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자비행청소년의 성적 학대 경험과 비행에 미치는 영향

        최영신 아시아교정포럼 2008 교정담론 Vol.2 No.2

        이 글은, 신체적, 심리적, 성적 학대 경험과 같은 범죄피해 경험은 여자청소년이 범죄로 진입하게 되는 통로로 작용한다는 문제의식 속에서 여러 가지 학대 유형 중에서도 피해자에게 가장 심각하고 큰 상처를 입히게 되는 성적 학대에 집중하여 여자 비행청소년의 고유한 경험과 비행 특성을 분석하여, 여자청소년의 성적 학대 경험이 이후 범죄로 진입하는 경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여자청소년의 비행과 처우에 관한 연구](최영신, 2005)에서 수집한 설문조자 자료를 활용하였는데, 이 자료는 연구대상을 비행청소년 집단으로 한정하고 비행청소년의 성별 비교가 가능하도록 소년보호처분을 받고 있는 집단을 중심으로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여자비행청소년은 남자비행청소년에 비하여 성적 학대를 경험했던 비율이 현저하게 높으며, 낮은 자아존중감, 자살충동 등 범죄피해자로서의 특성을 드러낸다. 또한 성적 학대를 경험한 여자 비행청소년의 비행 특성은 성적 학대와 같은 범죄피해를 중지시키기 위한 중지전략으로서 범죄자 되기를 선택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며, 대부분의 비행유형에서 심각성의 수준이 높고, 성비행의 심각성이 현저히 높게 나타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여자비행청소년의 고유한 경험과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의 교육과 처우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성적 학대와 같이 범죄피해 경험을 갖고 있는 여자 비행청소년의 특성을 고려하여 여자 청소년의 개별적 필요와 욕구를 존중하는 처우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n female juvenile delinquents sexual abuse and delinquency, and to provide the improvements of the treatment of them. A reseacher want to understand the unique experiences, related to victimization of female juvenile delinquents through this study. For this purpose, the reseacher analyzed the survey data on juvenile delinquency and victimization from 270 female and 290 male juvenile delinquents.Girls' sexual abuse in childhood is much greater than boys'. And girls were also early than boys at the beginning time of sexual abuse. Victim rates are most high in female subgroup experienced the prostitution. It suggests that girls' victimization are linked with subsequent delinquent behavior. Sexual abused girls were inclined to have more seriousness in a various delinquencies than the control group. They were at increased risk for prostitu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art of abused girls be getting to escalate to criminal offending. And they had a tendency to have a low self-esteem and physical health problems, and to consider suicide. It is that abused girls develop antisocial or delinquent lifestyles that persist into adulthood as serious criminal careers. It is necessary to provide gender-specific programs for abused girls such as specialized trauma treatment. Gender-specific programs must consider not only the risk factors leading girls to delinquency, but also the protective and mitigating factors that foster strengths in adolescent girls. These protective factors include ‘gender identity development’,‘positive relationships with women adults’,‘escalating self-esteem’,‘educating about sexuality’, etc.

      • KCI등재

        임금근로 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직업능력과 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최영신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2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6 No.56

        본 연구는 임금근로 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업능력과 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웨이브 5차조사(2020년 6월∼9월) 데이터 유효 표본수 4,577명 중 임금근로 장애인을 대상으로 결측치를 제거한 1,449명이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SPSS 22.0과 PROCESS macro v.3.5 프로그램 중 모델6을 사용하였다. 직업능력과 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부트스트래핑 방법으로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사회경제적 지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총 간접효과, 사회경제적 지위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직업능력의 매개효과 (사회경제적 지위→ 직업능력→ 직무만족도), 사회경제적 지위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사회경제적 지위→ 자기효능감→ 직무만족도), 사회경제적 지위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직업능력과 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사회경제적 지위→ 직업능력→ 자기효능감→ 직무만족도)의 순차적 경로가 모두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이를 통하여 사회경제적 지위가 직업능력과 자기효능감을 순차적으로 매개로 하여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 기초하여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제언과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의 번역과정을 적용한 인공지능 작곡 시스템

        최영신,이승연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본 연구는 첨단 기술을 활용한 대중음악의 인공지능 작곡 시스템을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 번역과정을 적용하여 인간과 기술의 관계성을 알아보았다. 인공지능 작곡 시스템 개발과정과 유통되어 이용되는 과정을 기준으로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 번역과정으로 살펴보았다. 시스템 개발 과정에서 중심 인간 행위자는 음악 창작의 쉬운 접근성을 목적으로 네트워크구축이 이루어진다. 행위자들은 네트워크 속에서 끊임없이 역할을 이동하며, 새로운 역할을 부여 받고, 그 역할 속에서 새로운 관계 속 존재들로 생성하고 있다. 기술은 계속 발전하고 그에 따른 인간의 삶의 방식이 달라진다. 비인간 행위자를 향한 인간 행위자의 독창적인 방식에 따라, 인공지능의 자생적인 진화를 촉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비행 청소년의 학교 중퇴와 대안학교

        최영신 한국교육사회학회 2001 교육사회학연구 Vol.11 No.3

        비행 청소년들의 학교 중퇴를 청소년 개인의 비행 행동에 대한 처벌이나 책임으로 파악하 는 시각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문제점을 야기한다. 첫째는 학교와 관련된 요인이 청소년의 학교 중퇴를 야기하는 한 가지 원인이 되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며, 둘째는 중등학교 학령 기 청소년에게 평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하지 못하게 되며, 셋째는 학교교육의 사회화 기능과 보호기능을 포기하게 된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중ㆍ고등학생의 학교 부적응 실태 와 비행의 증가 현상을 살펴보고, 비행으로 인해 중퇴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이 학교교육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서 기존 학교와 관련된 요인이 청소년 들을 학교 생활에 적응하기 어렵도록 하고 이로 인해 비행행동으로 내모는 경향이 있으며, 이들이 중퇴 경험을 통해 학교교육의 긍정적 측면을 인식하게 된다는 것을 드러낸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비행으로 인해 학교를 중퇴하는 청소년들을 위한 대안학교 가 필요하다는 것을 논의한다. It has some problems to think that juvenile delinquents must be obliged to accept school dropout as punishment on their delinquency. The view ignores the possibility that school experiences themselves contribute to delinquent behavior, and passes by the fact that opportunities for secondary education aren't equally provided, and that socialization and caring on juvenile delinquents through school activities are surrendered. In realizing these problems, this paper examines aspects of dropout due to delinquency by analyzing the 1975-1998 official records on turnover of secondary students and the interview data from 10 juveniles who put under probation in Aug. 2000, and discusses alternative schools for dropouts as an approach to delinquency prevention and school adaptation. Major findings from this paper indicate that school - related factors, such as experiences of academic failure, dissatisfaction with teacher, lack of understanding of school regulations, and attachments to delinquent peers in the school context, play a direct or indirect role in delinquency and school failure, and that the juvenile delinquents who have experienced school dropout are getting to find the positive aspects of school control, such as rules, regulations and caring, and to want schooling.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alternative schools for delinquent dropouts. These include: 1) establishment of more alternative schools for delinquent dropouts, 2) alternative schools based in the suburbs or urban area, and 3) home - based residential alternative schools. Previous to these suggestions, the exertion to prevent school dropout must be offered.

      • KCI등재후보

        가족의 정서적 환경,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력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최영신,김영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06 놀이치료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effects of family emotional environment, which consisted of family communication, family's affective atmosphere, participation of family ritual and family conflict, were mediated by self-efficacy and problem-solving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ed of 529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4th to 6th grade) drawn from 3 elementary schools in Cheong-ju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the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 α and correlation using SPSSWIN program. The theoretical model was tested separately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and age using LISREL Ⅷ package.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the effects of family emotional environmen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diated by self-efficacy and problem-solving be different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and age. 본 연구는 성과 연령에 따라 가족의 정서적 환경(가족의사소통, 가족의 긍정적 정서, 가족행사참여, 가족갈등)이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력을 경유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문헌 고찰을 바탕으로 이론적 연구모델을 세우고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청주시 소재 초등학교 4, 6학년 5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설문지 조사방법을 사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제안된 이론적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SPSSWIN과 LISRELⅧ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따르면 아동의 학업성취는 성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남학생의 경우는 가족의사소통과 가족의 긍정적 정서가, 여학생의 경우는 가족의 긍정적 정서가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4학년에서는 가정의 긍정적 정서가 6학년에서는 가족의사소통이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력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다.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력은 모든 아동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아동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기제가 됨을 본 연구에서는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가족의 정서적 환경이 성과 연령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 KCI등재

        수형자 집중인성교육의 평가와 개선방안

        최영신 아시아교정포럼 2016 교정담론 Vol.10 No.2

        이 연구는 현행 수형자 집중인성교육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하여 집중인성교육의 운영과 관련된 전반적인 문제점을 점검하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집중인성교육의 교육당사자인 수형자와 외부강사대상 설문조사에 기초하여 현행 정책의 문제점을 점검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자는 2015년 조사일 현재 집중인성교육(Ⅱ,Ⅲ과정)을 이수한 수형자와 집중인성교육에서 강의를 담당한 외부강사를 모집단으로 하여 유층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선정하였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수형자는 12개 교정시설의 385명이며, 외부강사는 15개 교정시설의 111명이다. 수형자와 외부강사 대상 설문조사자료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현행 수형자 집중인성교육은 1)세부 프로그램의 구성과 교육내용의 충실화, 2)집중인성교육(III)과정의 운영 및 세부 프로그램의 재편성, 3)교육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집단 구성, 4)외부강사 사이의 의견 조율 등 교육운영협의체의 필요성, 5)교육여건의 개선 등이 시급한 과제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overall problems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intensive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r prison inmate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m for greater effectiveness in carrying out the programs. The character-based intensive educational program is divided into courses I, II, III according to term of imprisonment, which offer programs of 35 hours, 100 hours, and 300 hours, respectively. They are designed to be offered mostly in early days of imprisonment. But only the courses II, III are practically intensive programs. The course I is a basic program designed for prisoners with less than three months left to serve, which is a 35-hour program combining 20 hours for new inmates and 15 hours for pre-release education. Thus, this study did not contain the course I for further examination. Survey was conducted with 385 inmates from 12 correctional facilities and 111 external instructors from 15 correctional facilities, in order to evaluate the intensive character education coursesⅡ, Ⅲ that had been implemented in 2015. And of them 338 inmates completed the course II, and 47 completed the course III. As a result, on the basis of survey results on prisoners and external instructors, improvement plans are boiled down to the following six domains: 1) Organization of sub-programs and enrichment of educational contents, 2) Operation and reorganization of the intensive course III, 3) Grouping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inmates taking the course, 4) Necessity for a consultative committee responsible for educational programs and opinion coordination among external instructors, 5) Improvement of conditions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