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은 지춘상의 남도민속 연구 성과와 과제

        서해숙 ( Hae Sug Seo ) 남도민속학회 2008 남도민속연구 Vol.16 No.-

        This writing examines the outcome and meaning of Dr. Ji Chun-sang’s folklore of Namdo, according to which it refers to the academic role and problem by scholars in the future. Ji Chun-sang has investigated Namdo folklore during the past fifty years, through which he laid the academic basis of as well as extending a wide range of knowledge of it, and also provided a direction in which indeed, a study of Namdo folklore should advance. In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and in the age of our tradition easily faded, a study which he excavated the people who kept the archetypal value of folk culture and assigned a special meaning to it provided an opportunity for us to be aware of its potential and possibility, and it, hence, involved producing a good result of developing Namdo folklore these days. Ji Chun-sang stated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surveying Namdo folklore was to authenticate ‘the identity and excellence of it’. Then, not only did he put th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 field investigation, but he maintained the possibility of researching folk culture as an original form of the rapidly changing modern culture, as well as academic, public knowledge and signification of traditional culture. It should, thus, point to the fact that his practical study of the identity and excellence in Namdo folklore will be an assignment to be settled by junior scholars because the task cannot be finished in his days.

      • KCI등재

        농촌마을의 민속변화와 문화적 대응

        서해숙 ( Hae Sug Seo ) 남도민속학회 2010 남도민속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전북 가평마을의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농촌마을에 전승되는 민속문화의 전승과 변화가 전통문화를 계승 혹은 재창조하고 사회적 통합을 이루기 위한 문화적 대응이었음을 살핀 것이다. 문화과정은 문화요소들이 시간을 통하여 끊임없이 상호작용을 계속해 나가는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 저마다의 환경과 인식에 따라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갖추며 변화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런 시각에서 오늘날 전승되는 민속문화가 새로운 문화요소의 조합과 종합을 이루는 하나의 문화과정이며, 그 과정이 여러 형태로 진화된다는 다선진화론적인 시각과 생태학적 관점을 새삼 재인식하고서 민속문화의 온상인 농촌마을을 살펴보았다. 현재 농촌마을이 겪고 있는 도시화, 산업화란 결국 서구화를 의미하며 이는 전통적인 사고와 행위가 지배하던 문화가 목적적이고 합리적인 규범을 새롭게 갖춘 문화로 변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민속문화 가운데 농경적인 삶과 밀접하게 관련된 세시풍속은 농업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함에 따라 쇠퇴 즉, 변화를 거듭하고 있고, 오늘날 최소한의 전통적인 명맥을 잇고 있는 상황이다. 곧 농업의 기계화 정도와 효율성이 높아지면서 노동력이 많이 필요치 않게 되는 환경이 결국 세시의 변화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가정신앙과 마을신앙은 집과 마을의 환경이 변함에 따라, 즉 농경생활의 변화, 산업화에 따른 의식의 전환, 가옥구조 개선 등 새로운 문화요소의 개입으로 인해 사라져가는 신앙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현대사회가 복합사회로 발전하면서 문화적 인과관계에 의한 인식 변화가 뒤따르고, 그에 따라서 이런 신앙은 전통적인 신앙의 소멸이 아닌 새로운 문화환경에 의해 대체된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변화는 마을 외적 상황에 대한 즉흥적 산물만은 아닌, 그 동안 점진적으로 진행되어 온 결과로 새로운 문화환경에 따른 필연적인 산물이며, 적응의 또 다른 축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변화가 있기까지는 집과 마을뿐만 아니라 지역과 사회 그리고 국가와의 소통에 따른 결과로 해석하였다. 이런 민속문화의 변화 속에서 일부 전통적인 문화요소가 소멸되지 않고 새로운 문화환경에 따라 전이, 대체되고 있는 양상을 찾을 수 있는데, 가평마을의 경우 근대 이후 유교적 전통성을 지향하면서 새로운 사회적 상황에 대응하고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또한 지역과 국가의 적극적인 지원과 제도적 견인 그리고 마을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이루어지는 마을가꾸기 문화정책은 농촌문화의 가치와 이미지를 재고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무릇 전통성 계승이라는 명목으로 추진되는 이런 사례가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나, 갈수록 변화해가는 우리의 전통문화가 오늘날 어떠한 모습으로 계승하는지를 살피고자 할 때 이러한 면모들을 예의 주의할 필요가 있음을 살폈다. This study has examined that the succession and change of folk culture of rural villages is cultural response to attain a social integration. Cultural process has been considered to be the process which various cultural elements continue to be correlated with one another over time and change having its cultural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according to its own environment and understanding. In this respect, understanding the fact that today``s folk culture is the result of having attained in the process of being mixed with new cultural elements and being generalized, and afresh recognizing theory of multilinear evolution which sees that culture evolves in various different ways and ecological viewpoint, rural villages, the center of folk culture have been examined in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village is community which shows intensively not only correlations of nature, agriculture and man but also each region``s trait and identity, and is also the smallest place having our nation``s traditional orthodoxy, history and culture. It has been understood that folk culture which is formed, spreaded and succeeded to for a long time of change in this traditional village is the core through which we can understand our culture and it has its specificity and universality that goes through village, region and natio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가정신앙 조사의 성과와 의의

        서해숙 ( Hae Sug Seo ) 남도민속학회 2011 남도민속연구 Vol.23 No.-

        본고에서는 그간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출간한 1차 조사인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의 가정신앙편과 2차 조사인 『한국의 가정신앙』의 자료를 대상으로 가정신앙의 조사 성과와 의의를 상세히 살폈고, 이를 토대로 가정신앙 조사에 대한 향후 과제를 연구자적 시각에서 제언하였다.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는 건국 이래 처음으로 국가적 재정 지원으로 수천년 동안 전승되어 온 우리의 민속이, 종합적으로 조사보고 된 국가적 사업이라는 데에 큰의의가 있다. 우선 1969년부터 시작하여 1981년에 마무리된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는 각 도별로 민속의 전반적인 내용을 포괄한 가운데, 민간신앙에서 가정신앙을 주요한 부분으로 구분하여, 설문조사, 문헌조사, 현지조사를 토대로 각 도별로 해당내용을 상세히 정리하였다. 이러한 의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제점을 살펴보면, 첫째, 가정신앙에 대한 용어의 통일문제, 둘째, 발행기간의 장기화, 셋째, 수록내용의 불일치화, 넷째, 특정 집필진의 집중화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 외에 제보자 상세 기술부재, 조사일시 부재, 지역선정의 형평성 문제 등을 드러내고 있으나, 가정신앙에 대한 각 도별 조사는 향후 가정신앙의 심층적인 조사와 연구 체계의 기틀이 되었다. 이러한 1차 조사의 문제는 이후 2000년 중반에 대대적으로 실시한 2차 ‘한국의 가정신앙’ 조사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방향성을 정하는데 초석이 된다. 이후 전국적인 2차 가정신앙 조사는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실시하여, 총 9권의 책을 발간하였다. 사전에 1차 조사의 문제점을 보완하였고, 조사항목에 있어서도 기존의 조사 작업과 비교하면 한층 심층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을 섭렵하여, 어떤 부분이라도 빠지지 않고 두루 포괄하여 조사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2차 한국 가정신앙의 조사는 사전 세부지침을 제시하고 협의과정을 거쳐 진행되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조사방향 및 정리형식은 같으면서 각 도별 세부내용은 각기 달리 정리되었다. 이러한 점은 도별로 가정신앙의 일반적인 양상과 함께 지역적 특징을 상세히 살펴볼 수 있다는점에서 2차 조사의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1차 조사에서는 황해도, 평안남북도, 함경남북도를 포함하였으나 2차 조사에는 북한을 제외한 전국 9개도만 정리했다는 점은 큰 아쉬움으로 남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치밀하고 체계적인 2차 조사는 가정신앙의 다양한 연구로의 확대와 함께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로 귀결된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상의 가정신앙에 관한 1차 조사 성과를 토대로 2차 조사가 좀 더 체계화되었다는점을 생각할 때, 이는 향후 또 다른 과제를 부여받는 것이므로 발전적인 시각에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가정신앙 조사의 향후 과제로는 대도시의 가정신앙 조사를 포함한 정기적인 조사, 가정신앙의 범주 확대 및 신앙형태 변화 추적, 가정신앙의 문화지도 제작 등을 제안하였다. 가정신앙의 정기적인 조사는 10년 단위 혹은 20년 단위의 가정신앙 조사의 장기적인 마스터플랜과 함께 서울, 부산, 광주, 대구, 인천 등의 광역시 중심으로 가정신앙 조사 실시가 필요하다. 그리고 가정신앙의 범주 확대 및 신앙형태의 변화 추적에 대한 조사는 가정신앙의 변화상을 고려하여 기존 가정신앙의 개념을 전제하면서 이를 확대해야 하며, 그간의 성과를 토대로 변화상에 대해서도 면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가정신앙 문화지도 제작은 민속문화의 객관적인 지표 제시와 함께 민속학의 새로운 연구 영역을 확대하는 것이고, 문화 분포에 내재하는 사회적. 문화적 논리를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최종 작업임을 언급하였다. Based on the data from the household worship part of 『Comprehensive Survey Report of Korean Forklore』 and 『Korean Household Worship』 publishe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this study examined the survey outcomes and significance of household worship survey and organized future tasks from a researcher``s perspective. 『Comprehensive Survey Report of Korean Forklore』 is the first report that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and organized our folklore. Household worship in this report organized each province in detail based on survey, literature and field researches, but has many problems. However,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pared future in-depth studies and research systems of household worship. Later on, 9 volumes of 『Korean Household Worship』were published after researching the whole country, and these volumes had a better system by supplementing previous problems. Also, household worship’s general aspect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in detail by province. As for future tasks of household worship researches, surveys on the household worship in major cities, regular surveys, expansion of household worship categories, tracing changes in religious belief and manufacturing cultural maps were proposed.

      • KCI등재

        무등산 숭사(崇祀)의 전통과 현대적 계승

        서해숙 ( Hae Sug Seo ) 남도민속학회 2012 남도민속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현전하는 단편적인 문헌자료를 토대로 무등산 숭사(崇祀)의 역사적 전통과오늘날 현대인들이 무등산 천제단에서 제 모시는 여러 양상을 역사적 상호성 속에 해석하고 이에 대한 민속문화적 의의와 가치를 계승과 변화의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무등산은 통일신라시대부터 소사(小祀), 혹은 국제(國祭), 읍치제(邑致祭)의 대상이 되어 지역에 파견된 중앙관리 내지는 수령의 주관 아래 정기적으로 제의가 거행되었다. 비록 간략한 기록이지만 당시 전남지역에서 무등산이 신성한 산으로서 그 제의적 기능을 담당하였고, 제의를 통해 무등산이 지역적, 문화적으로 중요한 거점이었음을 엿볼 수 있다. 또한 고대부터 형성된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산악숭배사상, 배천사상이 원류가 되어 국가 체제에 따라 확대, 축소의 과정을 거치면서 일제 무렵까지 명맥을 이어왔을 것이다. 현재 무등산에는 광주광역시 동구 학운동 관할 운림동에 ‘천제단’이라는 제단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렇게 현재의 제단이 마련되기까지는 의재 허백련의 역할을 주요했다. 이 제단에서는 1965년 이래 지금까지 매년 10월 3일이면 광주의 뜻있는 인사들과 민간단체들이 개천절 제전을 집전해오고 있다. 제의는 단군성조님에게 감축의례로서의 성격과 함께 국태민안, 국운번성 등의 국가적인 염원을 담아제를 모시고 있는데, 과거에는 무등산 산신에게 올리던 제의가 현대사의 흐름 속에서단군성조님에게 올리는 제의로 구체화되고 있다. 이러한 개천제 외에 소규모 동호회나기업, 회사 차원에서 시산제를 모시거나 산제를 모시고 있다. 비록 이합집산의 형태로다양하게 이루어지지만 이러한 현상은 현대문화 속에서 자발적으로 형성, 발전한 ‘문화접변’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현재적 일회성, 즉흥적인 제의가 아닌, 그 기저에는 역사적으로 무등산에서 숭사하였던 제의 전통과 그 맥락을 같이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무등산 제의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은 변화하는 문화과정에서 보면무등산이 산신, 성산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이 기본적으로 작용하면서 시대를 거쳐 오늘날에는 현대인들의 문화에 맞게 발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변화된 문화환경 속에서무등산 천제단을 통해 전형적인 민속문화가 소멸되지 않고 현대적 문화요소와 상호 결합된 면모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 결합 속에는 무등산이 현대사회의 새로운 문화적소통과 교섭의 코드를 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covers Mudeungsan ancestral rite’s historical tradition; interpretes the Cheonjaedan ceremony regarding historical reciprocality and look upon its folk cultural meaning and value, based on bibliographic data. Mudeungsan -historically perceived as a holy mountain- was in charge of ancestral ceremony, and has been an important place both regionally and culturally. Such phenomenon is based on our people’s traditiona of moutain and heaven worship. Today, ‘Cheonjaedan’ on Mudeungsan, is the place where commemorative rituals are held every National Foundation Day, and other individuals and groups hold memorial services - these can be explained as continuation of historical tradition of ancestral rites on Mudeungsan. Times may change and culture may change along, but Mudeungsan keeps on its role as a holy, sacred mountain by means of historical records and ancestral rites. In addition, this study comprehends that the ancestral rites held nowadays on Mudeungsan contains a code of new cultural communication and exchange.

      • KCI등재

        도작문화축제로서 줄다리기의 전승 연구

        서해숙 ( Hae-sug Seo ) 남도민속학회 2011 남도민속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줄다리기가 벼농사와 긴밀한 연계 속에 발전한 우리의 전형적인 민속문화이므로 이에 관련 자료를 토대로 도작문화권과의 상관성을 살펴보았고, 오늘날까지 자생적으로 연행되는 마을 단위의 줄다리기 전승양상을 구조적으로 파악하여 도작문화축제로서의 면모와 이에 대한 의미를 체계화 한 것이다. 줄다리기는 줄의 재료가 전통적으로 볏짚인 만큼 벼농사를 짓는 지역에서만 가능한 놀이이다. 또한 서로 경쟁하며 즐기는 놀이성 외에 한해의 풍년을 기원하는 제의적, 주술적 행위가 강하다. 우리민족의 생업이 농경생활, 도작농경임을 생각할 때 줄다리기의 전승은 이러한 생업과 긴밀한 관련성을 찾을 수 있다. 이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도작농경을 하는 국가의 공통적인 요소로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도작문화권의 영역 속에서 이해할 수 있으며, 줄다리기의 분포와 벼농사지역의 분포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줄다리기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요소들이 복합되어 오늘날의 줄다리기 형태로 전승되는데는 조선 후기의 농법 발달, 벼 재배기술의 발달이 주요했으며, 曆法에 따라 줄다리기가 크게 융성했을 것으로 파악하였다. 벼의 수확량이 많아지면서 풍요를 기원하는 줄다리기가 더불어 확산되었고, 지역에 따라서 의례의 편차, 연행방식의 편차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도작문화의 유입과 함께 줄다리기의 성행은 그 기원 여부를 떠나서 상보적 관계이다. 우리의 줄다리기 역시 우리 민족이 향유한 문화적 순환과 적응방식에 의해 전승,변이, 소멸을 거듭해가고 있다. 오늘날 마을 단위로 연행되는 줄다리기는 많지 않으며, 마을에 따라 마을민들의 인식에 따라 변화와 변이를 거듭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전승되는 줄다리기는 ‘볏짚 모으기 → 줄 만들기 → 줄 메고돌기 → 줄쌈 → 줄예맞이 →줄 당기기 → 줄 처리’ 순서로 연행되고 있다. 이러한 줄다리기의 내부구조가 원형에 근접한 연행방식인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줄다리기는 정월 대보름날에 마을 단위로 거행되는 동제, 지신밟기와 함께 긴밀한 외부구조를 갖춘 마을공동의 놀이이고 의례이기 때문에 이러한 줄다리기의 통합적인 구조 속에서 살필 때 진정 마을굿이며, 도작문화축제로서 의미가 확연해진다. 또한 줄다리기는 유희성, 경쟁성을 갖는 놀이로 표출되면서 그 이면에는 농경생활을 기반으로 한 의례가 축제 형태로 각색된 대표적인민속문화라 할 수 있다. 곧 줄다리기의 ‘세시풍속으로서의 순환성’, ‘농경의례로서의 제의성’, ‘용사신앙으로서의 주술성’ 그리고 ‘경쟁유희로서의 대동성’ 등은 도작문화축제의 전통성이라 할 수 있으며, 이 전통성 속에 담긴 ‘自然觀’, ‘神觀’, ‘人間觀’ 등은 축제로서 지향하는 도작문화의 세계관을 담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at Tug of War with Straw-Rope is a traditional “folk culture” in Korea, which has been developed in the close connection with rice-farming. Through it, it attempts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ug of War with Straw-Rope as a rice farming culture by grasping the aspect of Tug of War with Straw-Rope, which is spontaneously played in the unit of village. Since Tug of War with Straw-Rope is a play, which is possible only in the rice farming area, as long as the material of rope is rice straw. When we consider that work for a living in our country was agriculture or rice farming, the transmission of Tug of War with Straw-Rope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living of people. Countries, which were engaged in rice farming, have something in common, so that we can understand the culture of Tug of War with Straw-Rope in the realm of farming culture. Historically, it is believed that the play had two sources of introduction: one from the Tang dynasty where the play was invented and widely circulated; and the other from south east Asian countries. The unique development and transmission of the play seem to have been influenc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cultivation techniques and a calendar system. In particular, the wide use of transplantation system in late Chosun seems to have contributed to the diffusion of the play. The process of the play in a village unit is as follows: ‘collecting rice straw → making straw-rope → turning with straw-rope on the shoulder → straw-rope battle → conjunction with straw-rope → pulling straw-rope → tidying up straw-rope.’ While Tug of War with Straw-Rope is expressed as a play that holds playfulness and competition, it is the folk culture, in which ritual is expressed as a form of festival based on farming life. Characteristics of Tug of War with Straw-Rope; ‘Circularity as seasonal customs,’ ‘Rite as an agricultural ritual,’ ‘Incantatory power as Yongsa(dragon and snake) religion’ and ‘Solidarity as a competitive play’ are referred to as traditionality of a farming cultural festival. In addition, a view on nature(自然觀), a view on God(神觀), and a view on human beings(人間觀), which are contained in this traditionality, carry the worldview of a farming culture festival.

      • KCI등재후보

        성씨시조담의 전승과 이해 지평

        서해숙 ( Hae Sug Seo ) 남도민속학회 2008 남도민속연구 Vol.16 No.-

        본 연구는 오늘날 구전되는 다양한 성씨시조담을 대상으로 신화적 의미와 전설, 민담으로 변이되는 양상 그리고 성씨현조담을 통해 이에 대한 이해 지평을 검토한 글이다. 성씨시조담은 성씨 시조의 탄생과 得姓에 관한 이야기로, 확장된 신화적 개념에서 본다면 조상에 대한 신성성, 성씨에 대한 당위성, 제한적 혈연적 지속성 등의 특성을 온전히 갖추고 있다. 이러한 성씨시조담은 집단의 세계관을 반영하고 가치관을 함축하면서, 역사시대에 적합한 신화적 질서를 최소한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정 씨족집단에게는 분명 신화적 기능과 그 의미를 담고 있다. 그러나 해당 문헌에 기록된 신화내용이 구전을 통해 전승되는 것과는 차이를 드러낸다. 성씨시조신화는 그 씨족집단에서는 신화로 기능하기에, 그에 따라 시조를 숭앙하고 시조의 탄생지를 성지화하고, 得姓碑를 세우는 여타의 노력들이 강구된다. 그러나 씨족을 벗어나면 신성관념이 약화되어 신화가 아닌 전설이나 민담으로 변이 된다. 이는 인간의 합리적인 사고와 일상적인 인식이 성씨시조담의 다양한 변이를 초래한 것으로, 특정집단에서는 온전한 신화를 이야기하면서도 다른 전승집단에서는 다양한 전설이나 민담을 파생시켜 구전의 순기능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성씨시조담을 구연하는 전승 주체의 확대로 인해 민담으로의 다양한 출구를 마련함으로써 끊임없는 재창조의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고, 이를 통해 사회적 통념이 가미된 성씨의 일반적 의식 세계를 표현하고 있다. 한편, 성씨집단이라는 특정의 씨족 범주와 그 씨족의 인물에 관한 성씨현조담은 씨족의 특출한 인물의 출현을 통해 내적으로 진정한 씨족의 부흥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성씨시조담의 확장으로 볼 수 있다. 성씨시조담은 시조라는 인물 출현을 통해 성씨의 근원적인 시작을 이야기한 반면에, 성씨현조담은 씨족의 부흥과 융성을 새로운 각도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성씨현조담은 후손들에게 씨족에 대한 우월감을 재차 확인하는 현재적 신화로 가능하고 있다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a manifold of the tales of the progenitor of family name which is transmuted into the tale of mythical significance, legend and folktale, and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them through the salient ancestor of family name. The tale of the progenitor of family name is related to the birth and acquirement of its progenitor, a tale that is, for the extended mythical ideas, full of the quality of the divinity of ancestry, the validity of the family name and a blood relation for durability. It is to be construed as its mythical function for the special phratries that some respect or other may be specified in which the tale is a reflection of the collective’s Weltanschauung and values, and takes a minimum of a mythical order relevant to recorded history. However, the sacred idea, which gets out of the phratries, becomes so weak that it turns out to be a variant of a legend or tale rather than a myth. This represents a sound myth of a group and various legends or tales of other group derived from it. The tale thus identified leads to a various transition the tale of which is brought out by the rationalization of human beings and their ordinary knowledge, and makes an arrangement of the proper function in oral tradition. Moreover, with an extension of the subject handing down its tale, various ways toward the tale get arranged, indicating that they leaves open the possibility of a constant recreation. This will, therefore, leads to the world of general consciousness to which a social common notion is added. Meantime, the tale of the progenitor of family name is that when pursuing the true restoration of the clan through the advent of a great figure, it is identified with an extension of it. Whereas the tale of the progenitor of family name begins with a new family name ascribed to a figure as progenitor, the salient ancestor of family name functions as an on-going mythology which draw on the restoration and prosperity of the clan from a new angle.

      • KCI등재

        민속문화에 나타난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성향과 변화

        서해숙 ( Hae Sug Seo ) 남도민속학회 2015 남도민속연구 Vol.31 No.-

        본 연구는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에 대한 시각과 함께 민속문화를 통해서 개인주의와 집단주의가 어떤 양상으로 발현되고 확대되는 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전통적인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가치를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현대문화와의 조화가 필요함을 검토하였다.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는 주체가 개인인가 집단인가에 따라 목적과 방향이 확연히 구분되는데, 분명한 것은 개인주의는 ``개인의 이익 극대화``인 반면에, 집단주의는 ``집단 이익의 극대화``라는 점이다. 여기서 간과할 수 없는 것은 개인을 확대하면 집단이 되고 집단을 축소하면 개인이 되듯이 각각 개별적으로 존재하면서 끝임 없이 개인과 집단은 상호 연동되어 중요한 의미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여기서 집단의 범위와 정도를 어떻게 보는가의 문제도 중요하며, 그 준거에 따라 인식도 달라질 수 있다는 점 등을 살폈다. 이를 토대로 민속문화 가운데 세시풍속에 담긴 개인과 집단의 관계에 대한 의미 해석을 시도하였는데, ``나``라는 개인이 존재하면서도 ``나``를 포함한 집단의 상호성이 긴밀하다. 즉개인적 목표가 내집단에 종속되며, 상호의존적, 내집단이 심리적 장의 중심이 되며 결과적으로 행위를 통해 ``우리``라는 의식이 비교적 강하게 표출되고 있다. 즉 나와 우리가 개별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독립적이면서 상호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점은 가정신앙과 마을신앙 그리고 풍수에 기반 한 조상묘와 입석의 사례 등에서도 확인하였는데, 결과적으로 민속문화에 나타난 개인주의는 자신의 이익을 위한 문화적 행위이고 이 행위를 통해 자신의 존재가치를 증명하고 있다. 그리고 민속문화에 나타난 집단주의는 집단(마을)을 위한문화적 행위이고, 이 행위를 통해 집단에 소속된 사람들(마을사람들)의 존재가치를 증명하고있는데, 다만 개인과 집단 가운데 어디에 초점을 두고 행하는가에 차이 일뿐 그 명확한 경계선은 없다. 이외 장자못전설과 유교이념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도 민속문화에서 지향하는 개인과 집단이 결코 개별적이거나 독립적이지 않다는 점을 살폈다. 또한 문화형태가 어디에 초점을 두고 있느냐의 차이만 있을 뿐 개인과 집단이 결국 하나의 세트가 되어 맞물려 있고 상호 조화를 추구하는 문화가 많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오늘날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는 외적 혹은 내적요인에 의해 변화를 거듭하는 상황 속에서 민속문화를 통해 앞서 제시한 전통적 가치의 장점을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현대사회에서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상호보완적인 관계 즉, 조화를 이룰때 가장 이상적인 이념체계임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individualism is shown and groupism is expandedthrough folk culture and emphasized the necessity of succeeding to traditional values and harmony with modern culture based on them. Among folk culture, there is an individual called me and close group interaction including ``me`` in seasonal customs. That is, it can be found that me and us are independent from each other and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not existing individually. This point was found in household religion, village beliefs, and the graves of our ancestors and menhir(立石) based on feng shu. In the end, th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ism and groupism shown in folk culture just depends on cultural forms which is focused on. It was found thatindividuals and groups seek for mutual harmony as a set. Finally, it again emphasized the ideal ideology when traditional values continue to develop through folk culture and individualism and groupism are in harmony with each other as they continue to change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현대구전설화에 담긴 기억과 역사문화적 인식 : - 광주광역시를 대상으로 -

        서해숙 ( Seo Hae-sug ) 남도민속학회 2019 남도민속연구 Vol.38 No.-

        본 연구는 지금까지 『한국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사업의 일환으로 조사한 광주광역시 일대 설화 가운데 현대구전설화를 중심으로 호랑이, 용, 뱀, 도깨비에 대한 기억의 양상과 민속적 인식, 역사적 사건인 5·18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구술자의 경험담에 담긴 기억과 시대적 인식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현대구전설화에 나타난 공동체적 기억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 지를 역사적, 문화적 시각에서 탐색하였다. 경험담은 전승자가 사실을 기반으로 구연하는 이야기로, 먼저 용과 호랑이, 뱀의 현대구전설화는 구술자가 경험했던 이야기이기에 훨씬 구체적이면서 생생하다. 그리고 경험 당시의 기억이 환기되므로 이야기 구조상의 긴장과 갈등이 표현되기도 하는데, 이는 이야기판에서 청중들의 관심을 집중시키는데도 그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여기에 더욱 강조되는 점은 이러한 경험담 기저에 깔린 민속적 사고체계이다. 구술자가 평생 살아오면서 문화적으로 향유한 인식과 태도가 이러한 경험담 속에 용해되어 ‘사실’을 이야기하면서 그 저변에는 전통적인‘사고’가 형상화 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이 또 다른 경험담을 파생시키고, 구연을 통해 지속적으로 회자되면서 현대사회에 적합한 이야기 형태로 진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경험담형태로 가장 많이 구연되는 대표적인 이야기는 단연 도깨비담을 들 수 있는데, 용, 호랑이, 뱀 관련 경험담에서는 용, 호랑이, 뱀이 사람들과는 별개의 행위로 이야기가 귀결되는데, 반해 도깨비담에서 도깨비는 인간에게 직접 다가와 불을 가져가거나 겨루거나 홀리는 등의 행위가 벌어지며, 그 과정에서 도깨비를 속이거나 속아 넘어가거나 이기는 모습으로 귀결된다. 이러한 도깨비의 속성과 인간의 행위가 상호교차 하는 점에서 문학적 특성과 미학이 탐색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 현대사에 한 획을 긋는 5·18 광주민주화운동은 전남에서도 특히 광주일대 시민들의 ‘공동체적 기억’이라 할만큼 경험담으로서 역사적, 문학적 의미 부여가 충분하다. 비록 경험이기에 주관적일 수 있으나 구술내용은 생생하면서도 체계적이고, 각 편마다 사실에 근거하면서 구술 곳곳에 개인의 정서가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표출되고 있어서 문학적 긴장감이 감지된다. 당시의 상황을 목도한 개인이 이를 자신의 시선으로 묘사한 어휘와 감각 그리고 이야기판에서 청중들의 적극적인 호응은 결국 개인의 기억으로만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현실인식에 무한한 힘으로 작동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했다. 이상의 현대구전설화에서 드러난 개개인들이 경험한 기억은 구술을 통해 집단적 기억으로 확장되고, 이 집단이 공동체이라는 특수한 환경이나 공간을 설정하게 되면 기억은 더욱 견고해지고, 공동체 테두리 속에서 더욱 발전한다. 이러한 기억을 ‘공동체적 기억’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억이 집단성, 공동체성을 지닌 문화적 장치라 한다면 기억 그 자체가 의미하는 바는 문화적 표현임을 살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mory aspects and folk cognition of tigers, dragons, snakes, and Dokkaebi, focusing on the modern oral tales among the folk tale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I examined the memories and the perception of the time in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the oral historian of the 5․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Based on this, we searched for the meaning of communal memory in modern oral tales. The story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trader is based on facts. First, the modern oral tales of dragons, tigers, snakes, and goblins are more specific and vivid because they are stories that the narrator has experienced. And I could confirm the folklore system based on these experiences. On the other hand, the May 18th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which draws a line to Korean modern history, has enough historical and literary significance as an experience as a ‘community memory’ of citizens in Gwangju especially in Jeonnam. The memories experienced by the individuals revealed in the contemporary oral tales extend to collective memories through oral communication, and when the group sets the special environment or space of community, memory becomes stronger and develops further in the frame of community.

      • KCI등재

        여순사건 경험담의 구술양상과 기억의 역사로서의 의미 - 전남 곡성군을 중심으로 -

        서해숙 ( Seo Hae-sug ) 남도민속학회 2020 남도민속연구 Vol.41 No.-

        본 연구는 역사적 시각에서 여순사건 무렵 곡성군 일대의 시대적 상황과 분위기를 살펴보고, 그 당시 곡성군에서 벌어진 상황을 기억하거나 경험했던 구술자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파악한 자료를 주제별로 살펴서 구술 속에 담긴 의미를 해석하였으며, 이에 드러난 구술집단의 인식과 기억의 역사로서 의미를 분석하였다. 1948년 10월 19일 여수 주둔 국방경비대 제14연대 소속 군인들의 반란으로 시작된 여순사건 당시 곡성군의 희생규모는 여순사건의 주된 전투 지역이었던 여수와 순천에 비하면 적은 숫자이고, 반란군 점령지역 가운데에서도 적은 숫자이다. 그러나 여순사건 이후 지리산으로 입산한 반란군이 인근 지역인 백아산, 백운산, 조계산 등으로 옮겨 다니면서 곡성군을 지나갔다. 이러한 과정에서 반란군을 추적한 진압군들은 마을을 지나갈 때마다 반란군에게 도움을 준 주민들을 부역자로 간주하고 사살, 폭행, 감금 등을 무차별적으로 자행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겪은 곡성군 구술자들이 들려준 여순사건 경험담은 저마다의 기억을 표출한 것이기에 다양할 수밖에 없으나, 크게 여순사건에 대한 구술과 기억은 ‘군경의 만행, 반란군의 약탈 그리고 그로 인해 민간인들이 겪은 고난과 죽음’에 대한 기억으로 점철되었다. 이 구술의 공통점은 모두가 구술자 주변에 일어난 일이고 생과 사의 갈림길에 고통 받은 심경이 사무치기에 시간이 흐른 현재에도 생생하게 구술하고 있다. 그들이 들려준 수많은 이야기는 모두가 그 당시 주민들이 겪은 위기, 고난, 슬픔, 죽음을 압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결국 이런 기억은 특정 개인의 기억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개개인이 모여 집단적으로 기억하고 재현되고 있으므로 ‘집단기억’으로 확장된다. 그리하여 그 기억은 더욱 견고해지면서 그들만의 정서와 인식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험담이 구술집단에게 ‘기억의 역사’로서 의미를 충분히 갖추고 있고, 공동체적 기억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experiences of the Yeosun incident in Gokseong-gun, this study examined the situation and atmosphere of the times in Gokseong-gun at the time of the ‘Yeosu-Suncheon Rebellion’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By examining the meaning contained in the oral passage, the meaning of the oral group's recognition and memory was examined. At the time of the Yeosu-Suncheon Rebellion, which began on October 19, 1948 as a revolt by soldiers of the 14th Regiment of the National Defense Guard stationed in Yeosu, the size of the victims of Gokseong was smaller than that of Yeosu and Suncheon, which were the main battle areas of the Yeosu-Suncheon Rebellion, and even among the rebel-occupied areas. However, after the Yeosu-Suncheon Rebellion, the rebels who entered Jirisan, moved to nearby areas such as Baekasan, Baegunsan, and Jogyesan, passing Gokseong-gun. In this process, the rebels who followed the rebels regarded the residents who helped the rebels as assistant workers whenever they passed through the village, and committed killing, assault, and imprisonment indiscriminately. The dictations and memories of the Yeosu-Suncheon Rebellion told by the Gokseong-gun dictators who went through such a period of time were filled with memories of “the brutality of the military and police, the looting of the rebels, and the suffering and death suffered by the civilians.” The commonality of this dictation is that everyone has happened around the dictator, and even now, as time has elapsed due to the pain of suffering at the crossroads of life and death, it is being dictated vividly. The numerous stories they have told are all condensed expressions of the crisis, suffering, sorrow, and death experienced by the residents at that time. The dictations and memories of the Yeosu-Suncheon Rebellion told by the Gokseong-gun dictators who went through this era were marked by memories of “the brutality of the military and police, the looting of the rebels, and the suffering and death suffered by civilians. The commonality of this dictation is that everyone has happened around the dictator, and even now, as time has elapsed due to the pain of suffering at the crossroads of life and death, it is being dictated vividly. The numerous stories they have told are all condensed expressions of the crisis, suffering, sorrow, and death experienced by the residents at that time. Therefore, these experiences have sufficient meaning as a “memory history” for the oral group, and can be said to be the product of community mem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