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농업인에서의 체내 잔류농약 검출

        최수진,황상현,전사일,민원기,이선호,김성률,김영식,선우성,전태희,정태흠,Choi, Soo-Jin,Hwang, Sang-Hyun,Chun, Sa-Il,Min, Won-Ki,Lee, Seon-Ho,Kim, Sung-Ryul,Kim, Young-Sik,SunWoo, Sung,Jun, Tae-Hee,Chung, Tae-Heum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1998 농촌의학·지역보건 Vol.23 No.2

        배경 : 농약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점차 그 사용량이 증가되고 있다. 저자들은 농한기의 농업인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맹독성 농약인 methyl bromide와 organophosphate compound의 농업인 체내 잔류 정도를 혈청 bromide 농도와 cholinesterase 활성도도 측정을 통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농한기에 경상남도 산청군과 하동군에 거주하는 121명의 농업인을 대상으로 농번기의 농약사용에 관한 설문조사와 농약의 잔류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혈액을 채취하였다. 대조군으로는 간 기능이 정상이며 B형 간염 항원이 없는 사람 중에서 연령과 성별에 맞게 무작위로 240명을 선별하였다. 농업인과 대조군에서 혈중 bromide는 혈청을 이용하여 gold chloride방법으로 구하고, cholinesterase는 colorimetric assay로 측정하였다. 대상 농업인중에서 간기능 검사가 이상 소견을 보이거나 B형 간염 항원 양성인 33명과 이에 해당하는 대조군 65명은 비교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결과 : 정상인 240명을 대상으로 산정한 혈청 bromide 농도의 참고치는 72.9 ug/mL이하, 혈청 cholinesterase 활성도의 참고치는 1.6-15.9 U/mL 이었다. 정상인 175명의 혈청 bromide 농도는 $29.8{\pm}22.5\;{\mu}g/mL$, 혈청 cholinesterase 활성도는 $8.7{\pm}3.6$ U/mL이었다. 농업인의 혈청 bromide 농도는 $31.7{\pm}18.0\;{\mu}g/mL$로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혈청 cholinesterase도는 $10.9{\pm}4.2$ U/mL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농업인을 경작 면적, 농약 사용시 장갑 및 마스크 착용 유무에 따라 분휴류여 비교해 본 결과, 혈청 bromide 농도나 혈청 cholinesterase 활성도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농한기 농업이과 정상인을 비교해 보았을 때 methyl bromide 중독시 증가하는 혈청 bromide 농도는 차이가 없었으며, organophosphate compound 중독시 감소되는 cholinesterase는 농한기 농업인에서 대조군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따라서 혈청 bromide 농도와 cholinesterase 활성도는 농한기 농업인에서 농약의 체내잔류 지표로 유용성이 낮다고 사료된다. The usage or agricultural chemicals is on the increasing tendency. Methyl bromide and organophosphate are the most widely used toxic agricultural chemicals in Korea. We try to set up the methods to detect the accumulation of these chemicals in Korean farmer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or 121 farmers of slack's season in February 1998. And survey about arable acreage and usage of the gloves and masks was also performed. Serum cholinesterase activities and bromide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with gold chloride method and colorimetric method. The reference ranges of serum cholinesterase activity and bromide concentration were 1.6~15.9 U/mL and below $72.9{\mu}g/mL$. Serum bromide concentrations of farmers and normal controls showed no differences. Serum cholinesterase activities of farm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rmal controls. According to the arable acreages and usage of the gloves and masks, serum bromide concentrations and cholinesterase activities showed no differences. In conclusion, serum cholinesterase activities and bromide concentrations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farmers of slack's season and normal controls.

      • SCOPUSKCI등재

        배양액 내의 마그네슘 이온이 생쥐 초기 배아 발생에 미치는 영향

        최수진,전진현,박용석,배인하,Choi, Soo-Jin,Jun, Jin-Hyun,Park, Yong-Seog,Bae, In-Ha 대한생식의학회 2001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28 No.3

        Objective: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effects of magnesium ion in the culture medium on the development of mouse fertilized oocytes either before or after pronuclear formation,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effect of magnesium ion is related with the redistributional change of mitochondria. Methods : Fertilized oocytes obtained from the oviducts of mice at 15 hr after hCG injection before pronuclear formation (pre-PN) or 21 hr after hCG injection after pronuclear formation (post-PN) were used. The embryos were cultured for 3 days with basic T6 medium-magnesium free and various concentrations of magnesium ion, 0.0, 0.5, 1.0, 2.0, 4.0 or 8.0 mM, respectively. After culture, the developmental stages of embryos and the number of nuclei were evaluated. To observe the effects of magnesium ion on the mitochondrial distribution, fertilized oocytes were collected at 21 hr after hCG injection and cultured for 6 hr with various concentration of magnesium ion. As a control, fertilized oocytes with pronuclei at 27 hr after hCG injection were used. Results: The concentration of magnesium ion to accelerate the in vitro development of mouse fertilized oocytes appeared to be at 2.0 mM for the pre-PN and the post-PN stage embryos. In the mitochondrial redistribution patterns, the embryos cultured in 2.0 mM concentration of magnesium ion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22.6%) of distinct perinuclear clustering pattern comparing to other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The effect of magnesium ion may be related to the cytoplasmic redistribution of mitochondria. This relationship seems to connect the developmental competence of preimplantation mouse embryos in vitro. These results can suggest that higher concentration of magnesium ion (2.0 mM) than those of conventional culture medium ($0.2{\sim}1.2\;mM$) is more suitable for in vitro culture of preimplantation mouse embryos.

      • KCI등재

        반복 읽기에서 음소 지도가 초등학생의 영어 읽기 유창성에 미치는 효과

        최수진,이윤,Choi. Soo-Jin,Lee. Yoon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15 영어교과교육 Vol.14 No.1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phonemic awareness instruction along with repeated read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reading fluency. For this study, 108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While group A was instructed by repeated reading along with the phonemic awareness activities, group B was taught only by repeated reading for twelve weeks. After the experiment, a post-test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ir word recognition, reading rate, prosody, and comprehension skills. A t-test was utilized to make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analyzed data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progress on reading accuracy, reading rate, prosody, and comprehension. However, the group taught by phonemic awareness activities and repeated reading performed better than the group taught only by repeated reading on reading accuracy and prosody.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it could be concluded that phonemic awareness activities led to increased reading accuracy, prosody and comprehension.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some ideas for enhancing reading fluency were suggested.

      • 생쥐 난자의 효율적인 냉동보존 방법 확립을 위한 연구

        최수진,김수경,김지선,조재원,전진현,변혜경,Choi, Su-Jin,Kim, Soo-Kyung,Kim, Ji-Sun,Cho, Jae-Won,Jun, Jin-Hyun,Byun, Hye-Kyung 대한생식의학회 2004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1 No.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effect of various cryopreservation method on the survival and the cytoskeletal stability of metaphase II mouse oocyte. Methods: Mouse ovulated oocytes were collected and cryopreserved by a modified slow-freezing method with 1.5 M 1, 2-propanediol (PrOH)+0.1 M sucrose or by vitrification using cryo loop and EM grid with 40% ethylene glycol+0.6 M sucrose. Four hours after thawing, intact oocytes were fixed and stained with fluorescein isothiocyanate (FITC)-conjugated monoclonal anti-$\beta$-tubulin antibody to visualize spindle and propidium iodide (PI) to visualize chromosome. Spindle morphology was classified as follows: normal (barrel-shaped), slightly and absolute abnormal (multipolar or absent). Results: Survival rate of the frozen-thawed oocytes in vitrificat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low-freezing group (62.7% vs. 24.4%, p<0.01). Vitrification with cryo loo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urvival rate than that with EM grid (67.7% vs. 53.5%, p<0.05). On the other hand, proportion of normal spindle and chromosome configurations of the frozen-thawed oocytes between two vitrification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 For mouse ovulated oocytes, vitrification with cryo loop may be a preferable procedure compared to slow-freezing method. Further study should be needed to investigate developmental competency of frozen-thawed mouse oocytes.

      • SCOPUSKCI등재

        Efficacy of Frozen-Thawed ET in Patients with Old Age or Non-Pregnant in Fresh ET Cycles

        최수진,이선희,송인옥,궁미경,강인수,전진현,Choi, Su Jin,Lee, Sun Hee,Song, In Ok,Koong, Mi Kyoung,Kang, Inn Soo,Jun, Jin Hyun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3 No.4

        목 적: 동결-융해 배아이식은 보조생식술에서 환자들에게 보다 많은 임신의 기회를 제공해줄 수 있는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후가 좋지 않은 환자들에서 동결-융해 배아이식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나이가 많은 고령 환자군 (38~44세)과 신선주기 배아이식에서 임신 실패군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과배란 유도를 통해 채취한 난자를 일반적인 체외수정 또는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시행하여 수정을 유도하고, 잉여의 전핵 또는 난할 시기의 배아를 완만동결법으로 동결하였다. 동결보관 배아는 급속융해법으로 융해하여 호르몬요법을 시행한 환자의 자궁에 이식하였다. 신선 배아이식과 동결-융해 배아이식 과정에서의 배아 상태, 임신율, 착상률 등을 통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나이가 많은 고령군에서 신선 배아이식을 시행한 환자들과 동결-융해 배아이식을 시행한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40.0{\pm}1.8$세 (n=206)와 $39.9{\pm}1.9$세 (n=6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임상적인 임신율과 착상률은 동결-융해 배아이식에서 29.0%와 11.2%로 신선 배아이식의 16.5%와 7.0%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5). 첫 번째 신선 배아이식에서 임신 실패군의 연속되는 신선 배아이식 환자군 ($31.2{\pm}2.3$, n=40)과 동결-융해 배아이식 환자군 ($31.9{\pm}3.1$, n=119)에서의 평균 연령은 차이가 없었으며, 임상적 임신율 (42.5% vs 40.3%)과 착상률 (22.6% vs 18.8%)도 유사하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동결-융해 배아이식이 고령 환자들에서 효과적으로 임신율과 착상률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배란 유도에 따른 자궁의 착상 환경 변화가 고령 환자들에서 임신율과 착상률을 저하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frozen-thawed ET in poor prognosis patients such as the old age (38~44 years; OA group) and the patients who did not achieve clinical pregnancy with the first fresh ET cycle (non-pregnant patients; NP group). Methods: Laboratory and clinical data were collected from fresh and frozen-thawed ET cycles of OA and NP group.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 and conventional insemination or ICSI, in vitro culture and ET were performed by routine procedures. Supernumerary embryos were frozen by the slow freezing method, and frozen embryos were thawed by the rapid thawing method. Embryo development,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tudent t-test and chi square test Results: Mean ages were similar between fresh ET ($40.0{\pm}1.8$ years, n=206) and frozen-thawed ET ($39.9{\pm}1.9$ years, n=69) cycles in OA group. However, the clinical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 of subsequent frozen-thawed E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resh ET cycles (29.0% and 11.2% vs. 16.5% and 7.0%, p<0.05). In NP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n age between fresh ET ($31.2{\pm}2.3$ years, n=40) and frozen-thawed ET ($31.9{\pm}3.1$ years, n=119) in subsequent cycles. The clinical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s were similar between the subsequent fresh ET (42.5% and 22.6%) and the frozen-thawed ET (40.3% and 18.8%). Conclusion: In old age patients, higher pregnancy rate of frozen-thawed ET compared to fresh ET cycles in this study. It may be related that better uterine environments for implantation in frozen-thawed ET cycles than that of non-physiological hormonal condition in uterus of fresh COH cycles.

      • SCOPUSKCI등재

        김으로부터 분리한 Angiotensin - I Converting Enzyme 저해제의 정제 및 특성

        최수진(Soo-Jin Choi),전우진(Woo-Jin Jun),유광원(Kwang-Won Yu),신동훈(Dong-Hoon Shin),홍범식(Bum-Shik Hong),조홍연(Hong-Yon Cho),양한철(Han-Chul Y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70 여종의 국내산 해조류중 가장 높은 ACE저해 활성을 보였던 김(Porphyra yezoensis, 서천)의 산가수분해물로부터 ACE 활성 저해 펩타이드를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ACE 저해물질의 분획은 균일하게 파쇄한 김을 2.5 N HCl로 산 가수분해한 후 중화하여 한외여과로 분자크기 3 kDa이하의 물질로 분리하였다. 분자크기 3 kDa이하의 물질에 대하여 column chromatography(Amberlite XAD 8, DEAE-Toyopearl, Sephadex LH-20)와 reverse phase HPLC(C_(18))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ACE 저해제인 PY30-II-b-h5물질을 분리하였다. PY30-II-b-h5는 분자크기는 약 580 dalton으로 glycine(24.5%), arginine(56.8%), proline(18.8%)의 아미노산 조성을 갖는 저분자 펩타이드였으며, ACE의 저해양상은 경쟁적 저해작용을 하였고, IC50 값은 10.6 μg/mL이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E inhibitor from Porphyra yezoensis. The dried Porphyra yezoensis was ground and hydrolyzed with 2.5 N HCl, followed by neutralization and centrifugation. Then, the subsequential purification of ACE inhibitor was carried out by Amberlite XAD 8, DEAE-Toyopearl 650C,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and reverse phase HPLC with C_(18) column. The purified ACE inhibitor was peptide which consisted of glycine (24.5%), arginine (56.8%) and proline (18.8%). Also, it showed the competitive inhibition pattern to ACE. The apparent molecular mass of purified peptide was 580 dalton, and an IC50 value of ACE inhibitor was 10.6 μg.

      • KCI등재

        랫드에서 TCDD 투여에 의해 유도된 생체독성의 고려홍삼 추출물에 의한 억제 효과

        최수진(Soo Jin Choi),손형옥(Hyung Ok Sohn),신한재(Han Jae Shin),현학철(Hak Cheol Hyun),이동욱(Dong Wook Lee),송용범(Yong Bum Song),이수현(Soo Hyun Lee),강동호,임학섭(Hak Seob Lim),이철원(Cheol Won Lee),문자영(Ja Young Moon) 고려인삼학회 2008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32 No.4

        TCDD가 실험동물에 노출되었을 때 유발되는 생체독성을 예방 또는 억제할 수 있는 고려홍삼 추출물의 효과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TCDD(25μg/kg bw, 1회 투여)와 홍삼추출물(100 mg/kg bw, 격일투여)을 각각 단독 또는 병행 복강 투여한 다음 32일 동안에 체중과 각 장기들의 무게의 변화, 뇨 분석, 혈액학적 및 혈액화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TCDD 의 단독투여에 의하여 체중의 증가정도가 정상군 또는 홍삼 단독 투여군의 체중증가율에 비하여 상당히 감소하였다. TCDD와 홍삼추출물을 병행 투여한 흰쥐에서의 체중증가율은 TCDD 단독투여에 의해 감소된 체중증가율을 다소 회복 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TCDD를 단독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간의 무게가 TCDD 투여 후 2, 5, 및 16일째에 대조군에 비하여 특이적으로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으나, 홍삼추출물을 단독 투여한 실험군에 서의 간의 무게는 대조군의 간의 무게에 비하여 다소 감소하였다. TCDD와 홍삼추출물이 병행 투여된 흰쥐에서의 간의 무게의 증가정도는 TCDD을 단독투여한 흰쥐 간의 무게에 비하여 약간 감소하였다. TCDD를 단독투여한 흰쥐에서의 신장(Kidney)의 무게는 대조군에 비하여 다소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TCDD와 홍삼추출물을 병행투여한 흰쥐에서의 신장의 무게의 변화는 TCDD를 단독 투여한 흰쥐에서의 결과와 차이가 없었다. 홍삼추출물 단독 투여 군에서의 신장의 무게는 실험초기(1-2일)에 대조군에 비하여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5일 째부터는 대조군과 같은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Spleen은 TCDD의 단독투여에 의해 2-3일 이내에 일시적인 감소가 있었으나 노출기간이 증가할수록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홍삼추출물단독 투여군과 TCDD와 홍삼추출물의 병행투여군에서 spleen의 무게는 대조 군에 비하여 투여 후 16일 이후에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TCDD와 홍삼추출불의 단독 또는 병행 투여군에서의 뇌의 무게는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동물 뇨에서의 specific gravity는 대조군에서 주령에 상관없이 대체적으로 1.030 이상의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홍삼 추출물을 단독 투여한 흰쥐에서는 투여 후 14일부터 specific gravity가 1.02 수준으로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TCDD 단독 투여군에서는 투여 초기에 specific gravity가 1.02 수준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홍삼추출물을 병행투여했을 때 1.02 수준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14일 이후에 나타났다. 실험동물 뇨에서의 Total protein 함량은 대조군에서 전체 실험 기간 동안에 100 μg/dL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TCDD 단독 투여군과 TCDD와 홍삼추출물의 병행 투여군에서는 300μg/dL 이상의 함량을 나타내는 개체수가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한편, 홍삼추출물 단독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서와 비슷한 Total protein 함량의 수준을 나타내었다. 뇨에서 ketone body 의 함량은 대조군에서 주령의 증기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실험군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Glucose, ketone, bilirubin, Occult blood, nitrite 및 urobilinogen의 함량은 모든 실험군에서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pH 값은 주령의 증가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이 특징적이었으나 실험군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혈액화학적 검사결과 TCDD의 단독투여에 의한 AST는 대조군에 비하여 전 실험기간에 걸쳐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32일 실험군에서 가장 높은 AST 값을 나타내었다. 홍삼추출물의 단독 투여에 의한 AST는 TCDD의 단독 투여군과는 대조적으로 오히려 노출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다. 그리고 TCDD의 투여에 의해 증가된 AST는 홍삼추 출물을 병행투여 한지 16일부터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TCDD를 단독 투여한 흰쥐 혈청 ALT의 활성은 16일 까지는 대조군의 ALT 활성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32일 째에는 대조군에 비하여 상당히 증가하였다. 이에 비하여 TCDD와 홍삼추출물을 병행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16일군과 32일군에서 ALT의 활성이 급격히 감소하여 대조군의 ALT 활성보다 낮게 나타났다. 홍삼을단독 투여한 실험군에서의 ALT 활성은 전 실험기간동안에 ALT 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To achieve a better understanding of protective effects of water extracts of Panax ginseng against TCDD-induced toxicities, we monitored physiological and clinical changes in rat for 4 weeks after administrations of each Panax Ginseng extract or TCDD, and co-administration of the two materials. For this study, 120 male Sprague-Dawley (SD) rats weighing 190-210 g each (8 weeks old)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CDD-administered, co-administered group with TCDD and ginseng extract, ginseng extract-administered, and control group. The TCDD-administered group received single dose of TCDD in a corn oil vehicle (25 μg/kg body weight) by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n Day 1. The Panax ginseng extracts-administered group received intraperitoneally 100 mg/kg body weight every other day for one month. For the co-administered group with TCDD and ginseng extracts Panax ginseng extracts were intrapelitoneally administered to rats at 100 mg/kg body weight every other day for one month after a single intrapelitoneal dose of 25 μg of TCDD/kg body weight on Day 1. Panax ginseng extracts attenuated the mortality induced by TCDD administration. The extracts also slightly attenuated the TCDD-induced body weight loss. Administration of TCDD alone increased liver weight at 2, 5, and 16 days after administration of TCDD. Administration of Panax ginseng extracts rather decreased liver weight through whole the experimental period, but which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dministration of TCDD alone at 25 μg/kg body weight increased both serum enzyme activities of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t 32 days, indicating that liver damage occun'ed maximally at that time. Ginseng extract administration caused insignificant changes in serum ALT, but gradually decreased in AST as the exposure time increased. Coadministration of TCDD and ginseng extracts caused serum AST activity to significant recovery to nonnal value at 16 days and 32 days after exposure to TCDD. The extracts also signiticantly decreased the TCDD-induced ALT activity after 16 days of TCDD administ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nax ginseng extracts may posses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TCDD-induced toxicities including hepatotoxicity in rat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비서의 정보처리직무 역량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최수진(Choi Soo-Jin),김명옥(Kim Myong-Ok) 한국비서학회 2006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5 No.1

        정보기술의 획기적인 발전과 급속한 확산으로 비서직을 포함한 사무관리자들에게는 업무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정보기술 활용능력을 습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사무관리자들은 기술혁신에 의한 직무역할의 변화에 따라 현재 사회가 요구하는 지식 및 능력이 무엇인지 주기적으로 파악해야 하고, 그에 걸맞게 계속적으로 자기개발을 해나가야 한다. 비서의 정보처리직무에 대한 선행연구는 대략적인 정보처리 및 정보관리 업무의 필요성, 직무상 컴퓨터 활용영역, 비서교육을 위한 정보관련 교과목 등을 제시하는 정도에 그치고 구체적으로 어떤 기능이 활용되는지, 어떤 세부 내용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조사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서의 정보처리 역량개발을 위하여 경력비서이게 요구되는 정보처리 직무항목의 업무중요도를 조사하고, 주요 정보처리 직무항목의 세부기능을 조사ㆍ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비서의 정보처리 직무역량 및 요구분석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10개의 정보처리 직무를 설문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Excel을 이용한 수치정보처리 및 가공, Power Point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자료 작성, ?글ㆍWord 등을 이용한 문서 작성 및 편집,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검색, 정보송수신 및 정보가공 순으로 핵심 정보처리 주요직무가 추출되었다. 이 핵심 정보처리 직무의 세부기능을 추출하기 위하여 주요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교육내용을 심도 있게 조사하여 정보처리직무의 세부기능 설문문항을 완성하고 비서직의 주요 정보처리 직무에 대한 세부기능의 업무중요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요구를 반영하는 최신의 사무정보처리 직무를 파악함으로 정보처리와 관련된 교과과정 또는 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을 구성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비서업무의 중요도 조사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본 오피스 프로그램과 인터넷 서비스를 활용하는 기본교육을 충실히 하고 차트, 데이터관리 등의 수치정보 처리 및 가공, 프리젠테이션 기법 및 프리젠테이션 자료작성법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As the development of high technology increases. the role of professionals have also widened. giving rise to the need to use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We need to know by periods what kind of computer application skills are required. Most literatures on competency or needs analysis about Administrative Assistant(A.A.)‘s job have been examined the application field. application software titles. or courses of study. not specific computer skills. So we investigated the office information management(OIM) fields and the specific computer skills of high-ranked office information management fields needed by professional administrative assistants.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about A.A.'s competencies, educational needs analysis and preliminary real world research from educational institution. and found key competencies fields about OIM and specific computer skills needed by A.A. The high ranked OIM fields are as follows: spreadsheet. presentation, word processing and internet service. The important skills on spreadsheet are chart and data processing: In presentation field. presentation skills are high ranked than Power Point skills: Making and editing table was the high ranked skill: Internet information search and send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re high ranked than other internet service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to develop a competency development for professionals. On the basis of this survey. we recommend the curriculum for A.A. competency development to set up the courses of basic office field such as word processing, spreadsheet. presentation and internet and emphasize computer application skills for A.A.'s problem solving and soft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