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관 활용 수업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화학교사의 교수 설계에서 나타나는 특징

        최숙영,송나윤,노태희 대한화학회 2017 대한화학회지 Vol.61 No.6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design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al program for teaching in science museum. Three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at a college of education in Seoul participated. The educational program was composed of workshop, lesson planning and practice, and critique. After the workshop, we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based on pre-visit, during-visit, post-visit activities planned by the pre-service teachers. We observed and recorded their teaching practices in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and following critique by their classmates. We also conducted final interviews. We used a framework for museum practice to analyze their curriculum design. The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all planned their lessons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considered geograph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in their pre-visit activities. They encouraged students to make joint products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and gave students autonomy in choosing exhibits to facilitate spontaneous participation. However, they did not consider continuous aspects of pre-visit, during-visit, and post-visit activities. They did not effectively induce students to engage during-visit activities cognitively. They did not make post-visit activities connect students’ experiences in science museum to personal experiences. 이 연구에서는 과학관 활용 수업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화학교사의 교수 설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 하였다. 서울 소재의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화학교사 3명이 참여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워크숍, 수업 계획 및 시연, 평가 회로 구성하였다. 워크숍 후 예비교사가 제작한 방문 전, 중, 후 활동지를 토대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고, 국립과천과학 관에서 시연한 수업과 이에 대한 평가회를 관찰 및 녹음하여 이를 바탕으로 최종 면담을 실시하였다. 활동지, 수업 시연 및 면담 내용을 과학관 학습 수행 전략 틀의 요소로 분석하여 예비교사의 교수 설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예비교사가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수업을 계획하였고, 지리적, 심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방문 전 활동을 계획하였 다. 또한 공동의 산출물을 낼 수 있는 소집단 활동을 계획하였고, 학생에게 선택의 기회를 주어 학생의 자발적인 참여를 촉진하 였다. 그러나 예비교사들은 방문 전, 중, 후 활동 사이의 연계에 대해 잘 고려하지 못하였다. 방문 중 활동에서는 학생의 인지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이끌어내지 못하였고, 방문 후 활동에서도 학생의 개인적인 경험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AI 융합교육의 이해와 해결 과제에 대한 고찰

        최숙영 대한산업경영학회 2023 산업융합연구 Vol.21 No.1

        In this study, w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AI convergence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o understand AI convergence education. We examined what capabilities AI convergence education ultimately seeks to pursue, and analyzed various examples of AI convergence education in three dimensions: core curriculum, convergence model, AI learning elements and learning activities. In addition, factors to be considered in order for AI convergence education to be actively carried out include the cultivation of AI convergence education capabilities of teachers,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AI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and evaluation methods for AI convergence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AI 융합교육의 이해를 위해 초중고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AI 융합교육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AI 융합교육에서 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역량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AI 융합교육의 다양한 사례들을크게 중심교과, 융합모형, AI 학습요소와 학습활동의 3가지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AI 융합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위해서 고려되어야 할 요소로 교사의 AI 융합교육 역량 함양, AI 교수학습 방법 및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보급, AI 융합교육을 위한 평가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상담 분석 정보를 지원하는 XML 기반 사이버 상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최숙영,백현기,Choi, Sook-Young,Back, Hyon-Ki 한국정보교육학회 2003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7 No.3

        While most researches for cyber counseling until now have been about counseling methods and the effects that teenagers utilize cyber counseling, there have been no efforts that store counseling contents, analyze them using features and technologies of web and use them effectively to guide students. Therefore, we propose a cyber counseling system that provides counseling information so that teacher may grasp students various interests and problems and thus helps to guide students. For this, we used XML. Since XML document can systematically create a structured information and represent a structure with meaningful information unit than the existing file-based information, it can be effectively used to manage, search and store documents. Thus, we implement a cyber counseling system using XML, which can effectively manage and represent the various analysis information of counseling.

      • KCI등재

        학령기 아동의 부모대인돌봄행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최숙영,이숙 한국정신간호학회 2022 정신간호학회지 Vol.31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school-age children and their parents on the parents’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 and happiness among late school-age children. Methods: The survey data of 109 pairs of school-age children and their parents were analyzed. The data were collected May 21-July 7, 2021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based on the Baron and Kenny criterion. Results: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on the parents’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noticing, sharing, and companioning. Parents'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 of children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r=46, p<.001) and happiness (r=.66, p<.001). Happiness also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r=.80, p<.001). Also, self-esteem (β=.63, p=<.001) ha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 and happiness (Z=4.82, p<.001).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of interpersonal caring that improves happiness for the children.

      • 병렬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위한 시각 환경의 설계 및 구현

        최숙영,Choe, Suk-Yeong 한국정보처리학회 1999 정보처리논문지 Vol.6 No.2

        병렬 프로그래밍은 프로세스간의 통신과 동기화 문제, 병렬 시스템의 구성 형태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순차 프로그래밍에 ?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한다. 효율적인 병렬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와 컴파일러간의 상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선행 연구로써 병렬 객체지향 표기언어 POOSL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사용자 입장에서 볼 때 병렬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해 POOSL의 문법 구조를 염두에 두고 텍스트 중심의 프로그램을 작성한다면 여전히 부담스러운 작업이 될 것이다.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텍스트보다는 시각적인 프로그래밍 환경이 더욱 효율적이고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OOSL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좀더 쉽고, 편리하게 병렬 프로그래밍 할 수 있는 시각 환경으로써 VEPO(Visual Environment for Parallel Object-Oriented Programing)를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사용자가 병렬 프로그램을 작성하는데 있어 문제에 내재된 병렬성을 객체지향 개념에 입각하여 시각적으로 자연스럽게 표현하도록 하고, 병렬 프로그램 개발에 관련된 과정들을 하나의 환경을 통합시킴으로써 편리한 프로그램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VEPO는 병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단계들로써 프로그램 기술 단계, 실행 단계, 실행 과정의 시각화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시각 프로그래밍의 장점을 충분히 살릴 수 있도록 여러 개념들이 지원되고 있다. 특히, 병렬 프로그램에서 복잡하고 까다로운 통신과 동기화에 관련된 코드 등은 번역 과정에서 여러 개념들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병렬 프로그램을 작성하는데 따르는 부담감을 줄 일 수 있도록 한다. 본 시스템은 PC를 호스트로 연결한 트랜스퓨터들로 구성된 병렬 컴퓨터 MC-3에서 구현되었다. VEP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Visual C++로 구현되었고, VEPO에서 작성된 시각 프로그램은 Inmos C 코드로 번역되어 MC-3에서 수행된다. Comparing with sequential programming, parallel programming has additional complexity due to the consideration of parallelism, communication and synchronization of processes. A synergism between users and compliers should be established, each assisting the other to produce high quality parallel programs. On the above underlying philosophy, we developed a parallel Object-Oriented specification language, POOSL, as preliminary works. However, it is still likely to hard for users to write parallel program because users have to consider grammar of POOSL and to write text-based parallel program.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provide users wit visual environment for effective parallel programming. Therefore, we propose a visual programming environment. VEPO(Visual environment for Parallel Object-Oriented Programming), based on POOSL in order that users can develop parallel programs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It aims at supporting a programming environment in which users can represent their programs more naturally and visually I parallel manner with object-oriented concept and essential steps during parallel program development such as program specification, compilation, execution and animation of execution are integrated. VEPO has useful features for parallel processing. Especially, complicated parallel codes for synchronization and communication of processes are automatically generated in the translation phase, so users can be relieved of writing error-prone parallel codes. The system is targeted to the transputer-based parallel system, MC-3. The graphic user interface of VEPO was implemented using Visual C++. Visual programs descirbed on VEPO are translated into Inmos C and executed on MC-3.

      • KCI등재

        임베디드 라눅스 기반 산업용 무선 HMI 소프트웨어 모듈 설계 및 구현

        최숙영,문승진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7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7 No.3

        Industrial HMI(Human Machine Interface) system is the main element among the factory automation processes and have been used to monitor and control operation and status of machine in factory with PLC. This HMI often brings heavy loads to the system development and difficult decreasing the system because it tends to use a specific system per each manufacturer. Therefore, in this thesis, we have developed an embedded linux-based embedded industrial HMI software modules which can be used for touch panel embedded system to solve these problem. In this module, we have used the Qt/Embedded software component because it can be used by all systems which support C++ compiler without modifying the existing codes. We can design more flexible system and network configuration because we have us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this thesis, we implement linux-based HMI software modules which ar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s well as bringing the mobility to the overall system and finally decreasing the system development loads by using the general purpose OS with competitive price. 산업용 HMI(Human Machine Interface) 시스템은 공장 자동화의 주요 구성요소 중 하나로서 PLC와 연결되어 자동화 설비 또는 장치의 운전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HMI는 주로 제조업체별로 특정한 시스템을 사용하고, 근거리에 위치하여 쓰이기 때문에 시스템 개발 시 많은 부하를 주게 되고 시스템 확장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오픈 소스인 임베디드 리눅스 기반에 멀티 플랫폼을 지원하는 Qt/Embedded와 무선 통신 모듈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형 산업용 HMI 소프트웨어 모듈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이 모듈은 Qt가 지원되는 시스템이면 소스 수정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무선 랜 모듈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이동성 및 네트워크 구축 및 시스템 확장을 보다 유동성 있게 설계할 수 있다. 이에, 리눅스 기반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HMI 소프트웨어 모듈 구현으로 이동성 확보 및 범용 운영체제의 사용으로 인한 시스템 개발 시 부하 감소와 가격 경쟁력의 향상을 이루게 되었다.

      • KCI등재

        AI 리터러시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

        최숙영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2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5 No.5

        In order to prepare for future generations to live in the AI era, education to cultivate AI literacy is needed. Since AI literacy can be the basis for AI education, in-depth research is needed on what factors and capabilities are needed for AI literacy. This study proposes a framework that includes the definition of AI literacy and components of AI literacy through related research analysis on AI literacy that has been studied so far. This framework is largely composed of four themes and consists of a total of 13 competencies. In addition, as a consideration for AI literacy cultivating education, it will be looked at from the point of view of Bloom’s Taxonom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I literacy and computational thinking will be discussed. AI 시대를 살아갈 미래 세대를 준비시키기 위해서는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AI 리터러시는 AI 교육을 위한 기초가 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진행되어 왔던 관련 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해 AI 리터러시의 정의와 AI 리터러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이 프레임워크는 크게 4가지 주제로 구성되며 총 13개의 역량으로 구성된다. 또한, AI 리터러시 함양 교육을 위한 고려사항으로 불름의 텍사노미 관점에서 AI 리터러시 교육을 살펴보고, AI 리터러시와 컴퓨팅사고와의 관련성에 대해 논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