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최연준,김주혜 한국경찰연구학회 2022 한국경찰연구 Vol.21 No.1
드론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써 다양한 기술과 접목할 수 있어 활용범위가 매 우 넓다.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의 비행능력을활용하여 기존의 영상감시시스템의한계 인 사각지대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비대면이 활성화됨에 따 라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는 AI를 활용한 안면인식 기술을 드론과 융합하여 영상감시시 스템으로 활용한다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매우 유용한 물리보안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처럼 물리보안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있어 드론의 활용도가 매우 높음에도 불 구하고 관련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안면인식 기술을 적용 한 드론의 물리보안 활용방안과 한계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 시하였다. 드론을 물리보안 산업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드론의 배터리 문제, 안전성 문 제 등 기술적인 한계를 보완해야 하며, 드론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할 수있도록 법적근거마련이필요하다. 또한, 안면인식 기술이 탑재된 드론을활용하기 위해서는 안면인식 기술의 편향성 및 불완전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개선 이 필요하며, 민감정보로 분류되는 안면인식 정보를 영상감시시스템에 활용하기 위한 법적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드론과 안면인식 기술의 기술적 한계와 법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된다면 드론의 비행 능력과 안면인식 기술의 자동화 처리를 융합한 영 상감시시스템을 활용하여 더욱 효율적인 물리보안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Drones can be integrated with various technologies as the cor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range of utilization is very wide.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video surveillance system by using the flight capability of a drone equipped with a camera. In addition, if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using AI, which continues to develop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is used as a video surveillance system by converging it with drones, a very useful physical security system can be established in the post-Corona era. Despite the very high utilization of drones in building physical security systems, related research is insufficient.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physical security utilization, limitations, and problems of drones to which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is applied were examined,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suggested. In order to use drones in the physical security industry, technical limitations such as battery problems and safety problems of drones must be supplemented, and legal grounds must be prepared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drones can be actively used. In addition, in order to utilize drones equipped with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technical improvement is needed to solve the problem of bias and incompleteness of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and legal basis for using facial recognition information classified as sensitive information in video surveillance systems is needed. If such technical limitations and legal problems of drone and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are improved, a more efficient physical security system can be established by utilizing a video surveillance system that combines drone flight capabilities and automated processing of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국가중요시설의 물리보안 수준과 보안정책 준수의지가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연준,이주락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2018 한국산업보안연구 Vol.8 No.1
국가의 질서유지에 큰 비중을 담당하고 있는 국가중요시설은 한 번의 테러 공 격으로 국가 전체를 마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테러집단에게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테러 대상일 것이다. 그러므로 국가중요시설의 안전성 제고와 보안 목표의 달성을 위해서 접근통제, 시설방호, 재해방지 활동을 통해 물리보안의 수준을 향 상시키는 것과 함께, 시설이 보유한 자산과 정보를 다양한 위협으로부터 보호하 고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규정한 보안정책을 특수경비원들이 자발적으로 준수 하도록 하는 보안정책 준수의지를 향상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중요시설의 물리보안 수준과 특수경비원의 보 안정책 준수의지가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다양한 위협으로부터 국 가중요시설을 보호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국가중요시설의 물리보안 수준과 특수경비원들의 보안정책 준수의 지는 보안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국가중요시설의 물리보안 수 준도 보안정책 준수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가중요시설의 물리보안 수준 향상과 특수경비원들의 보안정책 준수의지를 변화시키면 보안 목표 달성을 위한 보안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nation's critical facilities which are the hub of order maintenance would be an ideal target for terrorist groups since a single attack could paralyze the entire country. In order to prevent future threats to critical facilities, the standards of physical and information security must be enhanced through a higher level of access control, facility protection, and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An important factor in achieving this goal is raising security officers’ awareness about security policies and promoting their willing observance of existing rules and laws. Furthermore, the effect of the view on physical security at the nation’s critical facilities and the intention to observe security policies on security performance are examined. Based on research findings, implications for security policies and practitioners are discussed.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view on the physical security level at the critical facilities were shown to affect the perception of security performance. And the willingness of the security guards to comply with security measures also affected the opinion on security performance. In addition, the level of physical security at the critical facilities influenced the guards’ willingness to comply with security polic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esented directions for achieving security goals for nation‘s critical facilities.
Intracranial Hemorrhage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Disorders
최연준,주원일,나현균,박해관,이경진,김문찬 대한신경외과학회 2004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36 No.4
Objective : Spontaneous intracranial hemorrhage is still common cause of death in the hematologic disorder including leukemia.The authors examine laboratory & radiological findings in patients with intracranial hemorrhage caused by hematologic disorder. Methods : From March 1998 to May 2002, 42 patients with hematologic disease complicated by intracranial hemorrhage were transferred from hematology department. The patients were normotensive and had not trauma history. In all patients, intracranial hemorrhages were diagnosed with the brain computerized tomography. Surgical treatment was performed in one case. Results : Underlying hematologic disorders included aplastic anemia (4), acute myeloblastic leukemia (20),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6), chronic myeloblastic leukemia (8), myelodysplastic syndrome (2), multiple myeloma (1), and polycythemia vera (1). Intracranial hemorrhage subtypes consisted of intracerebral hemorrhage (39) including mainly subcortical lobar hemorrhage (28), and subarachnoid hemorrhage (3). Twenty (48%) of the 42 patients had multifocal hematomas. Thirty six patients (86%) had moderate and severe thrombocytopenia (less than 100x109/L). Twenty four patients (57%) had moderate and severe leukocytosis (greater than 20 x 109/L). Conclusion : It showed that (1) the risk factors of intracranial hemorrhage in hematologic disorders are thrombocytopenia, leukocytosis and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opathy ; (2) intracerebral hemorrhage in hematologic disorders occur preferentially in the subcortical portion ; (3) intracranial hemorrhage in hematologic disorders consist of various combinations of subcortical lobar hemorrhage, subarachnoid hemorrhage, subdural hemorrhage and intraventricular hemorrhage ; (4) intracerebral hemorrhage in hematologic disorders tend to be multiple.
민간경비원의 팔로워십과 임파워먼트가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연준 한국보안관리학회(구 한국경호경비학회) 2024 시큐리티연구 Vol.- No.81
최근 각종 이상동기 범죄와 살인 예고 협박 글 게시가 전국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국민들 의 범죄 두려움이 증가하면서 국가적으로 치안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여 강력 대응에 나서 고 있다. 하지만, 특별 치안 활동을 지속하기에는 경찰력의 인적·물적 한계가 있어 전문 민간 시큐리티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수요와 국민들의 민간경비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 가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급격히 증가하는 치안 수요를 경찰력만으로 해결하기는 어 렵기 때문에 민간경비도 범죄 예방의 실질적 기능을 담당하여 치안 서비스를 공동으로 생 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민간경비원의 팔로워십과 임파워먼트 가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팔로워십의 하위요인인 독립적·비판적 사고, 능동적·적극적 참여는 예방성과 및 대응성과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 인 의미성, 영향력, 자기결정성, 유능성은 예방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인 의미성, 유능성은 대응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 구성원들에 대한 적절한 인적자원관리 를 통해 보안 업무 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건·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사건·사고 발생 시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조직의 예방성과 및 대응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보안성과 향상과 더불어 체계적인 보안관리 시스템 구축을 통해 조직의 보안 목표 달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Recently, the nationwide occurrence of various aberrant motivation crimes and the posting of murder threat messages has increased public fear of crime, leading to a surge in national demand for public safety and prompting strong countermeasures. However, sustaining special public safety activities is limited by the human and material constraints of police forces, resulting in a growing need for professional private security systems and an increasing demand for private security services among citizens. Therefore, as it is challenging to address the rapidly increasing demand for public safety solely through police forces, there is a need for private security to take on a practical role in crime prevention and collaboratively produce public safety services. In this regar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identify the impact of domestic private security guards’ followership and empowerment on security performance,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sub-factors of followership, namely independent and critical thinking, and active and proactive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both preventive performance and responsive performance. Second, the sub-factors of empowerment, including meaning, impact, self-determination, and competence, positively (+) influenced preventive performance, while meaning and competenc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impact on responsive performa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d measures to enhance the organization’s preventive performance and responsive performance by implementing appropriate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These measures aim to prevent incidents or accidents that may occur during the execution of security tasks and ensure an adequate response when such events arise. Furthermore, the study provided policy implications to support achieving organizational security objectives by enhancing security performance and establishing a systematic security management system.
최연준,김준석 한국경호경비학회 2022 시큐리티연구 Vol.- No.70
Along with next-generation ICT technologies such as AI, big data, cloud, and IoT, drones continue to expand their application fields as they attract attention from various industries. In addition, COVID-19 is accelerating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various existing industries, and the physical security industry is also becoming more advanced based on 'super-connectivity,' 'super-convergence,' and 'super-intelligence.' Physical security in all industrial facilities is important, but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systematic physical security system such as access control, intrusion detection, and image monitoring at nuclear power plants. This is because various threats caused by nuclear and radioactive materials have a great impact on national security and public safety. Therefore, if physical security work is performed using drones with characteristic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electronic security systems, it can be a good control means to prevent security accidents that may occur in nuclear power plants. This study examined the use of drones as an area of physical security in nuclear power plants and their limitations, and suggested technical, operational, leg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to improve them. In order to use drones for physical security of nuclear power plant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echnical and operational limitations such as short flight time problems, threats using security vulnerabilities, and operational problems caused by climate change.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legal and institutional limitations such as problems related to the compliance of ultra-light aerial vehicle pilots under the 「Aviation Safety Act」 and the preparation of physical protection policies and system establishment under 「Act on Physical Protection and Radiological Emergency」. If such technical and operational limitations and legal and institutional limitations are improved, an efficient physical security system using drones can be established at nuclear power plants. 드론은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IoT 등과 같은 차세대 ICT 기술들과 더불어 다양한 산업에서 주목받으면서 활용 분야를 계속해서 넓혀가고 있다. 또한, 코로나19는기존 각종 산업의 구조 전환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으며, 물리보안 산업도 이에 맞게변화하면서 ‘초연결’, ‘초융합’, ‘초지능’을 바탕으로 더욱 고도화되고 있다. 모든 산업시설에서의 물리보안이 중요하지만, 특히, 핵물질과 방사성물질로 인해 각종 위협이발생하면 국가안보와 국민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원자력발전소에서의 출입통제, 침입탐지, 영상감시 등 체계적인 물리보안 시스템 구축은 굉장히 중요하다. 따라서, 기존 전자적 보안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특성이 있는 드론을 활용하여 물리보안 업무를 수행한다면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사고를 예방할 수있는 하나의 좋은 통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드론을 원자력발전소에서 물리보안의 영역으로 활용할 방안과 그 한계를 살펴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운용상, 법·제도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드론을 원자력발전소의 물리보안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첫째, 짧은 비행시간 문제, 보안취약점을 이용한 위협 문제, 기후 변화에 따른 운용 문제 등 기술·운용상의 한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항공안전법」에 따른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의 준수사항 등과 관련한 문제와「원자력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 방재 대책법」에 따른 물리적방호 시책 마련 및체제의 수립 등과 관련한 문제 등 법·제도적 한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기술·운용상 한계와 법·제도적 한계를 개선한다면 원자력발전소에서 드론을 활용한 효율적인 물리보안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시설경비 및 물리보안 용어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인식 및 정서를 중심으로
최연준 한국경호경비학회 2022 시큐리티연구 Vol.- No.71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has achieved rapid quantitative growth with national growth, but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build a private security industry that reflects the stream of the time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development of the security industry by grasping people's awareness and emotional forms of facility security and physical security, changes in awareness and emotional forms in 2012 and 2021, and grasping the differences in awareness and sentiment. To this end, posts mentioning facility security and physical security were collected from major domestic websites by using Textom 6.0’s crawling function. After that, major keywords and topics for the term facility security and the term physical security in 2012 and 2021 were identified through big data analysis such as LDA topic modeling and opinion mining. In addition, we looked at how people's perceptions and emotions changed in 2012 and 2021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people's perceptions and emo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erception of facility security changed negatively over time, but the perception of physical security changed more positively over time. In addition, people's perception and sentiment of physical security are expected to improve due to the need for convergence security, increased interest, and the expansion of the security market. Therefore, the use of the term physical security instead of the term facility security will help further develop security-related academia and industry in the future. 민간경비산업은 국가 성장과 함께 급속한 양적 성장을 이루었지만,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른 과학기술 발전으로 인해 과거 전통적인 형태에서 탈피하여 시대적인 흐름을 반영한 민간경비산업 구축이 필요한 현실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시설경비 및 물리보안용어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및 정서 형태, 2012년과 2021년의 인식 및 정서 형태 변화, 인식 및 정서 차이에 대해 파악하여 향후 보안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텍스톰 6.0을 활용하여 크롤링 방식을 통해 국내 주요 웹사이트에서‘시설경비’, ‘물리보안’이 언급된 게시물을 수집하였다. 이후 LDA 토픽 모델링, 오피니언마이닝 등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2012년과 2021년에 시설경비, 물리보안 용어별 주요키워드 및 토픽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사람들의 2012년과 2021년 인식 및 정서 형태가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았으며, 사람들의 인식 및 정서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설경비 용어에 대한 인식은 시간이 흐르며 부정적인 측면으로 변했지만, 물리보안 용어에 대한 인식은 과거에도 긍정적인 부분이 컸고, 시간이 흐르며 더욱긍정적으로 변했다. 또한, 융합보안에 대한 필요성 및 관심 증가와 보안 시장의 확대 등으로 물리보안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및 정서는 더욱 좋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시설경비라는 용어 대신 물리보안이라는 보다 확장된 의미를 가진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차후보안 관련 학계와 산업 발전에 더욱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50세 이상의 한국 성인에서 요통과 정신건강의 연관성: 제6기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최연준,이연지,최지호,김춘영,이수연,이혜영,정다혜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2
Current Issue|Archives|Most Read Korean J Fam Pract 2019; 9(2): 133-138 https://doi.org/10.21215/kjfp.2019.9.2.133The Association between Low Back Pain and Mental Health in Korean Adults Over the Age of 50: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Yeon-Jun Choi, Yeon Ji Lee*, Ji-Ho Choi, Choon-Young Kim, Soo-Yeon Lee, Hye-Young Lee, Da-Hye Jeong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Inh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ncheon, KoreaYeon Ji Lee, Tel: +82-32-890-3547, Fax: +82-32-890-2195, E-mail: dawndusk@naver.com, ORCID: http://orcid.org/0000-0001-7712-996XReceived: July 20, 2018; Revised: October 28, 2018; Accepted: November 29, 2018; Published online: April 20, 2019. ©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Background: Lower back pain (LBP) is the most common musculoskeletal disease in adults over the age of 50. LBP i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and mental health such as depression or suicidal thoughts. We aim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LBP and mental health and that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depressive mood in LBP patients among Korean adults over the age of 50. Methods: We included 2,681 adults in the analysis, who participated in the 2013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used a t-tes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chi-squared test via complex sampling. We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LBP and mental health, various kinds of physical activity, and depressive mood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factors. Results: Poor mental health (perception of stress, diagnosis of depression, depressive mood, suicidal thoughts, and suicide attempt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BP. The LBP group was 2.077 times more likely to be diagnosed with depression and was 4.666 times more likely to have suicidal thoughts than the control group. Exercise, such as walking, was associated with a reduced risk of depressive mood in subjects with LBP. Conclusion: LBP patients were at high risk of being diagnosed with depression, experiencing suicidal thoughts and depressive mood, and attempting suicide. In LBP patients, walking was associated with a reduced depressive mood. 연구배경: 50세 이상의 성인에서 나타나는 근골격계 질환 중 가장흔한 것은 요통이다. 요통은 신체활동, 우울증 또는 자살생각과 같은 정신건강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50세 이상의 한국 성인에서 요통과 정신건강의 연관성, 요통 환자에서 신체활동과 우울감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법: 2013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50세 이상 성인 중 요통의 유무 조사에 답한 2,681명을 대상으로 요통과 정신건강의 연관성, 요통 환자에서 여러 종류의 신체활동과 우울감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가중치를 적용한 복합표본 분석을 통해 t-test,카이제곱 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요통 환자는 일반인 대조군보다 평균 연령이 높고, 여성의 비율이 많았다. 또한, 교육수준이 낮고, 소득이 적으며, 흡연율과 음주율이 낮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요통과 정신건강(스트레스 인지, 우울증 진단, 우울감, 자살생각, 자살시도)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일반인 대조군과 비교해 볼 때 요통 환자에서 진단받은우울증은 2.077배, 자살생각은 4.666배높은교차비를보였다. 요통환자에서걷기운동은감소된우울감의위험도와관련이있다. 결론: 50세 이상의 요통 환자는 우울증을 진단받고, 자살 충동을 느끼며, 우울감을 경험하고, 자살을 시도할 위험이 높다. 요통이 있는환자에서 걷기 운동은 감소된 우울감 경험과 관련이 있다.
최연준 한국경호경비학회 2022 시큐리티연구 Vol.- No.72
National important facilities are important facilities that affect national security and people's lives, and should always be kept safe from various threats, but they have various security vulnerabilities and threats. Therefore, the role of the protection personnel in carrying out the protection work to ensure that national important facilities can be maintained normally from various crime and terrorist threats is very important. If various matters are considered when designing the shift work system for the national important facility protection personnel, the security of the national important facilities can be strengthened by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of the protection personnel.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the guard officer and the security guard, which are the protection personnel of important national important facilities, and the matters to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the shift work system for the national important facility protection personnel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workload, intensity of work, and facility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the shift work system for the national important facility protection personnel, and the continuity, efficiency, and social equity should be considered comprehensively. In addition, the legality of the 「STATE PUBLIC OFFICIALS SERVICE REGULATIONS」and the 「LABOR STANDARDS ACT」, which are legal regula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shift work systems for protection personnel. Besides, if fatigue improvement is considered through smart scheduling, napping and relief systems, the security of important national facilities can be strengthened by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of protection personnel. 국가중요시설은 국가안보와 국민 생활에 영향을 주게 되는 중요한 시설로 각종위협으로부터 항상 안전하게 유지되어야 하지만 다양한 보안 취약성 및 위협요인을가지고 있다. 따라서, 각종 범죄 및 테러 위협으로부터 국가중요시설을 정상적으로유지할 수 있도록 방호업무를 수행하는 방호인력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국가중요시설 방호인력의 교대근무제를 설계할 때 다양한 사항들을 고려한다면 방호인력의 업무 능률을 향상시켜 국가중요시설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중요시설의 방호인력인 방호관과 청원경찰의 차이를 살펴보고, 국가중요시설의 방호인력 교대근무제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국가중요시설 방호인력 교대근무제 설계 시 업무량, 업무강도 및 시설 특성을기본적으로 고려하고, 업무의 연속성, 효율성 및 사회적 형평성 등에 대한 부분도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또한, 국가중요시설이 가지고 있는 특수성을 반영하여방호인력에 대한 교대근무제 설계 시 법적 규정인 「국가공무원 복무규정」과 「근로기준법」에 대한 적법성을 고려해야 하며, 스마트 스케줄링(Smart Scheduling), 사이잠(Naping), 릴리프(Relief) 제도를 통해 피로도 개선을 고려한다면 방호인력의 업무능률 향상으로 국가중요시설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촉법소년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 LDA 토픽 모델링 및 감성 분석을 중심으로
최연준 한국경호경비학회 2023 시큐리티연구 Vol.- No.76
촉법소년 범죄가 증가함과 동시에 흉포화됨에 따라 촉법소년 관련 연구의 필요성은 나 날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 촉법소년 및 소년범죄 관련 선행연구는 대부분 법적인 관점에서 진행되었기에 촉법소년을 주제로 빅데이터 분석을 진행하여 관련 사회문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LDA 토픽 모델링과 감성 분석이라는 빅데이터 분석기 법을 활용하였다. 이에 따라, LDA 토픽 모델링 결과 6개의 토픽을 도출하였고, 긍정, 중립, 부정으로 구분하여 감성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도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촉법소년 관련 이슈를 파악하고, 촉법소년 연령 기준 하향 논의에 대한 대중의 인식 및 감성을 파악하였다. 이는 기존 선행연구들의 연구방법과는 큰 차별성을 갖고 있으며, 촉법 소년 주제에 대한 이와 같은 새로운 접근은 해당 분야에 새로운 시각을 가져올 수 있고, 학문적, 정책적으로도 새로운 형태의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number of crimes committed by law-intruding juvenile increases and becomes more vicious, the need for research on law-intruding juvenile is increasing day by day. Since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n law-intruding juvenile and juvenile crime were conducted from a legal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the relevant social problem by conducting big data analysis on the topic of law-intruding juvenile. This study used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of LDA topic modeling and sentiment analysis, and six topic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LDA topic modeling, and sentiment analysis results were presented by classifying them into positive, neutral, and negativ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identified issues related to law-intruding juvenile and identified the public opinions and sentiments on the lowering of the age of law-intruding juvenile. This is very different from existing prior research methods, and this new approach to the subject of tactile juvenile can bring a new perspective to the field and contribute in a new form academically and policy.
코로나19 이후 한국의 사회공학적 공격에 관한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최연준 한국경찰연구학회 2023 한국경찰연구 Vol.22 No.1
COVID-19 has changed many parts of our society. COVID-19 also affected crime, which stimulated people's psychology in various forms, and as a result, the incidence of social engineering attacks increased.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way Social Engineering Attack techniques changed and the causes of the increase in Social Engineering Attacks before and after COVID-19. The researchers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 to derive answers to research questions,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e Social Engineering Attack techniques changed to ‘exploit COVID-19-related economic commodity(loan) information and government policies and guidelines related to COVID-19’ and ‘impersonate health-related organizations and public institutions.’ Next, the reasons for the increase in Social Engineering Attack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were ‘an increase in anxiety due to pandemic', ‘a desire for pandemic-related information', and ’a transition to a non-face-to-fac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