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감사의 논증구조에 관한 시론적 논의

        최슬기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22 行政論叢 Vol.60 No.2

        This study focused on the nature of ‘public auditing as an argument’. The audit argument consists of elements such as criteria, evidence, and audit conclusions, and takes the form of formally valid deductive argument. The audit argument structure reduces audit risk for auditors while protecting them from inadequate political pressures. For auditees, the audit argument structure provides predictability in the audit process and fairness of audit results by lessening human error. For audit clients such as citizens, the audit argument structure makes audit conclusions stable and understandable. However, the audit argument structure depends only on its formal logic. It has an inherent limitation of logically valid but unsound arguments, and performance auditing widens the gap between the auditor’s actual judgment and the existing argument structure. 본 연구는 공공감사의 논증구조를 시론적 차원에서 논의하였다. 주요 논의내용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공공감사는 전제와 결론으로 구성된 논증의 전형이며, 동시에 설득을 목적으로 하는 논증행위의 속성을 갖는다. 둘째, 감사논증은 감사기준과 감사증거를 대비하여 감사결론에 이르는 구조를 통해 수행되며, 후건부정의 형식논리에 따라 결론의 필연적 타당성을 보장한다. 셋째, 구조화된 논증방식은 감사자에 의한 인적 오류와 편견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감사위험을 줄이고, 감사과정 및 결과에 대한 예측가능성과 공정성을 기대할 수 있게 하며, 행정 및 정책의 안정성에도 기여한다. 넷째, 감사논증구조에 내재한 후건부정의 형식논리는 보편적 정당성과 수용성을 담보하지 못한다는 내재적 한계와 함께, 성과감사라는 공공감사의 외연 확장이 감사논증의 실질과 형식의 불일치를 확대시키는 외재적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 KCI등재

        기관 성능 향상을 위한 휘발유와 LPG 혼소 연료 제어 기술에 대한 연구

        최슬기,백두성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7

        The fuel used in automobiles is changing from conventional gasoline and diesel fuel to environmentally friendly LPG, LNG, CNG and hydrogen fuel. In particular, there is an increased awareness of the excessive operation of exhaust gas emitted from diesel vehicles or excessive exhaust gas due to temperature and operating patterns and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preparing regulatory policies for diesel vehicles. By 2020, both London and Paris have banned the entry of diesel vehicles into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t also establishes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EURO-VI has recently been issued to reduce nitrogen oxides. Among them, SCR and LNT are used as reduction technologies for nitrogen oxides. SCR uses urea as a reducing agent, which is mainly applied to large vehicles. On the other hand, LNT is mainly applied to passenger cars and the NOx reduction efficiency is lower than that of SCR. On the other hand, urea, which does not react partially when injecting urea, may be a factor to increase PM, so an optimized design technique is needed. This study aims to develop fuel control technology to reduce hazardous exhaust gas and improve fuel efficiency of automobile in order to use gasoline vehicle equipped with GDI and to use it as LPG fuel. 자동차에 적용되는 연료로 과거 전형적인 가솔린과 경유로부터 친환경적인 가스 연료인 LPG, LNG, CNG 그리고 수소 연료 등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경유 차량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임의 조작 혹은 온도 및 운행패턴에 따른 과다한 NOx/PM 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세계 각국은 디젤 차량에 대한 규제 정책을 준비 중에 있다. 2020년까지 런던이나 파리에서도 디젤 차량의 수도권 진입을 금지를 취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2017년부터 노후 경유차에 대해서 수도권 진입을 금지하고 있다. 관련 법규도 제정하고 있으며 이중에 EURO-VI는 질소산화물을 저감하고자 하는 규제로 최근에 화두가 되고 있다. 해당하는 질소산화물 저감기술로는 SCR과 LNT가 있으며 이중에 SCR은 우레아를 환원제로 사용하는데 주로 대형차량에 적용하고 있는데 환원효율이 높아서 NOx 저감이 높다. 반면에 LNT는 주로 승용차에 적용되고 있으며 SCR에 비해서 NOx 저감 효율이 낮은 편이다. 한편으로 우레아를 분사시 일부 반응하지 못한 우레아는 PM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최적화된 설계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GDI가 장착된 가솔린 자동차를 개조하여 LPG 연료를 겸용으로 사용하고자 유해한 배기가스를 줄이고 자동차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연료 제어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Do the Young Have Equal Voting Power as the Elderly: Population Composition of Electoral Districts and Vote Value Parity

        최슬기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23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52 No.1

        This study sets out to identify the degree to which a vote’s value is unequally weighted due to heterogeneous population compositions across electoral districts. The National Assembly Elections and metropolitan and provincial council elections conducted from 2012 to 2022 in South Korea are analyzed. Analysis results provide that the unequal vote value parity has been addressed to a certain extent. At the election in 2016, when the new demarcation of the electoral districts was implemented, gaps in vote values among different age groups have dropped sizably. However, the 2020 election showed a slightly rebounding trend, presumably reflecting the growing size of the elderly population. At the provincial council elections I found that there were still notable gaps in vote values. It means that heterogeneity of population sizes and age structures across electoral districts make the young have less voting power comparing to the elderl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o give a heed and to be prepared to ensure the vote parity at the backdrop of the aging population.

      • KCI등재

        세대별로 투표하는 정당이나 후보는 달라지는가?

        최슬기,이윤석,김석호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9 한국사회 Vol.20 No.2

        The study examines generational differences in political attitude and behavior such as vote choice and party identification in Korea. It simultaneously analyzes the effects of age, period, and cohort on political attitude and behavior. In particular,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distinctive cohort effects and examines, if they exist, how they vary. This study employs a systematic APC (Age-Period-Cohort) analysis to discern the independent effect of age, period, and cohort using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data, the classic repeated cross-sectional data in Korea. The results show distinct cohort effects on political behavior in six national elections from 2010 to 2018. The cohort effec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ven after controlling social class and region variables and distinguished from both period and age effects. We note that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distinguished from a general notion known as “the older you get, the more conservative you becom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applying APC models. The results exhibit that a cohort born before 1964 tends to be conservative which aligns with the correlation of aging and conservatism. In addition, The probability of a 1960-1964 cohort making electoral choices for conservative parties rises after controlling age effects and period effects whereas a 1965-84 cohort do not exhibit political conservatism, with strong statistical significance in 1965-69 cohort and 1970-74. Meanwhile, a 1985-1994 cohort shows quite a strong political conservatism. Additionally, the probability of a 1990-1994 cohort making electoral choices towards conservative parties rises after controlling age effects and period effects which suggests that they can be as conservative as a 1940. 이 논문은 지지 후보/정당으로 드러난 한국 사회의 세대 간 정치행태 차이를 분석한다. 특히 기간효과와 연령효과를 구분해 세대만의 독자적인 특성이 있는지, 특성이 있다면 세대별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정치 태도와 행위에 대한 연령효과, 기간효과, 세대효과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 논문은 APC(Age-Period-Cohort) 분석을 활용할 것이다. APC 모형은 분석 가능한 자료만 존재한다면 세대와 연령의 차별적 효과를 드러내는 데 적합하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대표적인 반복횡단면 조사인 한국종합사회조사(Korean General Social Survey)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지난 2010년부터 2018년까지 분석에서 사용된 여섯번의 전국선거에서 드러난 세대간 정치행태를 분석한 결과 세대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세대 차이는 계층과 지역을 통제한 이후에도 존재하며, 기간효과와 연령효과와도 구분된 독자적인 특성을 지녔다. 또한 나이가 들면서 보수 화되는 일반적 경향과는 구분된 세대별 특성도 나타났다. 이러한 세대 특성은 HAPC 분석모형을 통해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게 다름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1964년생 이전세대는 보수성향을 보였다. 특히 나이든 고령의 세대일수록 보수성향이 더 강함이 드러났다. 특히 386세대 전반기에 해당하는 1960~64년생은 연령효과와 기간효과를 통제한 후에는 보수 후보를 지지할 확률이 높았다. 반면 1965~84년생은 비보수 블록을 형성하고 있는데, 특히 1970~74년생과 1965~69년생이 가장 비보수적인 정치 행태를 보였다. 진보블럭에 이어, 1985~94년생에게서는 다시 보수성이 강화된 특성이 나타났다. 특히 1990~1994년생은 연령효과와 기간효과를 통제하고 나면, 1940년대생에 필적할만큼 강한 보수성이 나타났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대인관계성향, 사회적 지지와 우울 간의 관련성

        최슬기,박경옥 한국학교보건학회 2015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28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interpersonal dispositions and social support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Methods: A total of 604 students (320 males and 284 females) from four high schools conveniently sampled from high schools in the Incheon area participated in a self-administered survey. Results: According to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factors significantly affected the participants’ depression levels with the explanatory power of 30.6%: grade, perceived health status, sympathetic-acceptable personality, sociable-friendly personality, rebellious-distrustful personality, parent support, peer support, and the support from community. Conclusion: In this study, interpersonal dispositions and social suppor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rengthening personal relations and social support can help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mental health and suicide prevention.

      • KCI등재후보

        목회자 자녀의 자기탐색을 위한노래심리치료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슬기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1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look deeply into the experience of self-exploration by providing song psychotherapy to the children of ministers. For this, three women, who were children of ministers and who were in their twenties, were provided with fifteen sessions of song psychotherapy at the Music Therapy Clinic of E University. The present study used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in order to observe and understand the self-exploring process of the participants in depth. Therefore, the present research found 164 meaning units, 38 themes and 14 theme groups, and 3 categorizat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e features of environment while exploring themselves in song psychotherapy. Second, they found their affectedness by and reactions about surrounding environments. Third, they found an intrapersonal condition that was formed by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With this as the basis,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helps form an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a that the children of ministers experience, and it may be utilized as groundwork in th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music therapy methods for the self-exploration of the children of ministers. 본 연구에서는 목회자 자녀에게 자기탐색을 목표로 하는 노래심리치료를 제공함으로써 이들이 자기를 탐색하는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목회자 자녀인 20대 여성 3명을 대상으로 E대학의 음악치료 클리닉에서 자기탐색을 목적으로 총 15회기의 노래심리치료를 제공하였다. 참여자들의 자기탐색 과정을 심도 있게 관찰하고 이해하기 위해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64개의 의미 있는 진술들이 선별되었고, 34개의 주제와 10개의 주제군, 3개의 범주가 도출 되었다. 이를 분석한 결과 첫째, 참여자들은 노래심리 치료 안에서 자기를 탐색하는 동안 주변 환경의 모습을 인식한 것을 발견하였다. 둘째, 자기탐색의 과정동안 주변 환경에 대한 감정 및 반응들을 발견하게 되었다. 셋째, 자기탐색의 과정을 통해 참여자들은 환경으로 인해 형성된 개인 내적 모습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과는 목회자 자녀가 경험한 현상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도우며, 목회자 자녀들의 자기탐색을 위한 음악치료 기법의 적용 및 개발 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기대해볼 수 있다.

      • KCI등재

        총식이조사 자료를 이용한 음식별 니트로사민 함량 분포 규명

        최슬기,이영원,서정은,박종은,이지연,권훈정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8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3 No.5

        니트로사민은 산성이나 열을 가했을 때 2급 아민과 질 소산화물이 반응해서 생성되는 발암물질이다. 일반적으로 위해 물질에 대한 안전성평가는 그 노출량을 mg/kg body weight/day로 산출하여 독성기준치와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런 방법은 정책 근거자료로는 적합하나 소비자 들에게 식생활 정보로 제공하기에 미진한 부분이 있다. 따라서 주재료 및 조리법으로 분류한 음식군에 대한 NDMA (N-nitrosodimethylamine), NDBA (N-nitrosodibutylamine) 및 6종 니트로사민(NDMA, NDBA, NDEA (N-nitrosodiethylamine), NPYR (N-nitrosopyrrolidine), NPIP (N-nitrosopiperidine), NMOR (N-nitrosomorpholine) 함량 분포를 파악하여 식습관 교육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 다. 2014~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24시간 회상법 자료를 사용하여 만 7세 이상을 연구 대상으로 음식별 레시피와 섭취량을 추출하였고, 2013~2015년 총식이조사 원자료를 바탕으로 음식 한끼니 제공량 내 니트로사민 함량 분포를 R프로그램으로 산출하였다. 볼락, 장어, 멸치 육수, 명태 등의 기여로 어패류 및 해조류를 주재료로 한 음식군은 섭취량과 상관없이 NDMA, NDBA 및 총 6종 니트로사민 모두에 대한 노출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리법에 따른 분류에서는 국 및 탕류와 찌개 및 전골류가 가 장 크게 노출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류, 과실류 및 유제품류 주재료 음식군, 밥류 및 밥 외의 다른 재료를 부가한 음식군들의 니트로사민 노출에 대한 기여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니트로사민의 경우 조리시 생 성되는 여타 화합물과는 달리 국, 탕, 찌개, 전골 등 끓임을 주로 하는 음식과 어패류를 주재료로 하는 음식에서의 기여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에 가공육류를 니트로사민의 주노출원으로 생각하던 것과는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 N-nitrosamines are probable or possible human carcinogens, which are produced by the reaction between secondary amines and nitrogen oxide in the acidic environment or by heating. Common risk assessment procedure involves the comparison between exposures expressed in the unit, mg/kg body weight/day and the Health- Based Reference dose expressed in the same unit. This procedure is suitable for the policy decision-making and is considered as inappropriate for the consumers to get information about their dietary decision-making. Therefore, the distributions of NDMA (N-nitrosodimethylamine), NDBA (N-nitrosodibutylamine), the six N-nitrosamines (NDMA, NDBA, NDEA (N-nitrosodiethylamine), NPYR (N-nitrosopyrrolidine), NPIP (N-nitrosopiperidine), and NMOR (Nnitrosomorpholine) in the menus grouped based on the presence of main ingredients and cooking methods were analyzed to generate consumer-friendly information regarding food contaminants. Recipes and intakes were taken from 2014 to 2016 KNHANES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only the data from ages of 7 years or older were used. The contamin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2014~2016 Total Diet Study and all the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R software. Rockfish, eel, anchovy broth and pollock were mainly exposed to N-nitrosamines. In terms of cooking methods, soups and stews appeared to contain the highest amount of N-nitrosamines. Cereals, fruits, and dairy products in the ingredient categories, and rice dishes and rice combined with others in recipe categories had the lowest level exposure to N-nitrosamines. In case of N-nitrosamines, unlike other cooking related food contaminants, boiled dishes such as soups and stews and dishes mainly consisting of fishes and shellfishes had highest level of exposure, showing a large discrepancy with the previous thought of processed meat is the main source of N-nitrosam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