와 CXCR4의 발현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줄기세포가 자궁내막증의 병인에 있어 주된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암시하며, 향후 OCT-4와 CXCR4가 자궁내막증의 진단 또는 경과관찰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Recently it has been proposed that stem cells may be associated with the pathogenesis of endometriosi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whether the eutopic endometrial cells of women with or without endometriosis show the characteristics of stem cells in vitro and have a difference of the expressions of the undifferentiated stem cell markers as OCT-4 and CXCR4. Methods: A total of 6 women with advanced endometriosis and a total of 10 women without endometriosis, adenomyosis or leiomyoma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eutopic endometrial cells, which were obtained from the menstrual blood at menstrual cycle day 2 to 4, were cultured in vitro for approximately 2 weeks, subsequently the putative very small stem cells were separated by Percoll density gradient method and were cultured. The expressions of OCT-4 and CXCR4 were analyzed by real time RT-PCR. Results: The eutopic endometrial cells of the group of endometriosi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differen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vitro; more commonly heterogeneous supportive cells, very small round cells less than 3 μm and 5~15 μm sized hyperchromatic round cells. After the separation of very small round cells by Percoll density gradient method, these cells showed the several characteristics of stem cells; self-renewal, asymmetric cell division, colony formation and embryoid body-like formation. Also These cells showed the similar characteristics of very small embryonic-like stem cells; the mobile cells smaller than erythrocyte, the cell migration or adhesion to supportive cells, the sphere formation by cell aggregation and the formation of new differentiated cell by cell fusion. The expressions of OCT-4 and CXCR4 in the group of endometriosis are respectively 5.66 times and 17.69 times as high as the control group (P<0.05). Conclusion: The very small round cells less than 3 μm and 5~15 μm sized hyperchromatic round cells, which showed the several characteristics of stem cells in vitro, were more common in eutopic endometrial cells of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nd the expressions of OCT-4 and CXCR4 were significantly higher. This study suggests that stem cells might play a key role in the pathogenesis of endometriosis and OCT-4 and CXCR4 might be used as a tool for diagnosis or follow-up.

      • 政府財政赤字에 대한 貨幣的 順應程度 分析

        박하섭(Ha-Seob Park),최종렬(Jong-Ryeol Choi)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1999 재정논집 Vol.14 No.1

        Over the past several years a number of empirical studies appearing in the literature have attempted to quantify the Federal Reserve’s reaction function. But surprisingly little research effort has been devoted to the study of the estimation of the central bank’s monetary reaction function in Korea. Furthermore, the limited amount of empirical evidence is often ambiguo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ly to review theoretical issues and empirical findings on the subject, and secondly, to show an empirical evidence in case of Korea. A survey of various empirical studies is contained in chapter Ⅱ. The empirical researchs are presented in chapter Ⅲ with concluding remarks in chapter Ⅳ. The reaction function is estimated using annual data for the Korea over the 1971-95. The coefficient of government budget deficits is significant with value of 0.509. It suggests that 50 percent of budget deficits is accommodated by the Bank of Korea.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 origin of the deficit significantly affects the monetary response undertaken by the central bank. The budget deficits are consistently a significant determinant of money growth.

      • KCI등재

        실내외 양식환경에 따른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 양식장 모니터링과 성장특성

        최복기 ( Bok Ki Choi ),최종렬 ( Jong Ryeol Choe ),이정호 ( Jeong-ho Lee ),박종성 ( Jong Sung Park ),김정은 ( Jung Eun Kim ),황주애 ( Ju-ae Hwang ),김형수 ( Hyeong Su Kim ) 한국어류학회 2020 韓國魚類學會誌 Vol.32 No.4

        본 연구는 실내외 양식방법에 따른 미꾸라지 양식장 모니터링과 성장특성을 조사하여 국내 미꾸라지 양식산업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는 2017년 8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실내 양식장 1개소 (D-site), 실외양식장 2개소 (P1-site, P2-site)를 선정하여 수행하였다. 성장도 측정결과를 토대로 WG (weight gain), DWG (daily weight gain), and SWG (specific weight gain) 분석한 결과 D-site에서는 175.27±36.2%, 7.98±3.3%, 0.94±0.2%, P1-site에서 320±34%, 4.07±0.6%, 0.55±0.1%, P2-site에서 295.9±53%, 4.15±0.5%, 0.62±0.1%로 나타났다. WG는 실외노지 양식장 (P1-Site과 P2-site)에서 높았지만 DWG와 SWG는 실내양식장 (D-site)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조사 결과의 차이는 실내외 양식방법에 따른 성장도, 수질환경, 출하시기 및 횟수 차이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실외 양식은 출하시기까지 1년 이상 소요되었으나 실내 양식은 1년에 3회의 출하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fish farm and growth performances of Chinese muddy loach (Misgurnus mizolepis) under indoor and outdoor aquaculture conditions for the domestic loach aquaculture industry.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from August 2017 to October 2019 at one indoor farm (D-site) and two outdoor farms (P1-site and P2-site). Results showed that WG (weight gain), DWG (daily weight gain), and SWG (specific weight gain) based on growth measurements were 175.27±36.2%, 7.98±3.3%, and 0.94±0.2% at D-site, 320±34%, 4.07±0.6%, and 0.55±0.1% at P1-site, and 295.9±53%, 4.15±0.5%, and 0.62±0.1% at P2-site, respectively. WG was higher in outdoor farms (P1-site and P2-site), while DWG and SWG were higher in the indoor farm (D-site). Such differences of the present study might be due to differences in growth, water quality, plant and sale frequency depending on aquaculture types. In particular, outdoor farms takes more than a year to have sales whereas indoor farms can have sales three times in a year.

      • SCOPUSKCI등재

        유리화동결 전 인공수축과 보조부화술이 융해 후 생쥐 포배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조덕현,고경래,정지혜,최종렬,주종길,이규섭,Jo, Deok-Hyeon,Ko, Gyoung-Rae,Jung, Ji-Hye,Choi, Jong-Ryeol,Joo, Jong-Kil,Lee, Kyu-Sup 대한생식의학회 2008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5 No.4

        목 적: 본 연구는 유리화동결 전 인공수축과 보조부화술 (부분투명대절개)이 유리화동결 후 생쥐 포배아의 생존율과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생쥐 2-세포기 배아를 획득하여 G1.1과 G2.2 배양액에서 포배아까지 배양하였다. 실험은 대조구군과 3개의 처리군으로 나누었다. 인공수축과 보조부화술 없이 동결한 군 (-AS/-AH)을 대조군으로 하였고, 보조부화술만 시행한 군 (-AS/+AH), 인공수축만 시행한 군 (+AS/-AH), 인공수축과 보조부화술을 동시에 처리한 군 (+AS/+AH)을 처리군으로 하였다. 모든 포배아는 G10과 G10E20 용액에서 각각 3분씩 평형을 실시하였고, G25E25 유리화용액에 노출직후 capped pulled-straw에 mouth 피펫으로 부하하여 유리화동결하였다. 융해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생존율과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결 과: 인공수축을 시행한 후 보조부화술을 시행한 군 (+AS/+AH)과 보조부화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 (+AS/-AH)에서의 생존율과 부화율은 각각 98%와 100%, 92%와 41%였으며, 인공수축을 시행하지 않고 보조부화술을 시행한 군(-AS/+AH)과 보조부화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 (-AS/-AH, 대조군)에서의 생존율과 부화율은 각각 54%와 96%, 58%와 34%를 나타내어 인공수축과 보조부화술 생쥐 포배아의 생존율과 부화율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p<0.01). 또한 capped pulled-straw라고 명명한 스트로우를 이용한 유리화동결은 융해 후 회수율이 100%였으며, 동결과 융해과정에 매우 편리하여 배아의 유리화동결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인공수축과 보조부화술은 포배아의 유리화동결 후 생존율과 부화율을 유의하게 향상시켜 포배아의 동결보존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rtificial shrinkage and assisted hatching (PZD; patial zona dissetion) before vitrification on the development of vitrified mouse expanding blastocyst. Methods: Mouse 2-cell embryos were collected and cultured in G1.1 and G2.2 to expanding blastocyst. For artificial shrinkage (AS) the micro injection pipette was inserted into blastocoele cavity and blastocoele fluid was aspirated. For assisted hatching (AH) PZD method was used. Control group was -AS/-AH and treatment groups were -AS/+AH, +AS/-AH and +AS/+AH. After AS and AH mouse blastocysts were equillibrated in G10 and G10E20 for 3 mins, respectively, and vitrified in G25E25 after loading on capped pulled-straw. Vitrified mouse blastocysts were thawed and cultured for 24 hrs. The survival and hatching rate was compared among one control and three treatment groups. Results: The survival rates were 99%, 92% in +AS/+AH and +AS/-AH groups and 54%, 58% in -AS/-AH and -AS/+AH group,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S group than in -AS group (p<0.01). Hatching rates were 34%, 96% in -AS/-AH and -AS/+AH groups and 41%, 100% in +AS/-AH and +AS/+AH, respectively. The hatching rates was higher in +AH group than in -AH group (p<0.01). After thawing recovery rates were 100%. Loading on capped pulled-straw, that is effective and useful method on vitrificatio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artificial shrinkage of blastocoele cavity and assisted hatching (PZD) significantly improved the development of the vitrified mouse expanding blastocy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