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식도이물에 의한 심낭 천공에 합병한 급성 화농성 심낭염 1예

        최은경,권경희,최용원,오석규,정진원,박양규 한국심초음파학회 2000 Journal of Cardiovascular Imaging (J Cardiovasc Im Vol.8 No.2

        Purulent pericarditis is an infrequent but fulminant and frequently lethal disease. Purulent pericarditis tends to occur as direct extension of bacterial pneumonia or empyema in past. In recently, purulent pericarditis tends to occur in adult via contiguous spread from an early postoperative infection after thoracic surgery or trauma, infection related to infective endocarditis, extension from a subdiaphragmatic suppurative source, and hematogenous spread during bacteremia. Endogenous causes of purulent pericarditis are frequently characterized as esophageal perforations. Common causes of esophageal perforations related to purulent pericaditis which usually develop in association with mediastinitis, pneumonia and empyema include corrosive esophagitis, complication after esophageal and tracheal instrumentation and Boerhaave’s syndrome. There is very little reference to the development of pericarditis in associated with esophageal perforation which does not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pericardium. while, although most uncommon, it is well documented that the esophagus can perforate directly into the pericardium and produce pericarditis. We experienced a case of acute purulent pericarditis after esophageal and pericardial perforation by a small fish bone in a previously healthy man. The patient was treated successfully with systemic antibiotics and pericardiotomy.

      • KCI등재

        조선일보 의학상담코너 「가정의학」에서 드러난 1930년대 의학 지식의 특징

        최은경 역사학연구소 2018 역사연구 Vol.- No.35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medical knowledge found in Chosun Ilbo“Gajung Euihak(가정의학, Family Medicine)”, one of the representative medicaladvisory columns published in the 1930s. In particular, the research focuses on ‘dealtof symptoms’ by “Family Medicine” doctors, by analyzing the operation of medicalscience knowledge through the symptoms which interpreted by physicians. It canprovide the understanding of a structure of medical knowledge which connectspatient, symptom, and prescriptions, as well as a micro-view of doctor-patientmeeting during 1930s Korea. The clients of “Gajung Euihak” talked about a variety of symptoms, includingchest pains, stomach pains, skin diseases, headaches, lethargy, and menstrualcramps. Although checking physical status was impossible, doctors interpreted thesymptoms following the western medical knowledge system, and recommendeddifferential diagnosis of syphilis, tuberculosis and parasites which were problematicat that time. Diagnosing neurological disorders was eminent features throughoutmedical advise, when the cause of various symptoms, including dizziness and lethargy were uncertain. Doctors recommended hospital visit at first, but they also recommended effectivetreatment to deal with symptoms where medical accessibility was poor. Although itwas a self-medication approach, doctors placed their care in orthodox medicine andmaintained the authority to interpret the patient's body. However, there were limitsto the actual exercise of authority because doctors could not follow-up or monitorthe progress of symptom. However, the analysis of “Gajung Euihak” doctors wasempowered by the legitimacy of Western scientific knowledge. This characteristic of“Gajung Euihak” endowment is meaningful for that it allows us to identify howmodern medical knowledge is constructed and operated. 본 연구는 1930년대 연재된 대표적인 의학상담칼럼 중 하나인 조선일보 「가정의학」 속에서 드러난 1930년대 의학 지식의 특징을 분석한다. 특히 의사들의 ‘증상다루기’에 집중하였다. 즉 의사들이 내담자들의 증상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면모들을포착함으로써 당대 의과학 지식의 작동 방식을 읽어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당대의 의과학 지식 대상이 된 환자, 증상, 그리고 처방이 연결되며 당대 과학이 ‘구조화’되는 방식을 확인하는 한편, 당시 의사-환자 만남의 미시적 장면을 포착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하였다. 「가정의학」 내담자들은 흉통, 복통, 피부병, 두통, 무기력, 어지러움, 월경통 등다양한 증상을 가지고 내담하였다. 내담자를 직접 진찰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으나의사들은 증상을 서양 의학적 지식 체계에 기대어 해석하였으며, 주로는 당대에 문제가 되는 질병-매독, 결핵, 기생충 등을 먼저 감별해 낼 것을 권하였다. 다양한증상-어지러움, 무기력함 등의 기질적 원인이 불확실할 때 신경성 질환으로 해석하고 강조하는 것은 의학 상담 내내 지속된 특징 중 하나였다. 의사들은 내담자들에게 기본적으로 진찰을 위해 내원할 것을 권고하였으나, 의료접근성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증상을 다스릴 수 있는 효과적인 처방을 권고하였다. 비록 자가처방을 돕는 방식이었으나 처방을 통해 의사들은 자신의 진료를 정통의학속에 위치시켰고, 환자의 몸을 해석할 수 있는 권위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환자들의복약까지 추적하거나 경과를 지켜볼 수 없었기 때문에 실제 권위의 행사에는 한계가있었다. 직접 환자를 진찰할 수 없었기 때문에 몸을 통해 객관화되는 작업을 거치지못했지만 「가정의학」 의사들의 분석은 서양 과학 지식의 정당성 속에서 권위를부여받을 수 있었다. 이러한 「가정의학」 내담의 특징은 당대 의학 지식이 구성되고작동되는 방식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아마릴리스의 미숙배와 인편조직으로부터 식물체 재분화

        최은경,박학봉 한국식물생명공학회 1998 식물생명공학회지 Vol. No.

        아마릴리스 'Picottee', 'White Christmas', 'Eldorado', 'Origin', Red Lion', 'Telstar', 'Crypsy'의 교잡배를 여러 농도의 2,4-D, NAA, BA, TDZ가 첨가된 MS배지에 배양한 결과, 0.5~3.0 ㎎/L 2,4-D에 비하여 0.5~3.0 ㎎/L NAA 처리구에서 줄기와 자구 분화가 양호하였다. 0.5㎎/L NAA 처리는 배양체로부터 높은 자구 형성율을 나타냈고, 줄기 분화율은 NAA 1.0㎎/L과 TDZ 2.0㎎/L 혼용처리구에서는 가장 높았다. 배지에 1.0~2.0㎎/L TDZ 첨가는 치상체당 더 많은 줄기를 분화시켰으나 1.0~2.0㎎/L BA 처리보다 뿌리의 발달은 억제되었다. 'Star Van Holland'의 인편을 배양했을 때 자구 형성은 0.5㎎/L NAA가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Immature hybrid embryos of H. hybridum, 'Picottee', 'White Christmas', 'Eldorado', 'Origin', 'Red Lion', 'elstar', 'Crypsy' were cultured on the MS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2,4-D, NAA, BA and TDZ. Among the treatments, NAA were more effective for the shoot regeneration and bulblet formation than other treatment. Addition of 0.5 ㎎/L NAA was effective for bulblet induction from explant Shoot regeneration was most effective on the medium with 1.0㎎/L NAA and 2.0 ㎎/L TDZ. The addition of 1.0-2.0㎎/L TDZ induced numerous shoots per explant but strongly inhibited root development when compared to 1.0-2.0㎎/L BA. When bulb scale segments of 'Star Van Holland' was incubated, bulblet formation was the most effective on MS medium with 0.5㎎/L NAA.

      • KCI등재

        ‘창조경제’와 ‘문화 융성’이 조응하는 경제발전주의에 관한 탐구

        최은경 한국문화경제학회 2015 문화경제연구 Vol.18 No.3

        본 논문은 박근혜 정권에서 소개된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이라는 주요 정책이 어떤 맥락에서 탄생했으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가를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이라는 정책이 서로 조응하는 경제발전주의적 관점을 탐구하고자 했다. 예컨대 문화와 경제에 내포된 본질이 한국 사회에서는 어떤 비전과 목표들로 정책화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런 정책의 내용은 어떤 쟁점과 한계를 담고 있는가를 논의하고자 했다. 그 결과 두 정책은 창조적 경제 산업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서구 사례와 유사한 개념들이 발견되지만, 한국식 경제발전주의가 들어 있는 경제발전 담론들의 논의에 집중을 하고 있다. 둘째, 창조경제와 문화융성 정책은 현재 우리가 가진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에 대해 범국가적 과제가 되는 것 같다. 하지만 창조경제 혁신 센터의 경우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참여가 핵심 동력이될 만큼 이들의 역할을 정부보다 주요하고, 정부는 오히려 기업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문화 융성은 중점 도시 발전이 창조경제에 비해 서울 및 수도권에 집중되어있다는 한계가 있지만, 여전히 대기업과 주요 금융권이 적극 투자하고 유치하도록 정부의 역할이 작용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에 내포된 핵심정책 구조와 논리에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글로벌 자본주의 사회는 ‘문화는 창의 노동을 필요로 하며, 창의 노동은 미래 사회의 핵심 산업으로 곧 국가 경쟁력이된다’는 식의 패러다임으로 이미 전환했다. 이에 우리 정부도 관련 규제와 정책 그리고 법을 재정비 및 제정함으로써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적극 수용하고 있다. 하지만 창조경제에 대한 패러다임이 정부와 자본의 헤게모니에 의해 계획되고 주도되면서, 문화의 주체와 생산자에 대한 다양한 가치와 논의들 그리고 창의 활동을 하는 다양한 노동에 대한 논의들이 배제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강활(Ostericum koreanum)과 지리강활(Angelica purpuraefolia)의 미숙종자로부터 고빈도의 체세포배 발생과 식물체 재분화

        최은경,박학봉 한국식물생명공학회 1995 식물생명공학회지 Vol.22 No.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efficient celll culture system for somatic embryogenesis in Ostericum koreanum and Angelica purpuraefolia. The highest frequency of embryogenic callus on immature seeds of O. konanum and A, purpuraefolia. was obtained when seeds were cultured on MS medium containing 0.1 mg/L 2,4-D and 0.1 mg/L BA. However somatic embryos were formed directly from the edge of cotyledon and hypocotyl of plant which regenerated on medium supplemented with 0.1-3.0 mg/L NAA. Immature seed explane cultured at 25$\pm$2$^{\circ}C$ after 10 days treatment at 5$^{\circ}C$ produced embryogenic callus and somatic embryos, and these differentiated into whole plane. Addition of glutamine and coconut milk to media did not enhance the frequency of somatic embryogenesis in immature seed cultures of A. purpuraefolia. However in immature seed culture of O. koreanum, the frequency of somatic embryogenesis were increased on media supplemented with glutamine and 10% coconut milk. Especially addition of glutamine to the medium substituted effect of NH$_4$N0$_3$ in constast to coconut milk. The highest frequency of conversion somatic embryos into plantlet was 89.1% on MS basal medium Embryogenic calli were grown vigorously when maintained on medium with 0.01 mg/L 2,4-D and 0.01 mg/L BA. 본 실험은 강활(O. koreanum)과 지리강활(A.purpuraefolia)의 체세포배 발생을 위한 효율적인 세포배양시스템을 확립하고자 실시하였다. 강활과 지리강활의 개화후 3주된 미숙종자는 0.1 mg/L 2,4-D와 0.1 mg/L BA 혼용처리구에서 배발생캘러스와 체세포배 발생이 가장 양호하였고, 0.1-3.0mg/L NAA가 처리된 배지에서 재분화된 식물체의 자엽과 배축의 가장자리로부터 직접 체세포배가 발생하였다. 미숙종자의 휴면을 고려하여 저온처리한 결과, 5$^{\circ}C$에서 10일동안 저장 후, 25$\pm$2$^{\circ}C$에서 배양하였을 때 반응이 없던 배양체로부터 배발생 캘러스와 체세포배가 발생하였고 이 체세포배는 줄기와 뿌리로 분화되었다. 지리강활에서는 배지내 첨가한 glutamine과 coconut milk의 뚜렷한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강활의 경우에는 대조구에 비하여 glutamine과 10% coconut milk가 포함된 배지에서 체세포배 발생률이 항상되었고 특히 glutamine은 coconut milk에 비해 NH$_4$NO$_3$ 대체효과가 인정되었다. 체세포배의 器內 식물체전환율은 MS 기본배지에서 89.1%로 가장 양호하였고 배발생 캘러스의 증식용 배지로는 0.01 mg/L 2,4-D와 0.01 mg/L BA혼용처리구에서 가장 좋았다.

      • KCI등재

        1970~1990년대 한국 유전자 산전진단기술 도입 — 성 감별에서 기형아 공포로

        최은경 한국사회사학회 2022 사회와 역사 Vol.- No.135

        This study explores the introduction of genetic prenatal diagnostic technology from the 1970s to the 1990s. It focuses on the ideas and practices of doctors, especially pediatricians and gynecologists, and the opinions of population health experts regarding the technology. It also considers the technology’s social repercussions. With the emergence of cytogenetics in the 1960s, several South Korean doctors attempted amniocentesis for sex determination before childbirth, despite safety problems. From the mid-1970s a few gynecologists who trained in prenatal tests abroad, including Ju Gap-soon and Yang Young-ho, led the adoption of prenatal diagnostic technology in South Korea. Early on the technology was adopted for sex determination, a use that became more popular with the growing availability of ultrasound devices. While promoting the technology for sex determination purposes, doctors also argued that Intellectual Disability, such as Down’s syndrome, could be prevented through prenatal diagnosis. It was important to avoid inheritance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some disabled women in the past; however, after the introduction of prenatal diagnosis, all women at risk of bearing congenital disabilities could get tested. Population health experts worried that sex determination could cause an imbalance in sex ratios; however, they also welcomed prenatal tests to prevent birth defects. Meanwhile, with South Korea’s democratization in the 1990’s, concerns about nuclear power station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began to be widely shared. This attracted attentions about congenital disabilities. From the 1970s to the 1990s, prenatal diagnosis technology was adopted widely in South Korea due to the demand for sex determination and the efforts of doctors and scientists to inform lay people about the risk of birth defects. Moreover, public fear of congenital disabilities also encouraged their adaptation. 본 연구는 유전자 산전진단기술의 1970년대~1990년대 도입 및 정착 과정을 다룬다. 유전자 산전진단기술 도입을 위한 의학자, 특히 소아과 및 산부인과 의사들의 시도와 담론, 인구보건학자들의 담론을 중심으로 다루되, 그 사회적 반향도 아울러 고찰한다. 1960년대 세포유전학이 새롭게 도입되면서 국내에서도 산전 성 감별의 한 방법으로 양수천자가 시도되었으나 안전성 측면으로 활용되기 어려웠다. 1970년대 중반 주갑순, 양영호 등 해외에서 산전 검사를 수련한 이들을 중심으로 산전진단기술이 본격적으로 실시되기 시작하였다. 초기 산전진단기술은 성 감별 목적으로 널리 활용되었으며 초음파 기기가 다량 보급되면서 산전진단술은 더욱 각광받았다. 의학자들은 성 감별 목적으로 산전진단기술이 활용될 수 있음을 알리는 한편, 다운증후군을 예로 한 지적장애 또한 산전진단술을 통해 미리 출산을 막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과거에는 지적장애의 유전성이 관건이었다면, 산전진단술 도입 이후에는 다운증후군을 출산할 수 있는 고위험 정상인 여성의 태아를 미리 검사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받았다. 인구보건학자들은 산전진단기술을 통한 산전 성 감별은 성비 불균형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고 보았지만 기형아를 낳을 수 있는 일부 고위험 여성들의 산전 검사는 환영하였다. 1990년대 민주화된 사회를 배경으로 제기된 핵 문제, 환경오염 문제 등도 기형아에 대한 대중적 공포가 자리잡는 데에 기여하였다. 1970년대~1990년대 산전진단기술이 크게 각광받고 보급될 수 있었던 데에는 성 감별 수요, 일반인의 기형아 출산 위험 각인을 위한 의학자들의 노력, 기형아에 대한 공포 등이 작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